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 미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SP 미디어는 199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로, 1990년대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 등을 시작으로 2000년대 SS501, 카라, 레인보우, 에이프릴, 카드, 미래소년 등 여러 아이돌 그룹을 배출했다. 창립자 이호연 대표의 뇌출혈 이후 경영난을 겪었으며, 2022년 RBW에 인수되었다. 현재는 연예 매니지먼트, 음반 기획 및 제작, 방송 프로그램 제작, 영화 제작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설립된 출판사 - 후지미 쇼보
후지미 쇼보는 가도카와 쇼텐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라이트 노벨, 만화 등을 출판하며 《슬레이어즈》, 《풀 메탈 패닉!》 같은 인기작을 배출했으나, KADOKAWA에 흡수 합병된 후 브랜드 페이지마저 폐쇄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진 일본의 출판사이다. - 1991년 설립된 출판사 - 캐시 머니 레코드
캐시 머니 레코드는 1991년 설립된 미국의 레코드 레이블로, 유니버설 레코드와의 계약을 통해 전국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릴 웨인 등 유명 아티스트를 배출했다. - DSP 미디어 - 박정민 (가수)
박정민은 2005년 그룹 SS501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로, 솔로 활동과 일본 활동명 '로미오'로도 알려져 있으며, 음악, 뮤지컬,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작사, 작곡,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DSP 미디어 - 김현중
김현중은 2005년 그룹 SS501의 리더로 데뷔하여 드라마 《꽃보다 남자》를 통해 아시아 한류스타로 발돋움한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로, 솔로 활동과 연기 활동을 이어가며 인기를 얻었으나 전 여자친구와의 법적 분쟁으로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음반사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 대한민국의 음반사 -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스타덤 엔터테인먼트는 조PD가 1998년 설립한 힙합 레이블로, 블락비 등을 데뷔시켰으나 2015년 재정 문제로 후너스 엔터테인먼트에 인수 합병되어 해체되었다.
DSP 미디어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종류 | 주식회사 (1991–2021) 자회사 (2021 이후) |
설립일 | 1991년 10월 |
이전 명칭 | 대성 엔터프라이즈 (1991–1999) DSP 엔터테인먼트 (2000–2006) DSP 엔티 (2006–2007) |
창립자 | 이호연 |
주요 인물 | 김진우 (CEO) 민명기 (총괄 프로듀서) 김진일 (배우 매니지먼트 책임자) |
모기업 | RBW (2022년 이후) |
본사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92, 안틸리아 자양 1층 |
산업 | 엔터테인먼트 |
장르 | K-pop R&B EDM 힙합 |
웹사이트 | DSP 미디어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모기업 대표 | 김진우 |
자본금 | 1억 5천만 원 (2014년) |
매출액 | 104억 원 (2014년) |
영업 이익 | 6억 3천만 원 (2014년) |
순이익 | 3억 6천만 원 (2014년) |
총 자산 | 146억 원 (2014년) |
일본 법인 | DSP 미디어 JAPAN |
2. 연혁
1991년 10월, 이호연이 한밭기획에서 독립하여 대성기획을 창립했다. 이호연은 체육교사 출신으로, 한밭기획에서 소방차를 기획하며 연예계에 입문했다. 그는 소방차의 성공을 통해 한국형 아이돌 제작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독립을 결심했다. 대성기획은 잼, 코코, 뮤 등 여러 그룹을 제작, 프로듀싱했다.
DSP 미디어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을 진행한다.
1996년에는 중학생 보이즈 듀오 IDOL을 데뷔시켰다. 이는 한국 아이돌 저연령화를 이끌었으며, '아이돌'이라는 단어를 한국 가요계에 처음 사용한 사례였다.[28]
1997년 SM엔터테인먼트의 H.O.T.에 대항하여 젝스키스를, 1998년에는 SM 엔터테인먼트의 S.E.S.에 대항하여 핑클을 데뷔시켰다. 젝스키스와 핑클은 각각 H.O.T., S.E.S.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1990년대 후반 큰 인기를 얻었다.
