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I 네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AI 네셔는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에서 프랑스의 다소 미라주 III 전투기를 기반으로 제작한 전투기이다. 1960년대 프랑스의 무기 금수 조치로 인해 자체 개발의 필요성을 느껴 개발되었으며, 이스라엘은 프랑스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지 않고 스파이를 통해 입수한 설계도를 바탕으로 네셔를 제작했다. 네셔는 1971년 이스라엘 공군에 배치되어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이후 아르헨티나에 수출되어 포클랜드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IAI 네셔 | |
---|---|
개요 | |
![]() | |
종류 | 다목적 전투기 |
제작 국가 | 프랑스 / 이스라엘 |
제작사 | 이스라엘 항공우주 산업 |
설계 그룹 | 다소 |
개발 및 생산 | |
첫 비행 | 1971년 9월 |
도입 | 1972년 |
퇴역 | 1977년 (이스라엘) 2015년 (아르헨티나) |
생산 대수 | 61기 (51+10) |
상태 | 군 복무에서 퇴역 |
운용 | |
주요 운용국 | 이스라엘 공군 |
기타 운용국 | 아르헨티나 공군 |
기반 기종 | 다소 미라주 5 |
파생형 | IAI 크피르 |
명칭 | |
히브리어 | (네셔) |
포클랜드 전쟁 참전 함선 (아르헨티나 공군 소속 기체 상대) | |
영국 해군 | HMS 앤트림 (D18) HMS 브릴리언트 (F90) HMS 브로드소드 (F88) HMS 아던트 (F184) HMS 애로우 (F173) HMS 플리머스 (F126) |
2. 역사
다소 미라주 III는 1400대나 생산된 베스트셀러 전투기이다. 1960년대 이스라엘은 다소 항공과 합작개발을 하여 다소 미라주 III 전천후 전투기에서 몇몇 장비를 제거하는 대신 연료량을 더 늘린 주간용 전투기 개발을 요구했으며, 그것이 다소 미라주 5 공격기이다. 개발 완료된 다소 미라주 5를 이스라엘이 수입하려고 하자 프랑스 정부가 엠바고 조치를 하였다.[5][7][6]
건국의 아버지 다비드 벤 구리온이 1953년 설립한 베덱 항공은 프랑스의 엠바고 조치가 시작되자 본격적인 항공기 제조업에 도전하게 되었다. 베덱 항공은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으로 사명을 바꿨고 이스라엘 정부가 스파이를 통해 유출시킨 설계를 기반으로 다소 미라주 III의 카피판인 IAI 네셔를 만들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독자적인 제조기술을 쌓았고, 뒤이어 1973년에는 IAI 네셔를 개량하여 이스라엘 최초의 독자 개발 항공기인 IAI 크피르를 개발했다.[27]
이스라엘이 개발한 레이더와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 엔진을 장착했다.
2. 1. 개발 배경
1960년대 초, 이스라엘 공군(IAF)은 프랑스의 다소 미라주 III를 도입하여 주력 전투기로 운용했다.[2] 다소 미라주 III는 제공 전투기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했지만,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프랑스는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단행했다.[5][7][6] 특히 1967년 6월, 이스라엘의 선제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6일 전쟁의 결과, 프랑스 정부의 무기 금수 조치는 더욱 확실해졌다.
이에 이스라엘은 독자적인 전투기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1960년 7월, 이스라엘은 다소 항공과 공동 개발을 시작하여 다소 미라주 III의 파생형인 다소 미라주 5를 개발했다.[5] 이스라엘은 다소 미라주 5의 개발 완료후 수입하려고 했으나, 프랑스 정부의 엠바고 조치로 인해 좌절되었다.
