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morta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igimortal》은 2002년에 발매된 미국의 헤비 메탈 밴드 피어 팩토리의 네 번째 정규 앨범이다. 이 앨범은 밴드가 사운드를 단순화하여 이전보다 더 멜로디컬한 접근 방식을 시도했으며,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컨셉을 담고 있다. 《Digimortal》은 발매 첫 주에 13,000장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빌보드 200 차트 32위에 올랐으며,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드러너 레코드의 음반 - Vol. 3: (The Subliminal Verses)
《Vol. 3: (The Subliminal Verses)》는 2004년 슬립낫이 발매한 세 번째 정규 음반으로, 릭 루빈이 프로듀싱하고 "구더기 마스크" 커버가 특징이며, 여러 국가에서 인증을 받았다. - 로드러너 레코드의 음반 - Thirteen (메가데스의 음반)
메가데스의 13번째 정규 앨범인 Thirteen은 2010년 베이시스트 데이비드 엘레프슨의 복귀 후 처음 발매된 앨범으로, 조니 K의 프로듀싱 아래 기존 곡과 신곡이 함께 수록되어 빌보드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2001년 음반 - Game (박진영의 음반)
Game은 박진영이 1998년에 발표한 4집 음반으로, 자작곡 외에 유재하, 김창훈의 곡이 수록되었고 방시혁, 김형석이 편곡에 참여하여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 2001년 음반 - Discovery (쥬얼리의 음반)
쥬얼리의 데뷔 앨범인 《Discovery》는 박정아, 이지현, 정유진, 조은미 4인조의 사랑스럽고 귀여운 이미지를 강조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며 낮은 평가를 받아 멤버 교체를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 콘셉트 음반 - In the Wee Small Hours
1955년 프랭크 시나트라가 발표한 《In the Wee Small Hours》는 실연의 아픔과 새벽의 고독을 주제로 한 콘셉트 앨범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자 "성숙한" 보컬 스타일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넬슨 리들의 편곡과 시나트라의 개인적인 경험이 담긴 애절한 감성 표현이 특징이다. - 콘셉트 음반 - The Wall
The Wall은 핑크 플로이드의 록 오페라 앨범으로, 록 스타 핑크의 삶을 통해 버려짐, 폭력, 고립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멤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Digimortal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가수 | 피어 팩토리 |
음반 종류 | 정규 음반 |
장르 | 누 메탈 인더스트리얼 메탈 그루브 메탈 |
레이블 | 로드러너 레코드 |
발매일 | 2001년 4월 24일 |
녹음 | 2000년 9월 30일 - 2000년 11월 4일 |
프로듀서 | 피어 팩토리 리스 풀버 |
이전 음반 | Messiah (1999) |
다음 음반 | Concrete (2002) |
싱글 | |
싱글 1 | Linchpin (2001) |
싱글 2 | Invisible Wounds (Dark Bodies) (2001) |
2. 배경 및 녹음
밴드는 새로운 앨범의 사운드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제작 방식을 시도했다. 프로듀서를 물색하는 과정에서 밥 락을 고려했지만, 밴드는 그의 스타일이 앨범을 너무 "팝" 스타일로 만들까 우려하여 그를 선택하지 않았다. 그 후 토비 라이트와 함께 작업하려 했으나, 여러 문제로 무산되었다. 결국 밴드는 앨범 제작을 스스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사운드 진화를 위해 밴드는 이전 앨범들에 비해 멜로디컬한 접근 방식을 취하는 "단순화" 전략을 채택했다. 이로 인해 이전 앨범보다 더 대중적인 코드를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린치핀"은 원래 "머더"라는 제목으로 불렸으며, 사이프레스 힐의 B-Real이 게스트로 참여할 예정이었다. B-Real은 밴드와 함께 이 곡을 녹음했지만, 앨범에 수록되지 못했다.
