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은 국제 농구 연맹(FIBA)이 주관하는 여자 농구 국가대항전으로, 1953년 칠레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불규칙적으로 개최되다가 1967년부터 4년 주기로, 1986년부터는 올림픽 개최 2년 전에 열리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미국이 11번으로 최다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6년 대회는 독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대회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2026년 대회부터는 16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다. 대한민국은 1979년 대회를 개최했으며, 1967년과 1979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 2018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2018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은 스페인 테네리페 섬에서 16개국이 참가한 국제 여자 농구 대회로, 미국이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 1953년 FIBA 세계 여자 선수권 대회
    1953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제1회 FIBA 세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들의 저조한 참가율 속에 아메리카 대륙 8개국과 유럽의 프랑스, 스위스 총 10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우승, 칠레가 준우승, 프랑스가 3위를 차지했다.
  • 195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 대학 축구 최강팀을 가리는 토너먼트 대회로, 지방 대학 팀들에게 전국 레벨의 경기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1953년 시작되었으며, 대회 방식은 변화를 거쳐 2024년부터는 출전 학교 수 확대 및 경기 방식 변경으로 모든 출전 학교에게 최소 3경기 이상 참가 기회를 제공한다.
  • 195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런던 그랑프리
    런던 그랑프리는 1985년부터 시작되어 IAAF 다이아몬드 리그의 주요 대회가 되었으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최되고, 세계 기록 수립과 특별한 종목 진행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경기 대회이다.
  • 국제 농구 대회 - FIBA 3X3 월드컵
    FIBA 3x3 월드컵은 국제농구연맹 주관으로 남자부와 여자부 국가대표팀 간 3x3 농구 국제 대회이며, 팀 경기 외 덩크 콘테스트 등 개인 콘테스트도 진행된다.
  • 국제 농구 대회 - 한일 W리그 챔피언십
    한일 W리그 챔피언십은 한국과 일본 여자 프로 농구 리그 챔피언 간의 농구 대회이며, 2002년 시작하여 2008년까지 한국 팀이 전승을 거두었으나 중단되었다가 2017년 부활하여 국제농구연맹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기본 정보
종목농구
창립1953년
첫 대회1953년
참가 팀 수16
관할FIBA
최근 우승팀미국 (11번째 우승)
최다 우승팀미국 (11회 우승)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로고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로고
최근 대회
대회2026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관련 대회
남자 대회FIBA 농구 월드컵

2. 역사

국제 농구 연맹(FIBA)에 의해 1950년 처음으로 남자 농구 월드컵이 열린 지 3년 후인 1953년에 칠레에서 첫 번째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초창기 대회는 4년 또는 3년에 한 번씩 열리는 등 대회 주기가 불규칙했으나, 1967년 대회부터 4년에 한 번씩 열리는 것으로 고정되었다. 1983년 세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이후에는 올림픽이 열리기 2년 전에 대회가 열리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1986년 세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부터 적용되었다.

참가팀은 현재 16개 팀이지만, 2026년 대회부터는 다시 16개 팀으로 확대될 예정이다.[7]

1953년 칠레에서 열린 첫 대회는 10개국이 참가하였으며, 미국이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1957년 대회부터 미국과 소련 간의 라이벌 관계가 시작되었다. 1959년 대회에서는 냉전의 영향으로 미국과 동맹국들이 불참하여 동구권 국가들만 참가하였다. 소련은 이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64년 대회부터 1975년 대회까지 소련은 5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여자 농구계를 지배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도 소련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9년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는 소련동구권 국가들이 불참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은 미국이 불참한 가운데 소련이 우승했다.

1983년 대회에서 소련은 6번째 우승을 차지했지만, 미국과의 경기에서 접전을 벌이며 소련의 독주가 끝나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국은 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소련이 불참한 가운데 미국이 우승했고, 대한민국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6년 대회에서 미국은 소련을 꺾고 우승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도 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 대회에서는 소련이 5위에 그치는 이변이 일어났다.

1994년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우승하며 미국-소련 양강 구도를 깨뜨렸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부터 미국은 압도적인 실력으로 올림픽 연승 행진을 시작했다.

1998년 대회와 2002년 대회에서는 미국러시아를 꺾고 우승했다. 2006년 대회에서는 호주가 우승하며 새로운 강팀으로 부상했다.

