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vil War (노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ivil War"는 건즈 앤 로지스의 멤버 억슬 로즈, 슬래시, 더프 맥케이건이 공동 작곡한 곡이다. 1990년 발매된 이 곡은 미국 남북 전쟁 노래 "존이 집으로 돌아올 때"의 멜로디를 차용하고, 영화 대사 및 페루 게릴라 장교의 연설을 샘플링하여 전쟁의 비극성과 소통 부재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Civil War"는 빌보드 메인스트림 록 차트 4위에 올랐으며, 1980년대 한국 민주화 운동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즈 앤 로지스의 노래 - Live and Let Die
폴 매카트니와 윙스가 1973년 영화 《007 죽느냐 사느냐》의 주제곡으로 발표한 "Live and Let Die"는 상업적 성공과 아카데미상 후보 지명에 이어 1991년 건즈 앤 로지스의 리메이크로도 큰 인기를 얻었다. - 건즈 앤 로지스의 노래 - Paradise City
Paradise City는 건즈 앤 로지스의 데뷔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다양한 장르적 요소를 혼합하여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에 포함되는 등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 1990년 노래 -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는 U2의 1987년 음반 《The Joshua Tree》에 수록된 곡으로, 가스펠 음악 영향을 받아 영적인 갈망과 의심을 노래하며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기록했고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커버되기도 했다. - 1990년 노래 - Holy Smoke (노래)
Holy Smoke는 아이언 메이든이 1990년에 발매한 노래로, 텔레비전 복음주의자들의 스캔들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영국 싱글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 반전가 - Happy Xmas (War Is Over)
Happy Xmas (War Is Over)는 존 레논과 오노 요코가 1971년에 발표한 반전 크리스마스 노래로, 평화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사회적 통합과 평화를 촉구하며, 시간이 지나 크리스마스 시즌의 대표곡으로 자리 잡았다. - 반전가 - Imagine (존 레논의 노래)
〈Imagine〉은 존 레논이 1971년 발표한 솔로곡으로, 오노 요코의 시집에서 영감을 받아 종교, 국가, 재산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상상하는 가사를 담아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사랑받고 있다.
Civil War (노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곡 정보 | |
![]() | |
장르 | 하드 록 프로그레시브 록 |
길이 | 7분 40초 |
레이블 | 게펜 |
작곡가 | 액슬 로즈 슬래시 더프 맥케이건 |
프로듀서 | 마이크 클링크 건즈 앤 로지스 |
싱글 정보 | |
음반 | Nobody's Child: Romanian Angel Appeal Use Your Illusion II |
B-사이드 | "Garden of Eden" (LP 버전) (독일) "Exclusive Interview with Slash" (독일) |
발매일 | 1993년 5월 3일 |
이전 싱글 | Yesterdays |
이전 싱글 발매 연도 | 1992년 |
다음 싱글 | Ain't It Fun |
다음 싱글 발매 연도 | 1993년 |
2. 배경 및 제작 과정
"Civil War"는 건즈 앤 로지스의 멤버 억슬 로즈, 슬래시, 더프 맥케이건이 함께 만들었다.[4] 슬래시는 밴드가 ''Appetite for Destruction'' 월드 투어를 떠나기 직전 이 곡의 기악 버전을 구상했다고 밝혔다. 억슬 로즈는 가사를 썼으며, 밴드는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사운드 체크를 하며 곡을 완성했다.[4]
"Civil War"는 제목처럼 '내전'을 주제로, 전쟁의 참혹함과 무의미함을 비판하는 가사를 담고 있다. 가사는 전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폭력, 증오, 파괴, 그리고 그로 인한 인간성 상실을 고발한다.[4] 특히, "What's so civil about war anyway?" (도대체 전쟁에 문명적인 것이 어디 있나?)라는 질문을 통해 전쟁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를 제기한다.[4]
"Civil War"는 ''빌보드''의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4위에 올랐다. ''케랑!''은 이 곡을 건즈 앤 로지스의 14번째 최고의 곡으로 선정했다.[6]
이 곡은 1990년 팜 에이드에서 처음 연주되었으며, 드러머 스티븐 애들러와 함께 연주된 유일한 곡이기도 하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건즈 앤 로지스의 콘서트에서 여러 차례 연주되었다. 1993년 이후 한동안 연주되지 않다가, 2011년 12월 4일 테네시주 내슈빌의 브리지스톤 아레나에서 다시 공연되기 시작했다. 2019년 기준으로 이 곡은 거의 모든 공연에서 연주되고 있으며, 2022년부터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항의와 우크라이나 지지의 의미로 공연 중 화면에 우크라이나 국기가 표시되고 있다.