2. 1. Obsolete 이후
2001년 8월 17일, 메탈 인사이더는 밴드가 다음 앨범을 위해 새 자료를 쓰고 있으며, 프로듀서인 콜린 리처드슨과 다시 작업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밴드는 또한 2002년 3월 또는 4월에 앨범을 발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01년 11월 20일, MTV 뉴스는 밴드가 "새 앨범에 대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으며, 2002년 초에 녹음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2001년 12월 21일, 밴드는 새 앨범의 제목이 Digimortal이라고 발표했다. 밴드는 또한 앨범이 2002년 3월에 발매될 것이라고 확인했다.2002년 1월 3일, MTV 뉴스는 밴드가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다이버전 스튜디오'에서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앨범은 2002년 5월 7일에 발매될 예정이다. 2002년 2월 5일, 밴드는 새 앨범의 첫 번째 싱글의 제목이 "Cyberdevil"이며, 2002년 3월 5일에 발매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02년 3월 19일, MTV 뉴스는 "Cyberdevil" 뮤직 비디오를 보도했다. 밴드는 이 뮤직 비디오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촬영했다.
2002년 3월 29일, MTV 뉴스는 밴드가 새로운 음반사, 레이블로드와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Digimortal은 2002년 4월 1일에 발매될 예정이었지만, 이후 4월 23일로 연기되었다. 앨범은 북미에서 2002년 4월 23일에 발매되었다.
2. 2. 제작 과정
밴드는 새로운 앨범의 사운드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가지 제작 방식을 시도했다. 프로듀서 물색 과정에서 처음에는 밥 락(Bob Rock)을 고려했지만, 밴드는 그가 밴드의 음악을 너무 "팝" 스타일로 만들까봐 우려하여 그를 선택하지 않았다. 그 후, 밴드는 토비 라이트(Toby Wright)와 함께 작업하기를 희망했으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무산되었다. 결국 밴드는 앨범의 제작을 스스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2. 3. 사운드 진화
사운드 진화를 위해 밴드는 "단순화" 전략을 채택했다. 이전 앨범들에 비해 멜로디컬한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이는 밴드의 음악적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그 결과, 이전 앨범들보다 더 대중적인 코드를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2. 4. 린치핀
"린치핀"은 원래 "머더"(Murder)라는 제목으로 불렸으며, 사이프레스 힐(Cypress Hill)의 B-Real이 게스트로 참여할 예정이었다. B-Real은 밴드와 함께 이 곡을 녹음했지만, 앨범에 수록되지 못했다.3. 컨셉
"Digimortal"은 "Digital Mortality"(디지털 사망성)의 줄임말로, 인간의 삶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이 앨범은 디지털 기술이 우리의 삶, 기억, 그리고 죽음에 미치는 영향을 질문하며,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존재 방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공한다.
3. 1. 인간-기계 융합
소설 《디지모탈》은 인간과 기계의 융합이라는 미래적인 주제를 다루며, 인류의 생존을 위한 상호 의존성을 그린다. 이 작품은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며, 기술 발전이 가져올 윤리적, 사회적 변화를 탐구한다. 인간은 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능력을 얻고, 이는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동시에, 기술에 대한 의존은 인간의 자율성과 정체성에 대한 위협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융합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며, 작품은 이러한 양면성을 균형 있게 제시한다. 이야기는 인류가 직면한 위협 속에서 인간과 기계가 어떻게 공존하고, 서로에게 의존하며 생존해 나가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협력은 인간의 본성과 미래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3. 2. 디지털 사망성
"Digimortal"은 "Digital Mortality"(디지털 사망성)의 줄임말로, 이 앨범의 제목은 인간의 삶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하는 방식에 대한 고찰을 담고 있다. 이는 디지털 기술이 우리의 삶, 기억, 그리고 결국에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4. 투어 및 홍보
2001년, FEAR FACTORY는 앨범 ''Digimortal'' 발매를 기념하여, 머신 헤드, 일 니뇨, 키마이라와 함께 "Roadrunner Road Rage" 투어를 진행했다. 이 투어는 2001년 4월부터 5월까지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2001년 4월에는 "Linchpin"의 뮤직 비디오가 촬영되어 MTV 등 음악 채널을 통해 공개되었다.
