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L과 HS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SL과 HSV는 RGB 색상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원기둥 형태의 색 공간이다.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Lightness/Value)를 사용하여 색상을 표현하며, 그래픽 소프트웨어, 이미지 편집, 웹 디자인,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HSL과 HSV는 RGB 큐브를 변환하여 만들어지며, 색상 선택 도구에서 직관적인 색상 선택을 돕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HSL과 HSV는 인간의 지각과 일치하지 않아 색상 표현에 한계가 있으며, 다른 원통형 좌표계 색 모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HSL과 HSV | |
---|---|
색 공간 | |
![]() | |
![]() | |
![]() | |
![]() | |
개요 | |
종류 | 색 공간 |
기반 | RGB 색 공간 |
설명 |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Lightness 또는 Value/Brightness)로 색을 정의하는 방식. HSL (Hue, Saturation, Lightness/Luminance) HSV (Hue, Saturation, Value) HSB (Hue, Saturation, Brightness) 와 동일 |
용도 | 색상 선택 도구 이미지 편집 컴퓨터 그래픽스 |
속성 | |
색상 (H, Hue) | 색상의 종류 (빨강, 노랑, 파랑 등) 각도로 표현 (0° ~ 360°) 0°: 빨강, 120°: 초록, 240°: 파랑 |
채도 (S, Saturation) | 색상의 선명도 또는 순도 0% ~ 100% 또는 0 ~ 1 사이의 값으로 표현 0%: 무채색 (회색조), 100%: 가장 선명한 색 |
명도 (L, Lightness) | HSL에서 사용 색상의 밝기 0% ~ 100% 또는 0 ~ 1 사이의 값으로 표현 0%: 검정, 100%: 흰색 |
값 (V, Value) 또는 밝기 (B, Brightness) | HSV에서 사용 색상의 밝기 0% ~ 100% 또는 0 ~ 1 사이의 값으로 표현 0%: 검정, 100%: 가장 밝은 색 |
변환 | |
RGB에서 HSL/HSV로 | RGB 값을 정규화 (0 ~ 1 사이의 값으로 변환) 최대값, 최소값 계산 색상 (H) 계산 채도 (S) 계산 명도 (L) 또는 값 (V) 계산 |
HSL/HSV에서 RGB로 | 색상 (H)을 기반으로 RGB 값 계산 채도 (S) 및 명도 (L) 또는 값 (V)을 사용하여 RGB 값 조정 |
활용 | |
장점 | 직관적인 색상 선택 가능 색상, 채도, 명도를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 |
단점 | 균등한 지각적 색 공간이 아님 (색상 간 인지되는 밝기 차이 존재) |
응용 | 색상 선택기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 컴퓨터 그래픽스 |
참고 | |
관련 색 공간 | RGB 색 공간 CMYK 색 공간 Lab 색 공간 |
2. 기본 원리
HSL과 HSV는 모두 원기둥 형태의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다(그림 2). 색상은 각도로 표현되며, 0°에서 빨강 기본색으로 시작하여 120°에서 녹색, 240°에서 파랑을 거쳐 360°에서 다시 빨강으로 돌아온다. 각 기하학에서 중앙 수직 축은 밝기 1(값 1)인 흰색에서 밝기 0(값 0)인 검은색까지의 ''중립적인'' 색상, 즉 ''무채색'' 또는 ''회색'' 색상으로 구성된다.[47]
두 모델 모두에서 가산 기본색과 보조색— 빨강, 노랑, 녹색, 시안, 파랑 및 자홍 —과 인접한 쌍 사이의 선형 혼합(때로는 ''순수한 색상''이라고 함)은 채도 1로 원통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된다. 이러한 채도가 높은 색상은 HSL에서 밝기 0.5를 가지는 반면, HSV에서는 값 1을 갖는다. 이러한 순수한 색상을 검은색과 혼합하면 (소위 ''음영'') 채도가 변경되지 않는다. HSL에서 채도는 흰색을 사용한 ''색조''로도 변경되지 않으며, 검은색과 흰색 모두를 혼합한 경우(''톤''이라고 함)에만 채도가 1 미만이 된다. HSV에서는 색조만으로도 채도가 감소한다.
어둡거나(두 모델 모두) 매우 밝은(HSL) 거의 중립적인 색상이 완전히 채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채도에 대한 이러한 정의는 색상의 직관적인 개념과 충돌한다.[47] 따라서, 채도를 반경 차원으로(RGB 값의 범위와 같음) 사용하는 원뿔형 또는 쌍원뿔형 솔리드가 대신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그림 3). 혼란스럽게도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일반적으로 이 반경 차원을 "채도"로 표시하여 채도와 채도 사이의 구분을 흐리게 하거나 지운다. 아래에 설명된 것처럼, 채도를 계산하는 것은 각 모델의 파생에서 유용한 단계이다. 색상, 채도 및 HSV 값 또는 HSL 밝기의 차원이 있는 이러한 중간 모델은 원뿔 또는 쌍원뿔의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HSV는 종종 "육각 원뿔 모델"이라고 불리고 HSL은 "이중 육각 원뿔 모델"이라고 불린다.
2. 1. 색상 (Hue)
HSL과 HSV는 모두 원통형 기하학(그림 2)으로 표현되며, 색상(Hue)은 각도로 표현된다. 색상은 0°에서 빨강 기본색으로 시작하여, 120°에서 녹색, 240°에서 파랑을 거쳐 360°에서 다시 빨강으로 돌아온다. 각 기하학에서 중앙 수직 축은 밝기 1(값 1)인 흰색에서 밝기 0(값 0)인 검은색까지의 ''중립적인'' 색상, 즉 ''무채색'' 또는 ''회색'' 색상으로 구성된다.두 모델에서 색상(Hue)은 RGB 큐브를 "색도 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울어진 RGB 큐브를 중립 축에 수직인 "색도 평면"에 투영하면, 빨강, 노랑, 녹색, 시안, 파랑 및 자홍색이 모서리에 있는 육각형 모양을 갖는다.(그림 9) ''색상''은 투영에서 점까지의 벡터의 각도와 거의 같으며, 빨강이 0°이다.
때로는 이미지 분석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이 육각형-원 변환이 생략되고, ''색상'' 및 ''색차''(이것을 ''H''2 및 ''C''2로 표시한다)는 일반적인 직교 좌표계-극좌표 변환에 의해 정의된다.(그림 11) 이를 도출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α'' 및 ''β''라는 일련의 직교 색도 좌표를 사용하는 것이다.
:
:
:
(atan2 함수는 "2개의 인수 아크탄젠트"이며, 직교 좌표 쌍에서 각도를 계산한다.)
이 두 가지 색상 정의(''H'' 및 ''H''2)는 거의 일치하며, 모든 색상에 대한 최대 차이는 약 1.12°이며, 30°의 모든 배수에 대해 이다.
''색상'' 정의는 비교적 논란의 여지가 없다. 동일한 지각 색상의 색상은 동일한 수치적 색상을 가져야 한다는 기준을 대략적으로 충족한다.
