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카르타히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S 카르타히네스는 1906년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이다. 1923년, 1936년, 1940년, 2022년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우승했으며, 1963년, 1984년, 2014년, 2015년, 2022년에는 코스타리카 컵에서, 1979년에는 코스타리카 슈퍼컵에서 우승했다. 1994년에는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 우승했다. 1940년 이후 81년간 리그 우승을 하지 못했으나, 2022년에 우승하며 오랜 무관의 역사를 끊었다.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이반코비치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레오넬 에르난데스, 랜달 브레네스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LD 알라후엘렌세
LD 알라후엘렌세는 1919년에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0회 우승했으며, UNCAF 인터클럽스컵과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도 우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는 코스타리카 산호세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0회 우승, CONCACAF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을 차지한 명문 클럽이며,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 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하고 "보라색 괴물"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코스타리카 축구에 관한 - LD 알라후엘렌세
LD 알라후엘렌세는 1919년에 창단된 코스타리카의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0회 우승했으며, UNCAF 인터클럽스컵과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도 우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코스타리카 축구에 관한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는 코스타리카 산호세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0회 우승, CONCACAF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을 차지한 명문 클럽이며,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 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하고 "보라색 괴물"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1906년 설립된 축구단 - 마카비 텔아비브 FC
마카비 텔아비브 FC는 1920년대부터 팔레스타인에서 시작하여 이스라엘 축구 협회 컵과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포함, 수많은 국내외 대회에서 우승하며 이스라엘 축구의 강호로 자리 잡았다. - 1906년 설립된 축구단 - 스포르팅 CP
스포르팅 CP는 1906년 창립되어 리스본을 연고로 하는 포르투갈의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를 비롯한 다양한 종목에서 활동하며 프리메이라리가에서 20회 우승을 차지한 축구 명문 클럽이자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같은 세계적인 선수를 배출한 유소년 시스템을 갖추고 UEFA 컵 위너스 컵에서 1회 우승을 기록했다.
CS 카르타히네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Club Sport Cartaginés Deportiva S.A. |
별칭 | Los Azules (로스 아술레스, 푸른색 군단) Brumosos (브루모소스, 안개 도시 사람들) La Vieja Metrópoli (라 비에하 메트로폴리, 오래된 수도) |
창단일 | 1906년 7월 1일 |
홈 경기장 | 에스타디오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이반코비치, 코스타리카, 카르타고 |
수용 인원 | 13,500명 |
회장 | 레오나르도 바르가스 몬헤 |
감독 | 그레이빈 모라 |
리그 | 리가 프로메리카 |
시즌 | 아페르투라 2024 |
순위 | 2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클럽 스포르트 카르타히네스는 1906년 7월 1일 창단되었다.[3] 1921년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이 출범했을 때 창립 멤버로 참가했으며, 3번째 시즌인 1923년에 첫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4] 하지만 선수 유출 문제로 1925년 해체되었다가 1934년 재창단하여 하위 리그에서 활동을 재개했다.
1936년 2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1부 리그로 복귀했고, 복귀하자마자 두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40년에는 통산 세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으나,[5] 이 우승 이후 무려 81년 동안 리그 정상에 오르지 못하는 긴 침체기를 겪었다. 이 기간 동안 팀에 저주가 걸렸다는 지역 설화가 전해지기도 한다.[6]
긴 무관의 세월 속에서도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이반코비치(José Rafael "Fello" Meza Ivancovich|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이반코비치es)[7]나 클럽 최다 득점자인 레오넬 에르난데스[21]와 같은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다. 1982년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1983년 곧바로 우승하여 1부 리그로 복귀한 이후[9] 현재까지 계속 1부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국제 대회에서는 1994년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10][33] 21세기에 들어서는 2014년과 2015년에 코스타리카 컵에서 연속 우승했으며, 마침내 2021-2022 시즌 클라우수라에서 81년 만에 통산 네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오랜 기다림에 종지부를 찍었다. 같은 해 코스타리카 컵에서도 우승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2. 1. 창단 초기 (1906년 ~ 1936년)
클럽 스포르트 카르타히네스는 1906년 7월 1일, 캐나다 이민자인 Willie Pirie|윌리 피리eng[3]가 카르타고에 거주하던 영국계 코스타리카인과 영국 이민자 그룹과 함께 창단했다. 당시 코스타리카에는 축구팀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Combate|콤바테spa나 Monte Libano|몬테 리바노spa와 같은 카르타고 지역 팀들과 주로 경기를 가졌다. 팀의 초기 유니폼 색상은 빨간색과 파란색이었다. 클럽의 첫 공식 경기는 지역 사회 행사로 열렸으며, 경기 시작 전 시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연주하기도 했다.1914년, 클럽은 "El Americano|엘 아메리카노spa"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활동했다. 이 이름은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이 전국 선수권 대회를 시작한 1921년까지 사용되었다. 1921년 리그 출범과 함께 팀은 원래 이름인 클럽 스포르트 카르타히네스로 돌아왔고, 유니폼 색상도 현재까지 이어지는 흰색과 파란색 세로 줄무늬로 변경했다.
