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ASY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ODASYL은 코볼 언어 개발과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목표로 1959년 결성된 단체이다. 데이터 처리 효율성 증진을 위해 조직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의 언어 사양을 발표하여 CODASYL 데이터 모델로 알려졌다. 이후 프로그래밍 언어 독립성을 추구하며 조직이 재편되었으나, 사양 동기화 실패로 인해 벤더 간 호환성 문제가 발생했다. 1980년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부상과 함께 쇠퇴했으며,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볼 - 2000년 문제
2000년 문제는 과거 컴퓨터 시스템의 연도 표기 방식 때문에 2000년을 1900년으로 오인할 수 있는 잠재적 문제였으나, 전 세계적인 노력으로 큰 혼란 없이 해결되었고 정보 시스템 엔지니어들의 노력과 위기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 코볼 - 그레이스 호퍼
그레이스 호퍼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해군 제독으로, 세계 최초의 컴파일러인 A-0을 개발하고 COBOL 개발에 기여하며 컴퓨터 시스템 표준화에 크게 기여했다. - 데이터 모델링 언어 - 임베디드 SQL
임베디드 SQL은 호스트 프로그래밍 언어 내에 SQL 문을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기술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표준화하지만 보안 취약점과 이식성 저하의 단점도 가진다. - 데이터 모델링 언어 - 데이터 정의 언어
데이터 정의 언어(DDL)는 SQL에서 테이블, 열, 데이터 형식 등을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 집합이며, `CREATE`, `DROP`, `ALTER`, `TRUNCATE` 등의 명령어를 포함하고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다양한 형식 언어들을 포괄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 소프트웨어의 역사 - AI 겨울
AI 겨울은 인공지능 연구에 대한 자금 지원과 관심이 크게 감소했던 시기를 가리키며, 기계 번역의 어려움, 신경망의 한계, 전문가 시스템 문제, 5세대 컴퓨터 실패 등의 요인으로 여러 차례 침체기를 겪었으나, 2000년대 이후 음성 및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며 부흥했고, 2022년 이후 대규모 언어 모델 등장으로 관심과 투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 소프트웨어의 역사 - 천공 카드
천공 카드는 1725년 직기 제어에 처음 사용되어 데이터 저장 및 처리에 널리 활용되었으며, 1950년대 자기 테이프 등장으로 쇠퇴했으나 문화적 유산으로 남아있다.
CODASYL | |
---|---|
CODASYL | |
유형 | 컨소시엄 |
설립 | 1959년 |
해체 | 1980년대 |
본부 | 미국 |
산업 | 컴퓨터 산업 |
중요 인물 | 그레이스 호퍼 윌리엄 리처 |
영향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표준화에 기여 |
주요 활동 | |
언어 개발 | COBOL Data Description Language (DDL) 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 |
보고서 발표 | 데이터베이스 기술 표준 보고서 발표 |
유산 | |
데이터베이스 모델 | CODASYL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기초) |
프로그래밍 언어 | COBOL (업무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중요한 위치 차지) |
관련 단체 | |
ANSI | ANSI (미국 국립 표준 협회) |
2. 역사
CODASYL은 주로 코볼 언어 개발과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표준화라는 두 가지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4] 1965년에 리스트 처리 태스크 포스를 결성하여 코볼 언어 확장을 개발하기 시작했다.[4] 1969년에는 DBTG가 CODASYL 데이터 모델이라고 불리는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위한 최초의 언어 사양을 발표했다.[6] 이 사양에는 데이터 정의 언어(DDL), 서브스키마 생성을 위한 DDL, 데이터 조작 언어(DML) 등이 포함되었다.
1971년, 프로그래밍 언어 독립성의 필요성에 따라 작업이 재구성되어 데이터 설명 언어 개발은 데이터 정의 언어 위원회가, COBOL DML은 COBOL 언어 위원회가 담당하게 되었다.[8][9] 그러나 이 분열로 인해 두 그룹 간의 사양 동기화 문제가 발생했고, 구현 간 상호 운용성 부족 문제가 발생했다.
허니웰의 통합 데이터 저장(IDS/2), 컬리넷의 IDMS 등 여러 업체들이 DBTG 사양을 준수하는 데이터베이스 제품들을 구현했다. ANSI와 ISO는 CODASYL 데이터베이스 사양을 NDL(Network Database Language)이라는 이름으로 채택했지만, 실제 구현에 영향이 없어 1998년에 공식 철회되었다.[2]
1980년대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CODASYL에 대한 관심은 점차 줄어들었다. CODASYL 자체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CODASYL의 기록은 찰스 배비지 연구소에 기증되었다.[3]
2. 1. 초기 활동 (1959년 ~ 1965년)
1959년에 조직된 CODASYL영어은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업계 및 미국 정부 기관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목표는 데이터 시스템 분석, 설계, 구현의 효율성을 증진하는 것이었다. 수년간 다양한 언어에 대한 작업을 진행했지만, 구체적인 표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표준화 작업은 ANSI로 이관되었다.[4]1965년, CODASYL영어은 리스트 처리 분과를 결성했다. 이 그룹은 레코드 집합의 처리를 COBOL영어 언어의 확장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명칭은 찰스 백먼의 IDS[5] 시스템(프로젝트의 기술적 출발점)에서 레코드 간의 관계를 포인터를 사용하여 레코드 간을 연결하는 방식(즉, 리스트)으로 관리했던 데서 유래했다.