건국의 아버지 다비드 벤 구리온이 1953년 설립한 베덱 항공(이후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으로 사명 변경)은 프랑스의 엠바고 조치가 시작되자 본격적인 항공기 제조업에 도전하게 되었다.[27] 베덱 항공은 이스라엘 정부가 스파이를 통해 유출시킨 설계를 기반으로 다소 미라주 III의 카피판인 IAI 네셔를 만들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독자적인 제조기술을 쌓았고, 뒤이어 1973년에는 IAI 네셔를 개량하여 이스라엘 최초의 독자 개발 항공기인 IAI 크피르를 개발했다.[27]
2. 2. 개발 과정
다소 미라주 III는 1400대나 생산된 베스트셀러 전투기이다. 1960년대 이스라엘은 다소 항공과 합작개발을 하여 다소 미라주 III 전천후 전투기에서 몇몇 장비를 제거하는 대신 연료량을 더 늘린 주간용 전투기 개발을 요구했으며, 그것이 다소 미라주 5 공격기이다.[5] 개발 완료된 다소 미라주 5를 이스라엘이 수입하려고 하자 프랑스 정부가 금수 조치를 하였다.[5][7][6]프랑스의 금수 조치는 이스라엘이 자체 국내 무기 산업의 역량을 개발하여 자국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큰 자극이 되었다.[8] 건국의 아버지 다비드 벤 구리온(David Ben Gurion)이 1953년 설립한 베덱 항공은 프랑스의 금수 조치가 시작되자 본격적인 항공기 제조업에 도전하게 되었다. 베덱 항공은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으로 사명을 바꿨고 이스라엘 정부가 스파이를 통해 유출시킨 설계를 기반으로 다소 미라주 III의 카피판인 IAI 네셔를 만들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독자적인 제조기술을 쌓았고, 뒤이어 1973년에는 IAI 네셔를 개량하여 이스라엘 최초의 독자 개발 항공기인 IAI 크피르를 개발했다.[27]
1962년 초, 이스라엘 공군(IAF)은 최초의 다쏘 미라주 IIICJ 전투기를 도입했다.[2] 1960년대 후반, IAF는 이스라엘과 주변국 간의 여러 분쟁, 특히 1967년의 6일 전쟁과 그 직후부터 1970년까지 이어진 소모전에서 손실된 전투기를 대체하기 위해 추가 항공기를 획득해야 했다. 또한, 이 시기에 이스라엘과 시리아, 이집트 등 주변국 간에 군비 경쟁이 발생했으며, 이들 국가는 소련으로부터 점점 더 발전된 무기를 제공받고 있었다.[3]
1960년 7월, 이스라엘은 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다쏘 항공과 공동 개발을 시작하여, 미라주 III 전투기의 파생형을 개발하고 생산했다.[5] 이스라엘의 요청에 따라 미라주 5의 개발을 추진했다.[4] IAF가 요구한 이 기종의 다음 버전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 사항은, 이 항공기의 전천후 능력을 축소하고 주요 레이더 시스템을 제거하는 대신, 탑재량과 항속거리를 개선하는 것이었다. 이는 중동 지역의 맑은 기후와 일반적인 기상 조건이 가능하게 했다.[5]
프로토타입의 초도 비행 전에도 이스라엘은 50대의 항공기 배치와 IAF용 훈련기 2대를 주문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1969년 1월, 1968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프랑스 정부가 이스라엘과 "중동의 전쟁 국가"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발표하면서 사실상 중단되었다.[5][7][6] 이 금수 조치의 시행으로 이스라엘이 이미 대금을 지불한 최초의 미라주 5 항공기 30대의 인도와 이 기종 20대에 대한 추가 옵션이 금지되었다. IAF의 기존 미라주 IIICJ 기단을 운영하기 위한 모든 프랑스의 지원도 중단되었다.[7]
프랑스의 결정에 대한 대응으로 이스라엘은 기체를 자체적으로 제조하기로 결정했다 ('''라암 A 및 B''' 프로젝트).[9] 이스라엘은 이미 해당 항공기에 대한 필요한 도면과 문서를 소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다쏘로부터 공식적인 라이선스 생산을 받지는 않았다. 항공 저술가 돈 매카시(Don McCarthy)에 따르면, 이스라엘 정보 기관인 모사드가 일부 제조 정보를 획득하는 데 역할을 했을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다쏘의 창립자인 마르셀 다쏘가 설계 정보를 자유롭게 제공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7][10]
항공 저술가 더그 딜디(Doug Dildy)와 파블로 칼카테라(Pablo Calcaterra)에 따르면, 다소는 1968년 1월에 제조 면허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진 이스라엘 항공산업(IAI)와 미국 항공 회사인 노스 아메리칸 록웰(North American Rockwell)로 구성된 산업 컨소시엄을 통해 지그(공구), 고정 장치 및 많은 양의 기체 부품을 이스라엘에 은밀하게 제공했다.[10] 무기, 항공전자 장비, 사출 좌석 또는 엔진이 포함되지 않은 최초의 베어 기체는 다소에서 직접 프랑스에서 인도되었다고 한다.[9] 딜디와 칼카테라는 항공기의 아타(Atar) 엔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스위스 산업 제조업체인 설처(Sulzer)를 통해 얻었으며, 설처는 스위스 자체의 미라주를 위해 엔진을 생산했으며, 이 청사진과 이스라엘 공군(IAF)의 기존 미라주의 여러 아타 엔진을 역설계함으로써 이스라엘이 자체 엔진을 독립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10]
