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SULE (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APSULE은 나카타 야스타카와 고시지마 토시코로 구성된 일본의 음악 유닛이다. 1997년 결성되어, 2001년 데뷔 싱글 "Sakura"를 발매했다. 초기에는 시부야케이 스타일의 음악을 선보였으나, 2006년 이후 일렉트로 하우스로 음악 스타일을 전환했다. 2008년 앨범 ''More! More! More!''가 오리콘 차트 6위를 기록하며 인지도를 높였으며, 드라마와 영화 음악에도 참여했다. 2021년 6년 만의 신곡 "Hikari no Disco"를 발표했고, 2022년 16번째 정규 앨범 ''Metro Pulse''를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전자 음악 그룹 -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는 호소노 하루오미, 사카모토 류이치, 다카하시 유키히로로 구성된 일본의 전자 음악 그룹으로, 1978년 결성되어 신스팝과 테크노 등 다양한 장르를 개척하며 전자 음악의 선구자로 평가받았고, 1984년 해산 후 1993년 재결성했으나 멤버들의 사망으로 활동을 종료했다. - 일본의 전자 음악 그룹 - 메이와덴키
메이와덴키는 토사 사카이치가 설립한 일본의 전자 회사이자 예술가 집단으로, 아들 세대에서 전자 부품 제조에서 예술 활동으로 전환하여 독특한 전자 악기 제작, 기업적 운영 방식, 국내외 전시 및 공연 활동을 통해 예술적 입지를 다지고 있다. - 시부야계 음악가 - 캬리 파뮤파뮤
캬리 파뮤파뮤는 하라주쿠 패션 문화 기반의 독특한 음악과 스타일로 국내외 인기를 얻고 있는 일본 가수 겸 모델이며, "폰폰폰"과 "패션 몬스터" 등의 히트곡과 더불어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하라주쿠 팝 공주'라는 별칭을 얻으며 독자적인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시부야계 음악가 - 나카타 야스타카
나카타 야스타카는 일본의 음악 프로듀서, 작곡가, 작사가, DJ이며, capsule 멤버로서 Perfume, 캬리 파뮤파뮤 등 여러 아티스트의 프로듀싱을 통해 일본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주고 전자 음악 기반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구축, 영화, 드라마, 게임 사운드트랙 작업에도 참여했다. - 이시카와현 출신 - 아베 노부유키
아베 노부유키는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의 육군 대장이자 정치인으로, 제39대 내각총리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과 일본의 중립 유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이후 조선총독을 지내며 전쟁 말기 조선에서의 압제적 통치를 담당했다. - 이시카와현 출신 - 나카무라 고타로
나카무라 고타로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군 사령관을 지냈으며,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 후 참모본부에서 근무, 중국 주둔군 사령관 등을 역임하고 조선군 사령관으로 재임하며 한국인들에게 고통을 안겨준 인물이다.
CAPSULE (밴드)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결성지 | 가나자와, 이시카와현 |
국적 | 일본 |
활동 기간 | 1997년–현재 |
장르 | 시부야계 J-POP 일렉트로니카 하우스 음악 신스팝 EDM |
레이블 | Contemode (2003–2013) Yamaha Music Communications (2001–2013) 워너 뮤직 재팬 (2013–현재) Unborde (2013–2021) |
관련 활동 | Perfume Coltemonikha Meg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현재 구성원 | 나카타 야스타카 고시지마 도시코 |
이름 | |
일본어 | カプセル (가푸세루) |
로마자 표기 | Kapuseru |
이전 표기 | capsule (1997년 - 2013년) |
2. 구성원
두 사람 모두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출신이다.
3. 역사
1997년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에서 고등학교 동창이던 나카타 야스타카와 고시지마 도시코가 결성한 음악 유닛이다.[12] 두 사람은 2001년 싱글 〈Sakura〉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CD 데뷔했다. 초기에는 피치카토 파이브 등 1990년대 시부야케이의 영향을 받은 복고적인 프렌치 팝 스타일, 이른바 '네오 시부야케이' 음악을 선보였으나, 2006년 앨범 ''Fruits Clipper''를 기점으로 점차 일렉트로 하우스로 음악적 색깔을 바꾸었다.
