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창혁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로, 1966년에 태어나 1979년 어린이 국수전 3연패를 달성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1984년 입단하여 세계대회에서 6회 우승하며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국내외 주요 기전에서 우승하며 한국 바둑을 대표하는 기사로 활동했으며, 한국기원 이사, 국가대표 감독,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주요 기전으로는 후지쯔배, 응씨배, 삼성화재배, 춘란배, LG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노영하
노영하는 1967년 입단하여 1999년 9단에 오른 한국의 바둑 기사이자 KBS 바둑 해설위원으로, 왕위전, 국수전 준우승, KBS 바둑왕전 해설, 바둑 서적 및 강좌를 통해 바둑 교육에 기여했으며 2024년 별세하였다. -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김도현 (성우)
김도현은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성우로, 특히 피어스 브로스넌과 이연걸의 전담 성우로 잘 알려져 있다. - 충암초등학교 동문 - 안조영
안조영은 1993년 입단하여 SK가스배, BC카드배, 원익배 십단전에서 우승했으며, 한국 바둑 랭킹 8위에 올랐고, 한국바둑리그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충암초등학교 동문 - 양재호
양재호는 1979년 입단한 한국 프로 바둑 기사로, 국내외 주요 기전에서 활약했으며, 한국 바둑 리그 감독 및 한국기원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바둑 발전에 기여하고 현재도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SBS배 연승바둑최강전 - 김인 (바둑 기사)
김인은 1958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 한국 바둑계를 10년간 지배하며 국수, 왕위 등 주요 타이틀을 석권하고 40연승을 기록한 전설적인 인물로, '김 국수'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한국 바둑의 황금기를 이끌었고 SBS 바둑 해설자 및 한국기원 상무이사를 역임하며 바둑계 발전에도 기여했다.
유창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창혁 |
한글 | 유창혁 |
한자 | 劉昌赫 |
로마자 표기 | Yu Changhyeok |
출생일 | 1966년 4월 25일 |
출생지 | 대한민국, 대한민국 |
거주지 | 대한민국 |
프로 입단 | 1984년 |
단 | 프로 9단 |
소속 | 한국기원 |
별명 | |
별명 | 성벽, 세계 최고의 공격수 |
바둑 기사 정보 | |
제자 | 최정 |
바둑리그 | 영남일보 |
2. 이력
1984년 입단하여 신인 대회 수상을 시작으로, 세계대회 우승 6회 등 세계대회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바둑 기사이다.[1] 1996년 9단으로 승단했다.
국내외 기전에서의 주요 활약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명 | 결과 |
---|---|---|
1986 | 신왕전 | 우승 |
1988 | 대왕전 | 우승 |
1990 | 기성전 | 우승 |
1993 | 명인전, 왕위전 | 우승 |
1994 | 왕위전, 천원전 | 우승 |
1995 | 왕위전, 기왕전, 국수전, 패왕전, KBS 바둑왕전 | 우승 |
1996 | 테크론배 | 우승 |
1997 | SBS배 | 우승 |
1998 | 배달왕전 | 우승 |
1999 | 배달왕전 | 우승(2연패) |
2001 | 맥심커피배 입신연승최강전 | 우승 |
2002 | 맥심커피배 입신연승최강전 | 우승(2연패) |
2003 | KT배, 패왕전 | 우승 |
2016 | 전자랜드 프라이스킹배 한국 바둑의 전설 | 우승 |
1993년 후지쯔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여 세계 기전 첫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잉씨배, 삼성화재배, 춘란배, LG배 등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2010년 “21세기 조선통신사 - 바둑으로 신의를 통하게 하다”에 참가하여 일본을 방문, 도미나토복선사 (후쿠야마시)에서 야마다 키미오(ja)와, 히코네시에서 야마시로 히로시(ja)와 대국을 펼쳤다.[4] 2014년 주강배 세계 바둑 단체전에 한국 와일드카드 팀으로 출전했다.
한국기원 이사(2006년~2019년), 국가대표 감독(2014년~2016년), 사무총장(2016년~2018년)을 역임했다. BC카드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상위 기사에게만 상금을 지급하는 상금제 토너먼트 실시를 제안하여 실현시켰다(2009년). 제자로는 최정이 있다.
