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each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leach》는 너바나의 데뷔 정규 음반으로, 1989년에 발매되었다. 1988년 12월부터 녹음이 시작되었으며, 잭 엔디노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멜빈스의 데일 크로버가 드럼을 연주한 곡들도 수록되었으며, 제이슨 에버먼은 녹음 비용을 지원하고 앨범 커버에 참여했으나 실제 연주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Bleach》는 발매 당시에는 큰 판매량을 기록하지 못했지만,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1992년 재발매 이후 판매량이 증가하여 미국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너바나의 음반 - In Utero
In Utero는 너바나가 주류 음악계에서 벗어나 거칠고 실험적인 사운드를 추구하며 스티브 알비니와 함께 제작한 세 번째 정규 앨범으로, 발매 당시 논쟁을 일으켰지만 현재는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너바나의 음반 - Blew
"Blew"는 너바나의 곡으로, 1989년 앨범 'Bleach'에 수록된 후 EP로 재발매되어 영국 인디 차트 15위를 기록했으며, 갇힘과 통제에 대한 주제, 사회적 억압에 대한 비판, 1990년대 초 미국의 보수적인 분위기에 대한 반항심을 담아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989년 데뷔 음반 - Cuts Both Ways
글로리아 에스테판의 1989년 솔로 앨범 "Cuts Both Ways"는 미국 빌보드 200 차트 10위권 진입과 영국, 호주 1위, 그리고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곡 "Don't Wanna Lose You"를 탄생시키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89년 데뷔 음반 - Southside (텍사스의 음반)
Southside는 1989년에 발매된 텍사스의 데뷔 음반으로, 영국 앨범 차트 3위에 올랐으며, 영화 《파리, 텍사스》의 포스터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되었다. - 미국의 음악 그룹 - 다임백 대럴
다임백 대럴은 미국의 기타리스트로, 헤비 메탈 밴드 팬테라와 데미지플랜에서 활동했으며, 1990년대 그루브 메탈 발전에 기여했으나 2004년 공연 중 사망했다. - 미국의 음악 그룹 - 판테라
1981년 결성된 미국의 헤비 메탈 밴드 판테라는 글램 메탈에서 그루브 메탈로 스타일을 전환하여 90년대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멤버 간 불화로 해체 후, 일부 멤버가 사망하고 2022년 재결합하여 투어 중이다.
Bleach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너바나 |
발매일 | 1989년 6월 15일 |
녹음 | 1988년 1월 23일 1988년 6월 30일 1988년 12월 24일–31일 |
녹음 장소 | 리시프로컬 레코딩 (워싱턴주 시애틀) |
장르 | 그런지 슬러지 메탈 펑크 록 하드 록 인디 록 |
길이 | 37분 21초 (오리지널 발매) 42분 45초 (재발매) |
레이블 | 서브 팝 |
프로듀서 | 잭 엔디노 |
싱글 | |
싱글 1 | 러브 버즈 |
싱글 1 발매일 | 1988년 11월 |
싱글 2 | 블루 |
싱글 2 발매일 | 1989년 11월 |
관련 작품 | |
이전 작품 | 없음 |
다음 작품 | 블루 |
다음 작품 발표 연도 | 1989년 |
2. 녹음
1988년 11월 서브 팝에서 데뷔 싱글 "Love Buzz"를 발매한 후, 너바나는 서브 팝이 EP만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정규 앨범 녹음을 준비하기 위해 2~3주 동안 연습했다.[15] ''Bleach''의 주요 세션은 시애틀의 레시프로컬 녹음 스튜디오에서 현지 프로듀서 잭 엔디노와 함께 진행되었다. 너바나는 1988년 12월 24일에 5시간 동안의 세션으로 녹음을 시작했다.[16] 밴드는 12월 29~31일, 1월 14일, 24일에 다시 녹음했다.[17][103]
음반에 있는 〈Floyd the Barber〉, 〈Paper Cuts〉, 〈Downer〉의 세 곡은 멜빈스의 드러머 데일 크로버가 참여하여 1988년 레시프로컬 레코딩에서의 세션 이전에 녹음한 것이다.[104] 새로운 드러머 채드 채닝과 재녹음하려고 했지만, 결국 크로버가 녹음한 버전을 《Bleach》의 최종본에 리믹스하기로 결정내렸다.[104] 커트 코베인은 "Bleach에 이미 느리고 무거운 곡이 충분히 있어서 그 곡을 내고 싶지 않았다"고 잭 엔디노는 말했으며, 그에 따르면, "Big Long Now"는 앨범에서 제외되었다.[17][103] 앨범은 편집되고 시퀀싱되었지만, 서브 팝 대표 브루스 파비트는 앨범의 시퀀스를 완전히 다시 정렬하라고 명령했다. 서브 팝이 앨범을 발매할 충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때까지 레코드는 몇 달 동안 더 지연되었다.[18][104]
엔디노는 밴드에 30시간 녹음에 606.17달러를 청구했다.[18][104] 제이슨 에버먼은 너바나의 데모를 데일 크로버와 함께 듣고 감명을 받아 이 돈을 댔다. 그는 잠시 밴드에 두 번째 기타리스트로 합류했다.[18] 에버먼은 앨범 커버에 기타리스트로 크레딧되었으며, 앨범 커버에도 등장했지만 앨범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베이시스트 크리스 노보셀릭은 "우리는 그가 밴드에서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19][105]
2. 1. 초기 녹음 과정