음악 프로듀서인 나카타 야스타카가 작곡, 편곡, 엔지니어링 등 대부분의 작업을 담당하며, 보컬은 고시지마 도시코가 맡고 있다. 나카타는 capsule 활동 외에도 퍼퓸, 캬리 파뮤파뮤 등 다른 아티스트의 프로듀싱과 MEG, SMAP, m-flo 등 다수 아티스트의 곡 작업 및 리믹서로도 활발히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다.
capsule은 2007년 앨범 ''FLASH BACK''이 iTunes Store 차트 1위를 차지하고, 2008년 앨범 ''MORE! MORE! MORE!''가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 6위에 오르며[13]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하는 등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FLASH BEST''(2009년, 7위)[14], ''WORLD OF FANTASY''(2011년, 3위)[15] 등 꾸준히 앨범을 발표하며 인기를 이어갔다.
2013년 워너 뮤직 재팬 산하 레이블 unBORDE로 이적하면서 그룹 표기를 대문자 'CAPSULE'로 변경했으며,[22] 이후 ''Caps Lock''(2013), ''Wave Runner''(2015) 등의 앨범을 발표했다. 2021년에는 약 6년 만의 신곡 'Hikari no Disco'를 발표하고[7], 과거 앨범들의 리마스터 음원을 공개하는 등 활동을 재개했으며,[24] 2022년 정규 앨범 ''Metro Pulse''를 발매했다.[8] 현재 ASOBISYSTEM 소속으로 활동 중이다.
3. 1. 결성 및 초기 (1997년 ~ 2005년)
1997년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에서 당시 고등학교 동창이던 나카타 야스타카와 고시지마 도시코가 17세 때 지역 음악 페스티벌에서 만나 capsule을 결성했다.[12] 두 사람이 성인이 된 후인 2001년 3월, 야마하 뮤직 커뮤니케이션즈를 통해 싱글 〈Sakura〉를 발매하며 정식으로 CD 데뷔했다. 같은 해 첫 번째 정규 앨범 ''High Collar Girl''을 발표했는데, 이 앨범은 이후의 전자 음악 스타일과는 달리 신시사이저 사용이 적었다.capsule은 음악 프로듀서인 나카타 야스타카와 보컬인 고시지마 도시코로 구성된 음악 유닛이다. 나카타 야스타카는 작곡, 연주, 편곡, 엔지니어링 등 보컬을 제외한 거의 모든 음악 작업을 담당하며, 앨범 재킷 디자인 등 아트워크까지 맡아 그룹의 전반적인 프로듀싱을 책임진다. 다만, 데뷔 싱글 〈벚꽃〉의 수록곡 '恋をしました', 세 번째 싱글 〈도쿄 킷사〉의 수록곡 'まち惚け', 네 번째 싱글 〈music controller〉의 수록곡 'ブラウニー'는 보컬 고시지마 토시코가 작사를 맡았다.
2005년까지 capsule의 음악 스타일은 1990년대 시부야케이 아티스트, 특히 피치카토 파이브와 음악적, 미학적으로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네오 시부야케이"로 불리기도 했다. 이 시기 음악은 보사노바, 라운지, 브레이크비트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capsule의 음악은 일본의 여러 텔레비전 프로그램(예: 우타와라 핫 히트 10, 헬로! 모닝, 난카이 파라다이스 등)에 자주 사용되었으며, 나카무라 유고의 스튜디오 Tha of Japan은 KDDI 홍보 광고에 capsule의 음악을 사용하기도 했다.
