맨위로가기

BAT99-98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AT99-98은 대마젤란 은하의 타란툴라 성운 내 R136 성단 근처에 위치한 울프-레이에 별이다. 1978년 J. 멜닉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으며, 여러 연구를 거치며 Mel J, AB12, Melnick 49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 질량을 많이 잃지 않는다면 초신성, 극초신성, 감마선 폭발을 거쳐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을 남길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발견한 천체 - 카론 (위성)
    카론은 1978년 발견된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으로, 명왕성과 질량 중심을 공전하며,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에 의해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과 과거 지하 해양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왜행성 분류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명왕성 위성으로 분류된다.
  • 1978년 발견한 천체 - 빌트 2 혜성
    빌트 2 혜성은 1978년 파울 빌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목성에 근접한 후 궤도가 변화하여 공전 주기가 짧아졌고, NASA의 스타더스트 탐사선이 탐사하여 핵의 특성과 유기물, 물 등의 존재를 밝혀냈다.
  • 외부은하 항성 - R136a3
  • 외부은하 항성 - BI 253
    BI 253은 대마젤란 은하에 있는 매우 뜨겁고 질량이 큰 O2 V형 주계열성으로, 높은 표면 온도와 광도를 가지며, 30 도라두스에서 멀리 떨어진 높은 공간 속도로 인해 R136 성단에서 튕겨져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a1
    R136a1은 대마젤란은하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질량의 약 197배, 밝기는 805만 배에 달하며 강력한 항성풍으로 질량을 잃고 쌍불안정형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는 울프-레이에 별이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
    타란툴라 성운 중심부에 위치한 R136은 태양 질량의 약 45만 배에 달하는 거대한 성단으로, 높은 별의 밀도와 WNh형 별, O형 초거성 등 질량이 큰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란툴라 성운의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향후 구상 성단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
BAT99-98
기본 정보
null
null
별자리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13.70
특징
분광형WN6
색지수b-v: -0.10
거리165,000 광년 (50,600 파섹)
절대 등급-8.11
질량226
크기37.5
광도5,000,000
표면 온도45,000 켈빈
중원소 함량~0.4 Z☉
나이~200만 년
식별 정보
다른 이름브레이 79, Cl* NGC 2070 MEL J, SSTISAGEMC J053839.14-690621.2, M2002 LMC 171429, BAT99 98, LMC AB 12, UCAC3 42-32386, P93 691, Cl* NGC 2070 MEL 49, 2MASS J05383914-6906211, UCAC4 105-014273

2. 관측

1978년 J. 멜닉의 타란툴라 성운 관측을 통해 처음 발견된 BAT99-98은 이후 여러 관측에서 다양한 명칭과 분광형으로 기록되었다. 초기에는 12등급에 WN5형으로 분류되었으나,[14] 이후 WN7 등으로 재분류되었다.[7] 이 별은 Melnick 49, R 번호, Brey 번호[8], BAT99 번호[9] 등으로도 불린다.

2. 1. 초기 관측

1978년 호르헤 멜니크는 황새치자리 30 성운 영역을 관측하여 6개의 울프-레이에별을 발견했다. BAT99-98은 그가 관측한 12개 천체 중 일곱 번째 관측 대상이었으며, 성표에는 Cl* NGC 2070 MEL J로 기록되었다. 멜니크가 관측한 항성들은 황새치자리 30 성운 중심부에서 2분각 이내에 있는 겉보기 등급 14등급 이상의 천체들이었다. BAT99-98의 겉보기 등급은 12, 분광형은 WN5였다.[14] [5]

다음 해, 대마젤란 은하에서 13개의 새로운 WR 별이 보고되었으며, 그중 하나가 Mel J였다. 이 별은 12번으로 번호가 매겨졌으며, AB12 또는 더 잘 알려진 AB별과 구별하기 위해 LMC AB12로 불렸다.[6]

멜니크는 NGC 2070에 있는 별에 대한 또 다른 연구를 수행했으며 BAT99-98에 49번을 부여하고 분광형을 WN7으로 재분류했다.[7]

2. 2. 추가 관측

이후 추가적인 관측을 통해 BAT99-98의 분광형은 WN7 등으로 재분류되었다.[7] 이 별은 다양한 천문 목록에서 Melnick 49, R 번호, Brey 번호[8], BAT99 번호[9] 등으로도 불린다.