1988년 11월 서브 팝에서 데뷔 싱글 "Love Buzz"를 발매한 후, 너바나는 EP만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정규 앨범 녹음을 준비하기 위해 2~3주 동안 연습했다.[15] ''Bleach''의 주요 세션은 시애틀의 레시프로컬 녹음 스튜디오에서 현지 프로듀서 잭 엔디노와 함께 진행되었다. 너바나는 1988년 12월 24일에 5시간 동안의 세션으로 녹음을 시작했다.[16] 밴드는 12월 29~31일, 1월 14일, 24일에 다시 녹음했다.[17][103]음반에 있는 〈Floyd the Barber〉, 〈Paper Cuts〉, 〈Downer〉의 세 곡은 멜빈스의 드러머 데일 크로버가 참여하여 1988년 레시프로컬 레코딩에서의 세션 이전에 녹음한 것이다.[104] 새로운 드러머 채드 채닝과 재녹음하려고 했지만, 결국 크로버가 녹음한 버전을 《Bleach》의 최종본에 리믹스하기로 결정내렸다.[104] 커트 코베인은 "Bleach에 이미 느리고 무거운 곡이 충분히 있어서 그 곡을 내고 싶지 않았다"고 잭 엔디노는 말했으며, 그에 따르면, "Big Long Now"는 앨범에서 제외되었다.[17][103] 앨범은 편집되고 시퀀싱되었지만, 서브 팝 대표 브루스 파비트는 앨범의 시퀀스를 완전히 다시 정렬하라고 명령했다. 서브 팝이 앨범을 발매할 충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때까지 레코드는 몇 달 동안 더 지연되었다.[18][104]
엔디노는 밴드에 30시간 녹음에 606.17달러(2024년 기준 1,541.34달러)를 청구했다.[18][104] 제이슨 에버먼은 너바나의 데모를 데일 크로버와 함께 듣고 감명을 받아 이 돈을 댔다. 그는 잠시 밴드에 두 번째 기타리스트로 합류했다.[18] 에버먼은 앨범 커버에 기타리스트로 크레딧되었으며, 앨범 커버에도 등장했지만 앨범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베이시스트 크리스 노보셀릭은 "우리는 그가 밴드에서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19][105]
2. 2. 채드 채닝 영입 후
너바나는 데뷔 싱글 〈Love Buzz〉를 발표한 후, EP 제작만을 원했던 서브 팝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정규 음반을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101] 1988년 12월 24일부터 시애틀의 레시프로컬 레코딩에서 프로듀서 잭 엔디노와 함께 녹음을 시작,[102] 12월 29~31일 및 1월 14일과 24일에 걸쳐 녹음을 진행했다.[103]〈Floyd the Barber〉, 〈Paper Cuts〉, 〈Downer〉는 데일 크로버가 드럼을 담당했던 이전 세션에서 녹음되었는데, 채드 채닝과 재녹음을 시도했으나 결국 크로버의 버전을 리믹스하여 최종본에 수록했다.[104] 워싱턴주 애버딘에서 1988년부터 1989년에 걸쳐 녹음되었으며, 최초의 드러머는 멜빈스의 멤버였던 데일 크로버였지만, 정식 멤버가 아니었기 때문에 채드 채닝을 영입하여 대부분의 곡을 다시 녹음했다.
3. 음악
《Bleach》의 곡 구조는 단순하고, 가사는 대체로 부정적이고 냉소적이다.[113][109] 커트 코베인은 《스핀》과의 인터뷰에서 《Bleach》에 대해 자신이 "가사의 의미에 대해 좆도 신경 안 쓴다"면서 가사의 8할은 녹음하기 전날 밤에 쓴 것이라고 말했다.[113] 그는 녹음 스튜디오로 가는 길에도 종종 가사를 썼다고 한다.[104][18] 마이클 아제라드는 음반의 대다수 곡들은 코베인과 그의 숱한 사건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썼다.[114][30]
코베인의 말에 의하면, 《Bleach》의 음악은 서브 팝이 강력히 지지하는 그런지 장르와 일치한다.[107][21]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 멜빈스가 개척한 시애틀 기반의 슬러지 메탈 장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질리언 G. 가어는 ''Bleach''가 "[그] 몫, 어떤 사람들은 그 이상이라고 말할 것 같은 지저분한 슬러지를 가지고 있다"고 썼고,[24] Sub Pop은 싱글 "Love Buzz/Big Cheese"를 "헤비 팝 슬러지"라고 묘사했다.[25] "거기엔 서브 팝과 로큰롤을 연주하는 그런지 장르에 대한 압박감이 존재한다"고 했으며, "벗겨낼 수 없을 때까지 벗겨내었고, 에어로스미스와 같은 사운드로 만들었다"고 말했다.[107] 코베인은 팬층이 가지고 있는 그런지 사운드에 대한 기대에 부합하기를 원했으며, 이런 이유로 그의 예술, 팝적인 작곡가로서의 특성은 음반의 제작 당시 억압된 상태였다.[107][21] 크리스 노보셀릭은 밴드가 투어 도중 스미더린스와 켈틱 프로스트가 녹음된 테이프를 들었다면서, 이 둘의 조합이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108][22]
〈Negative Creep〉에서는, 반복되고 무거운 그런지 리프 위로 코베인이 미친듯 통곡하며 비명을 지른다.[106][20] 크리스토퍼 샌포드는 〈Paper Cuts〉은 포크에 영향받은 선율과 초기 레드 제플린의 넘버에 있는 육중한 리듬이 있다고 했다.[110][26] 〈Mr. Moustache〉는 너바나의 남성 팬에게 웅변하는 곡이며,[110] 마초적인 행동에 대한 코베인의 혐오감에서 영감을 받았다.[31] 〈Downer〉는 그룹의 관중에게 보내는 극도의 경멸을 전달한다.[110] 가사가 단 네 개뿐인[26] 〈School〉은 시애틀 음악 씬, 그것도 특히 서브 법을 향한 비평이었다.[116][32] 〈Scoff〉는 코베인의 부모의 결별에 대한 위안책이다.[110]
〈About a Girl〉은 예외적으로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띤다.[110][26] 코베인이 당시 여자친구 트레이시 마랜더를 위해 쓴 곡으로,[28] 척 크리사풀리는 "분노, 상처, 사랑에 실패한 균열에 남은 애정을 제대로 포착하여 절대 잊을 수가 없을 구절과 코러스에 집어넣었다."고 썼다.[112] 《사운즈》의 키스 카메론은 "대단히 흥겹고 음악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즐거움이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거의 감지할 수 있을 만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이것은 첫 음부터 마지막까지 단 한 번도 긴장을 놓는 법이 없다."고 썼다.[111][27]
3. 1. 음악적 특징
