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 L. 무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와이트 L. 무디는 1837년 미국에서 태어나 1899년 사망한 미국의 부흥 운동가이자 설교가이다. YMCA 활동, 남북 전쟁 참전 군인 대상 설교, 영국에서의 대규모 부흥 집회 인도 등 활발한 전도 활동을 펼쳤다. 그는 노스필드 여자 신학교와 무디 성경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에도 힘썼으며, 그의 영향은 한국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무디는 19세기 후반 미국의 대중 종교를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조직력은 현대 대중 부흥 운동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기독교 평화주의자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20세기 미국 건축의 선구자로서, 독창적인 건축 양식과 유기적 건축 철학으로 낙수장, 구겐하임 미술관 등 상징적인 건축물을 남겼고 현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기독교 평화주의자 - 데이비드 델린저
    데이비드 델린저는 미국의 평화 운동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양심적 병역 거부, 시민권 운동 참여,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을 펼쳤으며, 시카고 7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고, 비폭력 저항과 사회 정의를 위해 헌신하다 2004년에 사망했다.
  • 1899년 사망 - 로자 보뇌르
    로자 보뇌르는 프랑스의 사실주의 화가이자 조각가로, 동물화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니베르네의 쟁기질》과 《말 시장》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며,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삶을 살았다.
  • 1899년 사망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00곡이 넘는 왈츠와 폴카를 작곡하여 "왈츠의 왕"으로 불리며 빈 왈츠의 유행을 선도했고, 오페레타 발전에도 기여하여 그의 음악은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 미국의 침례교도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미국의 침례교도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D. L. 무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무디, 1899년경
본명드와이트 라이먼 무디
출생일1837년 2월 5일
출생지노스필드, 매사추세츠주, 미국
사망일1899년 12월 22일
사망지노스필드, 매사추세츠주, 미국
자녀3명, 그 중 폴 드와이트 무디 포함
서명Signature of Dwight Lyman Moody (1837–1899).png
직업목사, 설교자, 신학교 교사, 저술가

2. 생애

무디는 1837년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에드윈은 작은 농부이자 석공이었고, 어머니 벳시는 아홉 아이를 키우느라 힘겨운 삶을 살았다. 무디가 4살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는 아이들을 부양하기 위해 몇몇 아이들을 숙식비를 위해 일하도록 보내야 했다. 무디도 그중 하나였으며, 하루 세 번 옥수수 가루, 죽, 우유를 먹으며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다.[2] 그는 여덟 형제자매들과 함께 유니테리언 교회에서 자랐다.[3]

17세가 된 무디는 보스턴으로 이사하여 삼촌의 신발 가게에서 일했다. 삼촌은 무디에게 마운트 버논 회중 교회에 출석할 것을 요구했고, 무디는 그곳에서 에드워드 노리스 커크 목사의 설교를 들었다. 1855년 4월, 무디는 주일학교 교사 에드워드 킴볼의 전도로 복음주의 기독교로 개종했고, 이는 복음 전도자로서의 그의 삶의 시작이었다.[4]

무디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제2차 대각성 운동의 영향으로 복음주의에 기반한 미국에서는 신학 지식보다 "실천의 장에서 쓸모가 있는지"가 중요하게 여겨졌다. 무디는 회심 후 경건한 생활을 하며 시카고에서 사업가로 성공했고, 빈곤층을 위한 주일학교를 열어 자선 사업가로도 이름을 알렸다. 1860년에는 사업을 모두 포기하고 전도와 자선 활동에 전념했으며, YMCA 활동을 통해 빈민 구제와 남북 전쟁 부상병 구호 활동을 펼쳤다.

무디는 슬럼가에 빈곤 계층을 위한 교회를 세우고 초대 목사로 활동했다. 그는 신학적 소양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평범한 정장 차림으로 노동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설교를 하여 인기를 얻었다.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무디를 "미국 복음주의의 새로운 국면에서 비할 데 없는 지도자"이자 "미국 프로테스탄티즘의 가장 중요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24]