2010년 대회부터 2022년 대회까지 미국은 4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여자 농구 최강국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26년 대회는 독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3]

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미국111214
소련6208
호주1146
브라질1012
러시아0303
체코슬로바키아0246
중국0213
대한민국0202
스페인0123
불가리아0112
칠레0101
체코0101
일본0101
유고슬라비아0101
캐나다0022
쿠바0011
프랑스0011



연도개최국결승3위 결정전참가팀
우승스코어준우승3위스코어4위
1953년칠레미국49–36칠레프랑스49–37브라질10
1957년브라질미국51–48소련체코슬로바키아83–70브라질12
1959년소련소련51–38불가리아체코슬로바키아79–43유고슬라비아8
1964년페루소련70–35체코슬로바키아불가리아46–42미국13
1967년체코슬로바키아소련83–50대한민국체코슬로바키아60–54동독11
1971년브라질소련88–69체코슬로바키아브라질70–63대한민국13
1975년콜롬비아소련106–75일본체코슬로바키아55–45이탈리아
1979년대한민국미국94–82대한민국캐나다66–57호주12
1983년브라질소련84–82미국중국71–63대한민국14
1986년소련미국108–88소련캐나다64–59체코슬로바키아12
1990년말레이시아미국88–78유고슬라비아쿠바83–61체코슬로바키아16
1994년호주브라질96–87중국미국100–95호주
1998년독일미국71–65러시아호주72–67브라질
2002년중국미국79–74러시아호주91–63대한민국
2006년브라질호주91–74러시아미국99–59브라질
2010년체코미국89–69체코스페인77–68벨라루스
2014년터키미국77–64스페인호주74–44터키
2018년스페인미국73-56호주스페인67-60벨기에
2022년호주미국83–61중국호주95–65캐나다12
2026년독일16


3. 경기 방식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은 현재 16개 팀이 참가하여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 1위 팀은 8강에 직행하고, 2위와 3위 팀은 8강 진출 결정전을 치른다.[1] 2022년 대회에서는 12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고, 각 조 상위 4팀이 준준결승에 진출했다.[2]

3. 1. 출전권

2018년 대회 기준 출전권은 다음과 같이 배분되었다.

구분내용
개최국1개국
지난 올림픽 우승국1개국
5대륙 챔피언십FIBA 아메리컵 - 3개국
FIBA 아프로바스켓 - 2개국
FIBA 유로바스켓 - 5개국
FIBA 여자 아시아컵(오세아니아 포함) - 4개국



2022년 대회 기준 출전권은 다음과 같이 배분되었다.

구분내용
개최국1개국
이전 올림픽 우승국1개국
세계 예선 대회10개국


4. 역대 대회 결과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은 1953년 칠레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현재까지 총 네 국가만이 우승을 차지했다.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개최국우승득점준우승3위득점4위
1953년미국49-36칠레프랑스49-37브라질
1957년미국51-48소련체코슬로바키아83-70브라질
1959년소련51-38불가리아체코슬로바키아79-43유고슬라비아
1964년소련70-35체코슬로바키아불가리아46-42미국
1967년소련83-50대한민국체코슬로바키아60-54동독
1971년소련88-69체코슬로바키아브라질70-63대한민국
1975년소련106-75일본체코슬로바키아55-45이탈리아
1979년미국94-82대한민국캐나다66-57오스트레일리아
1983년소련84-82미국중국71-63대한민국
1986년미국108-88소련캐나다64-59체코슬로바키아
1990년미국88-78유고슬라비아쿠바83-61체코슬로바키아
1994년브라질96-87중국미국100-95오스트레일리아
1998년미국71-65러시아오스트레일리아72-67브라질
2002년미국79-74러시아오스트레일리아91-63대한민국
2006년오스트레일리아91-74러시아미국99-59브라질
2010년미국89-69체코스페인77-68벨라루스
2014년미국77-64스페인오스트레일리아74-44터키
2018년미국73-56오스트레일리아스페인67-60벨기에
2022년미국83-61중국오스트레일리아95-65캐나다
2026년



1957년 대회는 미국과 소련 간의 오랜 라이벌 관계가 시작된 해였다. 소련은 1959년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1964년, 1967년, 1971년, 1975년, 1983년 대회까지 총 6번 우승했다. 미국은 1979년, 1986년, 1990년, 1998년, 2002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대회에서 우승하며 총 11번의 우승을 차지하여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브라질은 1994년, 오스트레일리아는 2006년에 각각 한 번씩 우승을 차지했다.

4. 1. 메달 순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역대 메달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미국111214
2소련6208
3호주1146
4브라질1012
5러시아0303
6체코슬로바키아0246
7중국0213
8대한민국0202
9스페인0123
10불가리아0112
11칠레, 체코, 일본, 유고슬라비아0101
15캐나다0022
16쿠바, 프랑스0011


  • ''기울임꼴''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국가를 나타낸다.