《Bleach》의 곡 구조는 단순하고, 가사는 대체로 부정적이고 냉소적이다.[113][109] 커트 코베인은 《스핀》과의 인터뷰에서 《Bleach》에 대해 자신이 "가사의 의미에 대해 좆도 신경 안 쓴다"면서 가사의 8할은 녹음하기 전날 밤에 쓴 것이라고 말했다.[113] 그는 녹음 스튜디오로 가는 길에도 종종 가사를 썼다고 한다.[104][18] 마이클 아제라드는 음반의 대다수 곡들은 코베인과 그의 숱한 사건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썼다.[114][30]코베인의 말에 의하면, 《Bleach》의 음악은 서브 팝이 강력히 지지하는 그런지 장르와 일치한다.[107][21]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 멜빈스가 개척한 시애틀 기반의 슬러지 메탈 장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질리언 G. 가어는 ''Bleach''가 "[그] 몫, 어떤 사람들은 그 이상이라고 말할 것 같은 지저분한 슬러지를 가지고 있다"고 썼고,[24] Sub Pop은 싱글 "Love Buzz/Big Cheese"를 "헤비 팝 슬러지"라고 묘사했다.[25] "거기엔 서브 팝과 로큰롤을 연주하는 그런지 장르에 대한 압박감이 존재한다"고 했으며, "벗겨낼 수 없을 때까지 벗겨내었고, 에어로스미스와 같은 사운드로 만들었다"고 말했다.[107] 코베인은 팬층이 가지고 있는 그런지 사운에 대한 기대에 부합하기를 원했으며, 이런 이유로 그의 예술, 팝적인 작곡가로서의 특성은 음반의 제작 당시 억압된 상태였다.[107][21] 크리스 노보셀릭은 밴드가 투어 도중 스미더린스와 켈틱 프로스트가 녹음된 테이프를 들었다면서, 이 둘의 조합이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108][22]
〈Negative Creep〉에서는, 반복되고 무거운 그런지 리프 위로 코베인이 미친듯 통곡하며 비명을 지른다.[106][20] 크리스토퍼 샌포드는 〈Paper Cuts〉은 포크에 영향받은 선율과 초기 레드 제플린의 넘버에 있는 육중한 리듬이 있다고 했다.[110][26] 〈Mr. Moustache〉는 너바나의 남성 팬에게 웅변하는 곡이며,[110] 마초적인 행동에 대한 코베인의 혐오감에서 영감을 받았다.[31] 〈Downer〉는 그룹의 관중에게 보내는 극도의 경멸을 전달한다.[110] 가사가 단 네 개뿐인[26] 〈School〉은 시에틀 음악 씬, 그것도 특히 서브 법을 향한 비평이었다.[116][32] 〈Scoff〉는 코베인의 부모의 결별에 대한 위안책이다.[110]
〈About a Girl〉은 예외적으로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띤다.[110][26] 코베인이 당시 여자친구 트레이시 마랜더를 위해 쓴 곡으로,[28] 척 크리사풀리는 "분노, 상처, 사랑에 실패한 균열에 남은 애정을 제대로 포착하여 절대 잊을 수가 없을 구절과 코러스에 집어넣었다."고 썼다.[112] 《사운즈》의 키스 카메론은 "대단히 흥겹고 음악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즐거움이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거의 감지할 수 있을 만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이것은 첫 음부터 마지막까지 단 한 번도 긴장을 놓는 법이 없다."고 썼다.[111][27]
3. 2. 가사
코베인은 《Bleach》의 음악이 서브 팝이 강력히 지지하는 그런지 장르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그는 팬층이 가지는 그런지 사운드에 대한 기대에 부합하기를 원했으며, 이런 이유로 그의 예술적, 팝적인 작곡가로서의 특성은 음반 제작 당시 억압된 상태였다고 밝혔다.[107] 크리스 노보셀릭은 밴드가 투어 도중 스미더린스와 켈틱 프로스트가 녹음된 테이프를 들었다면서, 이 둘의 조합이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108]크리스토퍼 샌드포드는 《Bleach》의 여러 곡에 대해 기술했다. 〈Paper Cuts〉는 포크에 영향받은 선율과 초기 레드 제플린의 넘버에 있는 육중한 리듬이 있다고 언급했다. 〈Mr. Moustache〉는 너바나의 남성 팬에게 웅변하는 곡이며, 〈Downer〉는 그룹의 관중에게 보내는 극도의 경멸을 전달한다고 설명했다.[110] 샌드포드는 단 네 개의 가사만 존재하는 〈School〉에 대해 "served as the rip"라는 코러스로 인해 기억에 남는다고 적었다.[110]
1993년, 코베인은 《스핀》에서 《Bleach》에 대해 자신이 "가사의 의미에 대해 좆도 신경 안 쓴다"면서 가사의 8할은 녹음하기 전날 밤에 쓴 것이라고 말했다.[113] 그는 녹음 스튜디오에 운전하고 가면서도 종종 가사 작업을 하고는 했다.[104] 그러나, 너바나의 전기 작가 마이클 아제라드는 음반의 대다수 곡들은 코베인과 그의 숱한 사건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썼다.[114] 〈Mr. Moustache〉는 코베인의 마초 문화에 대한 혐오를 다루며,[115] 〈School〉은 시애틀 음악 씬, 특히 서브 팝을 향한 비평이었다고 썼다.[116]
척 크리사풀리는 〈About a Girl〉에 대해 "분노, 상처, 사랑에 실패한 균열에 남은 애정을 제대로 포착하여 절대 잊을 수가 없을 구절과 코러스에 집어넣었다."고 썼다.[112]
〈Negative Creep〉에서는, 반복되고 무거운 그런지 리프 위로 코베인이 미친듯 통곡하며 비명을 지른다.[106]
4. 발표와 홍보
음반의 커버는 커트 코베인의 당시 애인이었던 트레이시 마랜더가 워싱턴주 오림피아에 있는 레코 뮤즈 미술관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촬영했다.[33][117]
너바나는 1989년 2월 25일 워싱턴 대학교를 포함한 서부 해안에서 공연을 시작했다.[34] 이들은 태드와 함께 1989년 10월 23일 뉴캐슬어폰타인의 리버사이드에서 첫 유럽 투어를 시작했고,[23] 1989년 12월 3일에는 런던 아스토리아에서 성공적인 콘서트를 열었다.[23] 1990년 4월 1일에는 첫 메이저 미국 투어를 시작했다. 이 시기 투어에서 채드 채닝이 데일 크로버로 교체되었다.