1999년에는 국내 최초 밴드형 아이돌 그룹 클릭비를 데뷔시켰다.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의 연이은 성공으로 대성기획은 SM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한국 가요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같은 해, 대성기획은 DSP 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했다.[2][3]
2005년에는 SS501을 데뷔시켜 동방신기, 슈퍼주니어와 함께 인기 보이그룹으로 활동하게 했다. 2006년에는 호신섬유를 합병하고 회사 이름을 DSP ENT로 변경했다.[3]
2007년에는 핑클 이후 9년 만에 카라를 데뷔시켰다. 카라는 멤버 교체 후
2008년 9월에는 회사 이름을 현재의 DSP 미디어로 변경했다.[3] 2009년에는 레인보우를 데뷔시켰는데, 이는 이호연 대표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제작한 신인이었다.
2010년 3월, 이호연 대표가 뇌출혈로 쓰러지면서 그의 아내 최미경이 대표이사직을 맡게 되었다.[3]
2011년 1월, 카라 멤버들과 소속사 간의 전속 계약 분쟁, 이른바 '카라 사태'가 발생했다.[3][4] 이 사건으로 카라는 해체 위기에 놓였으나, 한국연예제작자협회와 한국대중문화예술산업총연합의 중재로 멤버들이 복귀하며 갈등이 봉합되었다.
2012년에는 SS501 이후 7년 만에 보이그룹 에이젝스를, 일본 시장을 겨냥한 걸그룹 퓨리티를 데뷔시켰지만, 퓨리티의 국내 데뷔는 무산되었다.
2014년에는 카라의 멤버 변화 후 새 멤버 허영지를 영입, 4인조로 재편되어 '맘마미아'로 활동을 재개했다.
2015년에는 클릭비의 재결합을 지원했고, 같은 해 8월 24일, 걸그룹 에이프릴을 데뷔시켰다. 에이프릴은 멤버 변화를 거쳐 6인조로 재정비되었다.
2017년에는 혼성 그룹 카드를 데뷔시켰다.
2018년 2월 14일, 이호연 대표가 사망하면서 최미경 대표가 공식적으로 DSP 미디어를 승계했다.[5][6]
2020년, 에이프릴은 두 개의 미니앨범을 발매했고, 멤버 이나은은 여러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었다. 같은 해 8월, 클릭비 멤버였던 오종혁이 DSP미디어를 떠났다.
2021년 3월, DSP는 에이젝스 이후 9년 만에 보이그룹 미래소년을 데뷔시켰다. 한편, 에이프릴은 전 멤버 이현주의 폭로로 무기한 활동 중단에 들어갔고, 이현주는 DSP미디어를 퇴사했다.
2022년 1월, RBW가 DSP 미디어를 인수하여 자회사로 병합했다.[9] 같은 해 1월 28일, 에이프릴은 해체했고, 레이첼을 제외한 모든 에이프릴 멤버는 DSP미디어와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기획사로 이적했다.
2022년 12월, DSP 미디어는 굿펠라스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다.
2023년 5월, 솔로 가수 안예은이 DSP와 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6월, DSP는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 확장을 위해 배우 기획사 지킴엔터테인먼트와 어반웍스미디어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비츠 엔터테인먼트와 협력하여 걸그룹 영파씨를 데뷔시킨다고 발표했고, 10월 18일에 데뷔했다. 8월에는 배우 김민이 DSP 미디어와 계약을 체결했다.
2. 1. 1990년대
1991년 10월 이호연이 대성기획을 설립했다. 이호연은 한밭기획에서 소방차를 기획하며 한국형 아이돌 제작의 가능성을 보았고, 독립하여 대성기획을 차렸다. 대성기획은 잼, 코코, 뮤 등 여러 그룹의 제작 및 프로듀싱을 맡았다.
1996년에는 중학생으로 구성된 보이즈 듀오 IDOL을 데뷔시켰다. 이는 한국 아이돌의 저연령화를 이끌었으며, '아이돌'이라는 단어를 한국 가요계에 처음 사용한 사례였다.[28]
1997년 SM엔터테인먼트의 H.O.T.에 대항하여 젝스키스를 데뷔시켰다. 젝스키스는 H.O.T.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1990년대 후반 큰 인기를 얻었다.