미국은 금메달 11개로 최다 우승국이며, 소련이 금메달 6개로 그 뒤를 잇고 있다. 호주와 브라질은 각각 금메달 1개를 획득했다.[3]

5.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의 성적

대한민국은 1967년 대회와 1979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여자 농구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1] 특히 1979년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어, 한국 농구 팬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1] 대한민국은 총 16번 본선에 진출하여, 꾸준히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1]

5. 1. 대한민국 대표팀 주요 선수 (참고)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 대표팀 주요 선수 (참고)' 섹션에 포함될 선수 목록이나 메달 정보가 없기 때문에, 요약에 있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는 "굵은 글씨는 현역 농구 선수, 모든 선수 (이 표에 포함되지 않은 선수 포함) 중 종류별 최고 메달 수를 나타냅니다."라는 문장만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만을 섹션에 포함시키는 것이 지침에 부합합니다.

굵은 글씨는 현역 농구 선수, 모든 선수 (이 표에 포함되지 않은 선수 포함) 중 종류별 최고 메달 수를 나타냅니다.

6. 종합적인 팀 결과


7. 가장 성공적인 선수

현재 활동 중인 농구 선수와 유형별 모든 선수(이 표에 포함되지 않은 선수 포함) 중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선수는 볼드체로 표시된다.

7. 1. 여러 금메달리스트

순위선수나라기간
1수 버드USA|미국영어2002 ~ 2018415
2라이사 미하일로바(쿠즈네초바)USSR|소련영어1957 ~ 1967314
2니나 포즈난스카야USSR|소련영어1957 ~ 1967314
4다이애나 터라시USA|미국영어2006 ~ 2018314
5티나 찰스USA|미국영어2010 ~ 201833
5울랴나 세묘노바USSR|소련영어1971 ~ 198333
5스카이드리테 부도브스카USSR|소련영어1959 ~ 196733
8제니퍼 아지USA|미국영어1990 ~ 1998213
8타미카 캐칭스USA|미국영어2002 ~ 2010213
8테레사 에드워즈USA|미국영어1986 ~ 1994213
8리사 레슬리USA|미국영어1994 ~ 2002213
8카트리나 맥클레인USA|미국영어1986 ~ 1994213
8델리샤 밀턴-존스USA|미국영어1998 ~ 2006213
8케이티 스미스USA|미국영어1998 ~ 2006213
8돈 스탤리USA|미국영어1994 ~ 2002213


7. 2. 여러 메달리스트

볼드체는 활동 중인 농구 선수와 유형별 모든 선수(이 표에 포함되지 않은 선수 포함) 중에서의 가장 많은 메달 수를 나타낸다. 이 표는 월드컵에서 총 4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를 보여준다.

순위선수나라기간
1수 버드align="left" |2002 ~ 2018415
2라이사 미하일로바(쿠즈네초바)align="left" |1957 ~ 1967314
니나 포즈난스카야align="left" |1957 ~ 1967314
4다이애나 터라시align="left" |2006 ~ 2018314
5밀레나 진드로바align="left" |1964 ~ 1975224


8. 역대 MVP

연도수상자
1994년 정해하
1998년 리사 레슬리
2002년 리사 레슬리
2006년 페니 테일러-길
2010년 하나 홀라코바
2014년 마야 무어
2018년 브리안나 스튜어트
2022년 에이자 윌슨


9. 연맹별 개최 횟수

연맹총 횟수(주최국) 개최 연도
FIBA 아프리카0
FIBA 아메리카7 1953, 1957, 1964, 1971, 1975, 1983, 2006
FIBA 아시아5 1979, 1990, 1994, 2002, 2022
FIBA 유럽8 1959, 1967, 1986, 1998, 2010, 2014, 2018, '2026'


참조

[1] 보도자료 Spain submits candidature to host 2018 FIBA Women's Basketball World Cup https://www.fiba.bas[...] FIBA 2014-10-31
[2] 보도자료 Mainini: calendar, system of competition and 3x3 our biggest priorities http://www.fiba.bask[...] FIBA 2012-04-20
[3] 웹사이트 FIBA Central Board approves expansion of Women's World Cup 2026 https://www.fiba.bas[...] FIBA 2022-03-25
[4] 보도자료 Spain submits candidature to host 2018 FIBA Women's Basketball World Cup http://www.fiba.com/[...] FIBA 2014-10-31
[5] 웹사이트 Germany to host the FIBA Women's Basketball World Cup 2026 https://www.fiba.bas[...] FIBA 2023-04-28
[6] 보도자료 Spain submits candidature to host 2018 FIBA Women's Basketball World Cup http://www.fiba.com/[...] FIBA 2014-10-31
[7] 보도자료 Mainini: calendar, system of competition and 3x3 our biggest priorities http://www.fiba.com/[...] FIBA 2012-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