; 색상: "어떤 영역이 인지된 색상: 빨강, 노랑, 녹색, 파랑 또는 그 중 두 가지의 조합과 유사하게 보이는 시각적 감각의 속성"
2. 2. 채도 (Saturation)
HSL과 HSV는 모두 원기둥 형태의 공간이다(그림 2). 색상(Hue)은 0도의 빨강 기본색부터 시작하여 120도의 녹색, 240도의 파랑을 거쳐 360도, 즉 0도의 빨강으로 한 바퀴 돈다. 원기둥의 중심축은 모두 명도(Lightness) 100% 또는 값(Value) 100%의 흰색 상단에서 명도 0% 또는 값 0%의 검정 하단, 그리고 이 두 색상을 보완하는 회색으로 구성된다.두 색 공간 모두에서, 가산 혼합의 삼원색과 감산 혼합의 삼원색(빨강, 노랑, 녹색, 시안, 파랑, 자홍)과 이러한 인접하는 쌍 사이의 선형 혼합 색상(순색)이 채도(Saturation) 100%로 원통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다. 순색은 HSL에서는 명도 50%이고, HSV에서는 값 100%이다.
순색에 검정을 섞어도 HSL·HSV 모두 채도는 변하지 않는다. 반면에 순색에 흰색을 섞는 경우, HSL에서는 채도가 변하지 않지만, HSV에서는 작아진다. HSL의 채도는 검정과 흰색을 동시에 섞는 경우 작아진다.[47]
이러한 채도의 정의에서는, 어두운 색(두 모델 모두)이나 밝은 색(HSL의 경우)도 "채도 100%" 즉 "가장 선명한 색"으로 간주되며, "채도(Saturation)"를 "선명함"으로 간주할 경우, 직관에 반한다. 그래서 그림 3과 같이, 원기둥 대신, 반지름 방향으로 '''크로마(Chroma)'''(어떤 색을 RGB 색 공간으로 나타냈을 때의 해당 값의 범위와 같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를 취하는 원뿔이나 쌍원뿔을 사용하여 색 공간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반지름 방향의 값이 "'''채도(Saturation)'''"로 표현되어, "'''크로마(Chroma)'''"와의 구별이 모호해지는 경우가 있다.
후술되겠지만, 크로마의 산출은 RGB에서 HSL·HSV로의 변환에 유용하다.
HSL 및 HSV와 유사한 색상 모델에서는 색상(Hue)과 이 기사에서 크로마(Chroma)라고 부르는[58] 값을 유사하게 산출하기 때문에 해당 값은 각 모델에서 동일하다.
기울어진 RGB 정육면체를 흑백을 잇는 축에 수직인 평면에 투영하면 빨강, 노랑, 녹색, 시안, 파랑, 자홍색을 꼭짓점으로 하는 정육각형이 된다(그림 8). 여기서 평면의 원점은 흑색으로 한다. 색상은 빨강의 위치 벡터와 투영된 점(어떤 색을 RGB 공간에서 나타내는 점을 평면에 투영한 것)의 위치 벡터가 이루는 각도의 크기와 비슷한 값이고, 크로마는 원점과 투영된 점 사이의 거리와 비슷한 값으로 각각 표시된다.[59][60]
이러한 색 공간에서의 색상과 크로마는 모두 평면에 투영된 정육각형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크로마는 어떤 색을 나타내는 위치 벡터의 크기에 대해, 해당 벡터를 연장하여 가장 바깥쪽의 정육각형과 교차하는 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의 비율(그림 8 아래의 정육각형에서 OP/OP')이다. 이 비율은 어떤 색의 ''R'', ''G'', ''B'' 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즉 ''R'', ''G'', ''B'' 값의 범위를 나타낸다.[61] 여기서 최대값, 최소값, 크로마를 각각 ''M'', ''m'', ''C''로 각각 두면[62]
:
:
:
색상은 투영된 점을 통과하는 정육각형의 변 전체 길이 대비 투영된 점까지의 변의 길이 비율이며, 처음에는 0 이상 1 이하의 값으로 정의되었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0도 이상 360도 미만의 각도로 정의된다. 원점에 투영되는 점(흰색, 검은색 및 그 사이를 보완하는 회색)에 대해 색상은 정의되지 않는다. 수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분적으로 정의된다.
:
:
편의상, 무채색의 색상(Hue)을 0도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정의로부터, 정육각형의 각 변을 60도의 원호에 매핑함으로써, 정육각형을 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을 수행하면, 색상은 원점 주위의 각도, 크로마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즉 어떤 색의 위치 벡터가 빨강의 위치 벡터에 대해 이루는 각도와 해당 벡터의 크기로 각각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에서는, 위에 언급된 변형 대신에 색상과 크로마(각각 ''H''2'', C''2라고 둔다)를 직교 좌표의 극좌표 변환에 의해 정의하는 경우가 있다(그림 10). 이는 ''αβ'' 좌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
:
:
:
여기서 atan2는 두 개의 인수를 취하는 아크탄젠트이며, 직교 좌표의 두 성분으로부터 각도를 계산한다.
이 방법과 원으로의 변환을 비교하면, 색상(''H''와 ''H''2)은 거의 일치하며, 어떤 색에서도 그 차이는 최대 약 1.12도이다(''H'' ≒ 13.38°, ''H''2 ≒ 12.26° 등 12개 지점에서 차이가 최대이며, 30도의 배수에서는 ''H'' = ''H''2). 그러나 크로마(''C''과 ''C''2)에 대해서는, 색상이 60도의 배수가 되는 위치에서는 둘 다 같지만, 30도의 배수일 때는 약 13.4%의 차이가 발생한다(예를 들어 ''H'' = ''H''2 = 30°일 때 ''C'' = 1에 대해 ''C''2 = ≒ 0.866).
색상을 색상・크로마・명도(Lightness) 또는 색상・크로마・값(Value)으로 표현하는 모델에서는 0도 이상 360도 미만의 ''H'', 0 이상 1 미만의 ''C'', 0 이상 1 미만의 ''V''로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의 절반이 RGB 색공간 밖(그림 14a, 그림 14c의 회색으로 칠해진 부분)이기 때문에, 명도(또는 값)와 크로마의 조합이 모두 의미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더 실용적으로 만들기 위해 HSL과 HSV에서는, 색상과 명도・값이 어떤 조합이든 항상 0 이상 1 미만에 들어맞는 새로운 속성인 "채도(Saturation)"를 정의한다. 채도는 어떤 색의 크로마를 해당 색의 명도 또는 값으로 나눈 값이며, HSL에서의 채도를 ''SL'', HSV에서의 채도를 ''SV''로 두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한편,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SI 모델은 색상을 ''H''2 [64], 밝기 성분을 ''I'' [65]로 하며, HSL이나 HSV처럼 원통을 "채우는" 크로마 조작을 하지 않는다. 대신 HSI에서의 채도는 정신 측정적 정의인 "명도에 대한 크로마[66]"에 따라 정의된다(그림 13b). 이는 HSI가 색상 선택 인터페이스 제공보다는, 이미지 내의 형태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미지 분석에서의 이용 항목도 참조하기 바란다.