1969년 동안 IAI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제조 활동을 시작했다.[11] 공식적으로 이스라엘은 완전한 도면 세트를 확보한 후 항공기를 제조했다. 그러나 일부 소식통은 프랑스 공군(AdA)에서 분해된 상태로 상자에 담겨 직접 배송된 50대의 미라주 5를 받았으며, AdA는 원래 이스라엘군을 위해 사용하려던 50대의 항공기를 인수했다고 주장했다.[7][5][12][13] 1969년 9월, 첫 번째 네셔 시제품이 초도 비행을 수행했다. 1971년 5월, 첫 번째 Raam A가 IAF에 인도되었다. 1971년 11월, 이 항공기는 공식적으로 ''네셔''라는 이름을 받았다.[9]
네셔의 기체는 미라주 5와 동일했지만, 이스라엘에서 제작된 항공전자 장비 시스템을 광범위하게 개조했으며, 마틴 베이커 제로-제로 사출 좌석을 채택했으며,[10] 이스라엘 샤프리르 열 추적 미사일을 포함한 더 광범위한 공대공 미사일(AAM)에 대한 개선된 조항이 있었다. 총 51대의 네셔 전투기(Nesher S)와 10대의 네셔 2인승 훈련기(Nesher T)가 IAI에 의해 제작되었다. 네셔는 IAF의 미라주 IIIC보다 더 단순한 항공전자 장비를 갖추었으며, 기동성도 약간 떨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더 긴 전투 범위와 더 큰 탑재량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유형의 기동성 감소는 네셔가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동안 공중전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16]
1974년, 네셔 생산은 네셔와 병행하여 계획되었던 보다 진보된 미라주 파생 기종으로 전환되었다. 이 파생 기종의 주요 차이점은 아타 엔진을 이스라엘에서 제작된 제너럴 일렉트릭 J79 엔진으로 대체한 것이다. J79는 록히드 F-104 스타파이터 및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와 같은 전투기에 이미 사용되었던 미국의 인기 있는 엔진이었다. 그 결과 항공기는 IAI 크피르라는 이름을 받았다.[14]
2. 3. 실전 배치 및 운용
1971년, 첫 번째 네셔(이스라엘 명칭: 라암)가 이스라엘 공군에 인도되었다.[17] 1974년 2월까지 총 51대의 네셔 전투기와 10대의 네셔 2인승 훈련기가 인도되었다. 네셔는 제113 비행대와 제144 비행대에 단독 배치되었으며, 제101 비행대와 제117 비행대에서도 미라주 III CJ/BJ와 혼성 배치되었다.네셔는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에서 주력 전투기로 활약하며 이집트와 시리아 공군을 상대로 100대 이상의 격추를 기록하며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17] 그러나, 욤 키푸르 전쟁 이후 공격 작전에 참여하면서 기체가 빠르게 노후화되었고,[15][16] 더 성능이 뛰어난 IAI 크피르가 도입되면서 네셔는 퇴역하게 되었다. 이후 네셔는 제253 비행대에서 2선급 장비로 1980년대 중반까지 운용되었다. 퇴역한 네셔는 대부분 개조되어 아르헨티나에 "다거(Dagger)"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17]
2. 4. 아르헨티나 수출 및 포클랜드 전쟁
아르헨티나 공군은 이스라엘 공군(IAF)에서 퇴역한 네셔를 개조하여 두 차례에 걸쳐 도입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이 기종을 '''대거'''(Dagger)라고 명명했으며, 1978년부터 1981년까지 단좌형 35기(대거 A)와 복좌형 4기(대거 B)를 포함하여 총 39기를 도입했다.[18][19] 이들은 제6 항공 그룹 창설에 사용되었으며, 비글 해협 분쟁으로 인한 칠레와의 외교적 위기 상황에서 페루 공군의 지원을 받으며 배치되었다.[19]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공군의 대거는 리오 그란데와 푸에르토 산 훌리안의 비행장에 배치되어, 공중 급유 능력 부족과 목표까지의 거리에도 불구하고 153회의 출격을 수행했다.[20][21] , , , 등에 캐논 사격으로 피해를 입혔고, 와 에 유도되지 않은 폭탄을 투하했다.[20][21] 그러나 시 해리어가 발사한 AIM-9L 사이드와인더에 9대,[22] HMS ''브로드소드''의 시 울프에 1대, 지상 배치된 레이피어에 1대 등 총 11대의 대거가 격추되었다.[22]
전쟁 후, 생존한 기체들은 '''핑거'''(Finger) 규격으로 개수되어 레이더 교체, HUD 장착, 레이더 경고 수신기 추가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23] 영국제 장비는 톰슨-CSF의 프랑스산 부품으로 교체되었다.[24][25] 이들은 미라주 5A 마라와 함께 제6 항공 여단 산하의 제6 전투 항공군에 배치되었으며, 2015년 11월 29일에 다른 미라주 기종과 함께 퇴역했다.
