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S칼텍스배는 매일경제신문, MBN, 바둑 TV가 주최하고 GS칼텍스가 후원하는 바둑 기전이다. 우승 상금은 7,000만 원이며, 1996년 테크론배로 시작하여 LG정유배를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대회 방식은 토너먼트, 풀리그 등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으며, 제한 시간 또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S칼텍스배 - 17기 GS칼텍스배
17기 GS칼텍스배는 GS칼텍스가 주최하고 한국기원이 주관한 바둑 기전으로, 이세돌 九단이 박영훈 九단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총 상금은 2억 3천 5백만 원, 우승 상금은 7천만 원이었다. - GS칼텍스 - Kixx
Kixx는 GS칼텍스가 2005년 출시한 윤활유 브랜드로, 해외 시장 확장과 친환경 제품 출시, 그리고 "All Ways with You" 슬로건 발표를 통해 브랜드 체계를 재정립했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 여류명인전 (한국)
여류명인전은 한국기원에서 주최하는 여성 바둑 기전으로, 8명의 본선 진출자가 패자부활전 방식 토너먼트를 거쳐 전기 여류명인과 도전 3번기를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리며, 루이 나이웨이 9단과 최정 9단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 KBS 바둑왕전
KBS 바둑왕전은 1980년부터 KBS에서 방영된 한국 바둑 TV 프로그램으로, 국내 정상급 프로 기사들의 속기 대국을 방송하며 한국 바둑 발전에 기여했고, 조훈현과 이창호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대회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GS칼텍스배 | |
---|---|
GS칼텍스배 | |
정보 | |
주최 | GS칼텍스 |
주관 방송사 | KBS (1~8기), 바둑TV (9기~) |
기전 규모 | 한국기원 |
우승 상금 | 7천만원 |
준우승 상금 | 3천만원 |
제한 시간 | 각자 3시간, 40초 초읽기 5회 |
덤 | 6집반 (한국 규칙) |
전기 우승자 | 신진서 |
역대 우승자 | |
1기 | 조훈현 |
2기 | 이창호 |
3기 | 이창호 |
4기 | 유창혁 |
5기 | 조훈현 |
6기 | 이세돌 |
7기 | 최철한 |
8기 | 박영훈 |
9기 | 이세돌 |
10기 | 강동윤 |
11기 | 허영호 |
12기 | 김지석 |
13기 | 이세돌 |
14기 | 이동훈 |
15기 | 신민준 |
16기 | 신진서 |
17기 | 신진서 |
18기 | 변상일 |
19기 | 원성진 |
20기 | 신진서 |
21기 | 박정환 |
22기 | 신진서 |
23기 | 신진서 |
2. 대회 방식
매일경제신문, MBN, 바둑 TV가 공동 주최하고 GS칼텍스가 후원한다.
대회 총 상금 규모는 4.85억원이며, 우승자에게는 7000만원, 준우승자에게는 30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2024년 기준).[5]
모든 대국의 제한 시간은 각자 30분이며, 착수할 때마다 30초가 추가되는 피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시간 방식은 29기(2024년) 대회부터 적용되었으며, 이전의 초읽기 방식을 대체했다.[5] 덤은 6집 반이다.
결승전은 5전 3선승제로 치러진다. 대회 진행 방식 및 제한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어 왔다.
시기 | 방식 | 제한 시간 | 비고 |
---|---|---|---|
1기(1996년) ~ 10기(2005년) | 16강 토너먼트, 결승 5번기 | 각자 4시간 (예선 3시간) | |
11기(2006년) ~ 15기(2010년) | 본선 8강 풀리그, 도전 5번기 | 각자 3시간 | 리그 1위가 전기 우승자와 도전기 진행. 리그 상위 4명 차기 시드 배정. |
16기(2011년) | 본선 24강 토너먼트, 결승 5번기 | 각자 3시간 | 도전기 폐지. |
17기(2012년) ~ 24기(2019년) | 본선 24강 토너먼트, 결승 5번기 | 각자 10분, 40초 초읽기 3회 | |
25기(2020년) ~ 28기(2023년) | 본선 24강 토너먼트, 결승 5번기 |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1회 | |
29기(2024년) ~ 현재 | 본선 24강 토너먼트, 결승 5번기 | 각자 30분, 착수 시 30초 추가 (피셔 방식) |
1996년 제1기 대회부터 제4기(1999년)까지는 '''테크론배'''라는 이름으로 진행했다. 이후 2000년 제5기 대회부터 제9기(2004년)까지는 '''LG정유배'''로 대회 명칭을 변경했으며, 2005년 제10기 대회부터 현재까지는 '''GS칼텍스배'''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wikitext
[1]
간행물
Mok Jinseok wins 1st title in 15 years – 20th GS Caltex Cup
https://gogameguru.c[...]
2015-04-03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선 4강에 진출한 기사는 다음 대회 본선 시드를 배정받는다.
3. 대회 명칭
4. 역대 우승자
회차 연도 우승자 전적 준우승자 1 1996년 유창혁 3–2 조훈현 2 1997년 이창호 3–0 최명훈 3 1998년 3–0 4 1999년 서봉수 3–2 유창혁 5 2000년 최명훈 3–1 루이나이웨이 6 2001년 이창호 3–0 최명훈 7 2002년 이세돌 3–1 8 2003년 이창호 3–0 조한승 9 2004년 3–0 박영훈 10 2005년 최철한 3–2 이창호 11 2006년 이세돌 3–0 최철한 12 2007년 박영훈 3–2 이세돌 13 2008년 3–0 원성진 14 2009년 조한승 3–1 박영훈 15 2010년 원성진 3–1 조한승 16 2011년 박정환 3–0 박영훈 17 2012년 이세돌 3–2 18 2013년 김지석 3–0 이세돌 19 2014년 3–0 최철한 20 2015년 목진석 3–1[1] 21 2016년 이동훈 3–0 윤찬희 22 2017년 안국현 3–2 김지석 23 2018년 신진서 3–2 이세돌 24 2019년 3–0 김지석 25 2020년 3–0 26 2021년 3–2[2] 변상일 27 2022년 3–0[3] 28 2023년 변상일 3–0[4] 최정 29 2024년 신민준 3–0[5] 박상진
참조
[2]
간행물
'신공지능' 신진서, 변상일 꺾고 GS칼텍스배 4연패 달성
https://www.yna.co.k[...]
2021-08-02
[3]
간행물
'이창호 넘었다' 신진서, GS칼텍스배 우승 '대회 5연패'
https://www.chosun.c[...]
2022-08-22
[4]
간행물
변상일, GS칼텍스배 첫 우승…세계기전 춘란배 이어 2관왕
https://www.yna.co.k[...]
2023-07-31
[5]
간행물
신민준, 박상진 완파하고 GS칼텍스배 우승…통산 9번째 타이틀
https://www.yna.co.k[...]
2024-07-30
[6]
뉴스
HANGAME「GS칼텍스배 이세돌 9단, 45일 만의 반상 나들이」
http://baduk.hangame[...]
관련 사건 타임라인
완벽한 신진서, 안성준 꺾고 GS칼텍스배 우승…통산 6승 최다승 기록
금의환향 신진서 맥심배 16강전 승리…“목표는 높고, 달라진 것은 없다”
신진서-안성준, GS칼텍스배 16강전서 붙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