에버만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너바나는 마지막 몇 번의 공연을 취소하고 워싱턴으로 돌아갔다. 당시에는 아무도 에버만에게 해고되었다고 말하지 않았지만, 에버만은 실제로 그룹을 탈퇴했다고 주장했다.[38]
서브 팝은 안정적인 판매고를 올린 《Bleach》를 다른 음반과 다름없이 홍보하지 않았다.[121] 코베인은 레이블이 홍보와 배급에 소극적이라는 소식에 언짢아했다.[121][39]
1992년 4월, 너바나의 두 번째 음반 ''Nevermind''의 성공에 이어 서브 팝은 ''Bleach''의 리마스터 버전을 LP, CD 및 카세트로 발매했다. 게펜 레코드가 해외 발매를 담당했다.[40] CD 버전은 1987년부터 1990년까지의 밴드 사진으로 채워진 보너스 책자가 포함된 판지 접이식 케이스로 포장되었다.[41] 앨범 20주년을 기념하여 서브 팝은 2009년 11월 3일에 조지 마리노가 오리지널 테이프로 2009년 3월에 리마스터링한 ''Bleach''의 델럭스 재발매와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파인 스트리트 극장에서 열린 1990년 쇼의 라이브 녹음을 담았다.[42]
4. 1. 제목의 유래
음반의 작업 제목은 《Too Many Humans》이었지만,[122] 커트 코베인이 투어 중 들른 샌프란시스코에서 본 에이즈 예방 포스터에 영감을 받아 《Bleach》로 바뀌었다.[120] 포스터는 "Bleach Your Works"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헤로인 중독자들에게 사용하기 전 바늘을 표백하라고 충고했다.[104]
4. 2. 투어
너바나는 1989년 2월 25일 워싱턴 대학교를 포함한 서부 해안에서 공연을 시작했다.[34] 이들은 태드와 함께 1989년 10월 23일 뉴캐슬어폰타인의 리버사이드에서 첫 유럽 투어를 시작했고,[23] 1989년 12월 3일에는 런던 아스토리아에서 성공적인 콘서트를 열었다.[23] 1990년 4월 1일에는 첫 메이저 미국 투어를 시작했다. 이 시기 투어에서 채드 채닝이 데일 크로버로 교체되었다.5. 반응
《Bleach》는 발매 당시에는 큰 판매량을 기록하지 못했지만, 평론가들로부터는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132][53] 올뮤직의 스테판 토마스 얼윈은 "커트 코베인은 자신의 상당한 곡에 표식을 새겨넣었다. 특히 마이너 키 발라드 〈About a Girl〉와 빽빽한 분노가 들끓는 〈Blew〉가 그렇다."고 평하며, 5점 만점에 3.5점을 부여했다.[127][43] 그는 이 앨범을 두고 "자신들의 잠재력을 뽐내이기 위한 데뷔작이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127] 《NME》의 에드윈 폰시는 "서브 팝이 어느 정도 관리하며 발굴한 웅장하고, 가장 멋진 사운드다. 원시적인 사운드로 레이블의 동료 머드허니의 사운드를 제네시스처럼 만들어 놓은 너바나는, 자기 식으로 볼륨을 올리고 뱉어내고 할퀴어 쓰레기더미 음악의 최정상에 올랐다."며 10점 만점에 8점을 주었다.[129][54]
About.com의 앤소니 캐류는 음반에 대해 "90년대 전체를 정의내렸다"면서 5점 만점에 4점을 수여했다.[133]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뉴요커》에서 "이제 코베인의 특별한 재능에 익숙해진 우리는 1989년 데뷔 앨범 ''Bleach''에서 그것을 크고 분명하게 들을 수 있다. 코베인의 거대하고 어리석은 베이스 연주자 크리스 노보셀릭은 밴드의 혼란스러운 불경함에 익살스러움을 더했다"고 썼다.[58]
《롤링 스톤》지는 《Bleach》가 "대학 라디오와 언더그라운드/다이계에서 준수한 히트를 기록했다"고 썼다.''[130]'' 소닉 유스의 서스턴 무어는 이 앨범에 감명을 받아 "원시적"이고 작곡이 "완전히 멜로디컬"하면서도 "펑크"하다고 평가했다.[56]
《Nevermind》의 발표 전까지 《Bleach》는 북미에서 40,000장이 팔려나갔다.[134] 1992년 재출시 때 음반은 더 성공적인 차트 성적을 거두어, 빌보드 200 89위,[135] 영국 음반 차트 33위,[136]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 차트 24위,[137] 핀란드 차트 22위[138]까지 오르게 된다. 1994년 커트 코베인의 사망 이후로 인기가 다시금 높아져, 그의 사망 일주일 뒤 집계된 탑 팝 카탈로그 차트에 진입되어 6위까지 올랐으며,[139] 5월 7일에는 정상에 올랐다. 2009년 디럭스 에디션이 카탈로그 앨범 차트에 7위까지 올랐다[141] 《Bleach》는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 의해 1995년 2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142] 미국에서 총 190만 장을 팔아치웠다.[98] 캐나다 음반 산업 협회에서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143] 이 음반은 지금까지 서브 팝이 발표한 것 중 가장 많이 팔린 음반이다.[100]
5. 1. 평가