3. 2. 스타일 변화 및 전성기 (2006년 ~ 2012년)
2006년 발표된 앨범 ''Fruits Clipper''를 기점으로 capsule의 음악 스타일은 큰 변화를 맞이했다. 이전까지 보여주었던 복고적인 색채의 프렌치 팝 스타일에서 벗어나 일렉트로 하우스로 음악적 방향을 전환했으며, 이러한 변화는 음악뿐만 아니라 뮤직비디오, 음반 표지 사진, 공연 의상 등 시각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쳤다.2007년 발매된 앨범 ''FLASH BACK''은 iTunes Store 일렉트로닉 차트와 종합 차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듬해인 2008년에는 앨범 ''More! More! More!''가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서 6위를 기록하며 capsule 최초로 오리콘 차트 10위권 안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3] 이 시기 나카타 야스타카는 퍼퓸, MEG, SMAP, m-flo, 아오야마 테루마, 스즈키 아미, 리아 디존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곡 작업 및 리믹스에 참여하며 프로듀서로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특히 그가 프로듀싱한 퍼퓸은 앨범 《GAME》과 싱글 《love the world》 등으로 오리콘 차트 1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16][19] 또한 capsule의 음악은 우타와라 핫 히트 10, 헬로! 모닝, 난카이 파라다이스 등 일본의 여러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KDDI 광고 등에 사용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여갔다.
2009년에는 첫 베스트 앨범인 ''FLASH BEST''를 발매하여 오리콘 주간 차트 7위를 기록했다.[14] 2010년 1월에는 드라마 ''라이어 게임 시즌 2''와 영화 ''라이어 게임: 더 파이널 스테이지''의 삽입곡으로 사용된 "Love or Lies"를 발표했으며, 이 곡은 같은 해 3월 발매된 앨범 ''Player''에 수록되었다.
2011년에는 열두 번째 정규 앨범 발매를 준비했다. 당초 ''KILLER WAVE''라는 제목으로 3월 23일 발매 예정이었던[2] 앨범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World of Fantasy''로 제목이 변경되고 발매일도 5월 25일로 연기되었다.[3] 이 앨범은 오리콘 주간 차트 3위를 기록하며[15]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2년에는 앨범 ''STEREO WORXXX''를 발매하며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
3. 3. 레이블 이적 및 활동 (2013년 ~ 현재)
2013년가을 워너 뮤직 재팬 산하 레이블 unBORDE로 이적하며 그룹 표기를 기존 소문자 'capsule'에서 대문자 'CAPSULE'로 변경했다.[22] 이적 후 첫 앨범이자 통산 14번째 정규 앨범으로 ''Caps Lock''을 2013년 10월 23일 발매했고,[4] 이어 15번째 정규 앨범 ''Wave Runner''를 2015년 2월 18일 발매했다.[5]약 6년 만인 2021년 4월, 신곡 'Hikari no Disco' 티저를 공개하고 같은 해 6월 3일 정식 발매했다.[6][7] 이 곡은 애니메이션 영화 『시도니아의 기사 아잇츠무구 호시』의 주제가 및 삽입곡으로 사용됐다.[23]
2021년 8월부터는 과거 앨범들을 리마스터한 음원과 비주얼라이저 영상을 함께 공개하는 'CAPSULE 아카이브 컬렉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를 통해 6번째 앨범 『L.D.K. Lounge Designers Killer』부터 13번째 앨범 『STEREO WORXXX』까지의 정규 앨범과 리믹스 앨범 『capsule rmx』를 포함한 총 9개 앨범의 리마스터 음원이 iTunes Store를 통해 발매됐다.[24]
2022년 10월 25일에는 16번째 정규 앨범 ''Metro Pulse'' 발매를 발표했고, 앨범은 같은 해 12월 14일 발매됐다.[8]
현재 ASOBISYSTEM 소속으로 활동하며, ASOBINITE!!! 등 소속사가 주최하는 클럽 이벤트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4. 음악 스타일
CAPSULE의 음악 스타일은 활동 시기에 따라 뚜렷한 변화를 보여준다. 2001년 데뷔 초부터 2005년까지는 1990년대 시부야케이 운동의 영향을 받은 "네오 시부야케이" 스타일로 분류된다. 이 시기 음악은 피치카토 파이브와 같은 아티스트들과 미학적, 음악적으로 유사성을 보였으며, 보사노바, 라운지, 브레이크비트 등의 요소를 포함한 복고적 프렌치 팝 색채를 띠었다. 첫 앨범 ''High Collar Girl''은 신시사이저 사용이 적고 이후 작품들과는 다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한다.