:
이 세 종류의 모델에서, 정의와 실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채도"라는 동일한 이름의 성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종종 혼란의 원인이 된다. HSV와 HSI에서는, 이 성분이 "어떤 색 자체의 명도에 대한 크로마"라는 정신 측정적 정의에 가깝지만, HSL에서는 그렇지 않다. 또한, "채도(Saturation)"라는 단어는, 이 문서에서 크로마라고 부르는 값( ''C'' 나 ''C2'' )에 대해서도 자주 사용된다.
2. 3. 명도 (Lightness/Value)
HSL과 HSV는 모두 원통형 기하학(그림 2)으로 표현되며, 색상(hue)은 각도 차원으로 0°에서 빨강 기본색으로 시작하여 120°에서 녹색, 240°에서 파랑을 거쳐 360°에서 다시 빨강으로 돌아간다. 각 기하학에서 중앙 수직 축은 밝기 1(값 1)인 흰색에서 밝기 0(값 0)인 검은색까지의 중립적인 색상, 즉 무채색 또는 회색으로 구성된다.[47]HSL과 HSV 모델에서 "명도"(Value) 차원의 정의는 표현 목적과 목표에 따라 달라지며, 다음은 가장 일반적인 네 가지 정의이다(그림 12).
- HSI 모델의 명도(I): 세 가지 구성 요소(R, G, B)의 산술 평균으로, 가장 간단한 정의이다. 이는 기울어진 RGB 큐브에서 점을 중성 축에 투영한 수직 높이에 해당한다.[24][26]
- :
- HSV 모델의 명도(V): 색상의 가장 큰 구성 요소(R, G, B 중 최댓값)로 정의된다(그림 12b). 이는 RGB 큐브에서 육각뿔을 형성한다.[10]
- :
- HSL 모델의 명도(L): 가장 크고 작은 색상 구성 요소의 평균, 즉 RGB 구성 요소의 중간 범위로 정의된다(그림 12c). 이 정의는 RGB 큐브에서 흰색과 검은색 사이의 중간 지점을 통과하는 평면을 만들어, 결과적으로 쌍원뿔 형태의 색상 입체를 형성한다.[11]
- :
- 루마 (): 지각 명도에 대한 기여도를 기반으로 감마 보정된 R, G, B의 가중 평균으로, 루마를 명도 차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그림 12d). 이는 컬러 텔레비전 방송에서 단색 차원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27]
- : (SDTV)
- : (Adobe)
- : (HDTV)
- : (UHDTV, HDR)
이 네 가지 정의 모두 중성 축은 변경하지 않는다. 즉, 색상에 대해 R = G = B 인 경우, 네 가지 공식 중 어느 것이든 ''R'', ''G'' 또는 ''B''의 값과 동일한 명도를 생성한다.
3. 역사
대부분의 텔레비전, 컴퓨터 디스플레이, 프로젝터는 빨강, 녹색, 파랑 빛을 다양한 강도로 결합하여 색상을 표현한다. 이를 RGB 가산 원색이라고 한다. RGB 색상 공간에서 만들어진 혼합은 매우 다양한 색상(색역)을 재현할 수 있지만, 빨강, 녹색, 파란색 빛의 구성 요소의 양과 결과 색상 간의 관계는 직관적이지 않다. 특히 경험이 없는 사용자나 감산 혼합 방식의 페인트나 색조, 음영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미술가 모델에 익숙한 사용자에게는 더욱 그렇다(그림 4).[2] 또한, 가산 혼합 모델과 감산 혼합 모델 모두 인간의 시각과 동일한 방식으로 색상 관계를 정의하지 않는다.
1950년대부터 컬러 텔레비전 방송은 기존의 수정되지 않은 흑백 텔레비전이 컬러 방송을 수신하고 흑백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루마" 및 "크로마" 신호를 별도로 부호화하는 호환 색상 시스템을 사용했다.[9] 1938년, 프랑스 기술자 조르주 발렌시는 흑백 (휘도 신호만 방송하는) 텔레비전 방송에 색상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HSL 색 공간을 개발했다.[48] 이 방법은 NTSC, PAL, SECAM 등 주요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및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며, 컴포지트 영상 신호의 기초가 되고 있다.
PARC와 NYIT의 컴퓨터 그래픽 개척자들은 더 전통적이고 직관적인 색상 혼합 모델을 수용하기 위해 1970년대 중반에 컴퓨터 디스플레이 기술을 위한 HSV 모델을 도입했고, 1978년 8월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앨비 레이 스미스에 의해 공식적으로 설명되었다.[10]
다음 해인 1979년, SIGGRAPH에서 테크트로닉스는 색상 지정을 위해 HSL을 사용하는 그래픽 터미널을 도입했고, 컴퓨터 그래픽 표준 위원회는 연례 보고서에서 이를 권장했다(그림 7).[5] 이러한 모델은 원시 RGB 값보다 직관적일 뿐만 아니라 RGB 간의 변환 속도가 매우 빨랐기 때문에 유용했다. 즉, 1970년대 하드웨어에서 실시간으로 실행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모델 및 유사한 모델은 그 이후 이미지 편집 및 그래픽 소프트웨어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었다.[12][13][14][15]
4. 수학적 모델
HSL과 HSV는 모두 원기둥 형태의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다(그림 2). 두 모델 모두 색상(Hue)은 0°에서 빨강 기본색으로 시작하여 120°에서 녹색, 240°에서 파랑을 거쳐 360°에서 다시 빨강으로 돌아오는 각도로 표현된다. 각 기하학에서 중앙 수직 축은 밝기 1(값 1)인 흰색에서 밝기 0(값 0)인 검은색까지의 중립적인 색상, 즉 무채색 또는 회색으로 구성된다.
두 모델 모두에서 가산 기본색과 보조색— 빨강, 노랑, 녹색, 시안, 파랑 및 자홍 —과 인접한 쌍 사이의 선형 혼합(때로는 ''순수한 색상''이라고 함)은 채도 1로 원통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된다. 이러한 채도가 높은 색상은 HSL에서 밝기 0.5를 가지는 반면, HSV에서는 값 1을 갖는다. 순수한 색상을 검은색과 혼합하면 (소위 ''음영'') 채도가 변경되지 않는다. HSL에서 채도는 흰색을 사용한 ''색조''로도 변경되지 않으며, 검은색과 흰색 모두를 혼합한 경우(''톤''이라고 함)에만 채도가 1 미만이 된다. HSV에서는 색조만으로도 채도가 감소한다.
어둡거나(두 모델 모두) 매우 밝은(HSL) 거의 중립적인 색상이 완전히 채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채도에 대한 정의는 색상의 직관적인 개념과 충돌한다.[47] 따라서, 채도를 반경 차원으로 사용하는 원뿔형 또는 쌍원뿔형 솔리드가 대신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그림 3). 이때, 반지름 방향의 값이 "채도"로 표현되어, "색차(Chroma)"와의 구별이 모호해지는 경우가 있다.