1998년에는 SM 엔터테인먼트의 S.E.S.에 대항하여 핑클을 데뷔시켰다. 핑클은 S.E.S.와 라이벌 구도를 이루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99년에는 국내 최초 밴드형 아이돌 그룹 클릭비를 데뷔시켰다.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의 연이은 성공으로 대성기획은 SM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한국 가요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같은 해, 대성기획은 DSP 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했다.[2][3]
2. 2. 2000년대
2000년대 DSP는 보이그룹과 걸그룹 양쪽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2005년에는 SS501을 데뷔시켜 동방신기, 슈퍼주니어와 함께 인기 보이그룹으로 활동하게 했다.[2] 2006년에는 호신섬유를 합병하고 회사 이름을 DSP ENT로 변경했다.[3]
2007년에는 핑클 이후 9년 만에 카라를 데뷔시켰다. 카라는 김성희 탈퇴 후 구하라, 강지영을 영입하여
2008년 9월에는 회사 이름을 현재의 DSP 미디어로 변경했다.[3] 2009년에는 레인보우를 데뷔시켰는데, 이는 이호연 대표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제작한 신인이었다.
2. 3. 2010년대
2010년 3월, 이호연 대표가 뇌출혈로 쓰러지면서 그의 아내 최미경이 대표이사직을 맡게 되었다.[3] 이호연 대표의 부재는 DSP 미디어의 경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듬해인 2011년 1월, 카라 멤버들과 소속사 간의 전속 계약 분쟁, 이른바 '카라 사태'가 발생했다.[3][4] 이 사건으로 카라는 해체 위기에 놓였으나, 한국연예제작자협회와 한국대중문화예술산업총연합의 중재로 멤버들이 복귀하며 갈등이 봉합되었다.
2012년에는 SS501 이후 7년 만에 보이그룹 에이젝스를 선보였다. 에이젝스는 일본에서 주로 활동했으나, 이전 DSP 소속 그룹들만큼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같은 해, 일본 시장을 겨냥한 걸그룹 퓨리티를 데뷔시켰지만, 국내 데뷔는 무산되었다.
2014년에는 카라의 멤버 박규리, 니콜의 탈퇴 후 새 멤버를 영입하기 위한 오디션 프로그램 《카라 프로젝트: 카라 더 비기닝》을 통해 허영지를 선발했다. 허영지 영입 후 카라는 4인조로 재편되어 미니앨범 《Day & Night (EP)》를 발매하고 타이틀곡 '맘마미아'로 활동을 재개했다.
2015년에는 클릭비의 재결합을 지원했다.
같은 해 8월 24일, 걸그룹 에이프릴을 데뷔시켰다. 에이프릴은 《카라 프로젝트: 카라 더 비기닝》에 출연했던 전소민, 김채원을 포함하여 6인조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리더 전소민은 첫 앨범 활동 후 탈퇴했고, 이후 에이프릴은 5인조로 활동했다. 2016년 멤버 이현주의 건강 문제로 인한 활동 중단 및 탈퇴 후, 프로듀스 101 출신 윤채경과 레이첼을 영입하여 6인조로 재정비했다.
2017년에는 혼성 그룹 카드를 데뷔시켰다.
2018년 2월 14일, 이호연 대표가 오랜 투병 끝에 사망하면서 최미경 대표가 공식적으로 DSP 미디어를 승계했다.[5][6]
2. 4. 2020년대
2020년, 에이프릴은 두 개의 미니앨범을 연달아 발매하며 활발히 활동했다. 특히, 멤버 이나은은 SBS 인기가요 MC를 맡고 여러 예능 프로그램과 광고에 출연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다른 에이프릴 멤버들도 각자 개인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냈다.[36] 같은 해 8월, 클릭비 멤버였던 오종혁이 DSP미디어를 떠나면서 클릭비 멤버 전원이 소속사를 떠났다.
2021년 3월, DSP는 에이젝스 이후 9년 만에 보이그룹 미래소년을 데뷔시켰다.[8] 미래소년에는 프로듀스 X 101 출신 손동표가 포함되었다. 한편, 에이프릴은 새 앨범 발매를 계획했으나, 전 멤버 이현주가 원년 멤버들에게 집단 괴롭힘을 당했다는 폭로로 무기한 활동 중단에 들어갔다. DSP미디어는 괴롭힘 사실을 부인하며 이현주와 법적 공방을 벌였고, 이현주는 2021년 6월 DSP미디어를 퇴사했다.[36]
2022년 1월 26일, RBW가 DSP 미디어 지분 39.1%를 인수하여 자회사로 병합한다고 발표했다.[9] 2022년 2월, RBW에 최종 인수되어 RBW 산하 레이블이 되었다.