2006년 발매된 앨범 ''Fruits Clipper''를 기점으로 CAPSULE의 음악은 큰 전환점을 맞이한다. 이전의 스타일에서 벗어나 점차 일렉트로 하우스 장르로 변화했으며, 이러한 음악적 변화는 공연 의상, 뮤직비디오, 앨범 아트워크 등 시각적인 요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4. 1. 초기 (2001년 ~ 2005년): 네오 시부야케이
고등학교 동창이었던 나카타 야스타카와 고시지마 도시코는 1997년 11월, 17세 때 호쿠리쿠 지역의 한 청소년 음악 페스티벌에서 만나 capsule을 결성했다. 이들은 성인이 된 후인 2001년 3월, 야마하 뮤직 커뮤니케이션즈를 통해 첫 싱글 〈Sakura〉를 발매하며 정식으로 데뷔했다.같은 해 발매된 첫 정규 앨범 ''High Collar Girl''은 이후 발표된 작품들과는 상당히 다른 스타일을 보여주었는데, 신시사이저 사용이 적었고 미래적이거나 전자적인 사운드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다. 2005년까지 발표된 capsule의 초기 앨범들은 음악적, 미학적으로 1990년대 시부야케이 아티스트, 특히 피치카토 파이브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네오 시부야케이"로 분류되기도 했다. 이 시기 음악은 보사노바, 라운지, 브레이크비트 등의 요소를 포함하며 복고적인 색채를 띠는 프렌치 팝 스타일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초기 스타일은 2006년 발매된 ''Fruits Clipper'' 앨범부터 점차 일렉트로 하우스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4. 2. 중기 (2006년 ~ 2012년): 일렉트로 하우스
2006년 발매된 앨범 'Fruits Clipper'를 기점으로, CAPSULE의 음악 스타일은 이전의 복고적인 색채를 띤 프렌치 팝 스타일에서 점차 일렉트로 하우스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음악뿐만 아니라 공연, 뮤직비디오, 음반 표지 등 시각적인 측면에도 반영되었으며, 특히 2006년과 2007년 사이에 뚜렷해졌다.이 시기 나카타 야스타카는 MEG, SMAP, m-flo, 아오야마 테루마, 스즈키 아미, 리아 디존 등 여러 아티스트에게 곡을 제공하거나 리믹서로 참여하며 활발한 외부 활동을 펼쳤다. 특히 그가 프로듀스한 아이돌 그룹 퍼퓸은 앨범 'GAME'과 싱글 'love the world'로 오리콘 차트 1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CAPSULE의 음악은 우타와라 핫 히트 10, 헬로! 모닝, 난카이 파라다이스와 같은 일본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자주 사용되었으며, 나카무라 유고의 스튜디오 Tha of Japan은 KDDI의 홍보 TV 및 웹 광고에 CAPSULE의 음악을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Portable Airport (리믹스)"는 호주 유료 TV 채널 The Comedy Channel의 프로모션에 사용되었다. 상업적으로도 성과를 거두었으며, 2008년에 발매된 앨범 More! More! More!는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서 6위, 일간 차트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2010년 1월 19일에는 드라마 라이어 게임 시즌 2와 영화 '라이어 게임: 더 파이널 스테이지'의 삽입곡으로 사용된 싱글 "Love or Lies"를 발표했고, 이 곡은 같은 해 3월 3일에 발매된 앨범 Player에 수록됐다. 2011년에는 열두 번째 정규 앨범 발매를 준비했다. 당초 'KILLER WAVE'라는 제목으로 3월 23일 발매될 예정이었지만,[2]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앨범 제목을 World of Fantasy로 변경했으며, 발매일은 5월 25일로 연기했다.[3]
4. 3. 후기 (2013년 ~ 현재): 다양한 장르 실험
밴드의 열네 번째 앨범 ''Caps Lock''은 2013년 10월 23일에 발매되었다.[4] 이어 열다섯 번째 앨범 ''Wave Runner''가 2015년 2월 18일에 공개되었다.[5]이후 약 6년 만인 2021년 4월, 신곡 ''Hikari no Disco''의 티저가 공개되었고,[6] 같은 해 6월 3일에 정식 발매되었다.[7] 2022년 10월 25일에는 열여섯 번째 정규 앨범인 ''Metro Pulse''를 발표했으며, 이 앨범은 같은 해 12월 14일에 발매되었다.[8]
5. 음반 목록
최고 순위
(구 제목: Killer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