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SPO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SPO(동시베리아-태평양 송유관)는 러시아의 타이셰트에서 태평양 연안 코즈미노까지 4,857km에 이르는 송유관이다. 1970년대에 건설 논의가 시작되어, 2006년 4월에 공사가 시작되었고 2012년 12월 2단계 구간이 완공되었다. 러시아와 중국 간 에너지 협력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중국으로 향하는 지선도 포함한다. ESPO는 초기 하루 60만 배럴의 수송 능력을 갖추었으며, 점차 확장될 예정이다. 건설 과정에서 횡령 의혹 및 중국과의 대금 지불 관련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유관 - 드루즈바 파이프라인
    드루즈바 파이프라인은 소련이 동유럽과 서유럽에 석유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한 대규모 송유관으로, 러시아에서 출발하여 유럽으로 뻗어 나가지만, 2022년 이후 일부 노선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경제 - 사할린-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토크 파이프라인
    사할린-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토크 파이프라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천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2011년 완공되어 사할린-2 가스전을 주요 공급원으로 하여 중국, 일본, 한국으로의 가스 공급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ESPO
지도
파이프라인 정보
이름동시베리아-태평양 석유 파이프라인 (ВСТО, VSTO)
종류석유
국가러시아
운영사트란스네프치
길이4857 km
수송량일일 30만 배럴 ()
방향서-동
시작점타이셰트
종점코즈미노 항 (러시아연해주)
다칭 시 (중화인민공화국헤이룽장성)
예상 완공 시기1단계: 2009년
2단계: 2012년
경유지카자친스코예
스코보로디노
병행 파이프라인야쿠티야-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토크 가스 파이프라인

2. 역사적 배경

ESPO 송유관 건설은 1970년대부터 논의되기 시작하여, 1996년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 주도로 러시아와 중국 간 에너지 협정이 체결되면서 구체화되었다.[1] 2001년 러시아 석유 회사 유코스가 앙가르스크에서 중국 다칭까지의 독립적인 송유관 건설을 제안했고,[2] 동시에 트랜스네프트는 타이셰트에서 나홋카 인근 코즈미노까지의 대체 프로젝트를 제안했다.[3] 2003년 러시아 정부는 두 프로젝트를 통합, 트랜스네프트가 건설을 담당하고 유코스가 석유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4] 이후 2004년 러시아 정부는 동시베리아 타이셰트에서 태평양 연안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페레보즈나야까지 송유관 건설을 승인했다.[5]

2. 1. 초기 논의 및 계획 (1970년대 ~ 2004년)

ESPO 송유관 건설에 대한 첫 논의는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 1996년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 주도로 러시아와 중국은 ESPO 송유관 건설 계획을 포함한 에너지 협정을 체결했다.[1] 2001년 러시아 석유 회사 유코스는 앙가르스크에서 중국 다칭까지의 독립적인 송유관 건설을 제안했다.[2] 같은 시기, 트랜스네프트는 타이셰트에서 나홋카 인근의 코즈미노까지 석유를 수송하는 대체 프로젝트를 제안했다.[3]

2003년 5월, 러시아 정부는 두 프로젝트를 통합하여 트랜스네프트가 송유관 건설을, 유코스가 석유 공급을 담당하기로 결정했다.[4] 2003년 5월 29일, 러시아와 중국은 송유관 건설 협정을 체결했다.[3] 2004년 12월 31일, 러시아 정부는 동시베리아 타이셰트에서 태평양 연안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페레보즈나야까지의 송유관 건설을 승인했다.[5]

2. 2. 건설 및 확장 (2006년 ~ 현재)

2006년 4월, 송유관 건설이 시작되었다.[6] 2008년 10월 4일, 타이셰트와 탈라칸 사이 구간은 수르구트네프테가스 소유의 알린스키 매장지에서 석유를 수송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가동되었다.[7] 2009년 5월, 1단계 구간(타이셰트-스코보로디노) 부설이 완료되었고, 같은 해 12월에는 1단계 구간 전체가 역방향으로 전환되었다. 2009년 12월 28일, 코즈미노 터미널이 블라디미르 푸틴 당시 러시아 총리의 참석 하에 개통되었다.[8]