《Bleach》는 발매 당시에는 큰 판매량을 기록하지 못했지만, 평론가들로부터는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132][53] 올뮤직의 스테판 토마스 얼윈은 "커트 코베인은 자신의 상당한 곡에 표식을 새겨넣었다. 특히 마이너 키 발라드 〈About a Girl〉와 빽빽한 분노가 들끓는 〈Blew〉가 그렇다."고 평하며, 5점 만점에 3.5점을 부여했다.[127][43] 그는 이 앨범을 두고 "자신들의 잠재력을 뽐내이기 위한 데뷔작이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127] 《NME》의 에드윈 폰시는 "서브 팝이 어느 정도 관리하며 발굴한 웅장하고, 가장 멋진 사운드다. 원시적인 사운드로 레이블의 동료 머드허니의 사운드를 제네시스처럼 만들어 놓은 너바나는, 자기 식으로 볼륨을 올리고 뱉어내고 할퀴어 쓰레기더미 음악의 최정상에 올랐다."며 10점 만점에 8점을 주었다.[129][54]About.com의 앤소니 캐류는 음반에 대해 "90년대 전체를 정의내렸다"면서 5점 만점에 4점을 수여했다.[133]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뉴요커》에서 "이제 코베인의 특별한 재능에 익숙해진 우리는 1989년 데뷔 앨범 ''Bleach''에서 그것을 크고 분명하게 들을 수 있다. 코베인의 거대하고 어리석은 베이스 연주자 크리스 노보셀릭은 밴드의 혼란스러운 불경함에 익살스러움을 더했다"고 썼다.[58]
《롤링 스톤》지는 《Bleach》가 "대학 라디오와 언더그라운드/다이계에서 준수한 히트를 기록했다"고 썼다.''[130]'' 소닉 유스의 서스턴 무어는 이 앨범에 감명을 받아 "원시적"이고 작곡이 "완전히 멜로디컬"하면서도 "펑크"하다고 평가했다.[56]
6. 곡 목록
특별한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모든 곡은 커트 코베인이 작사·작곡했다.[70]
번호 | 제목 | 재생 시간 |
---|---|---|
1 | Blew | 2:55 |
2 | Floyd the Barber | 2:18 |
3 | About a Girl | 2:48 |
4 | School | 2:42 |
5 | Love Buzz | |
6 | Paper Cuts | 4:06 |
7 | Negative Creep | 2:56 |
8 | Scoff | 4:10 |
9 | Swap Meet | 3:03 |
10 | Mr. Moustache | 3:24 |
11 | Sifting | 5:22 |
12 | Big Cheese | |
13 | Downer |
《Bleach》 20주년 기념판에는 1990년 2월 9일 오리건주 포틀랜드 파인 스트리트 시어터에서 있었던 라이브 공연 음원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70] 이 공연에서는 〈Intro〉, 〈School〉, 〈Floyd the Barber〉, 〈Dive〉, 〈Love Buzz〉, 〈Spank Thru〉, 〈Molly's Lips〉, 〈Sappy〉, 〈Scoff〉, 〈About a Girl〉, 〈Been a Son〉, 〈Blew〉가 연주되었다. 〈Love Buzz〉는 쇼킹 블루의 커버 곡이며,[144] 작사/작곡은 로비 반 레우엔이 맡았다.[70] 〈Molly's Lips〉는 더 바세린스의 커버 곡으로, 유진 켈리와 프랜시스 맥키가 작사/작곡했다.[70] 〈Dive〉는 커트 코베인과 크리스트 노보셀릭이 함께 작곡했다.[70]
이전에 싱글로 발매되었던 곡들도 포함되어 있는데, 〈Spank Thru〉와 〈About a Girl〉은 1991년 〈Sliver〉 싱글 CD 버전의 B 사이드로,[72] 〈Molly's Lips〉는 1991년 1월 싱글로 발매되었다.[72]
6. 1. 오리지널 앨범
특별한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모든 곡은 커트 코베인이 작사·작곡했다.[70]번호 | 제목 | 재생 시간 |
---|---|---|
1 | Blew | 2:55 |
2 | Floyd the Barber | 2:18 |
3 | About a Girl | 2:48 |
4 | School | 2:42 |
5 | Love Buzz | |
6 | Paper Cuts | 4:06 |
7 | Negative Creep | 2:56 |
8 | Scoff | 4:10 |
9 | Swap Meet | 3:03 |
10 | Mr. Moustache | 3:24 |
11 | Sifting | 5:22 |
12 | Big Cheese | |
13 | Downer |
6. 2. 보너스 트랙
CD 및 이후 카세트에는 〈Big Cheese〉(코베인, 크리스 노보셀릭)가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144] 1992년 재발매 CD에는 〈Downer〉가 추가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144]6. 3. 20주년 기념판 보너스 트랙
《Bleach》 20주년 기념판에는 1990년 2월 9일 오리건주 포틀랜드 파인 스트리트 시어터에서 있었던 라이브 공연 음원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70] 이 공연에서는 〈Intro〉, 〈School〉, 〈Floyd the Barber〉, 〈Dive〉, 〈Love Buzz〉, 〈Spank Thru〉, 〈Molly's Lips〉, 〈Sappy〉, 〈Scoff〉, 〈About a Girl〉, 〈Been a Son〉, 〈Blew〉가 연주되었다. 〈Love Buzz〉는 쇼킹 블루의 커버 곡이며,[144] 작사/작곡은 로비 반 레우엔이 맡았다.[70] 〈Molly's Lips〉는 더 바세린스의 커버 곡으로, 유진 켈리와 프랜시스 맥키가 작사/작곡했다.[70] 〈Dive〉는 커트 코베인과 크리스트 노보셀릭이 함께 작곡했다.[70]이전에 싱글로 발매되었던 곡들도 포함되어 있는데, 〈Spank Thru〉와 〈About a Girl〉은 1991년 〈Sliver〉 싱글 CD 버전의 B 사이드로,[72] 〈Molly's Lips〉는 1991년 1월 싱글로 발매되었다.[72]
7. 참여 인원