2022년 1월 28일, 에이프릴은 7년간의 활동을 마치고 해체했다. DSP미디어는 멤버들과 심도 있는 대화 끝에 팀 해체를 결정하고, 멤버들의 솔로 활동을 지원하기로 했다.[36] 레이첼을 제외한 모든 에이프릴 멤버는 DSP미디어와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기획사로 이적했다. 김채원은 장군엔터테인먼트, 이나은은 나무엑터스, 이진솔은 STORY&PLUS, 양예나는 스타베이스, 윤채경은 매니지먼트 에이엠나인과 전속계약을 맺었다. DSP미디어를 떠나 무소속으로 활동하던 이현주는 2023년 3월, 1592스튜디오와 전속 계약을 맺었다.[36]
2022년 12월 14일, DSP 미디어는 굿펠라스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여 프로듀서 이석주, 작곡가 이율이, 가수 이진재, 듀오 베이비 블루가 DSP에 합류하고, 굿펠라스 엔터테인먼트의 민명기 대표는 DSP의 수석 프로듀서로 임명되었다고 발표했다.[10]
2023년 5월 13일, 솔로 가수 안예은이 DSP와 계약을 체결했다.[11]
2023년 6월 1일, DSP는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 확장을 위해 배우 기획사 지킴엔터테인먼트와 어반웍스미디어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어반웍스미디어는 2022년 12월 RBW에 인수되었다. 지킴엔터테인먼트의 전 대표 김진일이 DSP에서 배우 부서를 이끌게 될 예정이다.[12]
2023년 6월 22일, DSP 미디어는 비츠 엔터테인먼트와 협력하여 에이프릴 (2015) 이후 첫 걸그룹으로, 올해 하반기에 새로운 5인조 걸그룹을 데뷔시킨다고 발표했다.[13] 그룹 이름 영파씨는 7월 12일에 공개되었다.[14] 이 그룹은 7월 16일 서울에서 열린 RBW 2023 Summer Fes ~Over The Rainbow~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15], 10월 18일에 데뷔했다.[16][17]
2023년 8월, 배우 김민이 DSP 미디어와 계약을 체결했다.[18]
3. 주요 사업
사업 분야 설명 연예 매니지먼트 소속 아티스트들의 활동 기획 및 지원 음반 기획 및 제작, 유통 소속 및 외부 아티스트들의 음반을 기획, 제작, 유통 레코딩 스튜디오 음반 제작 스튜디오 운영 영상 프로덕션 드라마, 예능, 영화 등 영상 콘텐츠 제작 및 투자
3. 1. 연예 매니지먼트
DSP 미디어는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을 통해 소속 아티스트들의 활동을 기획하고 지원한다. 여기에는 아이돌 그룹, 솔로 가수, 배우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들이 포함된다.
1990년대 후반, DSP 미디어(당시 대성기획)는 젝스키스, Fin.K.L., 클릭비 등의 성공으로 SM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한국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레이블 중 하나로 성장했다.[2][3]
2010년, 이호연 대표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그의 아내 최미경이 회사를 운영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카라 멤버들이 계약 해지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3][4]
이후 DSP 미디어는 에이프릴 (2015년), KARD (2017년), 미래소년 (2021년), 영파씨 (2023년) 등의 아이돌 그룹을 데뷔시켰다.
2022년에는 RBW에 인수되어 자회사로 병합되었으며,[9] 2023년에는 배우 기획사 지킴엔터테인먼트와 어반웍스미디어를 인수하여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을 확장했다.[12]
3. 2. 음반 기획 및 제작
DSP 미디어는 음반을 기획하고, 제작하며, 유통하는 사업을 한다. 소속 아티스트들의 음반뿐만 아니라, 외부 아티스트들의 음반 제작에도 참여한다.
3. 3. 방송 프로그램 제작
DSP 미디어는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제작한다. 과거 SBS에서 방영된 세잎클로버(2005), 마이 걸(2005), 연개소문(2006), 외과의사 봉달희(2007) 등의 드라마를 제작했다.
3. 4. 영화 제작
DSP 미디어는 영화 제작 및 투자 사업을 진행한다. 과거 긴급조치 19호(2002), 하트브레이커스(2008) 등의 영화를 제작했다.