무디의 주요 연표는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837년미국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 출생
1841년아버지 사망
1855년구두 가게 세일즈맨으로 일하며 회심
1856년시카고에서 전도 시작
1860년미국 남북 전쟁 발발, YMCA 활동
1862년에마 C. 레벨과 결혼
1871년가수 아이라 생키 만남
1872년캠벨 모건과 영국 전도 여행
1879년노스필드 여자 신학교 창립
1886년무디 성경 학교 설립
1889년무디 성경 학교 정식 개교, 루벤 토레이 보좌
1899년사망 (62세)


2. 1. 유년 시절과 초기 활동

1837년 매사추세츠 노스필드(North Field)에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아버지가 사고로 세상을 떠나면서 극심한 가난에 시달렸고, 어린 나이에 농장에서 아동노동을 해야 했다. 유니테리언 교회의 도움으로 가족이 흩어지는 일은 면했지만[27], 정규 교육은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 그쳤다.

17세 때인 1854년 시카고로 간 무디는 외삼촌의 제화점에서 영업사원으로 일하며 5년 만에 7000USD를 모을 정도로 억척스럽게 일했다. 1855년 주일학교 교사 에드워드 킴볼의 영향으로 기독교인이 된 그는 시카고 빈민가의 어린이들에게 전도하는 어린이 사역을 하였다. 당시 무디는 어린이들에게 구두 팔듯이 화려한 언변으로 전도하여, 술집을 빌려 주일학교 공과 수업을 할 정도로 많은 어린이가 모였으나, 정작 그리스도를 믿는 어린이는 없었다. 무디는 자신이 아이들을 대상으로 복음을 '영업'한 것이지, 전도한 게 아님을 깨닫게 된다.[27]

무디의 첫 번째 주일학교 수업, 시카고 노스 마켓 홀, 1876년

2. 2. 전도 활동과 부흥 운동

1860년 무디는 모든 사업을 포기하고 전도와 자선 활동에 전념하기 시작했다.[27] 시카고 빈민가에 교회를 설립하고, 구두판매원 출신다운 쉽고 설득력 있는 설교와 1870년부터 무디의 전도 사업에 참여한 가수 아이라 생키의 성가는 많은 사람들을 신앙으로 이끌었다.[27] 남북전쟁 기간에는 전쟁터에서 군인들을 대상으로 설교했는데, 많은 군인들이 무디의 설교를 듣고 회개했다고 한다.

1872년 봄, 영국으로 여행을 간 무디는 복음 전도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2] 플리머스 형제단과 교류했으며, 여러 차례 2,000명에서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을 가득 채웠다. 그의 회고록에 따르면, 식물원 궁전에서는 15,000명에서 30,000명 사이의 청중을 끌어모았다.[13] 1874년과 1875년에도 모든 집회에 수천 명의 군중이 모였다. 스코틀랜드 방문 중에는 앤드루 A. 보나의 도움과 격려를 받았다. 유명한 런던 침례교 설교자 찰스 스펄전은 무디에게 연설을 요청했고, 미국에서도 그를 홍보했다. 무디가 미국으로 돌아왔을 때, 12,000명에서 20,000명에 달하는 군중을 자주 끌어모았는데, 이는 영국에서 흔했던 것만큼 흔해졌다.[14]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과 그의 내각 관료 일부는 1876년 1월 19일에 열린 무디 집회에 참석하기도 했다.[15] 무디는 보스턴에서 뉴욕, 뉴잉글랜드 전역, 그리고 서쪽으로는 샌프란시스코까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밴쿠버에서 샌디에이고에 이르기까지 서해안의 여러 도시에서 복음 전도 집회를 열었다.[15]

무디는 찰스 스펄전이 개발한 "말 없는 책"을 홍보하여 복음 전도 사업을 도왔다. 1875년, 무디는 이 복음 전도 장치에 네 번째 색상인 금색을 추가하여 "천국을 상징"하게 했다.[16]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문맹인 수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의 메시지를 가르치는 데 사용되었고,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16]

중국에서 무디의 버전의 ''말 없는 책''을 사용하여 선교사가 설교하고 있다.


아이라 D. 생키와 함께 영국을 방문한 무디는 설교를 하고 생키는 집회에서 노래를 불렀다. 그들은 함께 기독교 찬송가 책을 출판했다. 1883년, 에든버러를 방문하여 캐러버스 클로스 선교회의 새 건물을 짓기 위해 10000GBP를 모금했다. 무디는 나중에 현재 캐러버스 기독교 센터라고 불리는 건물의 초석을 놓는 설교를 했다.[14]

무디는 중국의 개척 선교사인 허드슨 테일러를 만난 후, 기독교 선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중국 내지 선교회를 적극적으로 지원했고, 그의 회중의 많은 사람들에게 해외 봉사에 자원하도록 격려했다.[17]

1886년에는 시카고에 무디 성경 학교를 설립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다.