2002년에는 앨범 홍보를 위한 다양한 투어가 진행되었다. FEAR FACTORY는 파파 로치와 함께 투어를 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고, 그 대신 "Raid the Nation"이라는 자체 북미 투어를 5월에 시작했다. 이 투어는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스필드에서 시작하여 6월에 마무리되었으며, MUSHROOMHEAD, SW1TCH, 그리고 DOPE가 함께 참여했다. 같은 해, Static-X, Ministry, 그리고 유럽 투어에서는 고지라와 함께 공연하는 등 유럽 투어도 진행했다. 그 해 말에는 Cypress Hill의 Smoke Out 투어에서 데프톤즈, 바스타 라임스, 메소드 맨과 함께 공연했다.
한편, "Invisible Wounds (Dark Bodies)"는 영화 레지던트 이블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어 영화 개봉과 함께 라디오에서 방송되었다.
4. 1. 스노코어 투어
2001년, 피어 팩토리는 스노코어 투어에 참여하여, 당시 발매를 앞두고 있던 앨범 《Digimortal》의 컨셉을 홍보했다. 스노코어 투어는 밴드에게 중요한 홍보 기회였으며, 앨범의 사이버펑크적, 미래지향적 주제를 팬들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다. 밴드는 투어에서 신곡을 연주하며 앨범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4. 2. Raid The Nation 투어
2002년, FEAR FACTORY는 파파 로치와 투어를 함께 할 예정이었으나, 투어 시작 직전에 취소되었다. 그 대신, FEAR FACTORY는 2002년 5월에 "Raid the Nation"이라는 자체 북미 투어를 시작했다. 투어는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스필드에서 시작되었으며, 2002년 6월에 마무리되었다. 이 투어에는 MUSHROOMHEAD, SW1TCH, 그리고 DOPE가 참여했다. 투어의 취소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2002년 5월에 FEAR FACTORY는 "Raid The Nation"이라는 제목으로 북미 투어를 시작했다. 이 투어는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스필드에서 시작하여 2002년 6월에 종료되었다. MUSHROOMHEAD, SW1TCH, 그리고 DOPE가 이 투어에 함께 참여했다.
4. 3. Roadrunner Road Rage 투어
2001년, 디지모탈의 발매를 기념하여, 머신 헤드, 일 니뇨, 키마이라와 함께 "Roadrunner Road Rage" 투어를 진행했다. 이 투어는 2001년 4월에 시작하여 5월까지 진행되었다. 투어는 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열렸다.4. 4. 사이프레스 힐 Smoke Out 투어
2002년, Fear Factory는 그들의 앨범 Digimortal을 홍보하기 위해 광범위한 투어를 시작했다. 그들은 Static-X, Ministry, 그리고 그들의 유럽 투어에서는 고지라와 함께 공연했다. 그 해의 말에, Fear Factory는 Cypress Hill의 Smoke Out 투어에서 데프톤즈, 바스타 라임스, 메소드 맨과 함께 공연했다.4. 5. 뮤직비디오
"Linchpin"의 뮤직 비디오는 2001년 4월에 촬영되었고, 곧 MTV 및 다른 음악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되었다. "Invisible Wounds (Dark Bodies)"는 영화 레지던트 이블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었다. 이 곡은 영화 개봉과 함께 라디오에서도 방송되었다.5. 평가
팬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 팬들은 앨범의 멜로디적 단순함과 라디오 친화적인 사운드에 실망감을 표하며, 과거 앨범에 비해 진부해졌다고 비판했다. 반면, 새로운 사운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팬들도 있었는데, 이들은 앨범이 이전보다 대중적인 접근성을 갖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앨범의 타이틀곡인 "Digimortal"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밴드의 대표곡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5. 1. 전문가 평가
올뮤직의 보편적인 평가는 5점 만점에 4.5점을 받았고, "Digimortal"은 밴드가 처음으로 헤비 메탈 사운드를 탐구하면서도 공격적이고 실험적인 앨범이라고 평했다. 블래버마우스는 "Digimortal"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밴드가 자신들의 사운드를 혁신적으로 발전시켰다고 칭찬했다. 카오스 연대기는 앨범이 훌륭한 멜로디와 훌륭한 노래, 그리고 강력한 연주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했다. 드라우니드 인 사운드는 "Digimortal"이 이전 앨범들보다 더 일관성 있는 작품이라고 평가하며, 밴드의 성장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잡지 Q는 앨범에 대해 평범한 평가를 내렸고, 롤링 스톤은 앨범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올뮤직은 5점 만점에 4.5점을 주며, 밴드가 처음으로 헤비 메탈 사운드를 탐구하면서도 공격적이고 실험적인 앨범이라고 평했다. 