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tterflowe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utterflower》는 2002년에 발매된 구 구 돌스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조니 레즈닉과 로비 타카크가 참여했으며, "Here Is Gone", "Big Machine", "Sympathy"가 싱글로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발매와 동시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미국 빌보드 200에서 4위를 기록했다. 또한,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음반 - Again (쥬얼리의 음반)
쥬얼리의 2집 음반 Again은 R&B 발라드를 중심으로 댄스, 팝 등 다양한 장르를 담아 타이틀곡 "Again"으로 음원 차트 상위권을 차지하며 음악 방송 첫 1위를 기록했다. - 2002년 음반 - Time Honored Voice
Time Honored Voice는 윤사라, 신재홍, 박성일 등 다양한 작사가와 작곡가가 참여하고 앤 (Ann), As One 등 여러 가수가 피쳐링한 15곡, 총 65분 40초 분량의 앨범이다. -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음반 - Like a Virgin
마돈나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라이크 어 처녀》는 나일 로저스의 프로듀싱으로 디스코, 팝, 록 장르를 혼합하여 제작되었으며, "라이크 어 처녀", "머티리얼 걸" 등의 히트곡으로 마돈나를 슈퍼스타 반열에 올린 앨범이다. -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음반 - Living Things
《Living Things》는 2012년에 발매된 린킨 파크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으로, 릭 루빈과 마이크 시노다가 공동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인간적인 메시지를 담고 다양한 장르를 탐구하여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Gutterflower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Gutterflower |
종류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구 구 돌스 |
![]() | |
발매일 | 2002년 4월 9일 |
녹음 기간 | 2001년 8월 ~ 12월 |
녹음 장소 | Icon Recording Studios, Capitol Studios (헐리우드, 캘리포니아), House of Blues Studios (엔시노, 캘리포니아)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포스트 그런지 파워 팝 |
길이 | 41분 36초 |
레이블 | 워너 브로스 레코드 |
프로듀서 | 구 구 돌스 롭 카발로 |
이전 음반 | What I Learned About Ego, Opinion, Art & Commerce |
이전 음반 발매일 | 2001년 |
다음 음반 | Live in Buffalo: July 4th, 2004 |
다음 음반 발매일 | 2004년 |
싱글 | |
싱글 1 | Here Is Gone |
싱글 1 발매일 | 2002년 3월 5일 |
싱글 2 | Big Machine |
싱글 2 발매일 | 2002년 9월 17일 |
평가 | |
메타크리틱 | 72/100 |
앱솔루트펑크 | 91% |
올뮤직 | 별표 4/5 |
A.V.클럽 | 평균 |
블렌더 | 별표 3/5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C+ |
팝매터스 | 별표 9/10 |
Q | 별표 3/5 |
롤링 스톤 | 별표 3.5/5 |
슬랜트 매거진 | 별표 2.5/5 |
록 하드 | 8/10 |
2. 곡 목록
번호 | 곡 제목 | 작사·작곡 | 길이 |
---|---|---|---|
1 | 빅 머신 | 조니 레즈닉 | 3:10 |
2 | 씽크 어바웃 미 | 조니 레즈닉 | 3:58 |
3 | 히어 이즈 곤 | 조니 레즈닉 | 3:58 |
4 | 유 네버 노 | 로비 타카크 | 3:08 |
5 | 왓 어 신 | 조니 레즈닉 | 4:24 |
6 | 업, 업, 업 | 로비 타카크 | 2:58 |
7 | 잇츠 오버 | 조니 레즈닉 | 3:35 |
8 | 심퍼시 | 조니 레즈닉 | 2:58 |
9 | 왓 두 유 니드? | 조니 레즈닉 | 3:48 |
10 | 스매쉬 | 로비 타카크 | 2:26 |
11 | 터크트 어웨이 | 로비 타카크 | 3:13 |
12 | 트루스 이즈 어 위스퍼 | 조니 레즈닉 | 4:00 |
2. 1. 전체 곡 목록
대부분의 곡은 조니 레즈닉이 작사, 작곡했으며, 로비 타카크는 다음 곡들의 작곡에 참여했다.번호 | 곡 제목 | 길이 |
---|---|---|
1 | 빅 머신 | 3:10 |
2 | 씽크 어바웃 미 | 3:58 |
3 | 히어 이즈 곤 | 3:58 |
4 | 유 네버 노 | 3:08 |
5 | 왓 어 신 | 4:24 |
6 | 업, 업, 업 | 2:58 |
7 | 잇츠 오버 | 3:35 |
8 | 심퍼시 | 2:58 |
9 | 왓 두 유 니드? | 3:48 |
10 | 스매쉬 | 2:26 |
11 | 터크트 어웨이 | 3:13 |
12 | 트루스 이즈 어 위스퍼 | 4:00 |
2. 2. 싱글 발매 목록
"Here Is Gone", "Big Machine", "Sympathy"가 싱글로 발매되었다. "Here Is Gone"과 "Big Machine" 두 곡의 뮤직 비디오가 제작되었고, 프로모션 싱글 "Sympathy"의 뮤직 비디오도 공개되었다.3. 싱글
이 음반에서 싱글로 발매된 곡은 Here Is Gone과 Big Machine 두 곡뿐이며, 두 곡 모두 뮤직 비디오가 제작되었다. 프로모션 싱글 Sympathy의 뮤직 비디오도 공개되었다.