3. 파생형
; 네셔 S: 1인승 공격기, 이스라엘 공군
; 네셔 T: 2인승 훈련기, 이스라엘 공군
; 네셔 A: 1인승 전투기, 아르헨티나 공군
; 네셔 B: 2인승 훈련기, 아르헨티나 공군
- '''네셔 S''': 이스라엘 공군을 위한 단좌 지상 공격 전투기 버전.
- '''네셔 T''': 이스라엘 공군을 위한 복좌 훈련기 버전.
- '''다거 A''': 아르헨티나 공군을 위한 개조된 단좌 전투기 버전.
- '''다거 B''': 아르헨티나 공군을 위한 개조된 복좌 훈련기 버전.
최초의 기체는 1970년에 이스라엘 공군에 납입되었으며, 단좌형 51기와 복좌 훈련형 10기가 제작되었다.
네셔는 제113 비행대와 제144 비행대에 단독 배치되었으며, 제101 비행대와 제117 비행대에서도 미라주 III CJ/BJ와 혼성 배치되어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에 투입되었다.
이후, 보다 강력한 J79 엔진을 탑재한 발전형인 크피르가 개발되었지만, 네셔도 2선급 장비로 제253 비행대에서 1980년대 중반까지 운용되었다.
아르헨티나는 1978년부터 1981년에 걸쳐 39기(단좌형 35기, 복좌형 4기)의 네셔를 이스라엘에서 구입하여 '''다거'''(Dagger)라고 명명했다. 단좌형은 다거 A, 복좌형은 다거 B로 불린다. 아르헨티나의 다거는 포클랜드 전쟁에서 미라주 III EA와 함께 참전했지만, 대공포화와 AIM-9L 공대공 미사일을 장비한 영국군의 BAe 시 해리어를 상대로 11기의 다거 A를 잃는 등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전쟁 후, 생존 기체는 이스라엘에 의해 레이더 교체, HUD 장착, 레이더 경고 수신기 추가 등 '''핑거'''(Finger) 사양으로 개량되었다. 핑거는 미라주 5A 마라와 함께 제6 항공 여단 산하의 제6 전투 항공군에 배치되었다. 2015년 11월 29일, 다른 미라주 기종과 함께 퇴역했다.
3. 1. 이스라엘
네셔 S는 이스라엘 공군을 위한 단좌 지상 공격 전투기 버전이다. 네셔 T는 이스라엘 공군을 위한 복좌 훈련기 버전이다. 최초의 기체는 1970년에 이스라엘 공군에 납입되었으며, 단좌형 51기와 복좌 훈련형 10기가 제작되었다.네셔는 제113 비행대와 제144 비행대에 단독 배치되었으며, 제101 비행대와 제117 비행대에서도 미라주 III CJ/BJ와 혼성 배치되어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에 투입되었다.
이후, 보다 강력한 J79 엔진을 탑재한 발전형인 크피르가 개발되었지만, 네셔도 2선급 장비로 제253 비행대에서 1980년대 중반까지 운용되었다.
3. 2.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는 1978년부터 1981년에 걸쳐 39기(단좌형 35기, 복좌형 4기)의 네셔를 이스라엘에서 구입하여 '''다거'''(Dagger)라고 명명했다. 단좌형은 다거 A, 복좌형은 다거 B로 불린다. 아르헨티나의 다거는 포클랜드 전쟁에서 미라주 III EA와 함께 참전했지만, 대공포화와 AIM-9L 공대공 미사일을 장비한 영국군의 BAe 시 해리어를 상대로 11기의 다거 A를 잃는 등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전쟁 후, 생존 기체는 이스라엘에 의해 레이더 교체, HUD 장착, 레이더 경고 수신기 추가 등 '''핑거'''(Finger) 사양으로 개량되었다. 핑거는 미라주 5A 마라와 함께 제6 항공 여단 산하의 제6 전투 항공군에 배치되었다. 2015년 11월 29일, 다른 미라주 기종과 함께 퇴역했다.
