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ack To Stag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ack To Stage는 박진영이 2007년에 발매한 음반이다. 이 음반에는 "니가 사는 그 집", "Kiss", "대낮에 한 이별" 등의 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특히 "Kiss"는 뮤직비디오의 선정성 논란을 빚었다. 또한, 타이틀 곡 "니가 사는 그 집"은 가사 표절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진영의 음반 - Game (박진영의 음반)
    Game은 박진영이 1998년에 발표한 4집 음반으로, 자작곡 외에 유재하, 김창훈의 곡이 수록되었고 방시혁, 김형석이 편곡에 참여하여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 2007년 음반 - Elly Is so HOT
    Elly Is so HOT은 2005년 서인영이 발매한 첫 번째 정규 앨범으로, 타이틀곡 "HIT"를 포함하여 총 12곡이 수록되었으며, "HIT"와 "너를 원해"는 리믹스 버전으로도 수록되었다.
  • 2007년 음반 - The Breeze Of Sea
    박효신의 5집 앨범 《The Breeze Of Sea》는 "추억은 사랑을 닮아"를 타이틀곡으로 총 17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박효신이 작사, 작곡에 적극 참여하고 린, 진보라, 최아롬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Back To Stage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음반명Back To Stage
가수명박진영
음반 종류정규 음반
녹음JYPE 스튜디오
발매년월일2007년 11월 17일
장르R&B
유통사로엔엔터테인먼트
프로듀서홍승성 (지휘), 박진영, 권태은
이전 음반Game (2001)
다음 음반Back to Stage (2007)

2. 주요 곡 해설

이 앨범의 주요 곡으로는 타이틀 곡인 '니가 사는 그 집', 미국의 프로듀서 라이언 레슬리와 협업한 'Kiss', 그리고 원더걸스선예가 피처링한 '대낮에 한 이별' 등이 있다. 타이틀 곡 '니가 사는 그 집'은 박진영이 오랫동안 준비한 곡이지만 발표 후 가사 표절 논란이 있었고, 'Kiss'는 세련된 사운드에도 불구하고 뮤직비디오의 표현 수위로 인해 선정성 논란을 겪었다. 반면 '대낮에 한 이별'은 발라드 곡으로 별다른 잡음 없이 음반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

2. 1. 니가 사는 그 집

'니가 사는 그 집'은 박진영이 2003년에 작곡하여 앨범 제작 전까지 오랫동안 보관하며 각별한 애정을 보인 곡이다. 2007년 11월, Back To Stage 앨범 발매와 함께 타이틀 곡으로 공개되었다. 이 곡은 발표 후 각종 음악 차트 10위권에 진입하며 대중적으로 알려졌다.

가사는 차를 운전하던 주인공이 10년 전에 사랑했던 여인이 아이와 함께 있는 모습을 우연히 보고 '가슴 아픈 미행'을 시작한다는 내용으로, 이는 박진영의 상상에 의해 쓰여졌다.

박진영이 작곡한 곡들은 이전에도 멜로디 표절 의혹을 받은 바 있으나, '니가 사는 그 집'은 발표 이후 대한민국 가요 역사상 유례가 드문 가사 표절 의혹이 제기되었다. 문제가 된 부분은 곡의 코러스 가사 '''''"니가 사는 그 집, 그 집이 내 집이었어야 해… 니가 차린 음식, 니가 낳은 그 아이까지도 모두 다 내 것이었어야 해"'''''로, 미국 가수 베이비페이스의 곡 ''What if''의 브릿지 부분 가사 '''''"Now that could be my car, that could be my house…"'''''와 흡사하다는 지적이었다.

이에 대해 박진영 측은 두 곡 가사의 유사성은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 뿐이라며 표절 의혹을 전면 부인하였다.

2. 2. Kiss

박진영이 곡을 판매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 가수 캐시( Cassieeng )의 음반 제작에 참여하던 중,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 라이언 레슬리( Ryan Leslieeng )를 알게 되어 함께 비트 제작 작업을 시작했다. 이 협업의 결과물이 바로 'Kiss'이다.[1] 두 프로듀서는 라이언 레슬리 특유의 사운드와 박진영의 스타일을 접목시켜, 음반에서 가장 균형 잡히고 세련된 트랙을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1]