HSL, HSV 및 관련 모델은 기하학적 전략을 통해 파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색 공간은 "일반화된 LHS 모델" 중 특정 색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HSL 및 HSV 모델은 RGB 큐브를 사용하여, 검은색이 원점에 있고 흰색이 그 바로 위에 오도록 기울여 검은색과 흰색을 잇는 축의 각도에 대해 빨간색을 0도로 하여 색상(Hue)을 정의한다. 그 후 축에서 명도(Value) 또는 밝기(Lightness)를 정의하고, 또한 축에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 축을 0, 순색을 1로 하여 채도(Saturation)을 정의한다.
각 모델에서, 색차(Chroma)와 색상(Hue)은 유사하게 계산되기 때문에 해당 값은 각 모델에서 동일하다. 기울어진 RGB 정육면체를 흑백을 잇는 축에 수직인 평면에 투영하면 빨강, 노랑, 녹색, 시안, 파랑, 자홍색을 꼭짓점으로 하는 정육각형이 된다(그림 8). 여기서 평면의 원점은 흑색으로 한다. 색상(Hue)은 빨강의 위치 벡터와 투영된 점의 위치 벡터가 이루는 각도의 크기와 비슷한 값이고, 색차(Chroma)는 원점과 투영된 점 사이의 거리와 비슷한 값으로 각각 표시된다.[59][60]
색차(Chroma)는 어떤 색을 나타내는 위치 벡터의 크기에 대해, 해당 벡터를 연장하여 가장 바깥쪽의 정육각형과 교차하는 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의 비율(그림 8 아래의 정육각형에서 OP/OP')이다. 이 비율은 어떤 색의 ''R'', ''G'', ''B'' 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즉 ''R'', ''G'', ''B'' 값의 범위를 나타낸다.[61] 최대값, 최소값, 색차(Chroma)를 각각 ''M'', ''m'', ''C''로 두면,[62]
:
:
:
색상(Hue)은 투영된 점을 통과하는 정육각형의 변 전체 길이 대비 투영된 점까지의 변의 길이 비율이며, 처음에는 0 이상 1 이하의 값으로 정의되었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0도 이상 360도 미만의 각도로 정의된다. 원점에 투영되는 점(흰색, 검은색 및 그 사이를 보완하는 회색)에 대해 색상(Hue)은 정의되지 않는다. 수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분적으로 정의된다.
:
:
편의상, 무채색의 색상(Hue)를 0도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정의로부터, 정육각형의 각 변을 60도의 원호에 매핑함으로써, 정육각형을 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을 수행하면, 색상(Hue)은 원점 주위의 각도, 색차(Chroma)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로 표현된다.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에서는, 색상(Hue)과 색차(Chroma) (각각 ''H''2, ''C''2)를 직교 좌표의 극좌표 변환에 의해 정의하는 경우가 있다(그림 10). 이는 ''αβ'' 좌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
:
:
:
여기서 atan2는 두 개의 인수를 취하는 아크탄젠트이며, 직교 좌표의 두 성분으로부터 각도를 계산한다.
이 방법과 원으로의 변환을 비교하면, 색상(Hue)(''H''와 ''H''2)는 거의 일치하며, 어떤 색에서도 그 차이는 최대 약 1.12도이다. 그러나 색차(Chroma)(''C''과 ''C''2)에 대해서는, 색상(Hue)가 60도의 배수가 되는 위치에서는 둘 다 같지만, 30도의 배수일 때는 약 13.4%의 차이가 발생한다.
색상(Hue)의 정의는 비교적 일관적인 반면, 밝기를 나타내는 성분의 정의는 모델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4가지 정의를 나타낸다(그림 11).
- HSI 색 공간: 명도(Intensity)는 ''R'', ''G'', ''B''의 평균값이다.
- HSV 색 공간: 명도(Value)는 ''R'', ''G'', ''B''의 최대값이다.
- HSL 색 공간: 밝기(Lightness)는 ''R'', ''G'', ''B''의 중간값이다.
- 루마(''Y'
''): 밝기의 지표로 사용되며, 감마 보정된 ''R'', ''G'', ''B''의 가중 평균이다. - (SDTV)
- (Adobe RGB)
- (HDTV)
- (UHDTV, HDR)
색상을 색상/명도/색차(Chroma) 또는 색상/채도/색차(Chroma) 모델로 표현할 때, 명도(또는 채도)와 색차(Chroma)의 모든 조합이 의미있는 것은 아니다. 즉, 표현 가능한 색상의 절반이 RGB 색 영역 밖에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SL 및 HSV 모델은 색차(Chroma)를 항상 색상과 명도 또는 채도의 모든 조합에 대해 범위에 맞도록 조정하며, 두 경우 모두 새로운 속성을 채도(Saturation)라고 부른다(그림 12). 각 채도(Saturation)를 계산하려면 해당 채도(Saturation) 또는 명도의 최대 색차(Chroma)로 나누기만 하면 된다.
:
:
컴퓨터 비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SI 모델은 색상 차원으로 ''H''2를 사용하고, 밝기 차원으로 구성 요소 평균 ''I''("강도")를 사용하며, 채도(Saturation) 정의에 따라 실린더를 "채우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
이 세 가지 서로 다른 채도(Saturation) 정의에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면 혼란이 발생한다. HSV 및 HSI에서 이 용어는 색상의 자체 명도에 대한 색상의 색차(Chroma)라는 심리 측정 정의와 대략 일치하지만 HSL에서는 근접하지 않다.
아래 표에는 모든 매개변수 값이 ''H''와 ''H''2의 경우 구간에 있고, 그 외에는 구간 의 값으로 제공된다.