3. 특징

BAT99-98은 성단 R136 근처에 있으며, R136에 있는 무겁고 밝은 별들과 유사한 질량-광도 특성을 보인다.[1] 이 별은 초당 1600 킬로미터 속도의 항성풍을 뿜어낸다.[1]

3. 1. 물리적 특성

이 별은 성단 R136 근처에 있으며, 질량-광도 수치는 R136에 있는 무겁고 밝은 별들과 비슷하다. 처음 태어났을 때 질량은 태양의 250배 정도였으나 이후 항성풍 형태로 태양 질량 20배 정도를 잃어버린 것으로 추정된다.[13] BAT99-98이 뿜는 항성풍 속도는 초당 1600 킬로미터나 된다.[13] 표면 온도는 4만 5천 켈빈이며 모든 파장 영역에서 뿜는 에너지 총량은 태양의 500만 배 정도이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밝기는 태양의 14만 1천 배에 불과하다. 항성진화로는 질소를 태우는 단계에 있다.

3. 2. 진화 상태

BAT99-98은 현재 WN6형 별로 분류되며, 항성진화 모델에 따르면 약 750만 년 된 것으로 추정된다.[1] 질소를 태우는 항성진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최후

BAT99-98의 미래는 질량 손실에 달려 있다. 이처럼 거대한 별들은 치명적인 종말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질량을 잃을 수 없다고 여겨진다. 그 결과는 초신성, 하이퍼노바, 감마선 폭발 또는 거의 가시적인 폭발 없이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을 남기는 것으로 예상된다. 국부 은하군에 있는 대부분의 거대한 별들은 때때로 감마선 폭발을 동반하는 Type Ib 또는 Ic 초신성을 생성하고 블랙홀을 남길 것으로 예상된다.[10]

4. 1. 예상되는 최후

BAT99-98의 최후는 이 별이 질량을 얼마나 잃느냐에 달려 있다. 이 별처럼 질량이 극도로 큰 별은 질량을 크게 잃지 않아 파국적 종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 초신성, 극초신성, 감마선 폭발 또는 눈에 보이지 않는 폭발 과정을 거친 후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을 남길 것이다.[15] 정확히 어떤 형태로 최후가 결정될지는 항성이 질량을 잃는 속도와 양에 달려 있다. 현재 구축된 모형은 예측의 정확도에 있어 완벽하지는 않으나, BAT99-98와 같이 아주 무거운 항성들은 Ib, Ic형 초신성(감마선 폭발이 동반될 수도 있음)으로 최후를 맞은 뒤 블랙홀을 남기리라 추측하고 있다.[15] 그러나 예외적으로 질량이 큰 일부 별의 경우, 초신성 현상은 쌍불안정성에 의해 유발되며, 잔해를 전혀 남기지 않는다.[11]

4. 2. 예외적인 경우

극히 드물게, BAT99-98과 같이 매우 질량이 큰 별은 쌍불안정성에 의해 유발되는 초신성 현상으로 잔해를 전혀 남기지 않고 완전히 파괴될 수 있다.[11]

참조

[1] 논문 The Wolf–Rayet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2] 논문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 XI. A census of the hot luminous stars and their feedback in 30 Doradus 2013
[3] 간행물 Gaia EDR3
[4] 논문 The IMF of the field population of 30 Doradus
[5] 논문 More Wolf–Rayet stars in 30 Doradus. 1978
[6] 논문 New Wolf–Rayet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7] 논문 The 30 Doradus nebula. I – Spectral classification of 69 stars in the central cluster
[8] 논문 Spectral Classification of Wolf–Rayet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9] 논문 The fourth catalogue of Population I Wolf–Rayet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10] 서적 Very Massive Stars in the Local Universe
[11] 웹사이트 Lecture 18: Pair Instability Supernovae https://www.ucolick.[...]
[12] 저널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 XI. A census of the hot luminous stars and their feedback in 30 Doradus http://arxiv.org/abs[...] 2013
[13] 저널 The Wolf-Rayet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14] 저널 More Wolf-Rayet stars in 30 Doradus. 1978
[15] 저널 The Deaths of Very Massive Sta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