1단계 구간 가동 후, 2단계 구간(스코보로디노-태평양) 건설이 시작되었다.[13] 그동안 석유는 스코보로디노에서 코즈미노까지 철도로 운송되었다.[9] 2012년 12월 25일, 2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10]

2. 3. 중국 지선 건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후진타오


2009년 6월, 러시아와 중국은 러시아가 중국에 매년 1,500만 톤(300000oilbbl/d)의 석유를 20년 동안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대가로 러시아 기업인 트랜스네프트(Transneft)와 로스네프트(Rosneft)에 파이프라인 및 유전 개발을 위해 250억달러 규모의 대출을 제공했다.[11]

중국으로 향하는 지선 파이프라인 건설은 2008년 4월 27일 러시아 영토에서, 2009년 5월 18일 중국 영토에서 시작되었다.[13][12] 러시아-중국 국경의 스코보로디노에서 아무르강까지 구간은 트랜스네프트가 건설했고, 러시아-중국 국경에서 다칭시까지 구간은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공사(CNPC)가 건설했다.[13] 이 파이프라인은 2010년 9월에 완공되었다.[14] 2011년 1월 1일, 러시아는 중국으로의 정기적인 석유 수송을 시작했다고 밝혔다.[15]

2017년 5월에는 이 파이프라인을 통한 중국의 원유 수입량이 1억 톤을 넘어섰으며,[56] 2017년 11월에 제2 루트 건설 공사도 완료되어 연간 3,000만 톤의 공급이 가능해졌다.[57]

3. 경로

총 4857km의 송유관은 타이셰트-카자친스코예-스보보드니-코즈미노 노선을 따라 건설되고 있다.[16] 환경 단체의 항의로, 초기 송유관 경로는 바이칼호 북쪽으로 40km 이동되었다. 부랴트 공화국을 통과하는 대신, 사하 공화국을 통과하도록 건설되었다. 1단계 구간(총 2757km)은 타이셰트에서 스보보드니까지, 2단계 구간(총 2100km)은 스보보드니에서 코즈미노까지 이어진다.[16] 스보보드니에서 분기되는 송유관은 모허를 거쳐 중국 다칭시까지 연장될 예정이다.[17] 스보보드니에서 아무르강 러시아-중국 국경까지 64km 구간, 러시아-중국 국경에서 다칭까지 992km 구간이 이어진다.

야쿠티야-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토크 가스관이 송유관과 나란히 건설될 계획이 있다.[18][19]

4. 기술적 특징

파이프라인의 초기 용량은 600000bbl/d이다. 2016년까지 1000000bbl/d까지 증가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는 1600000bbl/d까지 증가할 예정이다. 중국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라인의 용량은 600000bbl/d이다.[20]

파이프라인은 총 2.67e6m3 용량의 유류 저장 시설을 갖춘 13곳을 포함하여 32개의 펌프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장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하 공화국 올료크민스크 인근에 35MW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이 발전소는 ESPO 파이프라인에서 공급되는 원유를 연료로 사용하며, 혹독한 북극 기온 조건에서도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21] 코즈미노 터미널에는 350000m3 용량의 유류 저장 시설이 있으며, 터미널의 적재 능력은 300000bbl/d이다.[20][22]

5. 건설 공사

ESPO 건설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단계 공사(ESPO-1)는 이르쿠츠크주 타이셰트에서 아무르주 스코보로디노까지 2757km 구간으로, 여러 건설사가 참여했다.[52][51] 이 과정에서 바르질라사의 원유 연소 엔진이 파이프라인 관련 발전소에 공급되었다.[21][49] 1단계 건설 비용은 122.7억달러, 수출 터미널 건설 비용은 17.4억달러였다.[24][52]

2단계 공사(ESPO-2)는 스코보로디노에서 태평양 연안까지 2100km 구간으로, 1단계 공사 이후 시작되어 2014년 완료를 목표로 했다.[54] 2단계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 원유는 스코보로디노에서 코즈미노까지 철도로 수송되었다.[53]

5. 1. 1단계 공사 (ESPO-1)

