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T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CE TD는 도이치반에서 운행했던 디젤 동차로, 1990년대에 개발되었다. ICE T와 유사한 차체 디자인에 지멘스에서 개발한 전기 기계식 틸팅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장착했다. 2001년 독일에서 운행을 시작했으나 기술적 문제와 높은 유지보수 비용으로 인해 2003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2007년부터 덴마크 국철과 공동으로 베를린-함부르크-코펜하겐 노선에 투입되었지만, 2016년 말 대부분 퇴역했다. 현재는 시험 열차로 활용되거나, 박물관에 보존된 차량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멘스의 철도 차량 - ICE T
ICE T는 독일 철도에서 곡선 구간이 많은 노선에서 고속 운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발된 동력분산식 차체 경사식 고속열차로, 독일 남부와 스위스 등지를 운행하며 KTX-이음 개발에도 참고가 되었다. - 지멘스의 철도 차량 - ICE 4
ICE 4는 독일 철도에서 운행하는 고속 열차로, ICE 1 및 ICE 2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승객 수용 능력 증대와 에너지 효율 향상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어 다양한 편성으로 유럽 여러 국가에서 운행된다. - 독일의 고속철도 차량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독일의 고속철도 차량 - ICE 1
ICE 1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독일의 고속 열차로, 최고 속도 280km/h로 운행하며, 1998년 에셰데 사고를 겪고 2019년부터 운행 연장을 위한 정비를 진행한다. -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의 철도 차량 - 봄바디어 레지나
봄바디어 레지나는 1990년대 초 스웨덴에서 개발된 지역 교통용 전동차로, 광폭 설계와 다양한 맞춤형 옵션을 통해 스웨덴 국내외에서 운행되며 중국 고속철도 차량 CRH1의 기반이 되었다. -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의 철도 차량 - SL C20
SL C20은 스톡홀름 지하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로, FICAS 기술이 적용된 C20F 모델을 포함한 다양한 파생 모델이 있으며, 2019년부터 중간 수명 연장 개조를 통해 입석 정원 증가 및 휠체어 공간 확보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ICE TD | |
---|---|
기본 정보 | |
![]() | |
열차 종류 | 디젤-전기 동차 |
서비스 시작 | 2001년 (여객 운송) |
서비스 종료 | 2017년 (여객 운송) |
현재 상태 | 2019년-현재 (시험 운행) |
제작 회사 |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지멘스 AG |
편성 | 4량 편성 |
차체 재질 | 강철 |
UIC 분류 | 2Bo+Bo2+2Bo+Bo2 |
연결기 | 델너 연결기 |
성능 | |
좌석 수 | 일반석 154석, 1등석 41석 |
동력 방식 | 디젤-전기 변속기 |
엔진 | 4 × 커민스 QSK19 |
엔진 출력 | 4 × = (1,800 rpm에서) |
견인 | 지멘스 모빌리티 SIBAS 32 게이트 턴오프 사이리스터-가변 주파수 드라이브 |
변속기 | 보이트 SE-380 |
운영 | |
운영 회사 | DB 페른페르케어 |
운영 회사 | DSB |
안전 장치 | |
안전 장치 | Sifa, PZB90, LZB, 유로발리스 |
내부 | |
![]() |
2. 역사
1994년 ICE 1, ICE 2 개발에 성공하면서 독일철도는 새로운 인터시티익스프레스 모델 개발을 시작했다. 이 모델은 ICE T로 개발되었고, 이후 독일철도는 ICE T 플랫폼을 이용해 디젤 차량을 만들기 시작했다. ICE에 의한 고속화 효과를 비전철화 노선으로도 확대하기 위해, ICE T를 기반으로 개발된 차체 경사식 전기식 기동차이다.[10]
1996년에 최초로 제작에 들어갔고 20편성이 생산되었다. 1998년에 최초 편성이 조립되었고, 1999년 4월에 시범 운행이 시작되었다. 2000년 시범 운행을 하면서 영업 최고 속도가 222km를 달성했다.[28] 2001년 뮌헨~드레스덴 구간 운행을 시작으로, 이후 스위스 취리히까지 운행했다.