색상 | R | G | B | H | H2 | C | C2 | V | L | I | Y601 | SHSV | SHSL | SHSI |
---|---|---|---|---|---|---|---|---|---|---|---|---|---|---|
#FFFFFF | 1.000 | 1.000 | 1.000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0.000 | 0.000 | 1.000 | 1.000 | 1.000 | 1.000 | 0.000 | 0.000 | 0.000 |
#808080 | 0.500 | 0.500 | 0.500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0.000 | 0.000 | 0.500 | 0.500 | 0.500 | 0.500 | 0.000 | 0.000 | 0.000 |
#000000 | 0.000 | 0.000 | 0.000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FF0000 | 1.000 | 0.000 | 0.000 | 0° | 0° | 1.000 | 1.000 | 1.000 | 0.500 | 0.333 | 0.299 | 1.000 | 1.000 | 1.000 |
#BFBF00 | 0.750 | 0.750 | 0.000 | 60° | 60° | 0.750 | 0.750 | 0.750 | 0.375 | 0.500 | 0.664 | 1.000 | 1.000 | 1.000 |
#008000 | 0.000 | 0.500 | 0.000 | 120° | 120° | 0.500 | 0.500 | 0.500 | 0.250 | 0.167 | 0.293 | 1.000 | 1.000 | 1.000 |
#80FFFF | 0.500 | 1.000 | 1.000 | 180° | 180° | 0.500 | 0.500 | 1.000 | 0.750 | 0.833 | 0.850 | 0.500 | 1.000 | 0.400 |
#8080FF | 0.500 | 0.500 | 1.000 | 240° | 240° | 0.500 | 0.500 | 1.000 | 0.750 | 0.667 | 0.557 | 0.500 | 1.000 | 0.250 |
#BF40BF | 0.750 | 0.250 | 0.750 | 300° | 300° | 0.500 | 0.500 | 0.750 | 0.500 | 0.583 | 0.457 | 0.667 | 0.500 | 0.571 |
#A0A424 | 0.628 | 0.643 | 0.142 | 61.8° | 61.5° | 0.501 | 0.494 | 0.643 | 0.393 | 0.471 | 0.581 | 0.779 | 0.638 | 0.699 |
#411BEA | 0.255 | 0.104 | 0.918 | 251.1° | 250.0° | 0.814 | 0.750 | 0.918 | 0.511 | 0.426 | 0.242 | 0.887 | 0.832 | 0.756 |
#1EAC41 | 0.116 | 0.675 | 0.255 | 134.9° | 133.8° | 0.559 | 0.504 | 0.675 | 0.396 | 0.349 | 0.460 | 0.828 | 0.707 | 0.667 |
#F0C80E | 0.941 | 0.785 | 0.053 | 49.5° | 50.5° | 0.888 | 0.821 | 0.941 | 0.497 | 0.593 | 0.748 | 0.944 | 0.893 | 0.911 |
#B430E5 | 0.704 | 0.187 | 0.897 | 283.7° | 284.8° | 0.710 | 0.636 | 0.897 | 0.542 | 0.596 | 0.423 | 0.792 | 0.775 | 0.686 |
#ED7651 | 0.931 | 0.463 | 0.316 | 14.3° | 13.2° | 0.615 | 0.556 | 0.931 | 0.624 | 0.570 | 0.586 | 0.661 | 0.817 | 0.446 |
#FEF888 | 0.998 | 0.974 | 0.532 | 56.9° | 57.4° | 0.466 | 0.454 | 0.998 | 0.765 | 0.835 | 0.931 | 0.467 | 0.991 | 0.363 |
#19CB97 | 0.099 | 0.795 | 0.591 | 162.4° | 163.4° | 0.696 | 0.620 | 0.795 | 0.447 | 0.495 | 0.564 | 0.875 | 0.779 | 0.800 |
#362698 | 0.211 | 0.149 | 0.597 | 248.3° | 247.3° | 0.448 | 0.420 | 0.597 | 0.373 | 0.319 | 0.219 | 0.750 | 0.601 | 0.533 |
#7E7EB8 | 0.495 | 0.493 | 0.721 | 240.5° | 240.4° | 0.228 | 0.227 | 0.721 | 0.607 | 0.570 | 0.520 | 0.316 | 0.290 | 0.135 |
4. 1. RGB에서 HSL로 변환
HSL과 HSV 색 공간은 RGB 색 공간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Lightness/Value)의 세 가지 요소를 사용한다. 이 섹션에서는 RGB 색 공간의 값을 HSL 색 공간의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RGB 값에서 HSL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어진 RGB 색상에서 채도(Chroma)를 계산해야 한다. 채도는 HSL과 HSV 모델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11]
- 채도(Chroma) 계산:
여기서,
- ''L''은 명도(Lightness)로,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 ''SL''은 HSL 채도(Saturation)로,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채도를 계산한 후, 다음 단계는 RGB 큐브의 아래쪽 세 면에서 주어진 색상과 동일한 색상(Hue)과 채도(Chroma)를 가지는 점 (''R''1, ''G''1, ''B''1)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H''′와 ''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중간 변수 계산:
여기서,
- ''H''는 색상(Hue)으로, 0°에서 360° 사이의 값을 가진다.
- ''H'
'' mod 2는 ''H' ''를 2로 나눈 나머지이다.
이제, (''R''1, ''G''1, ''B''1) 값을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 RGB1 값 결정:
(0, 0, 0) &\text{if } H \text{ is undefined} \\
(C, X, 0) &\text{if } 0 \leq H^\prime < 1 \\
(X, C, 0) &\text{if } 1 \leq H^\prime < 2 \\
(0, C, X) &\text{if } 2 \leq H^\prime < 3 \\
(0, X, C) &\text{if } 3 \leq H^\prime < 4 \\
(X, 0, C) &\text{if } 4 \leq H^\prime < 5 \\
(C, 0, X) &\text{if } 5 \leq H^\prime < 6
\end{cases}
마지막으로, 명도(Lightness)를 맞추기 위해 ''R''1, ''G''1, ''B''1 각각에 ''m''을 더하여 최종 RGB 값 (''R'', ''G'', ''B'')를 구한다.
- 최종 RGB 값 계산:
이상의 과정을 통해 RGB 색 공간의 값을 HSL 색 공간의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4. 2. RGB에서 HSV로 변환
HSV 색 공간은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Value)로 색을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RGB 색 공간에서 HSV 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채도(Chroma) 계산:주어진 HSV 색상의 명도(V)와 채도(SV) 값을 사용하여 채도(C)를 계산한다.
:
2. RGB 큐브 내 점 찾기:색상(H)과 채도(C)가 동일한 RGB 큐브의 아래쪽 세 면 중 하나에서 점 (R1, G1, B1)을 찾는다. 이를 위해 중간 값 X를 계산한다.
:
:
:
3. 명도(Value) 맞추기:각 구성 요소에 동일한 양(m)을 더하여 명도를 맞춘다.
:
:
5. 활용
HSL과 HSV는 색상 선택 도구에 주로 사용된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각 속성에 대한 세 개의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대부분은 모델의 2차원 슬라이스를 표시하고 어떤 슬라이스를 표시할지 제어하는 슬라이더를 함께 제공한다. 이러한 GUI는 모델의 형태(원기둥, 육각기둥, 원뿔/쌍원뿔)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도 HSL 또는 HSV 기반 색상 선택을 지원하며, 주요 웹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에는 사전 패키지된 오픈 소스 색상 선택기가 존재한다. CSS 3 사양을 통해 웹 저자는 HSL 좌표를 사용하여 페이지의 색상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30]
HSL과 HSV는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그라데이션을 정의하는 데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GIS 프로그램인 ArcGIS는 과거에 HSV 기반 그라데이션을 숫자 지리 데이터에 적용했다.[31]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는 HSL 또는 HSV 좌표를 참조하여 색상을 조정하는 도구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특히, "색조" 및 "채도" 슬라이더 쌍이 있는 도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흔히 사용되었다. 유닉스 이미지 뷰어 및 색상 편집기 xv는 6개의 사용자 정의 가능한 색조(''H'') 범위를 제공하고, 채도(''S''''HSV'')에 대한 다이얼과 유사한 제어 장치와 값(''V'')을 제어하기 위한 곡선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했다(
비디오 편집기에서도 이러한 모델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Avid와 Final Cut Pro는 모두 HSL 또는 유사한 형상을 기반으로 하는 색상 도구를 포함한다. Adobe Photoshop은 버전 4.0부터 "광도", "색조", "채도" 및 "색상" 혼합 모드를 사용하여 레이어를 합성하는데, 이때 휘도/채도/색조 색상 형상을 사용한다. 이 기능은 널리 복사되었지만, 일부 모방 제품은 HSL(예: PhotoImpact, Paint Shop Pro) 또는 HSV 형상을 사용한다.
