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ng 'Em Bach Aliv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ring 'Em Bach Alive!는 세바스찬 바흐의 1999년 라이브/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1996년 스키드 로우에서 해고된 후 바흐가 결성한 밴드 The Last Hard Men의 멤버들과 함께 제작되었으며, 스튜디오 트랙과 스키드 로우 시절의 히트곡을 포함한 라이브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앨범에는 5개의 새로운 스튜디오 트랙과 11개의 라이브 트랙이 수록되었으며, 일본판에는 추가 트랙이 포함되어 총 77분 38초 분량으로 발매되었다. 앨범의 프로듀싱은 마이클 와게너와 세바스찬 바흐가 공동으로 맡았으며, 올뮤직에서 5점 만점에 3점을,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에서 10점 만점에 8점을 받았다. 앨범은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 95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라이브 음반 - Homemade Cookies & 99 Crom Live
Homemade Cookies와 99 Crom이 협업하여 발매한 라이브 앨범인 Homemade Cookies & 99 Crom Live는 전국 투어 공연을 기념하며 "Machine Messiah",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머야", "민물장어의 꿈" 등 신해철 작사, 작곡 곡들을 포함한 다양한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 1999년 라이브 음반 - Live Era '87–'93
Live Era '87–'93은 건즈 앤 로지스가 1987년부터 1993년까지의 공연 실황을 담아 1999년에 발매한 첫 번째 공식 라이브 앨범으로, Use Your Illusion Tour의 음원들을 주를 이루며 다양한 히트곡의 라이브 버전과 커버곡을 포함하고, 일본 및 비닐 버전에는 "Coma"가 추가 트랙으로 포함되었다.
Bring 'Em Bach Aliv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Bring 'Em Bach Alive! |
종류 | 라이브 (일부 스튜디오 녹음 포함) |
아티스트 | 서배스천 바크 |
![]() | |
발매일 | 1999년 11월 2일 |
녹음 년도 | 1998년 (라이브 쇼), 1999년 (스튜디오 트랙) |
장소 | 일본, 도쿄 |
스튜디오 | 일렉트릭 레이디 스튜디오, 뉴욕 시, 와이어월드 스튜디오, 내슈빌, 테네시 |
장르 | 헤비 메탈, 하드 록 |
길이 | 74분 31초 |
레이블 | 스핏파이어 (미국), 애틀랜틱 (일본) |
프로듀서 | 마이클 왜그너, 서배스천 바크 |
이전 음반 | 더 라스트 하드 멘 |
이전 음반 발매년도 | 1998년 |
다음 음반 | Bach 2: Basics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2001년 |
싱글 | |
종류 | 스튜디오 |
싱글 1 | Superjerk, Superstar, Supertears |
싱글 1 발매일 | 1998년 |
싱글 2 | Rock 'N' Roll |
싱글 2 발매일 | 1999년 |
평가 | |
AllMusic | "AllMusic": |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 8/10 |
Metal Hammer | 8/10 |
2. 배경
Bring 'Em Bach Alive!영어는 세바스찬 바흐가 1996년 스키드 로우에서 해고된 후 결성한 밴드 The Last Hard Men의 1998년 앨범에 "The Most Powerful Man in the World"를 처음 수록하였다.[4] 이 앨범은 일본에서 95위를 기록하였고,[4] 미국에서는 16,979장 이상 판매되었다.[5]
Bring 'Em Bach Alive!영어는 세바스찬 바흐의 첫 솔로 앨범으로, 스튜디오 트랙 5곡과 스키드 로우 시절 곡들의 라이브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곡 목록
3. 1. 스튜디오 트랙
《Bring 'Em Bach Alive!》에는 세바스찬 바흐의 새로운 음악적 시도가 담긴 5개의 신곡이 수록되어 있다.
