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SO 1592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 15924는 문자를 식별하기 위한 표준으로, 각 문자에 네 글자 로마자 부호와 세 자리 숫자를 할당한다. 이 표준은 유니코드 컨소시엄이 관리하며, 문자의 종류에 따라 숫자가 분류된다. ISO 639-2, ISO/IEC 9541-1, ISO/IEC 10646-1과 같은 다른 표준과 연계되어 있으며, BCP 47에 따라 ISO 639 뒤에 표기하여 언어와 문자 체계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HTML 및 XML과 같은 마크업 언어에서 웹 브라우저가 문서에 적합한 글꼴을 선택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SO 15924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는 국제 음성 협회가 개발한 언어의 음성 표기 문자 기호 체계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자음, 모음, 초분절 기호 등을 포함하여 모든 언어의 음성을 정확하게 표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2004년 작품 - 허블 울트라 딥 필드
    허블 울트라 딥 필드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가장 깊은 우주 이미지 중 하나로, 빅뱅 이후 초기 우주의 은하들을 탐색하고 1만 개 이상의 은하를 통해 초기 은하의 형태와 진화 과정을 연구하며, 허블 극심해 딥 필드는 HUDF 이미지의 중심 부분을 더욱 깊게 관측하여 초기 우주의 은하를 식별하고 연구하는 데 기여한다.
  • 2004년 작품 - 사상 최악의 참사
    《사상 최악의 참사》는 특정 재난 또는 사고를 연대기적으로 재구성하여 CGI와 배우를 활용해 시각적으로 재현하고, 사건의 원인을 분석하여 결론과 관련된 사람들의 감성적인 순간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 문자 -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가로쓰기와 세로쓰기는 글자를 배열하는 방식의 차이를 말하며, 역사적으로 세로쓰기가 표준이었으나 현대에는 가로쓰기가 일반적이고, 글자 배열, 구두점 및 기호, 루비 문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문자 - 십자
    십자는 두 선의 교차점으로,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십자가형 상징이자 다양한 문화권과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호 또는 도형이다.
ISO 15924
ISO 15924
이름ISO 15924
설명문자 이름 표현 코드
발효 날짜2004년
발행 기관국제 표준화 기구 (ISO)
언어영어, 프랑스어
코드
종류네 자리 알파벳 코드
세 자리 숫자 코드
사용 목적문자 체계 식별
예시Latn (라틴 문자)
012 (아랍 문자)
관련 정보
관련 표준유니코드
참고 자료ISO 639 (언어 코드)
ISO/IEC 10646 (국제 문자 코드)
추가 정보유니코드 ISO 15924 홈페이지

2. 구성

로마자 네 글자로 된 부호는 문자의 영어 명칭을 바탕으로 줄여 쓴 것으로, 첫 글자는 대문자,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쓰인다. 예를 들어 한글(Hangul영어)은 `Hang`, 선문자 B(Linear B영어)는 `Linb`가 배당되는 식이다.

세 자리 번호는 십진분류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결정된다. 서로 관련된 항목(예를 들어 410 히라가나와 411 가타카나)은 서로 비슷한 번호가 배당되어 있으며, 특히 첫 자리는 문자의 기본적인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배당된다.

범위한국어 명칭영어 명칭
000~099상형 문자 및 설형 문자Hieroglyphic and cuneiform scripts
100~199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음소 문자Right-to-left alphabetic scripts
200~299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음소 문자Left-to-right alphabetic scripts
300~399자모적 음절 문자 (아부기다)Alphasyllabic scripts
400~499음절 문자Syllabic scripts
500~599표의 문자Ideographic scripts
600~699해석되지 않은 문자Undeciphered scripts
700~799(배당되지 않음)
800~899(배당되지 않음)
900~999사적인 용도, 별명, 특수 부호Private use, aliases, special codes


3. 유지 관리

ISO는 이 표준의 등록 기관(RA)으로 유니코드 컨소시엄을 임명했다. RA는 표준 개발 및 구현을 위해 공동 자문 위원회(JAC)와 협력하는 등록 관리자를 임명할 책임이 있다. 2004년부터 2018년까지 등록 관리자는 마이클 에버슨이었고, 2019년 1월부터 등록 관리자는 유니코드 컨소시엄의 기술 이사인 마커스 셰러이다.[2][3] JAC는 6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RA 대표 1인(마커스 셰러), ISO 639-2 대표 1인(미국 의회 도서관의 랜달 K. 배리), ISO TC37 대표 1인(크리스찬 갈린스키), ISO TC46 대표 1인(피터 팔), ISO/IEC JTC 1/SC 2 대표 2인(릭 맥고완과 켄 휘슬러, 둘 다 유니코드 컨소시엄의 임원)이 그들이다.[4]

4. 특수 코드

로마자 네 글자로 된 부호는 문자의 영어 명칭을 바탕으로 줄여 쓴 것으로, 첫 글자는 대문자,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쓴다. 예를 들어 한글(Hangul)은 `Hang`, 선문자 B(Linear B)는 `Linb`가 배당되는 식이다.

세 자리 번호는 십진분류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결정된다. 서로 관련된 항목(예를 들어 410 히라가나와 411 가타카나)은 서로 비슷한 번호가 배당되어 있으며, 특히 첫 자리는 문자의 기본적인 종류에 따라 배당된다.

900~999번은 사적인 용도, 별명, 특수 부호를 위해 사용된다.