1923년, 클럽 스포르트 카르타히네스는 전국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La Libertad|라 리베르타드spa를 2-1로 꺾고 클럽 역사상 첫 번째 전국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4] 그러나 이후 몇 시즌 동안 많은 선수들이 유럽이나 산호세를 연고로 하는 팀으로 이적하면서 전력이 약화되었다. 결국 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인해 클럽은 1925년에 해산되었다.
1934년, 카르타고 지역에서 축구의 인기가 다시 높아지면서 지역 팀들이 참가하는 토너먼트가 열렸다. 이 대회를 계기로 참가 선수들 중 우수한 선수들을 모아 클럽 스포르트 카르타히네스를 재창단하기로 결정했다. 재창단된 팀은 1935년 3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이듬해인 1936년에는 2부 리그에서 모든 경기를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1부 리그로 승격하는 데 성공했다.
2. 2. 전성기와 침체기 (1936년 ~ 1994년)
1936년 2부 리그에서 모든 경기에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1부 리그로 승격했다. 1부 리그 복귀 첫 시즌에 바로 결승에 진출하여 라 리베르타드를 1-0으로 꺾고 통산 두 번째 전국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1940년에는 단 3명의 기존 우승 멤버만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에레디아노를 상대로 결승전에서 전반 1-3의 열세를 뒤집고 후반에 3골을 넣어 4-3으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세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5]그러나 이 1940년 우승 이후 카르타히네스는 무려 81년 동안 리그 우승을 하지 못하는 긴 침체기를 겪게 된다. 지역 설화에 따르면, 당시 선수들이 우승을 자축하며 말을 타고 로스 앤젤레스 대성당 안까지 들어가는 신성 모독적인 행동을 했고, 이에 분노한 사제가 팀에 저주를 내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6] 또 다른 설화는 "El Muñecoes"라고 불리는 이상한 부두교 인형이 클럽의 우승을 막고 불운을 가져오도록 경기장에 묻혔다는 이야기도 있다.
긴 무관의 시기에도 클럽을 빛낸 스타는 존재했다. 1940년대에는 클럽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이반코비치(José Rafael "Fello" Meza Ivancoviches)가 등장했다. 그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기술과 경기 운영 능력을 선보여 "El Maestroes", 즉 스승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그의 영향력은 매우 커서 현재 클럽의 홈 경기장은 그의 이름을 따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이반코비치 경기장으로 명명되었다.[7]
1966년, 카르타히네스는 코스타리카 클럽 최초로 미국을 방문하여 멕시코의 과달라하라, 에콰도르의 에멜렉과 친선 경기를 가졌다.[8] 1970년대에는 클럽 역사상 최다 득점 기록(164골)을 보유한 레오넬 에르난데스를 중심으로 알프레도 "차토" 피에드라 감독의 지휘 아래 뛰어난 선수단을 구성했다. 이 팀은 우아하고 기술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인해 "Ballet Azules", 즉 푸른 발레단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클럽은 선수 생활 전체를 카르타히네스에서 헌신한 레오넬 에르난데스의 충성심에 보답하여 그의 등번호 11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21]
하지만 클럽은 1980년대에 다시 어려움을 겪으며 1982년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는 클럽이 재정비하고 1부 리그 복귀를 위해 노력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행히 1983년, 2부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한 시즌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했고, 이후 현재까지 1부 리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9] 1987년에는 리그 챔피언십 결승까지 올랐으나, 에레디아노에게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1990년대에 들어서도 사프리사와 알라후엘렌세라는 양강 구도를 넘지 못하고 1993년에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국제 무대에서는 큰 성과를 거두었는데, 1994년 CONCACAF 챔피언스컵 결승전에서 멕시코의 강호 아틀란테를 3-2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이는 클럽 역사상 가장 빛나는 업적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0][33]
2. 3. CONCACAF 챔피언스컵 우승과 이후 (1994년 ~ 현재)
1990년대에는 사프리사와 알라후엘렌세가 리그 정상을 차지하는 것을 막지 못하고 1993년과 1996년에 준우승에 머물렀다. 그러나 1994년에는 CONCACAF 챔피언스컵에 참가하여 결승전에서 멕시코 클럽 아틀란테를 3-2로 꺾고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첫 국제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리는 최고의 업적을 달성했다.[10][33]21세기에 들어서도 카르타히네스는 꾸준히 리그 우승을 위해 노력했으며, 2012-2013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전국 녹아웃 축구 대회인 코스타리카 컵에서는 2014년과 2015년에 연속으로 우승했다. 이 시기에는 "치키"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공격수 랜달 브레네스가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레오넬 에르난데스에 이어 클럽 역사상 두 번째로 리그 100골을 돌파했으며(2017년 달성),[11] 총 280경기에 출전하여 103골을 기록하고 은퇴했다.