2. 3. 한국 선교와의 관계

D. L. 무디의 설교는 1875년 시카고 빈민가 교회 설립 당시부터 쉽고 설득력 있는 내용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으며, 가수 아이라 생키와의 협력은 이러한 감동을 더욱 증폭시켰다.[5] 이러한 무디의 활동은 아시아조선 선교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무디가 설립한 무디 성서 학교(1886년)는 해외 선교에 헌신하는 인재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4. 말년과 유산

1899년 11월 16일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서 마지막 설교를 한 후, 건강이 나빠져 기차를 타고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로 돌아왔다.[20] 친구들은 그가 이미 넉넉한 체구에 약 13.61kg 정도 더 살이 찐 것을 발견했다.[20] 그의 병은 정확히 진단되지 않았지만, 울혈성 심부전으로 추정된다.[20] 1899년 12월 26일,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0]

무디는 1879년에 노스필드 여학교를, 1881년에 마운트 허먼 남자학교를 설립했다.[11] 이 두 학교는 20세기 후반에 통합되어 현재의 남녀공학, 초교파 학교인 노스필드 마운트 허먼 학교가 되었다.[11] 무디가 사망한 지 10년 후, 시카고 애비뉴 교회는 그의 이름을 따서 무디 교회로, 시카고 성경 연구원은 무디 성경 연구원으로 개명되었다.[21]

3. 주요 특징 및 신학

D. L. 무디는 제3차 대각성 운동의 대표적인 전도자이자 목사였다. 무디의 가장 큰 특징은 신학 교육은 물론이고 제대로 된 학교 교육도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기독교 사회에서는 종교 지도자에게 신학 지식이 중요했지만, 복음주의에 기반한 미국에서는 제2차 대각성 운동 당시 찰스 피니가 가르침의 옳고 그름은 "실천의 장에서 쓸모가 있는지"를 논하는 등 신학적 엄밀성이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피니는 전직 변호사였고 기초 교육 외에도 변론 훈련을 받았지만, 무디에게는 그것조차 없었다는 점이 이전의 복음주의 전도자와는 크게 달랐다.

무디는 무학이었지만 회심 후 삼촌의 영향으로 경건한 생활을 하였고, 시카고에서 사업에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빈곤층을 위해 슬럼가에 주일학교를 열고, 시장과의 협상이나 "주일학교 채권" 발행과 같은 수단으로 성공적인 자선 사업을 펼쳐 유명해졌다. 1860년에는 모든 사업을 포기하고 전도 활동과 자선 활동에 전념했다. 같은 해 YMCA에 참여하여(나중에 회장) 빈민 구제와 남북 전쟁 부상병 및 전장 구호 활동을 펼쳤다. 자금이 바닥났지만, 무디의 인품과 활약을 높이 평가한 마을 유력자들과 사업 성공자들로부터 기부와 협력 제안이 쏟아져 그의 활동은 더욱 커져갔다.

무디는 슬럼가에 빈곤 계층을 위한 교회를 세우고 초대 목사로 활동했다. 이 교회에서 그는 신학적 소양이 전혀 없고 특정 교파에 소속되지 않았음에도, 평범한 정장을 입고 설교했다. 도시 노동자들을 고려하여 설교 시간을 정하는 배려로 전도자로서 신자들의 인기를 얻었다.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그는 미국 복음주의의 새로운 국면에서 비할 데 없는 지도자였을 뿐만 아니라 미국 프로테스탄티즘의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다"라고 평가했다[24]. 무디는 현재 세계적으로 볼 수 있는 독립 교회의 시초로 평가받고 있다. 학력은 없었지만,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는 설교를 하는 명설교가였다. 성경을 중시했지만, 요한 복음서를 펴라는 말을 듣고 구약성경을 펼쳐서 찾았을 정도로 기독교 교양이 부족했다. 영국의 최고 학부에서 설교했을 때, 그의 영어 문법 오류에 엘리트 대학생들은 불만을 터뜨렸지만[26], 그곳에서 집단 회심과 부흥(신앙 부흥)이 일어났다고 한다.