# | 곡명 | 작곡 | 길이 |
---|---|---|---|
1 | Rock N Roll | 세바스찬 바흐, 볼프 호프만 | 5:52 |
2 | Done Bleeding | 바흐, 래리 피셔, 리치 스칼렛 | 5:07 |
3 | Superjerk, Superstar, Supertears | 지미 플레미온 | 2:38 |
4 | Blasphemer | 플레미온 | 2:26 |
5 | Counterpunch | 바흐, 피셔 | 3:55 |
3. 1. 1. 참여 뮤지션
포지션 | 이름 | 비고 |
---|---|---|
보컬 | 세바스찬 바흐 | |
기타, 백 보컬 | 볼프 호프만 | 스튜디오 트랙 1 |
기타, 하모니카, 백 보컬 | 리치 스칼렛 | 스튜디오 트랙 2, 4, 5 (하모니카는 트랙 5) |
기타 | 데이브 린스크 | 스튜디오 트랙 2 |
기타 | 지미 플레미온 | 스튜디오 트랙 3, 4 |
기타, 베이스, 백 보컬 | 래리 피셔 | 스튜디오 트랙 5 |
드럼 | 안톤 피그 |
; 라이브 밴드
포지션 | 이름 | 비고 |
---|---|---|
보컬 | 세바스찬 바흐 | |
기타, 백 보컬 | 리치 스칼렛 | |
기타, 백 보컬 | 지미 플레미온 | |
베이스 | 래리 피셔 | |
드럼 | 마크 "밤밤" 맥코넬 |
3. 2. 라이브 트랙
이 음반에는 스키드 로우 시절의 히트곡들이 라이브 버전으로 다수 수록되어 있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Slave to the Grind, 18 and Life, Monkey Business, I Remember You, Youth Gone Wild 등이 있다.[1]제목 | 작곡 | 길이 |
---|---|---|
Slave to the Grind | 세바스찬 바흐, 레이첼 볼란, 데이브 "더 스네이크" 사보 | 3:10 |
Frozen | 볼란, 사보 | 7:00 |
18 and Life | 볼란, 사보 | 5:10 |
Beat Yourself Blind | 바흐, 볼란, 스코티 힐, 사보 | 5:23 |
Riot Act | 볼란, 사보 | 1:58 |
Mudkicker | 바흐, 볼란, 사보 | 4:04 |
In a Darkened Room | 바흐, 볼란, 사보 | 5:07 |
Monkey Business / Godzilla (블루 오이스터 컬트 커버) | 볼란, 사보 / 벅 다마 | 9:30 |
The Most Powerful Man in the World | 지미 플레미온 | 2:44 |
I Remember You | 볼란, 사보 | 5:59 |
Youth Gone Wild | 볼란, 사보 | 4:21 |
3. 2. 1. 라이브 밴드
- 세바스찬 바흐 – 보컬
- 리치 스칼렛 – 기타, 백 보컬
- 지미 플레미온 – 기타, 백 보컬
- 래리 피셔 – 베이스
- 마크 "밤밤" 맥코넬 – 드럼
3. 3. 일본판
일본판에는 추가 트랙이 포함되어 있다.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3]번호 | 제목 | 비고 | 길이 |
---|---|---|---|
1 | Done Bleeding | 새로운 스튜디오 트랙 | 5:02 |
2 | Slave to the Grind | 라이브 | 3:13 |
3 | Frozen | 라이브 | 6:55 |
4 | Here I Am | 라이브 | 3:26 |
5 | 18 and Life | 라이브 | 5:22 |
6 | Beat Yourself Blind | 라이브 | 5:41 |
7 | Blasphemer | 새로운 스튜디오 트랙 | 2:28 |
8 | Riot Act | 라이브 | 1:58 |
9 | Sweet Little Sister | 라이브 | 2:45 |
10 | Mudkicker | 라이브 | 4:56 |
11 | In a Darkened Room | 라이브 | 5:12 |
12 | Get the Fuck Out | 라이브 | 3:01 |
13 | Monkey Business / Godzilla | 라이브 | 9:56 |
14 | The Most Powerful Man in the World | 라이브 | 3:39 |
15 | I Remember You | 라이브 | 6:40 |
16 | Youth Gone Wild | 라이브 | 4:46 |
17 | Superjerk, Superstar, Supertears | 새로운 스튜디오 트랙 | 2:38 |
4. 제작
마이클 와게너와 세바스찬 바흐가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데이비드 비어크는 아트 & 디자인을, 마크 바이스와 볼프 호프만은 사진을 담당했다.
역할 | 담당 |
---|---|
프로듀서, 엔지니어, 믹싱 | 마이클 와게너 |
프로듀서 | 세바스찬 바흐 |
엔지니어 | 토드 골드스타인, 마이크 누세더 |
마스터링 | 에릭 콘 |
아트 & 디자인 | 데이비드 비어크 |
사진 | 마크 바이스, 볼프 호프만 |
5. 평가
올뮤직에서는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했으며,[6]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에서는 10점 만점에 8점을 부여했다.[7]
6. 차트 성적
일본 음반 (오리콘) 차트에서 95위를 기록했다.[4]
차트 (1999년) | 최고 순위 |
---|---|
일본 음반 (오리콘) | 95 |
참조
[1]
웹사이트
Sebastian Bach – Bring 'Em Bach Alive review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8-07-24
[2]
서적
The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Volume 3: The Nineties
Collector's Guide Publishing
2007-08-01
[3]
간행물
Under the Hammer
Future plc
1999-08
[4]
웹사이트
セバスチャン・バックのアルバム売上ランキング
http://www.oricon.co[...]
[5]
웹사이트
Metal/Hard Rock Album Sales in the US as Reported by SoundScan
http://www.blabbermo[...]
2002-04-30
[6]
웹인용
Sebastian Bach - Bring 'Em Bach Alive review
https://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8-07-24
[7]
서적
The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Volume 3: The Nineties
Collector's Guide Publishing
2007-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