데일 크로버는 〈Floyd the Barber〉, 〈Paper Cuts〉, 〈Downer〉에서 드럼을 연주했다.[73] 잭 엔디노는 프로듀서를 맡았다.[73] 트레이시 마란더와 찰스 피터슨은 사진을 담당했다.[73] 리사 오스는 디자인을, 제인 히긴스는 실행을 담당했다.[73] 제이슨 에버먼(Jason Everman)이 연주에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크레딧에 기재된 이유는, 녹음 비용 606달러 17센트와 프로듀서인 잭 엔디노(Jack Endino)가 점심으로 먹은 샌드위치 값을 에버먼에게 대납받았기 때문이다.
7. 1. 추가 인원
데일 크로버는 〈Floyd the Barber〉, 〈Paper Cuts〉, 〈Downer〉에서 드럼을 연주했다.[73] 잭 엔디노는 프로듀서를 맡았다.[73] 트레이시 마란더와 찰스 피터슨은 사진을 담당했다.[73] 리사 오스는 디자인을, 제인 히긴스는 실행을 담당했다.[73]8. 차트
8. 1. 1992년 재발표
《Bleach》는 1992년에 재발표되어 여러 국가의 음반 차트에서 순위를 기록했다. 빌보드 200 차트에서 89위, 영국 음반 차트에서 33위,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 차트에서 34위, 핀란드 차트에서 22위를 기록했다.[138]
1994년에는 빌보드 카탈로그 앨범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147]
8. 2. 1994년
8. 3. 2009년 20주년 기념판
2009년, 《Bleach》는 빌보드 카탈로그 앨범 차트에서 7위를 기록했다.[148][84][97]차트 (2009) | 최고 순위 |
---|---|
플랜더스 | 100 |
영국 음반 (OCC) | 127 |
빌보드 카탈로그 앨범 | 7 |
차트 (2021) | 최고 순위 |
---|---|
플랜더스 | 25 |
9. 판매량
《Bleach》는 여러 국가에서 판매량 인증을 받았다. 미국에서는 1995년에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19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98] 캐나다에서는 1999년에 골드 인증을 받았다. 영국에서는 2013년에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이 외에도 호주에서 플래티넘(1996년), 프랑스에서 2번의 골드(1997년), 폴란드에서 골드(1999) 인증을 획득했다.
10. 한국에서의 특별한 의미
2021년 3월 12일, 너바나의 "School"이 TV 아사히 계열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타모리 클럽"의 "소라미미 아워" 코너에서 "'''양배추 깎아'''"로 들린다는 내용으로 소개되어 화제가 되었다. 이는 한국 대중에게 너바나의 음악이 여전히 친숙하게 다가간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이다.
참조
[1]
서적
Nirvana – The Day to Day Illustrated Journals
Barnes & Noble
[2]
서적
Nirvana – The Day to Day Illustrated Journals
Barnes & Noble
[3]
서적
The Rough Guide to Nirvan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4]
서적
Come as You Are: The Story of Nirvana
https://books.google[...]
Crown
[5]
웹사이트
How Nirvana's Bleach brightened up grunge
https://www.theguard[...]
2009-09-21
[6]
웹사이트
Nirvana – Bleach (R1989)
https://www.uncut.co[...]
2009-11-09
[7]
웹사이트
Nirvana – Bleach (Reissue)
http://thequietus.co[...]
2010-01-04
[8]
웹사이트
Nirvana – Bleach Deluxe Edition
https://creativeloaf[...]
2021-10-22
[9]
웹사이트
Nirvana: Bleach
https://www.popmatte[...]
2009-11-04
[10]
웹사이트
Blender's 100 Greatest Indie-Rock Albums Ever
https://www.stereogu[...]
2007-11-14
[11]
서적
Nirvana - The Day to Day Illustrated Journals
Barnes & Noble
[12]
뉴스
Ask Billboard: Rihanna's (Quirky) Record in the Hot 100's Top 10 With 'Needed Me'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16-10-06
[13]
웹사이트
Sub Pop Records: 1988–2008
http://assets2.subpo[...]
Sub Pop Records
2010-09-29
[14]
간행물
50 Greatest Grunge Albums
https://www.rollings[...]
2019-04-01
[15]
문서
Azerrad, 1994. p. 85–89
[16]
문서
Azerrad, 1994. p. 90
[17]
문서
Gaar, Gillian G. "Verse Chorus Verse: The Recording History of Nirvana". Goldmine. February 14, 1997
[18]
문서
Azerrad, 1994. p. 91
[19]
문서
Azerrad, 1994. p. 92
[20]
웹사이트
Bleach (album review)
https://www.sputnikm[...]