2. 1. 유년 시절 및 프로 입단
1966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1979년 어린이 국수전 3연패 및 학초배에서 우승하였다.[1] 7세 때 아버지에게 바둑을 배우기 시작하여, 초등학교 3학년 때 소년국수전에서 우승하며 3연패를 달성했다.[1] 1979년 초등학교 6학년 때 전국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중학교 3학년 때 한중일 학생대회 대표로 참가했다. 1983년 최연소로 아마추어 국수전에서 우승했으며, 1984년 18세의 나이로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같은 해 한국기원 초단이 되었다. 충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7년 병역 의무를 이행했다.[1]2. 2. 국내 기전
연도 | 대회명 | 결과 |
---|---|---|
1986 | 신왕전 | 우승 |
1988 | 대왕전 | 우승 |
1989 | 기성전 | 준우승 |
1990 | 기성전 | 우승[2] |
1990 | 대왕전 | 준우승 |
1991 | 기성전 | 준우승 |
1991 | 왕위전 | 준우승 |
1992 | 왕위전 | 우승[2] |
1992 | 제왕전 | 준우승 |
1993 | 왕위전 | 우승(2연패)[2] |
1993 | 명인전 | 우승 |
1993 | 비씨카드배 | 준우승 |
1993 | 제왕전 | 준우승 |
1994 | 왕위전 | 우승(3연패)[2] |
1994 | 천원전 | 우승 |
1994 | KBS 바둑왕전 | 준우승 |
1994 | 제왕전 | 준우승 |
1995 | 왕위전 | 우승(4연패)[2] |
1995 | 기왕전 | 우승 |
1995 | 국수전 | 우승 |
1995 | 패왕전 | 우승 |
1995 | KBS 바둑왕전 | 우승[2] |
1995 | SBS연승전 | 준우승 |
1996 | SBS연승전 | 우승 |
1996 | 테크론배 | 우승 |
1996 | 왕위전 | 준우승 |
1997 | SBS배 | 우승 |
1997 | 패왕전 | 준우승 |
1998 | 배달왕전 | 우승 |
1999 | 배달왕전 | 우승(2연패)[2] |
1999 | 왕위전 | 준우승 |
1999 | LG 정유배 | 준우승 |
2000 | 배달왕전 | 준우승 |
2001 | 맥심커피배 입신연승최강전 | 우승 |
2001 | 기성전 | 준우승 |
2001 | 명인전 | 준우승 |
2002 | 맥심커피배 입신연승최강전 | 우승(2연패) |
2002 | KTF배 | 준우승 |
2003 | KT배 | 우승 |
2003 | 패왕전 | 우승[2] |
2004 |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 준우승 |
2005 | KBS 바둑왕전 | 준우승 |
2016 | 전자랜드 프라이스킹배 한국 바둑의 전설 | 우승 |
2. 3. 국제 기전
기전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잉씨배 | × | - | 16강 | - | 우승 | - | 16강 | - | 16강 | - | × | - | ||||||||||||
후지쯔배 | × | × | 24강 | 16강 | 24강 | 우승 | 준우승 | 3위 | 16강 | 16강 | 3위 | 우승 | 8강 | 16강 | 준우승 | 8강 | 4강 | 3위 | 16강 | × | × | × | 중지 | - |
동양증권배 | 4강 | 32강 | 32강 | - | 8강 | 4강 | 16강 | 16강 | - | 32강 | 준우승 | 중지 | - | |||||||||||
삼성화재배 | - | 준우승 | 8강 | 32강 | 16강 | 우승 | 16강 | 16강 | 16강 | 32강 | 8강 | 32강 | 8강 | 32강 | × | 32강 | × | |||||||
LG배 | - | 준우승 | 준우승 | 16강 | 준우승 | 16강 | 우승 | 16강 | 8강 | 8강 | × | × | × | × | × | × | × | |||||||
춘란배 | - | 8강 | 16강 | 우승 | - | 16강 | - | 16강 | - | × | - | × | - | × | - | |||||||||