HSL, HSV, HSI 또는 관련 모델은 컴퓨터 비전 및 영상 분석에서 특징 감지 또는 영상 분할에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도구의 응용 분야에는 로봇 비전에서의 객체 감지, 얼굴, 텍스트 또는 번호판과 같은 객체 인식, 콘텐츠 기반 이미지 검색, 의료 영상 분석 등이 있다.[29]
컬러 이미지에 사용되는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은 대부분 흑백 이미지용으로 설계된 알고리즘의 간단한 확장이다. 예를 들어 픽셀 색상의 k-평균 또는 퍼지 군집화, 캐니 가장자리 감지가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 각 색상 구성 요소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관심 특징이 사용된 색상 차원에서 구별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이미지에서 객체 색상의 ''R'', ''G'', ''B'' 구성 요소는 모두 객체에 닿는 빛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한 이미지 설명은 객체 구분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색상/명도/채도 또는 색상/명도/채도 측면에서의 설명이 종종 더 관련이 있다.[29]
5. 1. 소프트웨어
HSL과 HSV는 색상 선택 도구에 주로 사용된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각 속성에 대한 세 개의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대부분은 모델의 2차원 단면을 표시하고 어떤 단면을 표시할지 선택하는 슬라이더를 함께 제공한다. 이러한 GUI는 모델의 형태(원기둥, 육각기둥, 원뿔/쌍원뿔)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1990년대의 여러 색상 선택기는 와 같이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 오늘날 거의 모든 컴퓨터 색상 선택기는 최소한 옵션으로 HSL 또는 HSV를 사용한다. 일부 더 정교한 변형은 HSL 또는 HSV 관계를 기반으로 호환되는 색상 세트를 선택하도록 설계되었다.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도 HSL 또는 HSV를 기반으로 색상 선택을 지원하며, 주요 웹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에는 사전 패키지된 오픈 소스 색상 선택기가 존재한다. CSS 3 사양을 통해 웹 저자는 HSL 좌표를 사용하여 페이지의 색상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30]
HSL과 HSV는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그라데이션을 정의하는 데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GIS 프로그램인 ArcGIS는 과거에 사용자 정의 가능한 HSV 기반 그라데이션을 숫자 지리 데이터에 적용했다.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는 HSL 또는 HSV 좌표를 참조하여 색상을 조정하는 도구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특히, "색조" 및 "채도" 슬라이더 쌍이 있는 도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흔히 사용되었다. 유닉스 이미지 뷰어 및 색상 편집기 xv는 6개의 사용자 정의 가능한 색조(''H'') 범위를 제공하고, 채도(''S''''HSV'')에 대한 다이얼과 유사한 제어 장치와 값(''V'')을 제어하기 위한 곡선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했다( 참조). 이미지 편집기 Picture Window Pro는 HSL 또는 HSV 공간과 관련된 색조/채도 평면에서 점을 복잡하게 재매핑할 수 있는 "색상 보정" 도구를 포함한다.
비디오 편집기에서도 이러한 모델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Avid와 Final Cut Pro는 모두 HSL 또는 유사한 형상을 기반으로 하는 색상 도구를 포함한다.
버전 4.0부터 Adobe Photoshop의 "광도", "색조", "채도" 및 "색상" 혼합 모드는 휘도/채도/색조 색상 형상을 사용하여 레이어를 합성한다. 이러한 기능은 널리 복사되었지만, 일부 모방 제품은 대신 HSL(예: PhotoImpact, Paint Shop Pro) 또는 HSV 형상을 사용한다.
HSL, HSV, HSI 또는 관련 모델은 컴퓨터 비전 및 영상 분석에서 특징 감지 또는 영상 분할에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도구의 응용 분야에는 로봇 비전에서의 객체 감지, 얼굴, 텍스트 또는 번호판과 같은 객체 인식, 콘텐츠 기반 이미지 검색, 의료 영상 분석 등이 있다.[29]
대부분의 경우, 컬러 이미지에 사용되는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은 흑백 이미지용으로 설계된 알고리즘의 간단한 확장이다. 예를 들어 픽셀 색상의 k-평균 또는 퍼지 군집화, 또는 캐니 가장자리 감지가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 각 색상 구성 요소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관심 특징이 사용된 색상 차원에서 구별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이미지에서 객체 색상의 ''R'', ''G'', ''B'' 구성 요소는 모두 객체에 닿는 빛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한 이미지 설명은 객체 구분을 어렵게 만든다. 색상/명도/채도 또는 색상/명도/채도 측면에서의 설명이 종종 더 관련이 있다.[29]
5. 2. 웹 디자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색상 선택이 필요한 경우, 대부분 HSL 또는 HSV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주요 웹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를 위한 오픈 소스 색상 선택기가 존재하며, CSS 3 사양을 통해 웹 개발자는 HSL 좌표를 사용하여 페이지의 색상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30]HSL과 HSV는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그라데이션을 정의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예를 들어, GIS 프로그램인 ArcGIS는 과거에 HSV 기반 그라데이션을 숫자 지리 데이터에 적용했다.[31]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는 HSL 또는 HSV 좌표를 참조하여 색상을 조정하는 도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색조" 및 "채도" 슬라이더 쌍이 있는 도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흔하게 사용되었다.[32][33] 유닉스 이미지 뷰어 및 색상 편집기 xv는 6개의 사용자 정의 가능한 색조(''H'') 범위를 제공하고, 채도(''S''''HSV'') 및 값(''V'')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했다.
