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U LibreDWG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NU LibreDWG는 CAD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DWG 형식의 자유로운 대안을 목표로 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 DWG 형식은 오토데스크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독점 소프트웨어 형식이며, LibreDWG는 OpenDWG 라이브러리의 대안으로 시작되었다. GPLv3 라이선스 논쟁으로 인해 프로젝트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재개되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LibreDWG는 DWG 및 DXF 형식 변환을 지원하며, libdxfrw라는 GPL V2 라이선스 라이브러리도 개발되었다. 현재 최신 버전은 다양한 유니코드 디코딩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지원 설계 - 빌딩 정보 모델링
빌딩 정보 모델링(BIM)은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정보를 디지털 모델로 통합 관리하는 프로세스이다. - 컴퓨터 지원 설계 - 컴퓨터 지원 제조
컴퓨터 지원 제조(CAM)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조 공정을 제어하고 자동화하는 기술로,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작 기계 작동을 위한 NC 데이터를 생성하며 다양한 가공 방식과 차원을 지원한다. - 컴퓨터 지원 설계 소프트웨어 - 오토데스크 마야
오토데스크 마야는 웨이브프론트 테크놀로지스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1998년 출시된 3D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로, 여러 차례의 인수를 거쳐 2005년 오토데스크에 인수되어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컴퓨터 지원 설계 소프트웨어 - 엔비디아 RTX
엔비디아 RTX는 레이 트레이싱, AI 통합, CUDA를 포함한 엔비디아의 기술로, 지포스 RTX 및 RTX 시리즈 GPU에서 텐서 코어를 활용하여 DLSS와 같은 AI 기반 기술로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키고 현실감 있는 그래픽을 구현하는 데 기여한다. -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 F-Droid
F-Droid는 2010년 키어런 걸트니엑스가 설립한 안드로이드용 자유 소프트웨어 앱 저장소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없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앱을 제공하며 감시, 검열 저항, 개인 정보 보호에 중점을 둔 클라이언트 앱, 저장소 관리 도구, 웹사이트 생성기 등의 하위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 MySQL
MySQL은 1994년 스웨덴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현재 오라클에 인수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오픈 소스 및 상업용 에디션을 제공하며 ANSI SQL 99 표준을 지원하고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과 프로그래밍 언어 API를 지원한다.
GNU LibreDWG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발 | GNU 프로젝트 |
최초 릴리스 | 2009년 5월 16일 |
최신 안정화 버전 | 0.12.5 |
최신 안정화 버전 날짜 | 2022년 2월 22일 |
프로그래밍 언어 | C |
라이선스 | GNU GPL v3 |
웹사이트 | GNU LibreDWG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CAD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일 형식인 독점적 형식 DWG는 사실상의 표준이 되어, 많은 사용자가 소유 회사인 오토데스크(Autodesk)의 지배적인 위치에서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되었다.[15][16][17][18][19]
DWG 파일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고 조작하기 위해 구현된 OpenDWG 라이브러리 (이후 "Teigha"로 명명됨)는 ODA(Open Design Alliance)에서 역설계를 통해 개발하였다. OpenDWG의 라이선스는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FSF은 OpenDWG에 대한 무료 오픈소스 대안으로 GNU LibreDWG을 만들었다.[15][16][17][18][19]
GNU LibreDWG는 원래 Rodrigo Rodrigues da Silva와 Felipe Correa da Silva Sanches가 작성하여 2005년경 GPLv2로 라이선스된 LibDWG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다.[2] 2010년 7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은 OpenDWG 라이브러리의 대안 개발을 13개의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젝트" 중 하나로 언급했다.[3][5]
2. 1. GNU LibreDWG의 기원
캐드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독점 형식인 DWG는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으며, 다른 대안이 없어 많은 사용자들이 소유 회사인 오토데스크(Autodesk)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있다.[15][16][17][18][19]DWG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고 조작하기 위해 OpenDWG 라이브러리 (이후 "Teigha"로 명명됨)가 존재했는데, 이는 CAD 소프트웨어 제조업체 ODA(Open Design Alliance)에서 자체 제품을 지원하기 위한 역설계를 통해 개발되었다. OpenDWG의 라이선스는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FSF는 OpenDWG의 자유로운 대안을 만들었다.[15][16][17][18][19]
LibreDWG는 원래 펠리페 카스트로(Felipe Castro)가 작성한 LibDWG를 기반으로 시작됐지만 이후 LibDWG는 LibreDWG를 기반으로 재설계되었다.[20][21]
2. 2. GPLv3 라이선스 논쟁
LibreDWG는 GNU GPL V3 하에서 배포되는 강력한 반독점적 라이선스 라이브러리이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들을 위한 보다 유연한 호환이 가능한 GPL V2 라이선스 버전의 필요성으로 libdxfrw라는 새로운 GPL V2 라이선스 라이브러리를 작성하는 계기가 되었다.[22]2009년, LibDWG/LibreDWG의 라이선스 업데이트가 GNU GPL 버전 3으로 이루어지면서,[4] LibreCAD와 FreeCAD는 LibreDWG를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5]
많은 프로젝트(FreeCAD, LibreCAD, Assimp, Blender 등)에서 LibreDWG에 대한 GPLv3 라이선스 선택에 불만을 표명했다.[6] 일부에서는 라이선스 호환성이 더 넓은 MIT, BSD, 또는 LGPL 2.1과 같은 라이선스 선택을 제안했다.[6]
FSF에 GNU LibreDWG를 GPLv2로 재라이선스 해달라는 요청이 있었지만, 2012년에 거부되었다.[7]
2. 3. 프로젝트 중단 및 재개
프로젝트는 2011년부터 몇 년 동안 자원 봉사자 부족, 라이선스 문제, 프로그래머의 동기 부여 저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중단되었다.[8] 2013년 9월, LibreDWG의 기반이 된 원래 프로젝트인 LibDWG는 코드를 LibreDWG에서 리포크한다고 발표하며 재개되었다.[9] GPLv2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대안으로는 단순한 DWG를 읽을 수 있는 libdxfrw 프로젝트가 있다.[10]LibreDWG 프로젝트는 활발한 개발을 재개했으며, 2018년 6월 버전 0.5에서 더 최근의 .dwg 및 .dxf 형식을 추가했다.[11] 2020년 11월 현재 최신 릴리스인 버전 0.12.5는 모든 DWG 형식 r13+에 대한 읽기 지원, r2000 DWG에 대한 쓰기 지원, 모든 r13+ DXF 버전에 대한 읽기/쓰기 지원을 포함한다.[12] 곧 출시될 0.13 릴리스는 기존의 모든 DWG 버전을 지원할 예정이다.