도요타배 | - | 8강 | - | 16강 | - | × | - | × | 중지 | - | ||||||||||||||
BC카드배 | - | 16강 | 32강 | |||||||||||||||||||||
TV아시아 | - | × | × | × | × | 1회전 | × | × | 준우승 | × | × | × | × | × | × | × | × | × | 1회전 | × | × | × | × | × |
농심배 | - | 0승 1패 | × | 1승 1패 | 0승 1패 | × | 0승 1패 | × | × | × | × | × | × | × | ||||||||||
- IBM 속기 오픈전 8강 (1989년)
- 중일한엽위평배바둑마스터즈 3위 (2019년)
- 로양배 삼국명인페어바둑전 준우승 (2013년)
- 국수산맥배 2019년 페어바둑전 3위
- 진로배 SBS 세계바둑최강전
- 1991년: 2승 1패
- 1993년: 2승 1패
- 1994년: 1패
- 1995년: 1패
- 1996년: 2승 1패
- 롯데배 중한대항전
- 1996년: 2승, 1997년: 1승 1패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 2000년: 1패
- 2002년: 1승 1패
- 2005년: 1패
- 농심 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 2024년: 1승
- CSK배 바둑아시아대항전
- 2002년: 2승
- 2003년: 1승 2패
- 2004년: 1승 2패
- 주강배 세계바둑단체선수권 2013년: 리그 3승 2패, 준결승 패, 3위 결정전 패
- 염성동방집단배 중한바둑단체명인선수권전 2016년: 2승 1패
- 편강배 중한바둑국수우의전 2019년: 2승
- 1004섬 신안 국제 시니어 바둑대회 2019년 단체전: 2승 1패
- 호로도벽계원배 중일한바둑단체대항전 2021년: 2패
2. 4. 기타 경력
- 1979년: 어린이 국수전 3연패, 학초배 우승
- 1983년: 최연소 아마국수 (임동균과 대결)
- 1984년: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 프로바둑 입단
- 2010년: “21세기 조선통신사 - 바둑으로 신의를 통하게 하다”에 참가하여 일본 방문, 도미나토복선사 (후쿠야마시)에서 야마다 키미오(ja)와 대국, 히코네시에서 야마시로 히로시(ja)와 대국.[4]
- 2014년: 주강배 세계 바둑 단체전에 한국 와일드카드 팀으로 출전
- 2006년 ~ 2019년: 한국기원 이사 역임
- 2014년 ~ 2016년: 한국기원 국가대표 감독 역임
- 2016년 ~ 2018년: 한국기원 사무총장 역임
- 한국 바둑 기사 랭킹 2005년 9위 기록.
- BC카드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상위 기사에게만 상금을 지급하는 상금제 토너먼트 실시 제안 및 실현(2009년).
- 제자: 최정
국제 기전
대회 | 연도 | 기록 | 상대 |
---|---|---|---|
텔레비전바둑아시아선수권전 | 1996년 | 준우승 | |
동양증권배 세계선수권전 | 1998년 | 준우승 | |
IBM속기오픈전 | 1989년 | 8강 | ○다나카 히데하루, ○젠 우핑, ○무궁정수, ×오다케 히데오 |
중일한엽위평배바둑마스터즈 | 2019년 | 3위 | |
로양배 삼국명인페어바둑전 | 2013년 | 준우승 | 최정과 페어 |
국수산맥배국제바둑전 | 2019년 | 페어바둑전 3위 | 허수현과 페어 |
진로배 SBS 세계바둑최강전 | 1991년 | 2-1 | ○고마츠 히데키, ○조대원, ×이다 기키 |
1993년 | 2-1 | ○미야자와 고로, ○유빈, ×이다 기키 | |
1994년 | 0-1 | ×이다 기키 | |
1996년 | 2-1 | ○천림신, ○야마시로 히로시, ×조대원 | |
롯데배중한바둑대항전 | 1996년 | 2-0 | |
1997년 | 1-1 | ||
농심신라면배세계바둑최강전 | 2000년 | 0-1 | ×상호 |
2002년 | 1-1 | ○ja, ×유빈 | |
2005년 | 0-1 | ×타카오 신로 | |
농심백수산수배세계바둑시니어최강전 | 2024년 | 1-0 | ○이다 기키 |
CSK배바둑아시아대항전 | 2002년 | 2-0 | ○아와지 슈조, ○주준훈 |
2003년 | 1-2 | ○동언, ×야마시타 케이고, ×왕명완 | |