1단계 공사(ESPO-1)는 이르쿠츠크주 타이셰트에서 아무르주 스코보로디노까지 총 길이 2,757km에 달하는 구간으로, 시스테마 스펙스트로이, 크라스노다르스트로이트란스가스, 보스토크스트로이, 아멜코 인터내셔널, IP Set Spb가 건설했다.[52][51] 2008년 여름에는 바르질라사의 16V32 원유 연소 엔진 5기가 파이프라인 관련 발전소에 공급되었다.[21][49] 1단계 파이프라인 건설 비용은 122.7억달러였고, 수출 터미널 건설 비용은 17.4억달러였다.[24][52]

5. 2. 2단계 공사 (ESPO-2)

2단계 공사(ESPO-2)는 스코보로디노에서 태평양 연안 지역까지 총 2100km 구간으로, 1단계 공사 이후 건설이 시작되어 2014년까지 공사 완료를 예정하고 있다.[54] ESPO-2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 스코보로디노에서 코즈미노까지 철도로 원유가 수송되고 있다.[53]

6. 공급원

ESPO 송유관은 서시베리아의 톰스크주와 한티-만시 자치구(유그라) 유전에서 옴스크-이르쿠츠크 송유관을 통해 타이셰트까지 원유를 운송하여 공급받는다. 타이셰트에서는 동시베리아 유전의 원유도 ESPO 송유관에 합류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로스네프트가 2,200만 톤, 수르구트네프테가스가 800만 톤의 원유를 공급한다.

7. 논란

알렉세이 나발니는 2010년 11월, 트랜스네프트 경영진이 ESPO 파이프라인 건설 과정에서 40억달러를 횡령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25][58] 니콜라이 토카레프 트랜스네프트 대표는 이를 부인했다.[25][58]

2011년에는 송유관 원유 수송 대금 지불 문제로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공사(CNPC)와 분쟁이 발생했다. 트란스네프트는 CNPC가 계약을 위반했다고 주장했지만, CNPC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 계약은 합의된 가격 공식에 따라 월별 원유 수송량을 규정하며, 이는 현물 가격보다 낮았다.[26][27]

2011년 1월부터 중국에 원유 공급이 시작되었으나, 중국 측이 일방적으로 1월분 대금을 감액하여 지불했다. 중국은 타이셰트에서 아무르 강 모허 현까지의 가격이 타이셰트에서 코즈미노까지의 가격과 같은 배럴당 약 8.3USD인 것은 부당하다며 해당 부분을 감액했다. 로스네프트와 트란스네프트는 소송을 준비했으나, 2012년 2월 로스네프트가 배럴당 1.5USD 할인을 제시하여 합의했고, 중국은 2011년 1월 이후 미납금 1.3억달러를 지불했다.

7. 1. 횡령 의혹

알렉세이 나발니는 2010년 11월, 트랜스네프트 경영진이 ESPO 파이프라인 건설 과정에서 40억달러를 횡령했다고 주장했다.[25][58] 니콜라이 토카레프 트랜스네프트 대표는 이러한 횡령 의혹을 부인했다.[25][58]

7. 2. 중국과의 분쟁

2011년, 송유관을 통한 원유 수송 대금 지불과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했다. 트란스네프트는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공사(CNPC)가 공급 계약을 위반했다고 주장했지만, CNPC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계약은 합의된 가격 공식에 따라 월별 원유 수송량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현물 가격보다 낮은 수준이다.[26][27]

2011년 1월부터 중국에 대한 원유 공급이 시작되었으나, 중국 측이 1월분 원유 대금을 일방적으로 감액하여 지불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중국 측은 타이셰트에서 아무르 강 모허 현까지의 가격이 타이셰트에서 코즈미노까지의 가격과 같은 배럴당 약 8.3USD인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해당 부분을 감액하여 지불했다. 로스네프트(Rosneft)와 트란스네프트는 소송을 준비하기도 했지만, 2012년 2월 로스네프트가 배럴당 1.5USD의 할인 가격을 제시하여 합의했고, 중국 측은 2011년 1월 이후 미납금 1.3억달러를 지불하여 해결했다.