2001년 4량 편성 20편성이 제작되었다. 2001년 6월부터 뮌헨-취리히, 베를린-드레스덴 간 등 비전철화 구간의 고속화를 위해 도입되었다. 그러나 기술적 문제로 2002년 12월 2일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3년에는 전 차량이 운용에서 일시적으로 이탈했다.[10]
2006년 FIFA 월드컵에 맞춰 다시 운행을 재개했고, 2007년 말에는 독일과 덴마크 간 서비스를 위해 베를린에서 함부르크를 거쳐 코펜하겐까지 운행을 시작했다. 독일철도가 덴마크 철도에 임대를 제안했고 이를 수용해 운행이 가능했다.[29][30] 2007년부터는 함부르크-코펜하겐 간 "철새 코스"에 투입되어 운용을 재개했지만,[10] 2017년 10월 운용을 종료했다.[11][12]
2016년 덴마크 철도 측에서 유지 비용 문제를 제기하며 13편성의 임대 계약 해지를 요청했다.[31] 독일철도는 이 문제를 수용하여 함부르크에서 코펜하겐까지 달리는 1편성을 제외하고 전량 퇴역 처리했다.[32] 2017년 10월 마지막 편성이 퇴역하면서 이 모델은 단종 처리되었다.[33]
2. 1. 개발 배경
1994년 독일철도는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시스템의 성공적인 개통과 ICE 2 개발 주문에 따라, 기존 노선을 이용한 장거리 서비스 업그레이드 계획을 시작했다. 이는 ICE 수준에 근접한 편안함과 더 높은 속도를 제공하고, 기관차가 끄는 인터시티(IC) 및 인터레기오(IR) 열차를 대체할 틸팅 전동차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도이치반은 이 프로젝트에 "T"가 'Triebzug'(전동차)를 의미하는 'IC T'라는 이름을 부여했고, 이 개발은 ICE T로 이어졌다.이후 도이치반은 비전철 노선에도 유사한 신형 열차의 필요성을 느껴 'ICT-VT'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여기서 "VT"는 'Verbrennungstriebwagen'(내연기관 동차)를 의미한다. 즉, 디젤 차량을 만드는 것이었다.
도이치반은 ICE 3, IC T 및 ICT-VT 프로젝트를 병행하여 개발했다. 이 열차들은 공통적인 스타일링 컨셉을 공유하는데, 특히 앞쪽 객차에 있는 라운지 구역은 운전실과 유리 벽으로만 분리되어 트랙을 향한 전망을 제공한다. 기술적으로도 열차들은 많은 부품과 기술적 레이아웃, 그리고 분산 추진 개념을 공유한다. ICE 1 및 ICE 2 디자인과 달리, 새로운 유닛들은 동력차가 아닌 주변 언더플로어 모터를 사용하여 차축 하중을 줄이고(특히 틸팅 열차에 중요) 견인력을 높이도록 계획되었다.
ICT-VT의 경우 레스토랑 객차가 없는 4량 구성을 선택했지만, 도이치반은 IC T와 최대한 외관을 통일하고 기술적 공통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심지어 전기 열차와 디젤 열차를 연결하여 함께 운행하는 가능성까지 고려했다.[10]
2. 2. 제작
1996년에 최초로 제작에 들어갔고 20편성이 생산되었다. 1998년에 최초 편성이 조립되었고 1999년 4월에 시범 운행이 시작되었다. 2000년에 시범 운행을 하면서 영업 최고 속도가 222km를 달성했다.[28]ICE T의 경우, DWA(봄바디어)는 양쪽 끝 객차를, 지멘스는 중간 객차를 생산했다. ICE TD는 ICE T에서 사용된 피아트(알스톰)(Fiat (Alstom)) 펜돌리노 유압 시스템 대신 지멘스가 개발한 전기 기계식 틸팅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장착했다. 또한, 대차와 차체 사이의 2차 현가장치는 더 높은 승차감을 위해 금속 코일 대신 에어 스프링을 사용한다.[3] 외부에서 보이는 지멘스 시스템의 특징적인 요소는 대차 중심 위, 차체 외부 지지대의 초승달 모양 상단이다.
틸팅 시스템은 또한 대차의 두 차축에 전기 모터를 위한 공간을 남겼으며, 따라서 디젤-전기 열차의 각 객차는 동력이 없는 대차와 동력 대차를 갖는다(2Bo 구성).[3] 605형의 전기 모터에 대한 전력은 각 객차에 560kW의 출력을 가진 4개의 디젤 엔진에 의해 생성된다. 이 엔진은 트럭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전기적으로, 열차의 두 부분은 각각 2개의 객차로 구성된 두 개의 독립적인 전원 장치를 형성하며, 다섯 번째 객차를 중간 객차로 추가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이 있다.