그러나 'Kiss'의 뮤직비디오는 내용 때문에 선정성 논란에 휩싸였다. 뮤직비디오에는 SM 행위를 연상시키는 박진영과 댄서들의 분장 및 무대 배경, 정자와 난자가 수정되는 장면, 여성의 옷을 벗기는 듯한 안무, 그리고 성적 환상에 대한 인간 심리를 노골적으로 묘사한 장면 등이 포함되었다.[1] 이러한 표현 방식은 일부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논란을 일으켰고, 특히 보수적인 성향의 대중들로부터 큰 거부감을 샀다. 이로 인해 박진영에게는 '변태 고릴라', '섹스 박'과 같은 다소 부정적인 이미지가 더욱 굳어지는 결과를 낳았다.[1]

2. 3. 대낮에 한 이별

'대낮에 한 이별'은 원더걸스선예가 피처링 게스트로 참여한 곡으로, 한국형 발라드 음악의 정석을 따른 곡이다. 한편 이 곡은 박진영이 출연한 방송에서 언급된 적조차 거의 없었고, 선정성 논란 등의 노이즈가 전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Back To Stage' 음반에서 가장 성공한 트랙이 되었다.

3. 표절 논란

박진영이 작곡한 많은 곡들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표절 의혹을 받아왔는데, Back To Stage 음반 발매 이전인 2007년 11월까지는 주로 멜로디 표절 의혹이었다. 그러나 이 음반 발매 이후 타이틀 곡으로 공개된 '니가 사는 그 집'은 대한민국 가요 역사상 유례가 드문 가사 표절 의혹에 휩싸였다.

'니가 사는 그 집'의 코러스 부분 가사 "니가 사는 그 집, 그 집이 내 집이었어야 해… (중간 생략) 니가 차린 음식, 니가 낳은 그 아이까지도 모두 다 내 것이었어야 해"가 미국 가수 베이비페이스의 곡 'What if'의 브릿지 부분 가사 "Now that could be my car, that could be my house…"와 내용상 유사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논란이 되었다.

이에 대해 박진영 측은 "두 곡의 가사가 유사하게 느껴지는 것은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 뿐"이라고 해명하며 표절 의혹을 전면 부인하였다.

4. 수록곡 목록

#곡 제목작사작곡편곡재생 시간
1Kiss[1]박진영박진영J.Y. Park "The Asiansoul", Ryan Leslie3:30
2니가 사는 그집박진영박진영J.Y. Park "The Asiansoul", 권태은3:47
3니 여자[2]박진영박진영Wonderkid3:09
4Delicious (니 입술이)[3]박진영박진영Wonderkid, 방시혁3:34
5Single (Feat. 바비 킴)[4]박진영박진영권태은3:43
6딴따라 블루스박진영박진영J.Y. Park "The Asiansoul", 권태은3:35
7사실은박진영박진영권태은3:30
8나 돌아가박진영박진영이승환 (The Story)4:15
9이런 여자가 좋아 (Feat. 다이나믹 듀오, 전제덕)[4][5]박진영박진영J.Y. Park "The Asiansoul", 권태은4:36
10위험한 장난[6]박진영박진영장준호3:18
11엇갈렸어 (Feat. 윤미래)[7]박진영박진영권태은, 박경록4:01
12대낮에 한 이별 (Feat. 선예)박진영박진영류영민4:31


4. 1. 참여 음악가

박진영(J.Y. Park "The Asiansoul")이 앨범 전곡의 작사, 작곡을 맡았으며, 일부 곡은 다른 작곡가와 협업하였다.[1][2][3][4][5][6][7] 편곡에는 박진영 자신을 비롯하여 Ryan Leslie, 권태은, Wonderkid, 방시혁, 이승환 (The Story), 장준호, 박경록, 류영민 등이 참여했다.

앨범에는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앨범 제작에 참여한 세션 연주자는 다음과 같다.

악기연주자
기타Sam Lee, 박주원
혼 섹션TST (김동하, 장효석, 이한진)
피아노이승환, 길은경
드럼신석철
베이스 기타최훈



기술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

역할담당자
프로그래밍박진영, 권태은, 김태윤, 방시혁, 박경록, 류영민
보컬 편곡 및 감독박진영, 권태은
현악기 편곡류영민
녹음 엔지니어안유진, 김명섭, 이진원
어시스턴트 녹음 엔지니어함은경
믹싱John Frye, Brian Stanley, Chris Theis, Jim Caruana, 권태은, 임창덕, 박병준
마스터링Tom Coyne, 최효영
프로툴스안유진, 함은경


참조

[1] 문서 Ryan Leslie와 공동 작곡
[2] 문서 Wonderkid와 공동 작곡
[3] 문서 방시혁, Wonderkid와 공동 작곡
[4] 문서 권태은과 공동 작곡
[5] 문서 다이나믹 듀오와 공동 작사
[6] 문서 장준호와 공동 작곡
[7] 문서 타이거 JK, 윤미래와 공동 작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