8. 한국에 대한 함의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 요약 등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참조

[1] 논문 Did China Bankroll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The Role of Sino-Russian Energy Relations.In Russia's Turn to the East (pp. 95-118). https://www.research[...] Palgrave Pivot, Cham.
[2] 뉴스 China beats Japan in Russian pipeline race http://www.atimes.co[...] 2005-04-29
[3] 뉴스 China, Russia sign oil pipeline agreement http://www.chinadail[...] 2003-05-29
[4] 뉴스 China ties up Russia's crude - again http://www.atimes.co[...] 2008-11-01
[5] 뉴스 Russia approves Pacific pipeline http://news.bbc.co.u[...] 2004-12-31
[6] 뉴스 Transneft Sets to Eastern Siberia-Pacific Ocean Oil Pipeline http://www.kommersan[...] 2006-04-18
[7] 뉴스 Russia sees eastern pipeline as a "major victory" http://georgiandaily[...] The Heritage Foundation 2008-10-22
[8] 뉴스 Russia's Putin launches new Pacific oil terminal https://archive.toda[...] 2009-12-28
[9] 뉴스 China, Russia agree on loans for ESPO pipeline spur http://www.ogj.com/i[...] PennWell Corporation 2009-02-17
[10] 뉴스 Russia Launches Second Leg of Pacific Oil Pipeline http://en.ria.ru/bus[...] 2012-12-25
[11] 뉴스 Russia Agrees to $25 Billion Oil-for-Loans Deal With China https://www.bloomber[...] 2009-02-17
[12] 뉴스 Chinese Envoy to Russia: Oil Pipeline Serves Strategic Goals of Both Sides http://downstreamtod[...] Downstream Today 2009-05-11
[13] 뉴스 China to begin construction of 992-km ESPO 'extension' http://www.ogj.com/i[...] PennWell Corporation 2009-05-05
[14] 뉴스 Russian Oil Route Will Open to China https://www.wsj.com/[...] 2010-09-26
[15] 뉴스 Russia in milestone oil pipeline supply to China https://www.reuters.[...] 2011-01-01
[16] 뉴스 Transneft ready to bring ESPO Pipeline section online http://pipelinesinte[...] Scientific Surveys, Great Southern Press 2009-12-22
[17] 뉴스 Russia-China pipeline progressing http://www.upstreamo[...] NHST Media Group 2007-06-15
[18] 뉴스 Putin says ESPO may have parallel gas line http://www.ogj.com/i[...] PennWell Corporation 2009-01-29
[19] 뉴스 Russia's Gazprom mulls new liquefaction plant in country's Far East https://online.platt[...] Platts 2008-06-24
[20] 뉴스 Eastern Siberia – Pacific Ocean (ESPO) Pipeline https://web.archive.[...]
[21] 뉴스 Wartsila Announces Major Contracts for 2007 http://www.downstrea[...] Downstream Today 2007-11-14
[22] 뉴스 Transneft to start oil terminal construction in Kozmino http://vn.vladnews.r[...] Vladivostok News 2008-02-28
[23] 뉴스 Transneft cites Siberian-Pacific slow-down http://www.scandoil.[...] 2007-11-22
[24] 뉴스 Russia delays Asian oil pipeline to Q3 2009 https://web.archive.[...] 2007-12-27
[25] 뉴스 Russia's Transneft denies $4 bln theft https://web.archive.[...] 2011-01-14
[26] 뉴스 Russia, China clash over oil price, supply http://www.atimes.co[...] 2011-05-05
[27] 뉴스 Transneft: 'CNPC rift ongoing' http://www.upstreamo[...] NHST Media Group 2011-07-01
[28] 뉴스 China beats Japan in Russian pipeline race http://www.atimes.co[...] 2005-04-29
[29] 뉴스 China, Russia sign oil pipeline agreement http://www.chinadail[...] 2003-05-29
[30] 문서 本村 (2012)