4. 제원
일반 특성 | |
---|---|
승무원: | 1명 |
길이: | 15.65m |
날개폭: | 8.22m |
높이: | 4.25m |
날개 면적: | 34.8m² |
공허 중량: | 6,600kg |
최대 이륙 중량: | 13,500kg |
엔진: | SNECMA 아타 9C 터보제트 엔진 1개 |
최대 추력: | 60.89 kN |
성능 | |
최고 속도: | 마하 2.1 (고도 12,000m) |
항속 거리: | 1,300km (보조 연료 탱크, 공대공 미사일 2기, 1,179kg 폭탄 장착 시 1,186km) |
실용 상승 한도: | 17,680m |
상승률: | 83m/s |
무장 | |
기관포: | 30mm IAI/DEFA 552 기관포 2문 (각 140발) |
최대 무장 탑재량: | 4,200kg |
하드포인트: | 날개 하부 6개, 동체 하부 1개 |
가능 무장: | AIM-9 사이드와인더 또는 샤프릴-2 공대공 미사일, 각종 폭탄 및 로켓탄 |
4. 1. 일반 특성
IAI 네셔는 이스라엘의 IAI에서 생산한 전투기이다. 승무원은 1명이며, 길이는 15.65m, 날개폭은 8.22m, 높이는 4.25m이다. 날개 면적은 34.8m²이고, 공허 중량은 6,600kg, 최대 이륙 중량은 13,500kg이다. 엔진은 SNECMA 아타 9C 터보제트 엔진 1개를 사용하며, 최대 추력은 60.89 kN이다. 무장으로는 30mm IAI/DEFA 552 기관포 2문(각 140발)과 최대 4200kg의 폭탄, 공대공 미사일 2발을 장착할 수 있다. 날개 하부에 6개, 동체 아래에 1개의 하드포인트가 있다.4. 2. 성능
IAI 네셔는 스네크마 아타 9C 터보제트 엔진 1기를 장착했다. 고도 39,370ft (12,000m)에서 최대 속도는 마하 2.1이다. 보조 연료 탱크, 공대공 미사일 2기, 2,600lb (1,179kg) 폭탄을 장착 시 항속 거리는 1,186km이며, 일반적인 항속 거리는 1,300km이다. 실용 상승 한도는 17,680m이고, 상승률은 83m/s이다.무장으로는 30mm IAI/DEFA 552 기관포 2문(각 140발)이 동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최대 4,200kg의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 여기에는 2기의 공대공 미사일, 12,730lb(5,774kg)의 폭탄이 포함된다. 날개 아래 6개와 동체 아래 1개의 하드포인트가 있다.
4. 3. 무장
IAI 네셔는 30mm DEFA 552 기관포 2문을 장착했으며, 각 기관포에는 140발의 탄약이 탑재된다. 최대 4,200kg의 폭탄, 로켓,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무장 탑재를 위한 하드포인트는 날개 하부에 6개, 동체 하부에 1개가 있다. 공대공 미사일로는 AIM-9 사이드와인더 또는 샤프릴-2를 운용할 수 있다.5. 운용 국가
이스라엘 공군은 61대의 네셔를 운용하다 퇴역[26]시켰고, 아르헨티나 공군은 39대의 다거를 인수하여 모두 퇴역[26]시켰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은 5대의 네셔를 운용하였다.[26]
5. 1. 이전 운용 국가
이스라엘 공군은 61대의 네셔를 운용하다 퇴역[26]시켰고, 아르헨티나 공군은 39대의 다거를 인수하여 모두 퇴역[26]시켰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은 5대의 네셔를 운용하였다.[26]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110mb.com - Want to start a website?
https://web.archive.[...]
2011-11-04
[10]
서적
[11]
웹사이트
IAF Museum - IAI Nesher
http://www.davidprid[...]
[12]
웹사이트
Wing Magazine, Vol. 30/No 4, August 2000, p. 48, Swiss Federal Court
https://web.archive.[...]
2006-10-12
[13]
서적
The Boats of Cherbourg: The Secret Israeli Operation That Revolutionized Naval Warfare.
Seaver Books, New York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웹사이트
IAI Dagger
https://amilarg.com.[...]
Amilarg, Aviación Militar Argentina
[20]
웹사이트
British Ships sunk and damaged - Falklands War 1982
http://www.naval-his[...]
[21]
서적
[22]
웹사이트
Argentine Aircraft Lost
http://www.naval-his[...]
NavalHistory.net
[23]
서적
[24]
서적
Dagger & Finger en Argentina
http://www.helis.com[...]
[25]
서적
[26]
웹사이트
Dassault Mirage III & Mirage 5/Nesher in Israeli Service
https://web.archive.[...]
ACIG
2013-08-09
[27]
뉴스
"[윤상용의 밀리터리 노트] 세계 방위 산업 흥망사(3)"
인사이드
2015-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