1998년에 첫 번째 열차가 조립되었고, 1999년 4월에 궤도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 2000년 1월 13일, 열차 세트 5502로 시험 운행하는 동안 222km/h의 속도를 기록했다.[3]
1999년 첫 번째 IC T가 운행을 시작하기 직전에, 전기 열차와 디젤 열차의 이름은 각각 ''ICE T''와 ''ICE TD''로 변경되었으며, "T"는 이제 영어 단어 ''tilt(ing)'' 또는 독일어 ''Triebzug''('열차 세트', 기관차 사이에 연결된 객차로 구성된 구형 ICE와 달리 차체 하부에 엔진이 있는 열차)를 의미하며, "TD"는 ''tilt(ing) / trainset diesel''을 의미한다.
2. 3. 운행
2001년 6월 10일부터 드레스덴과 뉘른베르크 사이의 노선에서 정규 운행을 시작했다.[28] 얼마 지나지 않아 뮌헨과 취리히 사이에서도 운행되었다.[28] 이 노선들은 부분적으로 전철화되지 않아 디젤 동력 열차가 사용되었다.2002년 12월 2일 차축 파손 사고 이후 운행이 중단되었다.[29] 2006년 FIFA 월드컵에 맞춰 추가 교통 수요를 예상하여 열차를 잠시 재가동했다. 이후 전세 열차 및 지원 열차에 사용되었다.
2007년 말부터 베를린-함부르크-코펜하겐 노선에서 정규 운행에 투입되었다.[29][30] 기술적 문제로 도입이 지연된 DSB의 IC4 열차 대신 함부르크-코펜하겐 노선(Vogelfluglinie)에서 덴마크 IC3 열차를 대체했다. 이 노선에 사용된 10개의 605형은 덴마크 ATC 안전 시스템을 갖추었다. 2008년부터 덴마크 호환 605형은 베를린-함부르크-오르후스 노선에도 사용되었다. 2009년 중반부터 3개의 ICE-TD 유닛이 더 독일-덴마크 노선에 투입되어, DSB가 더 많은 IC3 열차를 국내 사용을 위해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4]

2. 4. 퇴역
2016년 덴마크 철도 측에서 유지 비용 문제를 제기하며 13편성의 임대 계약 해지를 요청했다.[31] 독일철도는 이 문제를 수용하여 함부르크에서 코펜하겐까지 운행하는 1편성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량 퇴역 처리했다.[32] 2017년 10월 마지막 편성이 퇴역하면서 이 모델은 단종되었다.[33]2016년 12월 11일, 대부분의 605급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DB는 모든 구성 요소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교체하는 대대적인 정비 절차에 투자하는 것을 원치 않았다. DSB는 열차 구매 기회를 얻었지만, 높은 유지 보수 및 운영 비용을 이유로 거절했다.[5][6] 함부르크와 코펜하겐 사이의 ''Vogelfluglinie'' 노선은 덴마크 IC3 열차로 계속 운행되었으며, 아르후스-함부르크 노선도 운행되었지만 운행 횟수는 줄었다. 2017년 10월 1일까지 함부르크-코펜하겐 노선에서 단 하나의 ICE TD 열차가 운행되었고, 이후 퇴역했다.[7]
2019년, DB는 남아 있는 ICE TD 열차 대부분을 점진적으로 폐기하는 과정에 있었다.
605 017은 2019년 2월에 시험 열차로 비공개 운행을 시작했으며, 605 019는 2021년 8월에 뒤따랐다.[8] ''Advanced TrainLab''으로 명명된 이 열차는 신기술 시험대로 사용된다.[8]

3. 설계
ICE TD의 차체는 ICE T와 거의 동일하며,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무게를 줄였다. 4량 편성으로 구성되며, 최대 3편성까지 함께 운행할 수 있다. 차체 경사 기구는 독일의 지멘스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동력 전달 방식은 전기식을 채택했으며, 1량당 기관 출력은 560kW이다.[13]
1991년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개통되고 ICE 2 개발 주문에 따라, 1994년 도이치반은 기존 노선을 이용한 장거리 서비스 업그레이드 계획을 시작했다. 이는 ICE 수준의 편안함과 더 높은 속도를 가진 틸팅 전동차를 도입하여 기관차가 끄는 인터시티(IC) 및 인터레기오(IR) 열차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도이치반은 이 프로젝트에 'IC T'라는 이름을 부여했고, "T"는 'Triebzug'(전동차)를 의미한다. 이 개발은 ICE T로 이어졌다.