3. libdxfrw
LibreDWG는 GNU GPL V3 하에서 배포되는 강력한 반독점적 라이선스 라이브러리이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들을 위한 보다 유연하고 호환 가능한 GPL V2 라이선스 버전의 필요성으로 인해 libdxfrw라는 새로운 GPL V2 라이선스 라이브러리를 작성하는 계기가 되었다.[22]
4. dwg2dxf와 한글
libdxfrw의 dwg2dxf는 CP949에서 한글 인코딩(euc-kr)을 포함한 안정된 유니코드를 지원하려고 개발되고 있지만, libredwg의 dwg2dxf는 R2018 dwg까지 지원하는 최신 버전에서 다양한 유니코드 디코딩 처리에서 euc-kr뿐만 아니라 UTF-8까지 폭넓게 안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GNU LibreDWG는 가장 연혁 있고 풍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DWG 및 DXF 변환 오픈 소스 프로젝트 및 커뮤니티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문서
Initial commit
https://git.savannah[...]
[2]
웹사이트
Felipe Sanches — Free Software Foundation — Working together for free software
http://www.fsf.org/w[...]
[3]
웹사이트
High Priority Free Software Projects
http://www.fsf.org/c[...]
2010-08-03
[4]
문서
trunk/copying
http://sourceforge.n[...]
[5]
웹사이트
FSF Wastes Away Another "High Priority" Project
https://www.phoronix[...]
Phoronix
2013-01-24
[6]
웹사이트
What's up with DWG adoption in free software?
http://libregraphics[...]
libregraphicsworld.org
2013-11-03
[7]
웹사이트
LibreDWG drama: the end or the new beginning?
http://libregraphics[...]
libregraphicsworld.org
2013-08-23
[8]
웹사이트
What's up with DWG adoption in free software?
http://libregraphics[...]
libregraphicsworld.org
2013-11-03
[9]
웹사이트
LibDWG - free access to DWG
http://libdwg.source[...]
2013-11-03
[10]
SourceForge
libdxfrw
http://sourceforge.n[...]
[11]
웹사이트
libredwg-0.5 released [alpha]
https://savannah.gnu[...]
2020-09-26
[12]
웹사이트
libredwg-0.12.5 released
https://savannah.gnu[...]
2022-02-06
[13]
문서
Initial commit
https://git.savannah[...]
[14]
문서
LibreDWG - Summary
https://savannah.gnu[...]
[15]
웹인용
What's up with DWG adoption in free software?
http://libregraphics[...]
libregraphicsworld.org
2013-11-03
[16]
웹인용
LibDWG - free access to DWG
http://libdwg.source[...]
2013-11-03
[17]
SourceForge
libdxfrw
http://sourceforge.n[...]
[18]
참고
gnu.org - cgit,Savannah Git, libredwg index : libredwg spec
https://git.savannah[...]
[19]
참고
LibreDWG git
https://github.com/L[...]
[20]
참고
gnu.org - libredwg
https://www.gnu.org/[...]
[21]
참고
LibDWG
https://libdwg.sourc[...]
[22]
웹인용
libredwg-0.11 released
https://savannah.gnu[...]
2020-11-24
[23]
웹인용
What's up with DWG adoption in free software?
http://libregraphics[...]
libregraphicsworld.org
2013-11-03
[24]
웹인용
LibDWG - free access to DWG
http://libdwg.source[...]
2013-11-03
[25]
SourceForge
libdxfrw
http://sourceforge.n[...]
[26]
웹인용
libredwg-0.5 released [alpha]
https://savannah.gnu[...]
2020-09-26
[27]
웹인용
libredwg-0.11 released
https://savannah.gnu[...]
2020-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