Big Machine조니 레즈닉은 Big Machine을 자신의 "디스코 곡"이라고 칭한다. 그는 드럼 머신 프로그래밍을 잘 하지 못하지만, 이 곡은 자신의 드럼 머신의 패턴 74번을 사용했고 '디스코'라고 적혀 있었다고 밝혔다. 레즈닉은 이 곡을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추진력 있는 이야기"라고 설명한다. Big Machine은 레즈닉이 "하프 캐스터"라고 부르는 부서진 스트라토캐스터 기타로 라이브 공연되곤 했다. 이 기타는 반으로 부서졌음에도 연주가 가능하며, 2002년 VH1 Storytellers 스페셜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레즈닉은 누군가가 기타를 고쳐서 잘 작동한다고 언급했다.
Here Is Gone조니 레즈닉은 친구와 전화 통화를 하면서 이 곡을 썼다. 그는 친구에게 코드를 올릴지 내릴지 물었고, 친구는 올려보라고 답했다. 그렇게 해서 후렴구를 만들었고, 곧이어 나머지 곡도 완성되었다.
2007년 레즈닉에 따르면 이 곡의 뮤직비디오 제작 비용은 앨범 《Gutterflower》 전체 제작 비용보다 더 많이 들었다.
3. 1. "Big Machine"
조니 레즈닉은 "Big Machine"을 자신의 "디스코 곡"이라고 칭한다. 그는 드럼 머신 프로그래밍을 잘 하지 못하지만, 이 곡은 자신의 드럼 머신의 패턴 74번을 사용했고 '디스코'라고 적혀 있었다고 밝혔다. 레즈닉은 이 곡을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추진력 있는 이야기"라고 설명한다. "Big Machine"은 레즈닉이 "하프 캐스터"라고 부르는 부서진 스트라토캐스터 기타로 라이브 공연되곤 했다. 이 기타는 반으로 부서졌음에도 연주가 가능하며, 2002년 VH1 Storytellers 스페셜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레즈닉은 누군가가 기타를 고쳐서 잘 작동한다고 언급했다.3. 2. "Here Is Gone"
조니 레즈닉은 친구와 전화 통화를 하면서 이 곡을 썼다. 그는 친구에게 코드를 올릴지 내릴지 물었고, 친구는 올려보라고 답했다. 그렇게 해서 후렴구를 만들었고, 곧이어 나머지 곡도 완성되었다.2007년 레즈닉에 따르면 이 곡의 뮤직비디오 제작 비용은 앨범 《Gutterflower》 전체 제작 비용보다 더 많이 들었다.
4. 평가
''Gutterflower''는 발매와 동시에 여러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4] 이전 멀티 플래티넘 앨범인 ''Dizzy Up the Girl''보다 판매량은 적었지만, 평가는 비슷하게 긍정적이었다. 2005년에는 ''Rock Hard'' 매거진의 '역대 가장 위대한 록 & 메탈 앨범 500선'에서 499위에 랭크되기도 했다.[10]
매체 | 평가 |
---|---|
AbsolutePunk | 91%[15] |
AllMusic | 4/5[16] |
The A.V. Club | average[17] |
Blender | 3/5[14] |
Entertainment Weekly | C+[18] |
PopMatters | 9/10[19] |
Q | 3/5[14] |
Rolling Stone | 3.5/5[20] |
Slant | 2.5/5[21] |
Rock Hard | 8/10[22] |
4. 1. 긍정적 평가
''Gutterflower''는 발매와 동시에 여러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4] 이전 멀티 플래티넘 앨범인 ''Dizzy Up the Girl''보다 판매량은 적었지만, 평가는 비슷하게 긍정적이었다.[10] 2005년에는 ''Rock Hard'' 매거진의 '역대 가장 위대한 록 & 메탈 앨범 500선'에서 499위에 랭크되기도 했다.[10]4. 2. 상세 평가
''Gutterflower''는 발매와 동시에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4][15][16][17][18][19][20][21][22] 이전 멀티 플래티넘 앨범인 ''Dizzy Up the Girl''보다 판매량은 적었지만, 평가는 비슷하게 긍정적이었다.[14] 2005년, ''Rock Hard'' 매거진의 ''역대 가장 위대한 록 & 메탈 앨범 500선''에서 499위에 랭크되었다.[10]매체 | 평가 |
---|---|
AbsolutePunk | 91%[15] |
AllMusic | [16] |
The A.V. Club | average[17] |
Blender | [14] |
Entertainment Weekly | C+[18] |
PopMatters | [19] |
Q | [14] |
Rolling Stone | [20] |
Slant | [21] |
Rock Hard | 8/10[22] |
5. 참여진
- 조니 레즈닉 - 기타, 리드 보컬
- 로비 타카크 - 베이스, 백 보컬, "Smash", "Tucked Away", "You Never Know", "Up, Up, Up"의 리드 보컬
- 마이크 말리닌 - 드럼, 타악기
5. 1. 멤버
- 조니 레즈닉은 기타와 리드 보컬을 담당했다.
- 로비 타카크는 베이스와 백 보컬을 담당했으며, "Smash", "Tucked Away", "You Never Know", "Up, Up, Up"에서 리드 보컬을 맡았다.
- 마이크 말리닌은 드럼과 타악기를 담당했다.
6. 차트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