4. 소속 연예인
DSP 미디어 소속 아티스트는 통틀어 "DSP 프렌즈"라고 불린다.[19]
그룹 | 솔로 가수 | 배우 |
---|---|---|
4. 1. 그룹
소속 연예인 | 구성원 | 리더 | 데뷔 | 이전 구성원 |
---|---|---|---|---|
카드 | 제이셉, BM, 전소민, 전지우 | - | 2017년 | |
가비엔제이 | 2005년 | |||
베이비블루 | 지나온, 도아윤 | - | 2020년 | |
영파씨 | 정선혜, 위연정, 지아나, 도은, 한지은 | 정선혜 | 2023년 |
4. 2. 솔로 가수
4. 3. 배우
5. 과거 소속 연예인
DSP 미디어를 거쳐간 연예인으로는 가수, 배우, 유튜버 등이 있다.
가수로는 소방차, 유열, 심신, 코코, MUE, IDOL, 마운틴, 김효수, 엄지선, 2Shai, Shyne, 선하, A'st1, 유혜인, 전재은, 캐스퍼, 최현준, 손유지, 故 안소진, 윤지성, 이기광, 장지수, 조시윤, 홍진영, NS윤지 등이 있다.
배우로는 구혜선, 최할리, 최배영, 송찬익, 강민희, 박시현, 서지수, 소원, 손담비 등이 있다.
도로시는 DSP 미디어 소속 유튜버였다.
5. 1. 가수
잼,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 SS501, 카라, 레인보우, 에이젝스, 에이프릴, 미래소년 등은 DSP 미디어 소속 가수였다.[36]★ | 그룹 | 멤버 | 탈퇴 멤버 | 활동 기간 |
---|---|---|---|---|
잼 | 조진수, 윤현숙, 황현민, 신성빈, 김현준 | - | 1992년 - 1995년 | |
젝스키스 | 은지원、이재진, 김재덕, 장수원 | 강성훈, 고지용 | 1997년 - 2000년 | |
핑클 | 이효리、옥주현、이진、성유리 | - | 1998년 - 2005년 | |
클릭비 | 강후, 우연석, 오종혁, 김상혁 | 하현곤, 유호석, 노민혁 | 1999년 - 2005년 | |
SS501 | 김현중、허영생、김규종、박정민、김형준 | - | 2005년 - 2011년 | |
카라 | 박규리、한승연、구하라、허영지 | 김성희, 정니콜、강지영 | 2007년 - 2016년 | |
레인보우 | 재경, 우리, 승아, 노을, 윤혜, 지숙, 현영 | - | 2009년 - 2016년 | |
에이젝스 | 형곤, 윤영, 승엽, 승진, 중희 | 지후, 성민, 재형 | 2012년 - 2019년 | |
에이프릴 | 채경、채원, 나은, 예나, 레이첼, 진솔 | 소민, 현주 | 2015년 - 2022년 | |
미래소년 | 리안, 준혁, 도현, 카엘, 동표, 시영, 유빈 | - | 2021년 - 2024년[25] |
5. 2. 배우
이현주[38], 오현경[39], 박소현[40], 이승연[41], 이본[42]6. 논란 및 사건 사고
DSP 미디어와 관련하여 여러 논란 및 사건 사고들이 있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이호연 대표의 뇌출혈 및 경영권 승계, 카라 사태, 에이프릴 이현주 왕따 논란 등이 있다.
6. 1. 이호연 대표 뇌출혈 및 경영권 승계
2010년 3월, 이호연 대표는 술자리를 마치고 귀가하던 중 뇌출혈 증세를 보여 쓰러졌다.[3]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으나, 거동이 불편해져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게 되었고, 그의 아내인 최미경 씨가 DSP 미디어의 경영을 맡게 되었다.[3] 이호연 대표는 회사의 성공에 큰 영향을 준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그의 부재는 이후 회사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다.[3]최미경 대표가 경영을 맡은 후, 카라 멤버들이 DSP 미디어와의 계약 해지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3][4]
2018년 2월 14일, 이호연 대표는 오랜 투병 끝에 64세의 나이로 사망했고,[5][6] 최미경 대표가 공식적으로 경영권을 승계했다.