xv의 HSV 기반 색상 수정 |
![]() 어도비 포토샵 2.5의 색조/채도 도구 |
5. 3. 이미지 분석
HSL, HSV, HSI 또는 관련 모델은 컴퓨터 비전 및 영상 분석에서 특징 감지 또는 영상 분할에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도구는 로봇 비전에서의 객체 감지, 얼굴, 텍스트 또는 번호판과 같은 객체 인식, 콘텐츠 기반 이미지 검색, 의료 영상 분석 등에 응용된다.[29]대부분 컬러 이미지에 사용되는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은 흑백 이미지용으로 설계된 알고리즘(예: 픽셀 색상의 k-평균 또는 퍼지 군집화, 캐니 가장자리 감지)의 간단한 확장이다. 가장 단순한 경우, 각 색상 구성 요소는 개별적으로 동일한 알고리즘을 거친다. 따라서 관심 특징이 사용된 색상 차원에서 구별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이미지에서 객체 색상의 ''R'', ''G'', ''B'' 구성 요소는 모두 객체에 닿는 빛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어 객체 구분을 어렵게 만든다. 색상/명도/채도 또는 색상/명도/채도 측면에서의 설명이 종종 더 관련이 있다.[29]
1970년대 후반부터 HSV 또는 HSI와 같은 변환은 분할의 효율성과 계산 복잡성 간의 절충안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세부 사항에서 일치하지 않지만, 인간의 색상 시각에 사용되는 신경 처리와 접근 방식 및 의도가 유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목표가 객체 감지인 경우, 색상, 명도 및 채도 또는 채도를 대략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인간의 색상 반응을 엄격하게 모방해야 할 특별한 이유는 없다. John Kender의 1976년 석사 논문에서 HSI 모델을 제안했다. Ohta et al. (1980)은 ''I'', ''α'', ''β''라고 부르는 차원과 유사한 모델을 사용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모델은 성능이 더 복잡한 모델과 비교하여 우수하며 계산 단순성이 여전히 매력적이므로 지속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29][37][38][39]
6. 한계점
HSL과 HSV는 RGB 색 공간을 단순 변환한 것으로, 인간의 색 지각과는 무관하게 RGB 입방체의 꼭짓점(R, G, B)이 무채색 축으로부터 등거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대칭성을 유지한다. Lab 색 공간과 같이 지각적으로 균일한 공간에 RGB 색역을 표시하면(그림 15), 빨강, 녹색, 파랑의 지각적 밝기나 채도가 서로 다르고, 색상 또한 등간격이 아님을 알 수 있다.[71]
또한, 변환되는 RGB 공간의 감마 보정 특성에 따라 HSL이나 HSV 값이 달라진다.[71]
HSL과 HSV의 색 표현이 인간 지각과 얼마나 다른지는, 이미지에서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Lightness)·명도(Value)를 각각 추출하여 학술적 정의와 비교하면 명확해진다.
그림 16a는 sRGB 색 공간 컬러 이미지이고, 그림 16b는 CIELAB ''L''*(CIEXYZ 색 공간에서 지각적 밝기를 나타내는 무채색 휘도 성분 ''Y''에만 의존)에 의한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 원래 컬러 이미지와 밝기가 비슷하게 느껴진다. 그림 16c의 Luma(''Y''' ) 이미지도 비슷하게 보이지만, 채도가 높은 부분에서 약간 다르다. 반면, 그림 16e(HSV의 명도 ''V'')와 그림 16f(HSL의 명도 ''L'')는 원본 이미지의 밝기와 크게 다르다.[71]
이러한 색 공간 중 특히 HSV의 명도 ''V''와 HSL의 명도 ''L''는 인간의 지각과 큰 차이를 보인다. HSV에서 순색 파랑과 흰색은 같은 명도(Value)를 가지지만, 실제로는 순색 파랑의 휘도가 흰색의 약 10% 정도이다. HSL에서는 빨강 100%, 녹색 100%, 파랑 90%인 매우 밝은 노랑이 지각적으로 채도가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순색 녹색과 같은 채도(Saturation)를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71]
지도 제작 및 색채 전문가 신시아 브루어(Cynthia Brewer)는 HSL과 HSV가 RGB의 단순한 수학적 변환임에도 불구하고 색상, 명도, 채도 용어를 사용하여 지각적 시스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각적 색 차원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채도와 명도가 혼동되어 넓은 범위의 밝기를 포함하거나, 색상과 명도가 혼동되어 순색 노랑과 파랑이 같은 명도로 간주되지만 실제 지각적 밝기는 크게 다르다. 이러한 결함은 체계적인 배색 조정을 어렵게 만든다고 설명했다.[72][73]
HSL과 HSV는 지각적 속성을 혼동하기 때문에, 이미지 보정에도 적합하지 않다. 하나의 값을 변경하면 세 가지 지각적 속성이 모두 불균일하게 변하여 이미지의 색 관계가 왜곡된다. 예를 들어 짙은 남색의 색상(Hue)을 녹색에 가깝게 변경하면 지각적 채도는 감소하고 밝기는 증가하지만, 밝은 청록색에서 같은 각도로 색상을 변경하면 반대로 채도가 증가하고 밝기가 감소한다.
그림 17b는 그림 17a의 원본 이미지에서 HSL/HSV의 채도와 명도를 유지하고 색상을 -30도 회전시킨 결과인데, 거북이 등껍질이 더 어두워지고 배경이 더 밝아지는 등 지각적 밝기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 반면, 그림 17c는 CIELAB의 휘도(''L''*)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같은 색상 회전을 적용하여 지각적 밝기를 유지한다.
색상은 360도 원형으로 불연속적이기 때문에 계산이나 비교가 어렵고, 60도마다 구분적으로 정의되어 ''R'', ''G'', ''B''에 대한 명도, 채도의 관계가 그 구분에 따라 달라지는 불연속성이 발생한다.
디지털 영상 전문가 찰스 포인트턴(Charles Poynton)은 HSB와 HLS가 색각 특성에 결함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색을 선택하거나 PANTONE과 같은 다른 수단을 사용하거나, L*u*v*나 L*a*b*와 같은 지각 기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 현재에는 HSB나 HLS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74]
7. 다른 원통형 좌표계 색 모델
HSL과 HSV는 색상이 중심 축에서 검정에서 흰색으로 이어지는 중립색과 그 축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에 해당하는 색조를 갖는 원뿔 또는 구형에 맞는다고 상상한 최초의 모델은 아니었다. 이와 유사한 배열은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가장 현대적이고 과학적인 모델에서 계속 개발되고 있다.[1] 오스트발트 색상 체계 등이 이러한 모델에 해당한다.[1]
참조
[1]
문서
Absolute color space
[2]
문서
Levkowitz and Herman (1993)
[3]
서적
Die Farbenfibel
Leipzig
1916
[4]
서적
Die Harmonie der Farben
Leipzig
1918
[5]
특허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displayed color images
http://www.google.co[...]
[6]
논문
A human factors study of color notation systems for computer graphics
1982-08
[7]
논문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RGB, YIQ, LAB, HSV, and opponent color models
1987-04
[8]
논문
Model and representation: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on human performance in a color picker interface
1999-04
[9]
특허
Procédé de télévision en couleurs
[10]
문서
Smith (1978)
[11]
문서
Joblove and Greenberg (1978)
[12]
웹사이트
A Survey of Color for Computer Graphics
http://graphics.stan[...]
Course at SIGGRAPH 2001
2001-08
[13]
논문
Interactive Computer Graphics: Flying High-Part I
1979-07
[14]
논문
Colour Gradation, Shading and Texture Using a Limited Terminal
1984-03
[15]
논문
Status report of the graphic standards planning committee
1979-08
[16]
문서
Fairchild (2005)
[17]
문서
Kuehni (2003)
[18]
서적
Standard Terminology of Appearance E284
http://www.astm.org/[...]
ASTM International
2009
[19]
서적
International Lighting Vocabulary
http://www.cie.co.at[...]
CIE and IEC
2010-02-05
[20]
문서
Poynton (1997)
[21]
서적
Digital Color Imaging Handbook
CRC Press
[22]
문서
Smith (1978)
[23]
문서
Hanbury and Serra (2002)
[24]
문서
Hanbury (2008)
[25]
논문
Symbolic fusion of luminance-hue-chroma features for region segmentation
[26]
서적
Digital Image Processing
Prentice Hall
2008
[27]
웹사이트
What weighting of red, green and blue corresponds to brightness?
http://www.poynton.c[...]