2. 2. 리스트 처리 태스크 포스 (1965년 ~ 1967년)
1965년, CODASYL은 리스트 처리 태스크 포스(List Processing Task Force)를 결성했다.[4] 이 그룹은 코볼 언어에 레코드 모음을 처리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태스크 포스의 이름은 찰스 바흐만의 IDS 시스템[5](이 프로젝트의 주요 기술적 기반)이 포인터 체인을 사용하여 레코드 간의 관계를 관리했기 때문에 붙여졌다. 1967년에 이 그룹은 데이터베이스 태스크 그룹(DBTG)으로 이름을 변경했다.[6]2. 3. 데이터베이스 태스크 그룹 (DBTG) (1967년 ~ 1971년)
1965년, CODASYL은 리스트 처리 태스크 포스를 결성했다. 이 그룹은 레코드 집합 처리를 위한 코볼 언어 확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명칭은 찰스 바흐만의 IDS 시스템(프로젝트의 주요 기술적 입력)이 포인터 체인을 사용하여 레코드 간의 관계를 관리했기 때문에 붙여졌다.[4][5] 1967년, 이 그룹은 데이터베이스 태스크 그룹(DBTG)으로 이름을 변경했다.[6]1969년 10월, DBTG는 일반적으로 CODASYL 데이터 모델로 알려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대한 첫 번째 언어 사양을 발표했다. 이 사양은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하는 데이터 정의 언어(DDL), 데이터베이스의 애플리케이션 보기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스키마를 만드는 또 다른 DDL,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업데이트하기 위해 COBOL 프로그래밍 언어에 포함하기 위한 동사를 정의하는 데이터 조작 언어(DML)를 정의했다. 작업은 COBOL에 집중되었지만, IBM이 PL/I를 COBOL의 대체재로 옹호하면서 호스트 언어에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라는 아이디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971년, 프로그래밍 언어 독립성의 필요성에 대한 대응으로 작업이 재구성되었다. 데이터 정의 언어 위원회에서 데이터 설명 언어의 개발을 계속 진행하는 한편, COBOL DML은 COBOL 언어 위원회에서 인수했다.[8][9] 이러한 분열은 불운한 결과를 초래했다. 두 그룹은 사양을 동기화하는 데 실패했고, 공급업체들은 차이점을 수정해야 했다. 불가피한 결과는 구현 간의 상호 운용성이 부족이었다.
2. 4. 조직 개편과 분열 (1971년 이후)
1971년, 프로그래밍 언어 독립성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CODASYL의 조직이 재편되었다. 데이터 기술 언어(DDL) 개발은 데이터 정의 언어 위원회에서 계속 진행되었고, COBOL DML은 COBOL 언어 위원회에서 담당하게 되었다.[8][9] 이러한 분열은 두 위원회 간의 사양 동기화 문제를 야기했고, 공급업체들은 그 차이를 메워야 했다. 그 결과, 구현 간의 상호 운용성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2. 5. CODASYL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구현
여러 업체들이 DBTG 사양을 어느 정도 준수하는 데이터베이스 제품들을 구현했다.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1]제품명 | 업체 |
---|---|
통합 데이터 저장(IDS/2) | 허니웰(본래 제너럴 일렉트릭) |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IDMS) | 컬리넷 (이후 컴퓨터 어소시에이츠에 인수) |
DMS-1100 | 유니박 |
DBMS32 | DEC |
ANSI와 ISO는 CODASYL 데이터베이스 사양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언어(NDL)라는 이름으로 채택했으며, SQL 표준화와 동일한 작업 그룹(X3H2) 내에서 진행되었다.[2] NDL에 대한 ISO 표준은 ISO 8907:1987로 비준되었지만,[2] 구현에 실제적인 영향이 없었기 때문에 1998년에 공식적으로 철회되었다.[2]
2. 6.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부상과 CODASYL의 쇠퇴
1980년대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주목받게 되면서 CODASYL의 활동은 쇠퇴했다.[4]3. CODASYL의 유산
CODASYL은 주로 코볼 언어 개발과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표준화에 기여했다.[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운영 체제 제어 언어 등 다른 분야에도 관여했으나,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1]
CODASYL의 관련 기록은 찰스 배비지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3]
참조
[1]
서적
CIM: Principles of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John Wiley & Sons Ltd
[2]
웹사이트
Iso 8907:1987
http://www.iso.org/i[...]
[3]
웹사이트
Conference on Data Systems Languages Records, 1959-1987
http://purl.umn.edu/[...]
Charles Babbage Institute, University of Minnesota
[4]
문서
list processing task force
[5]
문서
integrated data store
[6]
문서
data base task group
[7]
문서
COBOL extensions to handle data bases
[8]
문서
data description language committee
[9]
문서
COBOL Language Committee
[10]
저널
CIM: Principles of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