2005-01-14
[21]
문서
Azerrad, 1994. p. 102
[22]
뉴스
Krist Novoselic
Rolling Stone
2001-09-13
[23]
문서
Sandford, 2004. p. 112
[24]
서적
The Rough Guide to Nirvan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5]
서적
Come as You Are: The Story of Nirvana
https://books.google[...]
Crown
[26]
문서
Sandford, 2004. pp. 116–118
[27]
문서
Sandford, 2004. p. 135
[28]
서적
Nirvana: The Stories Behind Every Song
Da Capo Press
[29]
간행물
Smashing Their Heads on That Punk Rock
1993-10
[30]
문서
Azerrad, 1994. p. 97
[31]
문서
Azerrad, 1994. p. 99
[32]
문서
Azerrad, 1994. p. 100
[33]
문서
True, 2007. p. 125–6
[34]
문서
Sandford, 2004. pp. 378–379
[35]
문서
Cross, p. 105
[36]
서적
Berkenstadt, Cross, 2003
[37]
서적
Teen Spirit: The Stories Behind Every Nirvana Song
Omnibus Press
[38]
서적
Azerrad, 1994
[39]
서적
Azerrad, 1994
[40]
서적
Berkenstadt, Cross, 2003
[41]
서적
Azerrad, 1994
[42]
간행물
Endino, Channing Speak Up About Nirvana's "Bleach" Reissue
https://www.rollings[...]
2012-06-14
[43]
웹사이트
Bleach – Nirvana
https://www.allmusic[...]
2010-07-04
[44]
웹사이트
Consumer Guide: July, 2021
https://robertchrist[...]
2022-08-15
[45]
웹사이트
Nirvana: Bleach / Live At Reading
https://www.avclub.c[...]
2022-04-26
[46]
간행물
Nirvana, 'Bleach' (20th-Anniversary Deluxe Edition)
https://www.billboar[...]
2017-08-07
[47]
간행물
Nirvana: Bleach
http://www.blender.c[...]
2022-08-15
[48]
웹사이트
Nirvana: Bleach [Deluxe Edition] / Live at Reading
https://pitchfork.co[...]
2017-08-07
[49]
간행물
Bleach (Deluxe Edition)
https://www.rollings[...]
2017-08-07
[50]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51]
간행물
Nirvana: Bleach
1992-04
[52]
간행물
Reissues
https://books.google[...]
2022-04-26
[53]
서적
Encyclopedia of Music in the 20th Century
Routledge Books
[54]
간행물
Nirvana: Bleach (Sub Pop import US LP only)
http://www.nme.com/r[...]
2010-07-06
[55]
간행물
On the Bleach
1989-08-19
[56]
서적
Serving the Servant: Remembering Kurt Cobain
2019
[57]
서적
Alternative Rock: Third Ear – The Essential Listening Companion
Miller Freeman Books
[58]
간행물
Nevermore
https://www.newyorke[...]
2022-04-26
[59]
웹사이트
Definitive Albums: Nirvana 'Bleach' (1989)
http://altmusic.abou[...]
2010-07-18
[60]
웹사이트
20 Year Old Bleach
http://www.subpop.co[...]
Sub Pop
2010-08-24
[61]
간행물
Bleach – Nirvana Chart History: Billboard 200
"{{BillboardURLbyNam[...]
2009-11-10
[62]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HIT Entertainment
[63]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64]
서적
Sisältää hitin: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Otava Publishing Company Ltd
[65]
간행물
Cobain Death Spurs Rush at Retail
https://books.google[...]
1994-04-23
[66]
간행물
Catalog Albums – Week of May 7, 1994
https://www.billboar[...]
2010-08-24
[67]
간행물
Catalog Albums – Week of November 21, 2009
https://www.billboar[...]
2010-08-24
[68]
웹사이트
Search Results
https://www.riaa.com[...]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2017-06-27
[69]
웹사이트
Gold Platinum Database: Nirvana — Bleach
http://www.musiccana[...]
Canad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2012-07-20
[70]
album liner notes
Bleach
Sub Pop
[71]
album
Bleach
Tupelo Recording Company
[72]
웹사이트
A look at Nirvana's collectible recordings
https://www.goldmine[...]
Goldmine
2020-04-01
[73]
문서
True
2007
[74]
서적
Indie Hits 1980-1989
http://www.cherryred[...]
Cherry Red Books
2020-07-09
[75]
뉴스
NME Charts
https://postimg.cc/V[...]
2022-06-15
[76]
간행물
Progressive Retail
https://worldradiohi[...]
CMJ
2021-01-28
[77]
간행물
CMJ Radio Top 100
https://worldradiohi[...]
CMJ
2021-01-09
[78]
뉴스
NME Charts
https://postimg.cc/6[...]
2022-06-15
[79]
간행물
ARIA Top 20 Alternative Charts
https://i.postimg.cc[...]
2021-11-22
[80]
뉴스
Discos mas populares
https://postimg.cc/z[...]
2023-04-14
[81]
서적
European Top 100 Albums
https://americanradi[...]
Music & Media
2018-07-28
[82]
문서
Album Chart-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konmāketingupuromōshon
2006
[83]
뉴스
The Independent Charts
https://worldradiohi[...]
2021-05-30
[84]
웹사이트
Chart Log UK – 1994–2010 – Nadanuf – Michael Nyman. See: BLEACH – DELUXE EDITION – 2009 entry
http://www.zobbel.de[...]
2016-06-29
[85]
서적
The Rough Guide to Nirvan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86]
서적
Come as You Are: The Story of Nirvana
https://books.google[...]
Crown
[87]
서적
Indie Hits 1980-1989
http://www.cherryred[...]
Cherry Red Books
2020-07-09
[88]
뉴스
NME Charts
https://postimg.cc/V[...]
2022-06-15
[89]
간행물
Progressive Retail
https://worldradiohi[...]