[28]
웹사이트
Re: Luminosity channel...
http://lists.apple.c[...]
2001-09-25
[29]
문서
Cheng et al. (2001)
[30]
웹사이트
CSS3 Color Module Level 3
http://www.w3.org/TR[...]
2008-07
[31]
웹사이트
Working with color ramps
http://webhelp.esri.[...]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2017-08-30
[32]
웹사이트
The HSV Modification Tools
http://www.trilon.co[...]
1994
[33]
웹사이트
User Guide for Picture Window and Picture Window Pro Digital Light & Color
http://www.dl-c.com/[...]
2010-01
[34]
웹사이트
Blending Modes
https://helpx.adobe.[...]
Adobe Systems Incorporated
2017-02-15
[35]
웹사이트
Compositing and Blending Level 1
https://www.w3.org/T[...]
[36]
웹사이트
GIMP's LCH Blend Modes
https://ninedegreesb[...]
[37]
논문
Saturation, hue and normalized color
Carnegie Mellon University, Computer Science Dept. Pittsburgh, PA
1976
[38]
간행물
Color information for region segmentation
[39]
간행물
Toward color image segmentation in analog VLSI: Algorithm and hardware
https://authors.libr[...]
[40]
conference
Color Use Guidelines for Data Representation
http://www.personal.[...]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999
[41]
서적
Statistical Analysis of Circular Dat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conference
Circular Statistics Applied to Colour Images
[43]
웹사이트
What are HSB and HLS?
http://www.poynton.c[...]
1997
[44]
문서
'''I'''ntensityを輝度とするHS'''I'''色空間も存在する。'''L'''と'''I'''では、定義がやや異なる。
[45]
문서
HSV色空間がHS'''B'''色空間と呼ばれる場合、'''B'''は'''B'''rightness(明度)を指す。これはValue(明度)と同値である。
[46]
문서
これらの色空間における「輝度」などの単語は、光学などの学術分野における定義とは異なることがある。詳細は[[HSL色空間とHSV色空間#色を構成する属性|後述]]される。
[47]
문서
例えば、図2において両モデルの円柱の右下にある色 や、HSLの円柱の上部にある色 は、鮮やかであるとは言いがたい。
[48]
문서
カラー映像に切り替えるにあたって信号の形式を全く異なるものにすると既存の受信装置では映像を受信できなくなるかもしれないが、従来の信号(白黒映像、すなわち輝度情報のみからなる信号)に色の情報を付け加えるだけであれば、既存の受信装置でも調整なしで映像を(白黒で)受信できる。
[49]
문서
例えば、比較的鮮やかなオレンジ色( R=217、G=118、B=33)の彩度を下げた色 を作りたい場合、Rを31減らし、Gを24増やし、Bを59増やさなければならない。
[50]
웹사이트
米国特許 4694286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displayed color images"
https://patents.goog[...]
Google Patents
2023-03-21
[51]
서적
色彩工学入門 定量的な色の理解と活用
森北出版株式会社
[52]
서적
色彩学概説
東京大学出版会
[53]
서적
色彩工学入門 定量的な色の理解と活用
森北出版株式会社
[54]
서적
色彩工学入門 定量的な色の理解と活用
森北出版株式会社
[55]
서적
色彩工学入門 定量的な色の理解と活用
森北出版株式会社
[56]
서적
色彩工学入門 定量的な色の理解と活用
森北出版株式会社
[57]
문서
強い照明のもとで見た黒い紙と暗い部屋で見た白い紙では、黒い紙のほうが絶対的には明るい(輝度が高い)かもしれないが、黒い紙の色は「暗い色」、白い紙の色は「明るい色」と認識できる。このような場合においては、「暗い」「明るい」はLightnessで表現されているといえる。
[58]
문서
Joblove と Greenberg (1978)と同様。
[59]
문서
後述の通り、これらが厳密に角度と距離によって定義されるのは、六角形を円に変形したあとである。
[60]
문서
ここで「Chroma」という言葉を使うことによって、 Joblove と Greenberg (1978)の論文内容と一致するだけでなく、この用語の精神測定的な定義にも沿う。Adobe Photoshop の「Saturation」ブレンドモードのようにこの属性が「Saturation」とよばれる場合もあるが、(Chromaと比較されるような場合には特に)混同できない。
[61]
문서
(''R'', ''G'', ''B'')で表されるある色に対し、RGBの各成分から同じ値だけ変化させた (''R'' + ''m'', ''G'' + ''m'', ''B'' + ''m'') で表される色は、傾いたRGB立方体の中で垂直方向に移動しただけの点であるため、平面上の同じ点に投影され、同じChromaをもつ。例えば、''R'' = ''G'' = ''B'' となる無彩色の色は黒と白を結ぶ軸上にあり、常に原点に投影される。
[62]
문서
HSLやHSVに関する論文や書籍の多くには、それらを正式に記述した公式やアルゴリズムも書かれており、この記事で示される数式はそれらをまとめたものである。Agoston (2005) や Foley (1995) を参照されたい。
[63]
문서
Lumaという用語に関するより具体的な議論は、Charles Poynton (2008) を参照されたい。Adobe Photoshop の「Luminosity」ブレンドモードでは、RGB色空間に関係なくNTSCの係数を使用する。
[64]
문서
「[[HSL色空間とHSV色空間#Hue(色相)とChroma(クロマ)の導出|Hue(色相)とChroma(クロ마)の導出]]」を参照。
[65]
문서
「[[HSL色空間とHSV色空間#明るさを表す成分の導出|밝기를 표기하는 성분의 도출]]」을 참조하십시오.
[66]
문서
「[[HSL색 공간과 HSV색 공간#색상을 구성하는 속성|색상을 구성하는 속성]]」을 참조하십시오.
[67]
문서
この表の上部9色は作為的に、残りの10色は無作為に選ばれた。
[68]
웹사이트
CSS Color Module Level 3
https://www.w3.org/T[...]
W3C
2022-01-18
[69]
문서
ArcGISでは、このグラデーションを「Color ramps」と呼んでいる。2008年のバージョンではCIELABも利用できる。
[70]
문서
大田らのモデルでは、 ''I''1 = (''R'' + ''G'' + ''B'') / 3, ''I''2 = (''R'' − ''B'') / 2, ''I''3 = (2''G'' − ''R'' − ''B'') / 4 であった。 ''I''1 は上述の ''I'' と同じである。また、''α'' はR方向を指すのに対して ''I''3 はG方向を指す点と、 ''β'' の線形スケーリングが ''I''2 とはやや異なる点を除き、 ''I''2 , ''I''3 はそれぞれ ''β'', ''α'' に似ている。
[71]
문서
[72]
문서
[73]
웹사이트
Color Use Guidelines for Data Representation
http://www.personal.[...]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023-03-22
[74]
웹사이트
Color FAQ - Frequently Asked Questions Color
http://poynton.ca/no[...]
2006-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