2004년 | 1-2 | ○왕리청, ×이다 기키, ×왕희 | |
주강배세계바둑단체선수권 | 2013년 | 리그:3-2, 준결승:×최철한, 3위 결정전:×상호 | |
염성동방집단배중한바둑단체명인선수권전 | 2016년 | 2-1 | ○마효춘, ×상호, ○엽위평 |
편강배중한바둑국수우의전 | 2019년 | 2-0 | ○마효춘, ○마효춘 |
1004섬 신안 국제 시니어 바둑대회 | 2019년 | 단체전 2-1 | ○유빈, ×이다 기키, ○왕명완 |
호로도벽계원배중일한바둑단체대항전 | 2021년 | 0-2 | ×유빈, ×고바야시 사토루 |
국내 기전
대회 | 연도 | 기록 | |
---|---|---|---|
대주배프로시니어최강자전 | 2021년 | 준우승 | |
SG배페어바둑대회 | 2012년 | 우승 | 최정과 페어 |
한국바둑리그 | 2004년 | 2-5 | 범양건영 |
2005년 | 1-5 | 파크랜드 | |
2006년 | 10-4 | 월드건설 | |
2007년 | 9-3 | 월드건설 | |
2008년 | 3-7 | 월드건설 | |
2009년 | 1-3 | 영남일보 | |
2010년 | 2-9 | 영남일보 | |
2012년 | 1-5 | 넷마블 | |
GG옥션배여류대시니어연승대항전 | 2011년 | 3-0 | ○권효진, ○예내위, ○박지은 |
2012년 | 2-1 | ○김륜영, ○김혜민, ×조혜련 | |
2014년 | 1-1 | ○오정아, ×김혜민 | |
긍호호텔배원로승벌전 | 2012년 | 1-1 | ○강주구, ×조훈현 |
한국기원총재배시니어바둑리그 | 2016년 | 8-3 | 서울춘암 |
2020년 | 13-1 (최다승) | 서울데이터스트림즈 | |
2021년 | 11-3 (최다승) | 데이터스트림즈 | |
중국바둑갑급리그전 | 2001년 | 운남향격리라장비 | |
2002년 | 운남인상주업 | ||
2004년 | 산동로항의약 |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주요 기전 해설 섹션은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3. 주요 기전 해설
3. 1. 제2기 기성전 (1990년)
유창혁은 백번으로 우변 22수째(☆)부터 중앙 지향으로 국면을 진행시켜, 백 1(60수째)부터 17까지 중앙 흑을 위협하면서 백 무리를 확장하여 우세를 점했다. 이후 흑은 좌변에 돌입하여, 꼬임 싸움에서 흑은 좌변을 살리고 백은 중앙 흑을 따내는 국면이 되었다. 마지막에는 백이 접바둑으로 차이를 벌려 4집 반 차이로 승리했다. 유창혁은 4승 1패 1무승부로 기성위를 획득하여 상금 2700만원을 받았다. 이 두 번째 타이틀 이후 유창혁은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하였고, 한국 바둑계는 조훈현, 서봉수 2강 시대에서 이창호를 포함한 4강 시대로 돌입했다.
4. 가족 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유희범(劉熙範) |
어머니 | 추길자(秋吉子) |
형제 | 3남 4녀 중, 동생 이영호 |
배우자 | 김태희 (사별) |
참조
[1]
웹사이트
Sensei's Library: Yu Ch'ang-hyeok
http://senseis.xmp.n[...]
[2]
웹사이트
GoGameWorld Title List Detail
http://www.gogamewor[...]
2007-08-25
[3]
웹사이트
GoGameWorld Title List Detail
http://www.gogamewor[...]
2007-07-05
[4]
간행물
碁ワールド
201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바둑 전설' 유창혁 · 이창호, 대주배 결승서 통산 150번째 결투
중국 빠진 LG배 ‘반쪽 대회’ 불가피…한국기원, 이창호 등 역대 우승자 초청
이창호 9단, 블리츠자산 시니어 세계대회 초대 우승…“바둑 할 수 있어 복 받아”
신진서-안성준, GS칼텍스배 16강전서 붙는다
박정환, 농심배서 리쉬안하오에 패배…이제 신진서만 남았다
박정환, 일본 시바노 꺾고 순항…중국 리쉬안하오 상대 연승 도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