3. 1. 복음주의 신앙과 실천

무디는 철저한 복음주의 신앙에 기반하여, 성경을 중심으로 단순하고 명확한 메시지를 강조했다.[27] 그는 신학 교육을 받지 않았음에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로 복음을 전파했다.[26] 죄로부터의 회개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강조하며, 개인의 영적 체험과 변화를 중요하게 여겼다. 1855년 주일학교 교사 에드워드 킴볼의 영향으로 기독교인이 된 그는 시카고 빈민가의 어린이들에게 전도하는 어린이 사역을 하였다.[27] 그는 사회적 약자와 빈곤층에 대한 깊은 관심과 사랑을 실천하며, 자선 활동과 구제 사업에 헌신했다.[5]

3. 2. 초교파적 협력과 선교 열정

무디는 특정 교파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교단의 복음주의 지도자들과 협력하여 초교파적 부흥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찰스 스펄전과 같은 유명한 설교자들과 교류하며, 플리머스 형제단과도 협력했다.[14] 1883년에는 에든버러를 방문하여 캐러버스 클로스 선교회의 새로운 건물 건축을 위해 10000GBP를 모금하기도 했다. 무디는 후에 이 건물의 초석을 놓는 설교를 했으며, 이 건물은 현재 캐러버스 기독교 센터로 사용되고 있다.[14]

무디는 해외 선교에도 큰 관심을 가졌으며, 특히 허드슨 테일러가 이끄는 중국 내지 선교회를 적극적으로 후원했다.[17] 그는 자신의 회중들에게 해외 선교를 독려하며, 수많은 젊은이들이 선교사로 헌신하도록 이끌었다. 또한, "말 없는 책"이라는 복음 전도 도구를 활용하여 문맹자들에게도 복음을 전파하는 데 힘썼다.[16]

4. 어록


  • "성경은 당신을 죄로부터 지켜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죄가 당신을 성경으로부터 지켜줄 것이다."[28]
  • "언젠가는 무디가 죽었다는 소식을 신문에서 읽게 될 것입니다. 그 말을 한 마디도 믿지 마십시오. 그 순간 나는 지금보다 더욱 생생하게 살아 있을 것입니다. 나는 1837년에 육신으로 태어났지만 1855년 영으로 태어났습니다. 육신으로 태어난 것은 죽겠지만 영으로 태어난 것은 영원히 살 것입니다."
  • "광부는 엘리베이터로 편리하게 갱에 가서 일하지만, 그 엘리베이터를 만들기 위해서 광산주는 많은 을 들여야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은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서 외아들인 예수 그리스도를 희생시키는 대가를 치러야 했습니다."

5. 저서


  • 《견고한 성을 붙들다》 (''Holding the Fort'')
  • 《기쁜 소식》 (''Glad Tidings'')
  • 《복음을 깨달으라》 (''The Gospel Awakening'')
  • 《위대한 구원》 (''The Great Redemption'')
  • 《본향을 향하여》 (''The Way Home'')
  • 《무디의 명상록》 (''Notes From My Bible and Thought from My Library'')
  • 《천국》 (''Heaven'')
  • 《만연한 기도—무엇이 방해하는가?》 (''Prevailing Prayer—What Hinders it?'')
  • 《비밀의 힘》 (''Secret Power'')
  • 《십계명》[23]
  • 그리스도를 위한 삶—일반적인 기독교인의 삶은 어떤 모습인가.
  • 《하나님께 가는 길과 그 길을 찾는 방법》 (''The Way to God and How to Find it'')
  • 《하나님께 불가능은 없다》 (생명의말씀사, 1992년)

6. 평가

무디는 19세기 미국 복음주의 운동을 대표하는 인물로, 현대 교회와 선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쉽고 대중적인 설교 스타일은 수많은 사람들을 교회로 이끌었고, 복음주의 부흥의 기폭제가 되었다. 특히 도시 노동자와 빈민층을 대상으로 한 그의 사역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교회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 기여했다.[24] 종교 역사가 제임스 핀들레이는 무디가 "흙수저 출신에, 무식하지만, 넘치는 에너지의 원동력인 부흥 운동가"였다고 평가하며, 그의 조직력이 "현대 대중 부흥 운동의 창시자"로서 그의 경력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한다.[20]