6. 2. 카라 사태
2010년 3월, 이호연 대표가 뇌출혈로 쓰러진 후, 그의 아내 최미경 씨가 경영을 맡게 되었다.[36] 이듬해인 2011년 1월, 카라 멤버들과 소속사 간에 전속 계약 조건을 둘러싼 분쟁, 이른바 '카라 사태'가 발생했다.[36] 이 사건으로 카라는 해체 직전까지 갔으나, 한국연예제작자협회(연제협)와 가수협회의 중재로 멤버들이 복귀하며 마무리되었다.[36]6. 3. 에이프릴 이현주 왕따 논란
2021년 3월, 에이프릴의 전 멤버 이현주가 그룹 활동 당시 멤버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했다고 폭로했다.[36] DSP 미디어는 이를 부인하며 이현주를 상대로 법적 공방을 벌였으나, 이현주는 2021년 6월 DSP 미디어를 퇴사했다.[36]2022년 1월 28일, 에이프릴은 7년간의 활동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DSP 미디어는 멤버들과 에이프릴의 활동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쳤으나, 팀을 해체하고 멤버들의 개별 활동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36] 해체 후 레이첼을 제외한 모든 멤버들은 DSP 미디어와 전속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기획사로 이적했다. 김채원은 장군엔터테인먼트, 이나은은 나무엑터스, 이진솔은 STORY&PLUS, 양예나는 스타베이스, 윤채경은 매니지먼트 에이엠나인과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 DSP 미디어를 떠나 무소속으로 활동하던 이현주는 2023년 3월, 1592스튜디오와 전속 계약을 맺었다.[36]
7. 평가
DSP 미디어는 대한민국 아이돌 산업의 선구자 중 하나로, 소방차를 시작으로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 등 많은 인기 아이돌 그룹을 배출하며 SM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1, 2세대 아이돌 시장을 이끌었다.[2][3] H.O.T.와 젝스키스, S.E.S.와 핑클은 대표적인 라이벌 구도를 형성했다.
일각에서는 DSP 미디어가 SM 엔터테인먼트를 모방한다는 비판도 있었지만, 후발 주자임에도 대등한 수준의 그룹을 만들어내는 능력은 인정받았다. 창업자 이호연은 소속 연예인들과 두터운 신뢰 관계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유리와 은지원은 전속 계약서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2010년 이호연 대표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DSP 미디어는 경영난을 겪으며 쇠퇴하기 시작했다.[3] 2011년 카라 멤버들의 계약 해지 요구 사태는 이호연의 부재로 인한 소통 부재가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3] 이는 후계자 육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된다. 2018년 이호연 대표가 사망하고, 카라마저 활동을 종료하면서 DSP 미디어는 2022년 RBW에 인수되었다.
7. 1. 긍정적 평가
SM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한국 아이돌 1세대와 2세대를 이끌었다. 과거 소속 그룹들은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과 경쟁 관계로 비교되곤 했다. H.O.T.와 젝스키스, S.E.S.와 핑클, 신화와 클릭비, 동방신기와 SS501, 소녀시대와 카라가 대표적이다.[2][3] 특히 90년대 후반에는 H.O.T. (5명)보다 많은 젝스키스 (6명), S.E.S. (3명)보다 많은 핑클 (4명), 신화 (6명)보다 많은 클릭비 (7명) 등 SM 그룹보다 멤버 수를 1명 더 많이 구성하여 데뷔시키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DSP는 항상 SM을 따라 할 뿐이고 2류"라는 비판도 있었지만, 후발 주자임에도 대등한 수준의 그룹을 만들어내는 능력은 인정받았다.창업자 이호연은 솜씨 좋고 정이 많은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핑클 출신 성유리와 젝스키스 출신 은지원은 TV 프로그램에서 "전속 계약서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라고 증언할 정도로 그를 신뢰했다.