이후 도이치반은 비전철 노선에도 유사한 신형 열차의 필요성을 느껴 'ICT-VT'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여기서 "VT"는 'Verbrennungstriebwagen'(내연기관 동차)를 의미한다. 도이치반은 ICE 3, IC T 및 ICT-VT 프로젝트를 병행하여 개발했다. 이 열차들은 공통적인 스타일링 컨셉을 공유하는데, 특히 앞쪽 객차에 있는 라운지 구역은 운전실과 유리 벽으로만 분리되어 트랙을 향한 전망을 제공한다.
ICT-VT는 레스토랑 객차가 없는 4량 구성을 선택했지만, 도이치반은 IC T와 최대한 외관을 통일하고 기술적 공통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심지어 전기 열차와 디젤 열차를 연결하여 함께 운행하는 가능성까지 고려했다. ICE T와의 협조 운전에도 대응하고 있다.[13]
3. 1. 편성 구성
ICE TD는 1량 4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19] 각 차량의 형식과 좌석 구성은 다음과 같다.차량 형식 | 구분 | 특징 |
---|---|---|
605.0형 | 2등석 선두차 | 8석 규모 라운지, 좌석 공간 55석 (좌석 15개 대신 자전거 10대 거치형으로 변경 가능한 신속 환장형 공간 4.8m 포함, 실제 사용 없음) |
605.1형 | 2등석 중간차 | 좌석 공간 45석, 유아 동반석 6석, 공중 전화기, 장애인용 및 일반형 화장실 |
605.2형 | 2등석 중간차 | 좌석 공간 40석 (흡연석으로 계획됨), 갤리, 차장실, 승객용 및 승무원용 화장실 |
605.5형 | 1등석 선두차 | 6석 규모 라운지, 좌석 공간 35석 (통로변 좌석 5석 흡연석으로 계획됨) |
선두차의 전장은 27m, 중간차의 전장은 25m이다. 차량간 통로의 길이는 90cm이다. 시트피치는 2등석 971mm, 1등석 1010mm이다. 605.2형 차량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에는 수하물 유치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최대 3편성까지 병결 운행이 가능하다.[34] 초기에는 ICE T 및 ICE 3과 병결 운행 및 총괄제어가 계획되었으나,[35] 소프트웨어 변경으로 인해 실현되지 않았다. 이론적으로는 8량 편성으로 연장이 가능했고,[35] 추가로 팬터그래프, 고압모선, 변압기를 설치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36]
차체 형태는 ICE T와 거의 동일하며, 알루미늄 합금을 채용하여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동력 전달 방식은 전기식을 채용, 1량당 기관 출력은 560kW이며,[13] 편성 출력은 2240kW가 된다.
3. 2. 자전거 휴대
ICE TD는 자전거 휴대를 고려한 최초의 ICE 동차였다. 2등석 선두차인 605.0형의 신속 환장형 공간에 자전거 거치대 설치가 준비되어 있었다. 좌석 15개 대신 자전거 10대 거치형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해당 옵션이 사용된 적은 없었다.[19] 고정형 좌석 8석을 한쪽 벽에는 접이식 좌석 3석과 다른 쪽 벽에는 자전거 거치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39] 실제 영업 운행 시기에는 자전거 거치대로 개조되지 않았다.4. 운용
ICE TD는 ICE T를 기반으로 개발된 차체 경사식 전기식 기동차로, 고속화의 효과를 비전철화 노선으로 확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10] 2001년에 4량 편성 20편성이 제작되었다.