무디는 신학 교육뿐만 아니라 제대로 된 학교 교육도 받지 못했다. 전통적인 기독교 사회에서는 신학 지식이 종교 지도자에게 중요했지만, 복음주의에 기반한 미국에서는 제2차 대각성 운동의 찰스 피니의 사례처럼 신학적 엄밀성이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무디는 무학이었지만, 시카고에서 사업과 자선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1860년부터는 전도 활동과 자선 활동에 전념했다. 그는 YMCA 활동을 통해 빈민 구제와 남북 전쟁 부상병 및 전장 구호 활동을 펼쳤다.

무디는 슬럼가에 빈곤 계층을 위한 교회를 세우고 초대 목사로 활동하면서, 샐러리맨 복장으로 설교하고 도시 노동자들을 배려하는 설교 시간을 정하는 등 신자들의 인기를 얻었다.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무디를 "미국 복음주의의 새로운 국면에서 비할 데 없는 지도자였을 뿐만 아니라 미국 프로테스탄티즘의 가장 중요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24]

무디는 학력과 초기 기독교 지식은 부족했지만,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는 설교를 하는 명설교가였다. 그는 요한 복음서를 찾으라는 말에 구약성경을 펼칠 정도로 기독교 교양이 부족했지만, 영국 최고 학부에서 설교했을 때 그의 영어 문법 오류에도 불구하고 집단 회심과 부흥(신앙 부흥)을 일으켰다고 한다.[26]

무디가 사망한 지 10년 후, 시카고 애비뉴 교회는 무디 교회로, 시카고 성경 연구원은 무디 성경 연구원으로 개명되었다.[21]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무디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리버티 선이 건조되었다.[22]

참조

[1] 서적 The Charismatic Century: The Enduring Impact of the Azusa Street Revival FaithWords 2009-06-27
[2] 서적 What Will A Man Give In Exchange For His Soul? Xlibris Corporation
[3] 서적 What Will A Man Give In Exchange For His Soul?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1-10-26
[4] 서적 Moody 1900
[5] 서적 What Will A Man Give In Exchange For His Soul? https://books.google[...] Xlibris 2011-10-26
[6] 서적 Discovering an Evangelical Heritage Harper & Row 1976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3 Wm. B. Eerdmans Publishing 2003
[8] 웹사이트 Select List of Events From Moody Church History http://www2.wheaton.[...] Wheaton College 2016-04-05
[9] 서적 Christian Worship: A Theological and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5-06-01
[10] 서적 What Will A Man Give In Exchange For His Soul?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1-10-26
[11] 웹사이트 NMH's History - Northfield Mount Hermon https://www.nmhschoo[...] 2016-10-06
[12] 서적 D. L Moody The Moody Bible Institute of Chicago
[13] 서적 What Will A Man Give In Exchange For His Soul?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1-10-26
[14] 뉴스 D.L. Moody - http://www.worthychr[...] Worthy Christian Library
[15] 서적 The Life of Dwight L. Moody https://books.google[...] The Minerva Group, Inc. 2001-06-01
[16] 서적 Austin 2007
[17] 서적 What Will A Man Give In Exchange For His Soul?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1-10-26
[18] 문서 Gustafson 2008
[19] 서적 What Will A Man Give In Exchange For His Soul?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1-10-26
[20] 문서 Moody, Dwight Lyman
[21] 서적 Evangelical America: An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American Religious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2] 서적 The Liberty Ships of World War II: A Record of the 2,710 Vessels and Their Builders, Operators and Namesakes, with a History of the Jeremiah O'Brie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7-12-07
[23] 웹사이트 THE TEN COMMANDMENTS text by D. L. Moody http://www.fbinstitu[...] 2009-09-19
[24] 문서 アメリカの反知性主義
[25] 웹사이트 Our Histroy https://www.nmhschoo[...] Northfield Mount Hermon School
[26] 문서 文法の問題は、ムーディーに対する批判としては終生つきまとった
[27] 문서 신앙 인물 만화 06 - 드와이트 무디
[28] 서적 주일학교 교사가 알아야 할 24가지 비결 드림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