7. 2. 부정적 평가
DSP 미디어는 이호연 대표의 부재 이후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호연 대표는 2010년 3월 뇌출혈로 쓰러져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고, 그의 아내 최미경 씨가 경영을 맡게 되었다.[36] 이호연 대표의 부재는 DSP 미디어의 경영 악화로 이어졌다.이호연 대표의 부재 이후, DSP 미디어는 아티스트 관리에 소홀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대표적인 예로, 2011년 1월에는 카라 멤버들과 전속계약 조건 문제로 소송이 벌어진 '카라 사태'가 발생했다. 카라 사태는 카라의 해체 위기로 이어졌으나, 연제협과 가수협회의 중재로 멤버들이 그룹 활동에 복귀하며 마무리되었다.[36]
잦은 멤버 교체와 그룹 해체 역시 DSP 미디어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카라는 멤버 김성희의 탈퇴 이후 강지영, 구하라를 영입하여 팀을 재정비했으나, 2014년 박규리, 니콜의 탈퇴로 다시 한번 멤버 변화를 겪었다. 이후 허영지를 영입하여 4인 체제로 활동했으나, 결국 2022년 1월 28일 해체되었다.[36] 에이프릴 역시 잦은 멤버 교체와 이현주 왕따 논란 끝에 2022년 1월 28일 해체되었다.[36]
DSP 미디어는 1세대 아이돌 그룹을 이끌었던 SM과 비교되면서 'SM 따라 하기', '2류 기획사'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H.O.T.와 젝스키스, S.E.S.와 핑클, 신화와 클릭비, 동방신기와 SS501, 소녀시대와 카라 등은 각각 데뷔 시기부터 경쟁적인 존재였다. 특히 90년대 후반에는 SM 그룹보다 멤버 수를 1명 더 많이 구성하여 데뷔시키는 경우가 많아 'SM 따라 하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7. 3. 종합 평가
DSP 미디어는 대한민국 아이돌 산업의 선구자 중 하나로, 1세대 아이돌 그룹인 소방차를 시작으로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 등을 배출하며 SM 엔터테인먼트와 경쟁했다. 특히 H.O.T.와 젝스키스, S.E.S.와 핑클, 신화와 클릭비, 동방신기와 SS501, 소녀시대와 카라 등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1, 2세대 아이돌 시장을 이끌었다.[2][3] 일각에서는 DSP 미디어가 SM 엔터테인먼트를 모방한다는 비판도 있었지만, 후발 주자임에도 대등한 경쟁 그룹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인정받았다.창업자 이호연은 소속 연예인들과 두터운 신뢰 관계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유리와 은지원은 이호연과의 전속 계약서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증언할 정도였다.[5][6] 2011년 카라 멤버들의 계약 해지 요구 사태는 이호연의 부재로 인한 소통 부재가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3][4]
2010년 이호연 대표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DSP 미디어는 경영난을 겪으며 쇠퇴하기 시작했다.[3] 이는 후계자 육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된다. 2018년 이호연 대표가 사망하고[5][6], 카라마저 활동을 종료하면서 DSP 미디어는 2022년 RBW에 인수되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마마무 소속사 'RBW' 젝키·핑클 배출한 DSP미디어 품는다 [시그널]
https://n.news.naver[...]
2022-01-26
[2]
웹사이트
http://www.donga.com[...]
[3]
웹사이트
http://www.hankyung.[...]
2014-09-04
[4]
웹사이트
http://media.daum.ne[...]
2011-01-19
[5]
웹사이트
이호연 대표 투병 끝 별세..DSP "곧 빈소 마련"(공식)
https://star.mt.co.k[...]
2021-03-18
[6]
웹사이트
http://entertain.nav[...]
2019-02-06
[7]
웹사이트
Soompi: DSP Launches New Social Media Accounts, Son Dong Pyo Kicks Off New DSP N V Live Channel
https://www.soompi.c[...]
2020-01-31
[8]
웹사이트
DSP N Daum Cafe: DSP N 카페 운영 안내 (February 1, 2021)
https://cafe.daum.ne[...]
2021-04-30
[9]
웹사이트
마마무 소속사 'RBW' 젝키·핑클 배출한 DSP미디어 품는다 [시그널]
https://n.news.naver[...]
2022-01-26
[10]
웹사이트
DSP미디어, 발라드 명가 굿펠라스 흡수합병 "RBW와 협력 본격화"
https://news.mt.co.k[...]
2022-12-14
[11]
웹사이트
안예은, Dsp미디어와 전속계약…허영지·카드와 한솥밥 [공식]
https://n.news.naver[...]
[12]
웹사이트
'마마무 회사' RBW, 배우 사업 더 키웠다..DSP→지킴엔터 흡수 [공식]
https://n.news.naver[...]