뮌헨-취리히 간, 베를린-드레스덴 간 등 비전철화 구간의 고속화를 위해 2001년 6월부터 투입되었으나, 잦은 문제 발생으로 2003년에 전 차량이 일시적으로 운용에서 이탈했다.[10]
이후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추가 교통 수요를 예상하여 잠시 재가동되었으며, 전세 열차 및 지원 열차로 사용되었다. 2007년부터는 함부르크-코펜하겐 간 "철새 코스"에 투입되어 운용을 재개했지만,[10] 2017년 10월에 운용을 종료했다.[11][12]
4. 1. 초기 운용
2001년에 20개 편성 모두 (DB)에 인도되어 605형으로 분류되었다. 시범 운행 후, 2001년 6월 10일부터 드레스덴과 뉘른베르크 사이의 신규 ICE 17호선에서 정규 운행을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유로시티 열차를 대체하여 뮌헨과 취리히 사이에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ICE TD는 처음부터 기술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14] 2002년 12월 2일 차축 파손 사고 이후, 남은 19개 편성(유지보수 중 작업대에서 1개 편성 추락)[16]이 모두 운행 중단되었다. 1년 후 열차가 다시 운행되었지만, 도이치반(독일 철도)은 운행 비용이 과도하다고 판단했다. DB는 연료에 대해 전액 디젤세를 납부해야 했기 때문이다.결국 2003년 12월, 도이치반(독일 철도)은 ICE TD 전 편성을 정기 운용에서 철수시켰으며[15], 운용은 기관차 견인의 인터시티나 근교용 기동차로 대체되었다.[15]
4. 2. 덴마크 직통

독일 함부르크와 덴마크 코펜하겐을 잇는 "철새 코스"에서 기존 IC3 기동차로 운행되던 유로시티의 일부를 대체하는 형태로 ICE TD가 도입되었다.[16] 2007년 4월에 첫 시운전이 실시되었고, 같은 해 12월에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6] 최고 속도는 베를린-함부르크 간 200km/h, 그 외 독일 국내 구간 140km/h, 덴마크 국내에서는 180km/h로 운행되었다.[16]
총 13개 편성의 ICE TD가 덴마크 직통 대응 개조를 받았다.[16] 보안 장치 및 무선 장치와 이에 부수되는 기기 설치, 수하물 수납 설비 확장 등 여객 설비 개수가 이루어졌다.[16] 차량은 독일 철도에서 덴마크 국철로 대여하는 형태였으며, 양 철도 회사의 로고가 함께 표시되었다.[16] 독일 철도와 덴마크 국철 간의 운행 계약 기간은 13년이었다.[16] 독일 풋가르덴과 덴마크 로비유 사이의 페마른 벨트 해협에서는 철도 연락선을 이용해 항송하였다.[16]
그러나 2015년에 운행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정비가 필요하고, 그 비용이 매우 고액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독일 철도는 2016년 말 리스 계약을 해제한다고 통보했다. 리스 계약에는 덴마크 국철 측이 차량을 매입하는 옵션도 있었지만, 덴마크 국철은 이를 행사하지 않았다. 결국 2016년 12월 11일 시간표 개정으로 1개 편성을 제외한 모든 차량이 운용에서 이탈했다.[11][17] 유일하게 남은 편성도 2017년 10월에 운용을 종료했다.[12] 이후 일부 편성은 측정 등의 시험 차량으로 남아있다.[18]
5. 과거 운행 노선
노선 | 운행 기간 | 비고 |
---|---|---|
뉘른베르크 – 바이로이트 – 켐니츠 – 드레스덴 | 2001년 6월 ~ 2003년 12월 | 인터시티를 거쳐 레기오날-익스프레스 열차로 대체[9] |
뮌헨 – 린더우 – 취리히 | 2001년 6월 ~ 2003년 12월 | 유로시티 열차로 대체 |
(베를린 –) 함부르크 – 플렌스부르크 – 오르후스 | 2007년 12월 ~ 2016년 12월 | IC3 열차로 대체 |
함부르크 – 뤼베크 – 푸트가르텐 – 뢰드비 – 코펜하겐 | 2007년 12월 ~ 2017년 9월 |
ICE TD는 ICE T를 기반으로 개발된 차체 경사식 전기식 기동차로, 비전철화 노선에서도 고속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10] 2001년에 4량 편성 20편성이 제작되었다.
2001년 6월부터 뮌헨 - 취리히 구간 등 비전철화 구간에서 운행되었으나, 잦은 문제 발생으로 2003년에 모든 차량이 운용에서 제외되었다.[10]
2007년부터는 함부르크 - 코펜하겐 간 "철새 코스"에 투입되어 운행을 재개했지만,[10] 2017년 10월에 운행을 종료했다.[11][12]
독일 함부르크와 덴마크 코펜하겐을 잇는 "철새 코스"에서는 기존 IC3 기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ICE TD가 도입되었다.[16] 2007년 12월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최고 속도는 베를린-함부르크 간 200km/h, 독일 국내 구간 140km/h, 덴마크 국내에서는 180km/h였다.[16]
총 13개 편성이 덴마크 직통 대응 개조를 받았으며, 덴마크 국철에 대여하는 형태로 운행되었다.[16] 페마른 벨트 해협 구간은 철도 연락선으로 연결되었다.[16]
그러나 2015년, 유지 보수 비용 문제로 독일 철도는 2016년 말 리스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덴마크 국철은 차량 매입 옵션을 행사하지 않았고, 결국 2016년 12월 11일 대부분의 차량이 운용에서 이탈했다.[11][17] 유일하게 남은 편성도 2017년 10월 운행을 종료했다.[12]
참조
[1]
웹사이트
Dellner Couplers AB – Automatic and Semi-Permanent Couplers
http://www.railway-t[...]