오랜 기다림 끝에 2021-2022 시즌, 카르타히네스는 81년 만에 코스타리카 리그 정상에 올랐다. 클라우수라 결승에서 리가 데포르티바 알라후엘렌세를 상대로 합계 2-1 승리를 거두며 통산 4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 소식에 연고지 카르타고 시는 81년 만의 쾌거를 축하하는 시민들로 가득 찼다. 같은 해, 카르타히네스는 코스타리카 컵 결승에서도 에레디아노를 합계 3-2로 꺾고 통산 세 번째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3. 경기장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경기장은 카르타고의 아시스 지역에 위치해 있다. 수용 인원은 13,500명으로, 코스타리카에서 4번째로 큰 규모이다.
4. 우승 기록
(내용 없음)
4. 1. 국내 대회
-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 * '''우승 (4회):''' 1923, 1936, 1940, 2022 클라우수라[12]
- '''코스타리카 컵'''
- * '''우승 (5회):''' 1963, 1984, 2014,[13] 2015,[14] 2022[15]
- '''코스타리카 슈퍼컵'''
- * '''우승 (1회):''' 1979[16]
4. 2. 국제 대회
- '''CONCACAF 챔피언스컵'''
- * '''우승 (1회)''': 1994
- '''코파 인터아메리카나'''
- * 준우승 (1회): 1994
- '''코파 프라테르니다'''
- * 준우승 (1회): 1978
5. 선수
CS 카르타히네스는 오랜 역사 동안 코스타리카 국내외의 다양한 선수들이 거쳐갔다. 과거에는 카를로스 에르난데스 발베르데(2014~), 파나마 국가대표 가브리엘 고메스(2016), 우루과이 공격수 니콜라스 비그네리(2016), 미첼 바란테스(2012~2018), 다니엘 차콘(2017~2022) 등이 활약했다. 최근에는 코스타리카 국가대표 출신 마르코 우레냐(2022~)와 쿠바 출신 공격수 마르셀 에르난데스(2018~2020, 2022~) 등이 팀에 합류하여 활약하고 있다. 클럽의 역대 주요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선수 명단
''2024년 8월 28일 기준''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선수명 |
---|---|---|---|
1 | GK | 코스타리카 | Darryl Parker |
2 | DF | 코스타리카 | Randal Cordero |
3 | DF | 코스타리카 | William Quirós |
4 | DF | 코스타리카 | Kevin Espinoza |
5 | DF | 온두라스 | 마르셀로 페레이라 |
6 | MF | 코스타리카 | Jeikel Venegas |
7 | MF | 코스타리카 | 앨런 게바라 (주장) |
8 | MF | 코스타리카 | 더글라스 로페스 |
10 | MF | 코스타리카 | 딜런 플로레스 |
11 | MF | 코스타리카 | Kenneth Cerdas |
12 | DF | 코스타리카 | José Quirós |
13 | GK | 코스타리카 | Bryan Cordero |
14 | FW | 과테말라 | 다윈 롬 |
16 | MF | 엘살바도르 | 크리스티안 마르티네스 |
19 | DF | 멕시코 | Diego González |
20 | MF | 코스타리카 | Víctor Murillo |
21 | FW | 코스타리카 | 마르코 우레냐 |
22 | FW | 브라질 | Kennedy Rocha |
23 | FW | 코스타리카 | Jostin Daly |
24 | MF | 코스타리카 | Luis Barrantes |
26 | MF | 코스타리카 | Bernald Alfaro |
27 | DF | 코스타리카 | Samuel Barrantes |
28 | DF | 코스타리카 | Josué Román |
33 | GK | 코스타리카 | Christopher Moya |
35 | GK | 코스타리카 | 케빈 브리세뇨 |
37 | DF | 코스타리카 | 케셔 풀러 |
95 | DF | 코스타리카 | 수한더 수니가 |
5. 2. 역대 주요 선수