2023-06-01
[13]
웹사이트
DSP미디어, 5인조 신인 걸그룹 론칭
https://entertain.na[...]
Edaily
2023-06-22
[14]
웹사이트
핑클∙카라 잇는다..DSP 신인 걸그룹은 5인조 영파씨...올 하반기 데뷔 [공식]
https://entertain.na[...]
OSEN
2023-07-12
[15]
웹사이트
RBW, 오늘(16일) 첫 패밀리 콘서트..마마무+오마이걸→영파씨 총출동
https://entertain.na[...]
OSEN
2023-07-16
[16]
웹사이트
DSP Media to debut new girl group Young Posse next month
https://n.news.naver[...]
The Korea Herald
2023-09-19
[17]
웹사이트
핑클·카라만큼 성공할까...DSP 신인 영파씨 데뷔 "K팝신 청개구리"[종합]
https://entertain.na[...]
Newsen
2023-10-18
[18]
웹사이트
'카지노' 존 김민, Dsp미디어와 전속계약 "보석 같은 존재감"(공식)
https://n.news.naver[...]
[19]
문서
(KR) DSP Media: 가비엔제이 (Gavy NJ)의 새로운 목소리를 찾습니다!
http://dspmedia.co.k[...]
[20]
웹사이트
RBW to acquire half of Urban Works for 10 billion won
https://koreajoongan[...]
2022-12-29
[21]
웹사이트
'카지노' 김민, DSP미디어와 전속계약…이중옥·안서현과 한솥밥 [공식입장]
https://www.xportsne[...]
2023-08-28
[22]
웹사이트
핑클 성유리 이어 이진도 소속사 옮겨
https://m.entertain.[...]
Yunhap News
2005-07-04
[23]
웹사이트
Oh Jong-hyuk, exclusive contract with DSP expires
https://n.news.naver[...]
2020-04-27
[24]
웹사이트
April announces disbandment
http://www.mydaily.c[...]
2022-01-28
[25]
웹사이트
미래소년, 데뷔 3년만 해체 확정...손동표만 DSP 남는다[공식]
https://m.entertain.[...]
2024-07-15
[26]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newslibrary.n[...]
2018-03-03
[27]
웹사이트
Park Joon Gyu's sons Park Jong Chan and Park Jong Hyuk join DSP Media
https://www.chosun.c[...]
2013-04-18
[28]
간행물
【H.O.Tトニー・アンさんインタビュー】『応答せよ1997』特番②
https://www.youtube.[...]
2024-04-19
[29]
웹인용
가요공감 젝스키스와 YG, 원 소속사 DSP미디어의 아쉬움 - 티브이데일리 김한길 기자 2016-04-26
http://tvdaily.asiae[...]
2016-08-26
[30]
문서
RBW의 대표이다.
[31]
뉴스
가요시장에도 정권교체 바람분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1999-12-10
[32]
뉴스
오종혁의 친정 DSP는 전성기를 되찾을 수 있을까?
http://tvdaily.asiae[...]
티브이데일리
2013-04-08
[33]
뉴스
빅스타 산실 남편 쓰러진 후 ‘아내의 경영은’
http://www.hankyung.[...]
2014-09-04
[34]
뉴스
이호연 DSP 대표 오늘 별세…젝키·핑클·카라 낳은 제작자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8-02-14
[35]
뉴스
'젝키·핑클' 키운 1세대 소속사 DSP미디어, RBW에 팔린다
https://news.naver.c[...]
2022-01-27
[36]
뉴스
"'왕따 논란' 에이프릴 해체…'마의 7년' 결국 못 넘었다 [전문]"
https://enews.imbc.c[...]
IMBC 닷컴
2022-01-28
[37]
문서
[38]
뉴스
"스타제조 비법 이 책속에 있소이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네이버)
1997-10-08
[39]
뉴스
"'러브게임' 박소현 "성유리와 같은 기획사 출신..애정갖는 배우""
http://osen.mt.co.kr[...]
OSEN
2015-06-24
[40]
뉴스
대작드라마 앞세워 高성장 줄달음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네이버)
2006-08-15
[41]
뉴스
"이번엔 HOT의 이수만팀 이긴다"
http://premium.chosu[...]
조선일보
1997-07-23
[42]
문서
[4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