CMJ
2021-01-28
[90]
간행물
CMJ Radio Top 100
https://worldradiohi[...]
CMJ
2021-01-09
[91]
뉴스
NME Charts
https://postimg.cc/6[...]
2022-06-15
[92]
간행물
ARIA Top 20 Alternative Charts
https://i.postimg.cc[...]
2021-11-22
[93]
뉴스
Discos mas populares
https://postimg.cc/z[...]
2023-04-14
[94]
서적
European Top 100 Albums
https://americanradi[...]
Music & Media
2018-07-28
[95]
문서
Album Chart-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konmāketingupuromōshon
2006
[96]
뉴스
The Independent Charts
https://worldradiohi[...]
2021-05-30
[97]
웹사이트
Chart Log UK – 1994–2010 – Nadanuf – Michael Nyman. See: BLEACH – DELUXE EDITION – 2009 entry
http://www.zobbel.de[...]
2016-06-29
[98]
웹사이트
Ask Billboard: Rihanna's (Quirky) Record in the Hot 100's Top 10 With 'Needed Me'
http://www.billboard[...]
2016-10-06
[99]
웹인용
Nirvana Biography
https://www.amazon.c[...]
Amazon.com
2008
[100]
웹인용
Sub Pop Records: 1988-2008
http://assets2.subpo[...]
Sub Pop Records
[101]
문서
Azerrad
1994
[102]
문서
Azerrad
1994
[103]
문서
Verse Chorus Verse: The Recording History of Nirvana
Goldmine
1997-02-14
[104]
문서
Azerrad
1994
[105]
문서
Azerrad
1994
[106]
웹인용
Bleach (album review)
http://www.sputnikmu[...]
"[[Sputnik Music]]"
2011-07-06
[107]
서적
Azerrad, 1994. p. 102
[108]
뉴스
Krist Novoselic
"[[Rolling Stone]]"
2001-09-13
[109]
서적
Sandford, 2004. p. 112
[110]
서적
Sandford, 2004. pp. 116–118
[111]
서적
Sandford, 2004. p. 135
[112]
서적
Nirvana: The Stories Behind Every Song
"[[Da Capo Press]]"
[113]
간행물
Smashing Their Heads on That Punk Rock
Spin
1993-10
[114]
서적
Azerrad, 1994. p. 97
[115]
서적
Azerrad, 1994. p. 99
[116]
서적
Azerrad, 1994. p. 100
[117]
서적
True, 2007. p. 125–6
[118]
서적
Sandford, 2004. pp. 378–379
[119]
서적
Sandford, 2004. pp. 378–379
[120]
뉴스
"[커트 코베인 23주기]너바나의 위대한 시작 ‘Bleach’"
http://www.mydaily.c[...]
2017-04-11
[121]
서적
Cross, p. 105
[122]
서적
Berkenstadt, Cross, 2003. p. 147
[123]
서적
Berkenstadt, Cross, 2003. p. 148
[124]
서적
Azerrad, 1994. p. 95
[125]
웹인용
Endino, Channing Speak Up About Nirvana's "Bleach" Reissue
http://www.rollingst[...]
2012-06-14
[126]
웹인용
Bleach – Nirvana
http://www.allmusic.[...]
"[[AllMusic]]"
2010-07-04
[127]
저널
Back Catalogue: Nirvana
2008-04
[128]
저널
Nirvana : Bleach (Sub Pop import US LP only)
http://www.nme.com/r[...]
2010-07-06
[129]
서적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130]
저널
Nirvana: Bleach
1992-04
[131]
서적
Encyclopedia of Music in the 20th Century
"[[Routledge Books]]"
[132]
웹사이트
"Definitive Albums: Nirvana 'Bleach' (1989)"
http://altmusic.abou[...]
2010-07-18
[133]
웹인용
20 Year Old Bleach
http://www.subpop.co[...]
"[[Sub Pop]]"
2010-08-24
[134]
웹인용
Bleach – Nirvana Chart History: Billboard 200
"{{BillboardURLbyNam[...]
"《[[빌보드|Billboard]]》"
2009-11-10
[135]
서적
"[[Guinness Book of British Hit Singles & Albums|British Hit Singles & Albums]]"
HIT Entertainment
[136]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St Ives, N.S.W.
[137]
서적
'[http://suomenlistalevyt.blogspot.co.uk/2015/08/new-njo.html Sisältää hitin: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Otava Publishing Company Ltd.
[138]
저널
Cobain Death Spurs Rush at Retail
https://books.google[...]
1994-04-23
[139]
웹인용
Catalog Albums – Week of May 7, 1994
http://www.billboard[...]
2010-08-24
[141]
웹인용
Catalog Albums – Week of November 21, 2009
http://www.billboard[...]
2010-08-24
[142]
웹인용
Search Results
http://www.riaa.com/[...]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2009-11-12
[143]
웹인용
Gold Platinum Database: Nirvana — Bleach
http://www.musiccana[...]
Canad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2012-07-20
[144]
웹인용
Nirvana - Bleach (UK)
http://www.discogs.c[...]
2015-01-13
[145]
서적
True
2007
[146]
서적
Album Chart-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konmāketingupuromōshon
2006
[147]
웹인용
Nirvana - Billboard Catalog Chart
http://www.billboard[...]
2017-04-11
[148]
웹사이트
Chart Log UK - 1994–2010 - Nadanuf – Michael Nyman. See: BLEACH – DELUXE EDITION - 2009 entry
http://www.zobbel.de[...]
www.zobbel.de
2016-06-29
[149]
웹사이트
"allmusic ((( Bleach (Deluxe Edition) > Overview )))"
"{{올뮤직|class=album|i[...]
2010-07-18
[150]
웹사이트
"allmusic ((( Bleach > Overview )))"
"{{올뮤직|class=album|i[...]
2010-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