"Civil War"는 건즈 앤 로지스의 멤버인 억슬 로즈, 슬래시, 더프 맥케이건의 아이디어로 만들어졌다. 슬래시는 밴드가 ''Appetite for Destruction'' 월드 투어의 일본 공연을 떠나기 직전에 자신이 쓴 기악곡이라고 말했다. 억슬 로즈가 가사를 썼고, 이 곡은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사운드체크를 하면서 제대로 된 곡으로 만들어졌다.[4] 1993년 9월 27일, 더프 맥케이건은 ''Rockline'' 인터뷰에서 이 노래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Civil War"는 영국, 독일, 호주,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버전의 CD로 발매되었다. 각 CD에는 수록곡과 구성에 차이가 있다.
1993년 9월 27일, 더프 맥케이건은 ''Rockline'' 인터뷰에서 이 곡의 제작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기본적으로 사운드 체크 때 하던 리프였어요. 억슬이 처음에 몇 줄을 썼죠. 그리고... 어릴 때 엄마랑 평화 행진에 참여했어요. 네 살 때였는데, 마틴 루터 킹을 위해서였죠. 그래서 "평화가 영원할 수 있다고 말한 사람을 쏜 때 검은 완장을 착용했었나?"라는 가사가 나온 거예요. 그냥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거죠.[5]
3. 가사 내용 및 사회적 메시지
노래 중간에는 1967년 영화 "Cool Hand Luke"에서 스트로더 마틴의 대사 ("우리가 여기서 겪는 문제는... 소통의 실패")[9]와 "인민 전쟁이 진전될수록 평화는 더 가까워집니다."라고 말하는 페루 광명 게릴라 장교의 연설[10]이 샘플링되어, 전쟁과 폭력의 악순환을 더욱 강조한다.
또한 이 곡은 미국 남북 전쟁 노래 "존이 집으로 돌아올 때"를 포함하며, 오프닝과 엔딩에서 액슬 로즈가 휘파람을 분다.
4. 반응 및 평가
5. 라이브 공연
6. 참여
기본적으로 사운드 체크 때 하던 리프였어요. 억슬이 처음에 몇 줄을 썼죠. 그리고... 어릴 때 엄마랑 평화 행진에 참여했어요. 네 살 때였는데, 마틴 루터 킹을 위해서였죠. 그래서 "평화가 영원할 수 있다고 말한 사람을 쏜 때 검은 완장을 착용했었나?"라는 가사가 나온 거예요. 그냥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거죠.영어[5]참여자 역할 W. 엑슬 로즈 리드 보컬, 휘파람 슬래시 리드 기타, 어쿠스틱 기타 이지 스트래들린 리듬 기타, 백 보컬 더프 맥케이건 베이스 기타, 백 보컬 스티븐 애들러 드럼 디지 리드 피아노, 백 보컬
7. 곡 목록
국가 곡 목록 영국 독일 호주 및 일본
7. 1. UK CD (The "Civil War" EP)
# | 제목 | 비고 |
---|---|---|
1 | "Civil War" | LP 버전 |
2 | "Garden of Eden" | LP 버전 |
3 | "Dead Horse" | LP 버전 |
4 | "슬래시 독점 인터뷰" | 1993년 3월 |
7. 2. 독일 CD
제목 | 비고 |
---|---|
Civil War | LP 버전 |
Garden of Eden | LP 버전 |
슬래시 독점 인터뷰 | 1993년 3월 |
7. 3. 호주 및 일본 CD
번호 | 제목 | 비고 |
---|---|---|
1 | Civil War | LP 버전 |
2 | Don't Damn Me | LP 버전 |
3 | Back off Bitch | LP 버전 |
4 | 슬래시 독점 인터뷰 | 1993년 3월 |
8. 차트 성적
차트 (1990) | 최고 순위 |
---|---|
빌보드 메인스트림 록 차트[7] | 4 |
차트 (1993)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7] | 45 |
플랑드르[7] | 39 |
아일랜드[7] | 15 |
네덜란드[7] | 22 |
뉴질랜드[7] | 27 |
노르웨이[7] | 10 |
스페인 (AFYVE)[7] | 2 |
영국[7] | 11 |
영국 에어플레이 (Music Week)[8] | 31 |
9.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판매량 |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ARIA) | 골드 | 35,000 |
참조
[1]
웹사이트
Every Guns N' Roses Song Ranked Worst to Best
https://ultimateclas[...]
2015-12-10
[2]
웹사이트
Guns N' Roses 'Use Your Illusion': The Stories Behind Every Song
https://ultimateclas[...]
2021-10-02
[3]
웹사이트
Guns N' Roses: 10 Essential Tracks
https://musicfeeds.c[...]
2022-06-08
[4]
서적
Slash
Harper Entertainment
2007
[5]
인터뷰
Interview
1993-09-27
[6]
웹사이트
The 20 Greatest Guns N' Roses Songs – Ranked
https://www.kerrang.[...]
2020-10-08
[7]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Fundación Autor-SGAE
2005-09
[8]
간행물
Top 50 Airplay Chart
https://www.worldrad[...]
1993-06-12
[9]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cool-movi[...]
2006-02-08
[10]
뉴스
'More War Will Bring Peace,' Say Peru's Maoists After 15,000 Die
https://www.chicagot[...]
1989-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