[2]
웹사이트
References High-Speed Trains and Electric Multiple Units (EMUs)
https://www.scribd.c[...]
2024-11-28
[3]
웹사이트
ICE-TD
http://www.hochgesch[...]
hochgeschwindigkeitszuege.com
2009-01-19
[4]
웹사이트
DSB skaffer nye tog til sjællandske pendlere
http://193.28.147.15[...]
Danske Statsbaner
2009-03-03
[5]
웹사이트
Direktverbindung nach Dänemark droht das Aus
http://www.tagesspie[...]
2015-06-15
[6]
웹사이트
DSB to withdraw ICE-TDs as DB terminates lease
http://www.railjourn[...]
2015-06-01
[7]
웹사이트
ICE-TD nach Kopenhagen
https://community.ba[...]
[8]
웹사이트
Laborzug absolviert Testfahrt auf der alten Stammbahntrasse
https://www.berliner[...]
FUNKE Berlin Wochenblatt
2021-04-12
[9]
웹사이트
hochgeschwindigkeitszuege.com - ICE-TD der Deutschen Bahn AG
http://www.hochgesch[...]
[10]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 200頁
[11]
웹사이트
DSB to withdraw ICE-TDs as DB terminates lease
https://www.railjour[...]
IRJ
2015-06-01
[12]
웹사이트
ICE-TD nach Kopenhagen
https://community.ba[...]
[13]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 201頁
[14]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 202頁
[15]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 203頁
[16]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 205頁
[17]
웹사이트
Ende der Diesel-ICE auf Vogelfluglinie
https://www.fehmarn2[...]
Fehmarn
2016-10-24
[18]
웹사이트
Laborzug absolviert Testfahrt auf der alten Stammbahntrasse
https://www.berliner[...]
[19]
간행물
Dieselelektrischer Schnelltriebzug VT 605 (ICE-TD) für die Deutsche Bahn AG
[20]
간행물
Fernverkehrs-Neigezug ICE-T der DB AG vorgestellt
[21]
간행물
ICT-VT in Wildenrath
[22]
뉴스
Das ungewisse Schicksal des glücklosen Neigetechnikzugs
http://www.faz.net/a[...]
2014-08-18
[23]
웹인용
DSB to withdraw ICE-TDs as DB terminates lease
http://www.railjourn[...]
2015-06-14
[24]
뉴스
Deutsche Bahn schickt Diesel-ICE endgültig in Rente
http://www.mdr.de/sa[...]
2017-10-30
[25]
웹사이트
I6055
https://www.db-gebra[...]
[26]
뉴스
Deutsche Bahn will Diesel-ICE verkaufen
2016-12-14
[27]
서적
605
[28]
웹인용
ICE-TD
http://www.hochgesch[...]
hochgeschwindigkeitszuege.com
2009-01-19
[29]
웹인용
DSB skaffer nye tog til sjællandske pendlere
http://193.28.147.15[...]
Danske Statsbaner
2009-03-03
[30]
웹사이트
hochgeschwindigkeitszuege.com - ICE-TD der Deutschen Bahn AG
http://www.hochgesch[...]
[31]
웹사이트
http://www.tagesspie[...]
[32]
웹사이트
railjournal.com - DSB to withdraw ICE-TDs as DB terminates lease
http://www.railjourn[...]
2015-06-01
[33]
웹인용
ICE-TD nach Kopenhagen
https://community.ba[...]
2017-07-25
[34]
간행물
Die Züge mit Neigetechnik der Deutschen Bahn
[35]
간행물
DB AG bestellt 20 Züge
[36]
서적
InterCityExpress – Die Starzüge im Fernverkehr der DB
EK-Verlag
2006
[37]
간행물
TEE Rail Alliance: Allianz im internationalen Personenverkehr
[38]
간행물
Neigezüge für TEE-Allianz ausgeschrieben
[39]
서적
ICE – Neue Züge für Deutschlands Schnellverkehr
transpress-Verlag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