블래버마우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밴드가 자신들의 사운드를 혁신적으로 발전시켰다고 칭찬했다. 카오스 연대기는 앨범의 훌륭한 멜로디, 노래, 연주력을 언급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드라우니드 인 사운드는 이전 앨범들보다 더 일관성 있는 작품이라고 평가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잡지 Q는 평범한 평가를 내렸고, 롤링 스톤은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5. 2. 상업적 성과
《Digimortal》은 발매 첫 주에 13,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빌보드 200 차트 32위에 올랐다. 이 앨범은 발매 당시 밴드의 최고 차트 기록을 세웠지만, 이후 2004년 《Archetype》이 44,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15위에 오르면서 이 기록은 깨졌다. 《Digimortal》은 2002년 2월 19일 기준으로 미국에서 217,000장이 팔렸다. 이 앨범은 캐나다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Digimortal》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올뮤직은 이 앨범에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며 "음악적으로는 훌륭하지만, 이전 작품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평했다.
```text
《Digimortal》은 발매 첫 주에 13,000장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빌보드 200 차트 32위에 올랐다. 이 앨범은 발매 당시 밴드의 최고 차트 기록을 세웠지만, 2004년 《Archetype》이 44,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15위에 오르면서 이 기록은 깨졌다. 《Digimortal》은 2002년 2월 19일 기준으로 미국에서 217,000장이 판매되었다. 또한, 캐나다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평론가들의 반응도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올뮤직은 이 앨범에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며 "음악적으로 훌륭하지만, 이전 작품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5. 3. 엇갈린 반응
팬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 팬들은 앨범의 멜로디적 단순함과 라디오 친화적인 사운드에 실망감을 표하며, 과거 앨범에 비해 진부해졌다고 비판했다. 반면, 새로운 사운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팬들도 있었는데, 이들은 앨범이 이전보다 대중적인 접근성을 갖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앨범의 타이틀곡인 "Digimortal"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밴드의 대표곡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6. 곡 목록
한정판 디지팩에는 다음의 추가 트랙이 수록되었다.
- "Deconstruction" - 3:50
- "Soul Driver (Live)" - 4:44
- "Burn It" - 2:59
- "Dominion (Live)" - 5:19
- "Hatefiles" - 3:57
- "Cars" - 3:44
6. 1. 일반 트랙
1. "Drowned" – 1:062. "Smashed" – 3:00
3. "Nothing Left" – 4:05
4. "Forced" – 4:51
5. "Deathwish" – 3:15
6. "Digimortal" – 3:01
7. "No Way Out" – 2:50
8. "Live with Pain" – 3:50
9. "Crush My Soul" – 4:05
10. "Genesis" – 1:54
11. "Buried Under" – 3:23
12. "Hurt" – 5:47
13. "I'm All That You've Got" – 3:57
6. 2. 한정판 디지팩
한정판 디지팩에는 다음의 추가 트랙이 수록되었다.- "Deconstruction" - 3:50
- "Soul Driver (Live)" - 4:44
- "Burn It" - 2:59
- "Dominion (Live)" - 5:19
- "Hatefiles" - 3:57
- "Cars" - 3:44
7. 참여진
프로그래밍은 정민혁이 담당했으며, 키보드는 김세황이 연주했다. 또한 백승찬은 보컬을, 김세황은 편곡을 맡았다. 프로듀서는 알리스테어 맥키(Alistair MacKinney)와 두피 크리스챤(Dopey Christian)이 담당했으며, 믹싱 또한 알리스테어 맥키가 맡았다. 마스터링은 제임스 머피(James Murphy)가 담당했고, 엔지니어는 알리스테어 맥키와 에드워드 디 비어(Edward De Vere)가 참여했다. 앨범의 아트 디렉터는 롭 카반(Robb Kaban)이, 사진 작가는 리 멜닉(Lee Melnick)이 담당했다.
