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SS GI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RASS GIS는 2차원 및 3차원 래스터 및 벡터 데이터를 지원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소프트웨어이다. GRASS는 위상 구조를 가진 벡터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며, 특정 GIS 계산을 수행하는 도구가 실행되는 환경으로 설계되었다. 350개 이상의 핵심 모듈과 100개 이상의 추가 모듈을 제공하며, C, C++, Python, 유닉스 셸 등 다양한 언어로 작성되었다. 1982년부터 개발되어 왔으며, 미국 육군 공병대가 개발을 주도했다. 현재는 과학 연구 및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NASA, NOAA 등 여러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다. 최신 안정 버전은 GRASS GIS 7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GIS 소프트웨어 - 포틀래치 (소프트웨어)
포틀래치는 오픈스트리트맵의 온라인 편집기로, 2006년 출시된 포틀래치 1이 2011년 포틀래치 2로 대체된 후, 2013년 iD 편집기가 기본 편집기가 되었고, 2020년에는 포틀래치 3이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으로 출시되었다. - 자유 GIS 소프트웨어 - JOSM
JOSM은 OpenStreetMap 데이터 편집을 위한 자유-오픈 소스 자바 응용 프로그램으로, GPX 파일 가져오기, 항공 영상 작업, 다양한 지도 투영법 지원, 플러그인을 통한 기능 확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널리 사용된다. - 자유 교육용 소프트웨어 - 스콜리눅스
스콜리눅스는 2001년 7월 2일에 시작된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로, IT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위해 소스 코드 접근성과 번역을 강조하며 데비안 기반의 다양한 버전을 개발해 왔다. - 자유 교육용 소프트웨어 -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래치는 MIT 미디어 연구소에서 개발한 어린이 및 입문자를 위한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블록 기반 방식을 통해 애니메이션, 게임, 스토리 등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코드 공유 및 재사용을 장려하며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활용된다. -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 MSN
MSN은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95와 함께 출시한 웹 포털이자 관련 서비스 모음으로, 뉴스,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금융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주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합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 구글 포토
구글 포토는 사진 및 동영상 저장, 공유,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구글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자동 분류, 얼굴 인식, 검색 기능을 제공하지만 2021년부터 무료 무제한 저장 용량 제공 정책이 변경되었고, 2024년에는 기술의 군사적 이용에 대한 윤리적 논란이 있었다.
GRASS GIS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개발자 | GRASS 개발팀 |
출시일 | 1984년 |
최신 릴리스 날짜 | }} |
운영체제 | 크로스 플랫폼 |
언어 | 영어, 체코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폴란드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 |
장르 | 지리 정보 시스템 |
라이선스 | GNU GPL |
웹사이트 | grass.osgeo.org |
프로그래밍 언어 | |
사용 언어 | C, C++, 파이썬, Tcl |
2. 구조
GRASS는 2차원 및 3차원 래스터 및 벡터 데이터를 지원한다. 벡터 데이터 모델은 위상 구조를 가지며, 이는 영역이 경계와 중심점으로 정의됨을 의미한다. GRASS는 특정 GIS 계산을 수행하는 도구가 실행되는 환경으로 설계되었다. GUI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와 달리, GRASS 사용자는 GRASS 명령(모듈) 실행을 지원하는 수정된 환경을 포함하는 유닉스 셸을 사용한다. GRASS 배포판에는 350개 이상의 핵심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만든 100개 이상의 추가 모듈이 웹사이트에서 제공된다.
GRASS와 QGIS 프로젝트 간의 협력이 있다. 최근 버전의 QGIS는 GRASS 환경 내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QGIS를 셸 기반 GRASS 인터페이스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Java로 구현된 JGRASS라는 프로젝트도 존재한다.
2. 1. 프로그래밍 언어
GRASS GIS의 라이브러리 및 핵심 모듈은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었다. 다른 모듈은 C, C++,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 유닉스 셸, Tcl 등 기타 스크립팅 언어로 작성되었다. 이러한 모듈은 유닉스 철학에 기반하여 C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셸 스크립트와 모듈을 조합하여 더 복잡하거나 특화된 모듈을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Ver 6.4부터는 Python 코드와 wxPython의 이미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wxGUI라는 GUI가 채택되었다.
3. 역사
GRASS는 1982년부터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다수의 미국 연방 기관, 대학 및 민간 기업이 참여해왔다.[2] 초기에는 미국 육군 공병대 산하의 미 육군 건설 공학 연구소(USA-CERL)가 개발을 주도했다. 개발 배경에는 국립 환경 정책법이 있었으며, 초기에는 VAX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는 유닉스 환경에서 개발되었다.
1995년 USA-CERL이 GRASS 개발 참여를 중단한 이후, 베일러 대학교에서 개발을 이어받았다. 이 과정에서 소프트웨어가 리눅스로 포팅되기도 했다. 1999년에는 마르쿠스 네텔러가 새로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주요 개선 사항을 발표했고, 같은 해 10월, 버전 5.0부터는 라이선스가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로 변경되었다.[3]
이후 GRASS는 과학 연구 및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소프트웨어로 발전하였다. 2015년 현재, NASA, 미국 해양대기청(NOAA), 미국 농무부(USDA) 등 전 세계 여러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
3. 1. 주요 버전
버전 | 릴리스 날짜 | 설명 |
---|---|---|
4.1 | 1992년 | 미국 육군 공병대 산하 미 육군 건설 공학 연구소(USA-CERL)에서 마지막으로 릴리스.[2] |
4.2 | 베일러 대학교에서 인수하여 릴리스. 리눅스로 포팅. | |
4.2.1 | 1998년 | 마르쿠스 네텔러가 새로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주요 개선 사항 제공.[2] |
5.0 | 1999년 10월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로 라이선스 변경.[3] |
6.4 | wxGUI라는 GUI 채택. | |
7 (최신 안정 버전) | 2015년 | 대용량 데이터 지원, 빠른 위상 2D/3D 벡터 엔진, 강력한 벡터 네트워크 분석, 전체 시계열 프레임워크 등 새로운 기능 추가.[7] |
4. 한국에서의 활용
대한민국에서는 환경, 국방, 재난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GRASS GIS가 활용되고 있다. 오픈 소스 GIS로서 학계, 연구 기관, 정부 기관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Open Source GIS: a GRASS GIS approach
Springer
[2]
학회
GRASS roots
https://oldgeni.isne[...]
[3]
웹사이트
GRASS History
http://grass.osgeo.o[...]
2008-03-29
[4]
논문
Estimating potential photovoltaic yield with r.sun and the open source Geographical Resources Analysis Support System
https://www.academia[...]
[5]
문서
The solar radiation model for Open source GIS: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s
http://citeseerx.ist[...]
[6]
논문
A New GIS‐based Solar Radi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Photovoltaic Assessments
[7]
웹사이트
Version 7 new features
https://trac.osgeo.o[...]
[8]
웹사이트
stable branch (7.0)
http://grass.osgeo.o[...]
[9]
서적
Open Source GIS: A GRASS GIS Approach
Springer
[10]
서적
Open Source GIS: a GRASS GIS approach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