[31] 뉴스 China ties up Russia's crude - again http://www.atimes.co[...] 2008-11-01
[32] 뉴스 Russia approves Pacific pipeline http://news.bbc.co.u[...] 2004-12-31
[33] 뉴스 Transneft Sets to Eastern Siberia-Pacific Ocean Oil Pipeline http://www.kommersan[...] 2006-04-18
[34] 뉴스 Russia sees eastern pipeline as a "major victory" http://georgiandaily[...] Heritage Foundation 2008-10-22
[35] 뉴스 Russia's Putin launches new Pacific oil terminal http://uk.reuters.co[...] 2009-12-28
[36] 문서 劉旭 (2010)
[37] 뉴스 Russia Agrees to $25 Billion Oil-for-Loans Deal With China http://www.bloomberg[...] 2009-02-17
[38] 문서 本村 (2012)
[39] 뉴스 Chinese Envoy to Russia: Oil Pipeline Serves Strategic Goals of Both Sides http://downstreamtod[...] Downstream Today 2009-05-11
[40] 뉴스 Russia in milestone oil pipeline supply to China http://www.reuters.c[...] 2011-01-01
[41] 뉴스 Transneft ready to bring ESPO Pipeline section online http://pipelinesinte[...] Scientific Surveys, Great Southern Press 2009-12-22
[42] 뉴스 Russia-China pipeline progressing http://www.upstreamo[...] NHST Media Group 2007-06-15
[43] 뉴스 Russia approves new ESPO pipeline route http://en.rian.ru/ru[...] 2008-03-03
[44] 뉴스 Putin says ESPO may have parallel gas line http://www.ogj.com/i[...] PennWell Corporation 2009-01-29
[45] 뉴스 Russia's Gazprom mulls new liquefaction plant in country's Far East https://online.platt[...] Platts 2008-06-24
[46] 뉴스 Work on second leg of East-Siberian pipeline could start 2015 http://en.rian.ru/ru[...] 2007-07-19
[47] 뉴스 China leg of Siberia oil pipeline to cost $600 mln - Transneft http://en.rian.ru/bu[...] 2008-10-30
[48] 뉴스 Eastern Siberia – Pacific Ocean (ESPO) Pipeline http://graphics.thom[...]
[49] 뉴스 Wartsila Announces Major Contracts for 2007 http://www.downstrea[...] Downstream Today 2007-11-14
[50] 뉴스 Transneft to start oil terminal construction in Kozmino http://vn.vladnews.r[...] Vladivostok News 2008-02-28
[51] 뉴스 Transneft cites Siberian-Pacific slow-down http://www.scandoil.[...] 2007-11-22
[52] 뉴스 Russia delays Asian oil pipeline to Q3 2009 http://uk.reuters.co[...] 2007-12-27
[53] 뉴스 China, Russia agree on loans for ESPO pipeline spur http://www.ogj.com/i[...] PennWell Corporation 2009-02-17
[54] 뉴스 China to begin construction of 992-km ESPO 'extension' http://www.ogj.com/i[...] PennWell Corporation 2009-05-05
[55] 뉴스 Russian Oil Route Will Open to China http://online.wsj.co[...] 2010-09-26
[56] 뉴스 中国・ロシア原油パイプライン、中国の輸入量が1億トンを突破 http://japanese.chin[...] 2017-05-22
[57] 뉴스 中国・ロシア原油パイプライン第2ルートが全線貫通 http://jp.xinhuanet.[...] 2017-11-13
[58] 뉴스 Russia's Transneft denies $4 bln theft http://uk.reuters.co[...] 2011-01-14
[59] 뉴스 Russia, China clash over oil price, supply http://www.atimes.co[...] 2011-05-05
[60] 뉴스 Transneft: 'CNPC rift ongoing' http://www.upstreamo[...] NHST Media Group 2011-07-01
[61] 뉴스 "[헤럴드 포럼] 극동 에너지자원 확보 삼국경쟁" https://news.naver.c[...] 2008-06-20
[62] 뉴스 푸틴 "태평양 송유관은 `전략적 프로젝트'" https://www.yna.co.k[...] 2009-12-28
[63] 뉴스 "'러시아 원유' 동북아 시장 흔든다" https://www.hankyung[...] 2009-12-24
[64] 뉴스 러, 동시베리아-태평양 송유관 통해 석유수출 다변화 https://www.fnnews.c[...] 2010-01-18
[65] 뉴스 GS칼텍스, 러시아산 원유 첫 도입 http://www.e2news.co[...] 2010-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