7. 1. 피어 팩토리
레이제 로치(Rayze Roch)는 보컬을 맡고, 디노 카자레스(Dino Cazares)와 크리스티안 올데 월버스(Christian Olde Wolbers)는 기타를 연주했으며, 크리스 키스(Chris Kist)는 베이스를, 바지라 워커(Buzjira Walker)는 드럼을 담당했다.7. 2. 추가 참여진
키보드, 프로그래밍, 보컬, 편곡 등 여러 분야에서 추가 참여진들의 활약이 있었다. 키보드에는 김세황이 참여하였고, 프로그래밍은 정민혁이 담당했다. 또한 백승찬은 보컬을, 김세황은 편곡을 맡았다.7. 3. 제작진
프로듀서는 알리스테어 맥키(Alistair MacKinney)와 두피 크리스챤(Dopey Christian)이 맡았다. 믹싱은 알리스테어 맥키가, 마스터링은 제임스 머피(James Murphy)가 담당했다. 엔지니어는 알리스테어 맥키와 에드워드 디 비어(Edward De Vere)가 참여했다. 앨범의 아트 디렉터는 롭 카반(Robb Kaban)이, 사진 작가는 리 멜닉(Lee Melnick)이 맡았다.8. 차트 성적
"린치핀"은 미국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35위를 기록했다.
8. 1. 앨범 차트
《Digimortal》은 빌보드 200에서 32위, 캐나다 앨범 차트에서 37위, 인디펜던트 앨범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8. 2. 싱글 차트
"린치핀"은 미국에서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35위를 기록했다.참조
[1]
웹사이트
Nu Metal's 10 Most Underrated Albums!
http://www.worshipme[...]
2018-09-11
[2]
웹사이트
Fear Factory – Digimortal
http://www.leastwors[...]
2015-03-20
[3]
웹사이트
Fear Factory - biografia, recensioni, streaming, discografia, foto
https://www.ondarock[...]
[4]
웹사이트
Fear Factory Gets To Work On New Album
http://www.mtv.com/n[...]
2000-02-03
[5]
간행물
Roadrunner's Fear Factory Goes Sci-Fi On 'Digimortal'
https://books.google[...]
2001-04-28
[6]
웹사이트
Fear Factory Answers
http://www.roadrunne[...]
2001-03-13
[7]
뉴스
Sno-core Ball hits with metal edge
http://media.www.gwh[...]
2001-02-08
[8]
웹사이트
Fear Factory, Machine Head Ready For The Road
http://www.mtv.com/n[...]
2001-09-18
[9]
웹사이트
Digimortal – Fear Factory
"{{AllMusic|class=al[...]
[10]
웹사이트
CD Reviews
http://www.roadrunne[...]
[11]
간행물
Fear Factory - Digimortal: Review
http://www.chronicle[...]
[12]
간행물
Fear Factory: Digimortal
http://www.drownedin[...]
[13]
간행물
Fear Factory: Album Reviews: Digimortal
https://www.rollings[...]
2001-04-24
[14]
웹사이트
Fear Factory Shutting Down
http://www.mtv.com/n[...]
2002-03-07
[15]
웹인용
Digimortal - Fear Factory
"{{올뮤직|class=album|i[...]
AllMusic
[16]
웹인용
CD Reviews
http://www.roadrunne[...]
Blabbermouth.net
[17]
웹인용
Fear Factory - Digimortal: Review
http://www.chronicle[...]
Chronicles of Chaos
[18]
웹인용
Fear Factory: Digimortal
http://www.drownedin[...]
2007-04-19
[19]
웹인용
Fear Factory: Album Reviews: Digimortal
https://www.rollings[...]
2001-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