- 레오넬 에르난데스: 1957년부터 1977년까지[21] 카르타히네스에서 활약한 전설적인 윙어이다. 그는 선수 생활 전체를 이 클럽에서 보냈으며, 164골을 기록하여 클럽 역사상 최다 득점자로 남아있다.[21] 알프레도 "차토" 피에드라 감독이 이끌던 당시 팀은 우아한 플레이 스타일로 "발레 아술(Ballet Azul, 푸른 발레)"이라 불렸고, 에르난데스는 그 중심 선수였다.[8][21] 클럽은 그의 헌신을 기려 등번호 11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21]
-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이반코비치: 1940년대 클럽의 전성기를 이끈 선수로, 클럽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7] 그는 당시 혁신적인 기술과 경기 방식으로 "엘 마에스트로(El Maestro)", 즉 스승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7] 그의 영향력은 매우 커서 클럽의 현재 홈 경기장인 에스타디오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이반코비치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2009년에는 코스타리카 축구 관리 기구인 UNAFUT이 선정한 '20세기 코스타리카 최고의 선수 100인' 공식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 랜달 브레네스: "치키(Chiqui)"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공격수로, 2004년부터 2018년까지[11] 팀에서 활약했다. 그는 레오넬 에르난데스에 이어 클럽 역사상 두 번째로 리그 100골을 돌파한 선수로, 2017년에 이 기록을 달성했다.[11] 그는 통산 280경기에 출전하여 103골을 기록하고 은퇴했다.[11]
5. 3. 역대 감독
wikitext감독 | 국적 | 임기 |
---|---|---|
호세 라파엘 메사 이반코비치 | 코스타리카 | 1950년대 |
카를로스 파레스 | 스페인 | 1965 |
알프레도 피에드라 모라 | 코스타리카 | 1965–1974 |
마빈 로드리게스 | 코스타리카 | 1968–1970, 2004 |
아르만도 마레케 | 아르헨티나 | 1973, 1975 |
루이스 보르기니 | 우루과이 | 1973, 1975 |
월터 엘리존도 | 코스타리카 | 1977, 1979 |
알바로 그란트 맥도날드 | 코스타리카 | 1982 |
후안 호세 가메스 | 코스타리카 | 1982–1986, 1996–1997 |
구스타보 데 시모네 | 우루과이 | 1987 |
호세 데 라 파스 에레라 | 온두라스 | 1990–1991 |
플라비오 오르테가 | 브라질 | 1994 |
롤란도 비야로보스 | 코스타리카 | 1995–1996, 2012 (임시) |
미겔 칼보 | 코스타리카 | 1997–1999 |
호세 마테라 | 우루과이 | 1999–2000 |
후안 루이스 에르난데스 푸에르테스 | 스페인 | 2000, 2004–2005, 2008–2010 |
요세프 페시체 | 체코 | 2001 |
미할 빌레크 | 체코 | 2001–2002 |
카를로스 알베르토 데 토로 | 아르헨티나 | 2002–2003 |
알레샨드리 기마랑이스 | 브라질, 코스타리카 | 2003 |
카를로스 리나리스 | 우루과이 | 2004–2005 |
로날드 모라 | 코스타리카 | 2005–2006 |
루이스 마누엘 블랑코 | 아르헨티나 | 2006, 2008 |
조니 차베스 | 코스타리카 | 2010–2012 |
오디르 자케스 | 브라질 | 2012 |
하비에르 델가도 프라도 | 코스타리카 | 2013–2014 |
클라우디오 치치아 | 우루과이 | 2014, 2015 |
마우리시오 라이트 | 코스타리카 | 2014 |
엔리케 막시밀리아노 메사 | 멕시코 | 2014–2015 |
세사르 에두아르도 멘데스 | 우루과이 | 2015–2016 |
예우스틴 캄포스 | 코스타리카 | 2016– |
아드리안 레안드로 | 코스타리카 | 2017–2018 |
그리빈 모라 | 코스타리카 | 2018 |
구스타보 로베라노 | 우루과이 | 2018 |
파울로 완초페 | 코스타리카 | 2018, 2022–2023 |
마르틴 아리올라 | 우루과이 | 2018–2019 |
에르난 메드포드 | 코스타리카 | 2019–2021 |
헤이네르 세구라 | 코스타리카 | 2021–2022 |
이반 므라즈 | 체코 | |
조바니 알파로 | 코스타리카 | |
로돌포 아리아스 | 코스타리카 |
참조
[1]
웹사이트
Cartaginés celebra su 113 aniversario
https://everardoherr[...]
