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N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2N2는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의 아형으로, 1957년부터 1968년까지 유행했던 아시아 독감의 원인이다. 1889년부터 1890년까지 유행한 러시아 독감의 원인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아시아 독감은 1956년 중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1957년 인플루엔자 백신이 개발되었다. 2004년에서 2005년 사이에는 H2N2 바이러스 검사 키트가 미국 병리학회에서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대한민국은 이 사건 발생 시 국내 유입 여부를 조사하고 회수 조치를 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아형 - H5N1
H5N1은 조류에게 주로 전염되지만 드물게 인간에게도 감염되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아형으로, 높은 변이율과 유전자 재조합 능력으로 인해 팬데믹 가능성이 우려되며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아형 - H3N2
H3N2는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사람과 돼지에게 인플루엔자를 일으키며,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새로운 변종을 만들어내고 계절성 독감의 주요 원인균으로 작용하여 백신 개발의 대상이 된다. - 인플루엔자 - 백신
백신은 약화된 병원체나 일부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계를 활성화,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과 효과의 다양성, 백신 거부와 오해로 인한 접종률 저하 및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 인플루엔자 -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은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능동 면역 백신으로,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이후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제조 방식의 3가 또는 4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유행하는 균주에 맞춰 재구성되지만 효능은 변동될 수 있고 부작용 가능성이 존재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H2N2 | |
---|---|
개요 | |
![]() | |
상위 분류 | 알파인플루엔자바이러스 |
종 |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아형 |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H2N2 |
학명 | Influenza A virus subtype H2N2 |
역사 | |
관련 사건 | 아시아 독감 유행의 원인 (1957년) |
연구 | 모리스 힐레만 박사가 백신 개발 |
과거 유행 | 1889-1890년 러시아 독감 (일부 연구에서 H2N2가 원인으로 추정) |
H5N1 보고서 | 1998년 4월 2일 Pliva.com에 보고됨 |
2. 러시아 독감 (1889-1890)
1889-1890년 '''러시아 독감'''은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아형 H2N2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증거는 확실하지 않다. 이는 상세한 기록이 남아있는 최초의 인플루엔자 범유행으로 기록되었다.[17] 최근에는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 중 하나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는 추측도 제기되었다.[5]
아시아 독감은 1956년 초 중국에서 시작되어 1958년까지 유행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의 독감 대유행이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야생 오리의 돌연변이가 기존 인간 균주와 결합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불확실하다고 기술한다.[18][19] 바이러스는 구이저우성에서 처음 발견되어[20] 1957년 2월 싱가포르로 퍼져 나갔고,[21] 4월에는 홍콩, 6월에는 미국으로 확산되었다. 전 세계 사망자 수는 추정치에 따라 100만 명에서 400만 명 사이이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약 200만 명으로 추정한다. 미국에서는 약 69,800명[7]에서 116,000명[9]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3. 아시아 독감 (1957-1958)
아시아 독감은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아형 H2N2(바이러스에서 헤마글루티닌 및 뉴라미니데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기법)이었으며, 1957년에 인플루엔자 백신이 개발되었다.
이후 아시아 독감 균주는 항원 변이를 통해 H3N2로 진화하여 1968년부터 1969년까지 홍콩 독감을 일으켰다.[11] H2N2 및 H3N2 유행성 균주는 모두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분절을 포함했다.[12]
3. 1. 대한민국에의 영향
1957년 아시아 독감은 대한민국에도 상륙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당시 열악한 의료 환경과 부족한 방역 체계로 인해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특히 노인과 어린이에게 치명적이었다. 정부는 백신 확보와 방역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였으나, 초기 대응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4. 검사 키트 유출 사건 (2004-2005)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미국 병리학회(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AP)에서 1957년 H2N2 바이러스 검사 키트 약 3,700개를 실수로 전 세계에 유출했다. CAP는 연구소의 정확성 검사를 위해 정체를 알 수 없는 바이러스 샘플을 제공하는데, 미국 신시내티의 민간 계약 업체인 Meridian Bioscience가 덜 치명적인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대신 1957년 변종을 선택했기 때문이다.[13] 1957년 H2N2 바이러스는 치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미국 정부는 해당 변종이 담긴 바이알을 폐기할 것을 요구했다. H2N2 변이주는 1956년부터 1958년 사이에 아시아 독감 팬데믹을 일으켰다.
4. 1. 대한민국 대응
대한민국 정부는 검사 키트 유출 사실을 인지한 즉시, 해당 키트의 국내 유입 여부를 조사하고 회수 조치를 취했다. 검사 키트가 국내 의료기관에 배포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세계보건기구(WHO) 및 관련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추가적인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 사건은 한국 정부의 감염병 감시 체계 강화 필요성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감염병 예방 및 관리 시스템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23]참조
[1]
논문
Realities and enigmas of human viral influenza: pathogenesis, epidemiology and control
2002
[2]
웹사이트
The Influenza H5N1 Report
http://www.pilva.com[...]
1998-04-02
[3]
간행물
1889 Pandemic Didn't Need Planes to Circle Globe in 4 Months
http://www.wired.com[...]
Wired Science
2010-04-28
[4]
웹사이트
Encarta on influenza
http://encarta.msn.c[...]
2008-08-20
[5]
뉴스
What four coronaviruses from history can tell us about covid-19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20-04-29
[6]
논문
A slippery disease: a microbiologist's view
2006
[7]
서적
The Bird Flu Pandemic
https://archive.org/[...]
St. Martin's Griffin
[8]
논문
The Origins of Pandemic Influenza — Lessons from the 1918 Virus
2005-11-24
[9]
웹사이트
1957-1958 Pandemic (H2N2 virus)
https://www.cdc.gov/[...]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20-04-04
[10]
웹사이트
The coronavirus may be deadlier than the 1918 flu: Here's how it stacks up to other pandemics
https://www.cnbc.com[...]
f NBCUniversal
2020-04-25
[11]
서적
Plague, SARS, and the story of medicine in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6
[12]
웹사이트
Chapter Two : Avian Influenza by Timm C. Harder and Ortrud Werner
http://www.influenza[...]
2017-08-09
[13]
웹사이트
Vendor thought H2N2 virus was safe, officials say
http://www.cidrap.um[...]
2020-02-12
[14]
논문
Realities and enigmas of human viral influenza: pathogenesis, epidemiology and control
2002
[15]
웹인용
The Influenza H5N1 Report
http://www.pilva.com[...]
[16]
저널
1889 Pandemic Didn't Need Planes to Circle Globe in 4 Months
http://www.wired.com[...]
April 28, 2010
[17]
웹인용
Encarta on influenza
http://encarta.msn.c[...]
2008-08-20
[18]
서적
The Bird Flu Pandemic
https://archive.org/[...]
[19]
논문
The Origins of Pandemic Influenza — Lessons from the 1918 Virus
2005-11-24
[20]
서적
Influenza : the next pandemic?
https://archive.org/[...]
2007
[21]
저널
Germ Warfare
https://www.historyt[...]
2020-02-12
[22]
서적
Plague, SARS, and the story of medicine in Hong Kong
2006
[23]
웹인용
Vendor thought H2N2 virus was safe, officials say
http://www.cidrap.um[...]
2020-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