2019-07-31
[2]
웹사이트
El fin de la sequía: el Club Sport Cartaginés es el Campeón - TSCR
https://telesancarlo[...]
2022-07-07
[3]
웹사이트
Historia
http://cartagines.cr[...]
2019-07-31
[4]
웹사이트
Segunda Década
http://cartagines.cr[...]
2019-07-31
[5]
웹사이트
Cuarta Década
http://cartagines.cr[...]
2019-07-31
[6]
웹사이트
El club que quiere acabar con una "maldición" de 73 años
https://www.bbc.com/[...]
2019-05-28
[7]
웹사이트
El Maestro: "Fello" Meza
http://cartagines.cr[...]
2019-07-31
[8]
웹사이트
Séptima Década
http://cartagines.cr[...]
2019-07-31
[9]
웹사이트
Octava Decada
http://cartagines.cr[...]
2019-07-31
[10]
웹사이트
Novena Década
http://cartagines.cr[...]
2019-07-31
[11]
웹사이트
"'Chiqui' Brenes llega a los 100 goles en Primera División en triunfo de Cartaginés sobre Liberia {{!}} Teletica"
https://www.teletica[...]
2019-05-29
[12]
웹사이트
Histórico grito de Vive-Vive: Cartaginés campeón nacional luego de 81 años {{!}} Crhoy.com
https://www.crhoy.co[...]
2022-12-22
[13]
웹사이트
Cartaginés es campeón del Torneo de Copa tras remontar y derrotar 3-2 a Saprissa
https://www.nacion.c[...]
2022-12-22
[14]
웹사이트
¡Vive, vive! Cartaginés vence al Herediano en penales y se proclama bicampeón del Torneo de Copa
https://www.elpais.c[...]
2022-12-22
[15]
웹사이트
Cartaginés cierra su año soñado con un nuevo título {{!}} Crhoy.com
https://www.crhoy.co[...]
2022-12-22
[16]
웹사이트
Brumosos y florenses por su segunda estrella en Supercopa
https://costaricamed[...]
2022-12-22
[17]
웹사이트
UNAFUT - SITIO OFICIAL - Ciento trece años de rica historia azul y blanco
http://www.unafut.co[...]
2019-07-31
[18]
웹사이트
PROXIMO TORNEO DE INVIERNO LLEVARA EL NOMBRE DE LEONEL HERNANDEZ VALERIN
http://www.micartago[...]
2019-07-31
[19]
웹사이트
Cartaginés TV: Marco Tulio Hidalgo Alfaro
http://cartagines.cr[...]
2019-08-09
[20]
웹사이트
C.S. CARTAGINÉS
http://www.balletazu[...]
2019-08-09
[21]
웹사이트
El elegante billarista del fútbol: Leonel Hernández
http://cartagines.cr[...]
2019-07-31
[22]
웹사이트
Chiqui Brenes se despide del fútbol: 'Gracias Cartaginés por nacer, crecer y vivir un sueño contigo'
https://teletica.com[...]
2019-07-31
[23]
웹사이트
Chiqui Brenes llega a 78 goles con Cartaginés y es el segundo goleador histórico del club
https://everardoherr[...]
2019-07-31
[24]
웹사이트
Todos los goles de Marcel Hernández Campanioni en su carrera
https://www.fichajes[...]
[25]
웹사이트
ALEXIS GOÑI "EL REY DEL CABEZASO" A LA GALERIA DEL DEPORTE
http://www.micartago[...]
2019-08-09
[26]
뉴스
Checo dirigirá al Cartaginés
http://www.nacion.co[...]
Nación
[27]
뉴스
Javier Delgado queda fuera del Cartaginés
http://www.nacion.co[...]
Nación
[28]
뉴스
Cartaginés presentará este martes a Maurico Wright como su nuevo técnico
http://www.aldia.cr/[...]
Al Día
2014-12-31
[29]
뉴스
Enrique Meza Jr. es el nuevo técnico de Cartaginés
http://www.nacion.co[...]
Nación
[30]
뉴스
Cartaginés eligió a Claudio Ciccia como técnico permanente
http://www.nacion.co[...]
Nación
[31]
문서
リーグ優勝6回を記録しているCSラ・リベルタ(現在アマチュアリーグ所属)は1905年創設
[32]
Facebook
Página Oficial
https://www.facebook[...]
[33]
문서
CONCACAFチャンピオンズリーグの前身の大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