  • `Qaaa`–`Qabx` (900–949): 개인 사용을 위해 예약된 50개의 코드 (예: `Qaag`는 미얀마어 Zawgyi 글꼴로 인코딩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데 사용됨)[7]
  • `Zsye` (993): 이모지
  • `Zinh` (994): 상속된 스크립트 코드[11]
  • `Zmth` (995): 수학 기호
  • `Zsym` (996): 기호
  • `Zxxx` (997): 기록되지 않은 문서를 위한 코드
  • `Zyyy` (998): 미결정 스크립트 코드
  • `Zzzz` (999): 인코딩되지 않은 스크립트 코드


공통 로케일 데이터 저장소(CLDR) 프로젝트의 요청에 따라 두 개의 네 글자 코드가 예약되어 있다.[8]

  • `Root`: CLDR 로케일 트리의 언어 중립적 기반을 위해 예약됨
  • `True`: 불리언 값 "true"를 위해 예약됨


영문숫자설명PVA
Qaaa—Qabx900–949사적 영역으로 예약
Zsye993이모지
Zinh994계승된 문자 체계[11]Inherited
Zmth995수학 기호
Zsym996기호
Zxxx997서기 문헌이 없는 언어
Zyyy998미확정 문자 체계Common
Zzzz999코드화되지 않은 문자 체계Unknown


5. 다른 표준과의 관계

로마자 네 글자로 된 부호는 문자의 영어 명칭을 바탕으로 줄여 쓴 것으로, 첫 글자는 대문자,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쓴다. 예를 들어 한글(Hangul영어)은 `Hang`가 배당된다.[9]

세 자리 번호는 십진분류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결정된다. 서로 관련된 항목은 서로 비슷한 번호가 배당되어 있으며, 특히 첫 자리는 문자의 기본적인 종류에 따라 배당된다.[9]

범위한국어 명칭영어 명칭
000~099상형 문자 및 설형 문자Hieroglyphic and cuneiform scripts
100~199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음소 문자Right-to-left alphabetic scripts
200~299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음소 문자Left-to-right alphabetic scripts
300~399자모적 음절 문자 (아부기다)Alphasyllabic scripts
400~499음절 문자Syllabic scripts
500~599표의 문자Ideographic scripts
600~699해석되지 않은 문자Undeciphered scripts
700~799(배당되지 않음)
800~899(배당되지 않음)
900~999사적인 용도, 별명, 특수 부호Private use, aliases, special codes



ISO 15924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언급하는 표준들은 다음과 같다.[9]


  • ISO 639-2:1998 언어 이름 표기 코드 — 파트 2: Alpha-3 코드[9]
  • ISO/IEC 9541-1:1991 정보 기술 — 글꼴 정보 교환 — 파트 1: 아키텍처[9]
  • ISO/IEC 10646-1:2020 정보 기술 — 유니버설 멀티 옥텟 코드화 문자 집합 (UCS)[9]


글꼴과 글리프의 정의를 위해 이 표준은 ISO/IEC 9541-1:1991을 참조한다.[9]

약 160개의 스크립트가 '''유니코드'''에 정의되어 있다. "속성 값 별칭"이라는 연결 고리를 통해 유니코드는 정의된 스크립트와 해당 ISO 15924 표준 간의 1:1 연결을 만들었다. 스크립트 (유니코드)를 참조하라.[9]

BCP 47[9]에 따르면, ISO 639 뒤에 ISO 15924를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르비아어에서 키릴 문자(srp-Cyrl)와 라틴 문자(srp-Latn)의 구별에 이용하거나, 로마자로 전사한 것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ISO 3166을 뒤에 표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중국어로 번체자를 사용하는 타이완(zh-Hant-TW)이나 홍콩(zh-Hant-HK), 또는 중국어로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화인민공화국(zh-Hans-CN)이나 싱가포르(zh-Hans-SG)의 구별에 이용할 수 있다. 언어 태그에서는 ISO 15924에서 지정하는 문자 체계(script)나 ISO 3166에서 지정하는 국가 또는 지역(region) 등 언어(language) 이외의 부분은 모두 생략 가능하지만, "언어-문자 체계-지역-변종-확장-사적 영역"의 순서로 정해져 있다. 이러한 이용법으로, HTML이나 XML 등의 마크업 언어에서 웹 브라우저가 문서의 언어 특유의 글꼴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판단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9]

6. 활용

로마자 네 글자로 된 부호는 문자의 영어 명칭을 바탕으로 줄여 쓴 것으로, 첫 글자는 대문자,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쓰인다. 예를 들어 한글(Hangul영어)은 `Hang`, 선문자 B(Linear B영어)는 `Linb`가 배당되는 식이다.

세 자리 번호는 십진분류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결정된다. 서로 관련된 항목(예를 들어 410 히라가나와 411 가타카나)은 서로 비슷한 번호가 배당되어 있으며, 특히 첫 자리는 문자의 기본적인 종류에 따라 배당된다.

BCP 47[9]에 따르면, ISO 639 뒤에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르비아어에서 키릴 문자(srp-Cyrl)와 라틴 문자(srp-Latn)의 구별에 이용하거나, 로마자로 전사한 것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ISO 3166을 뒤에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로 번체자를 사용하는 타이완(zh-Hant-TW)이나 홍콩(zh-Hant-HK), 또는 중국어로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화인민공화국(zh-Hans-CN)이나 싱가포르(zh-Hans-SG)의 구별에 이용할 수 있다. 언어 태그에서는 ISO 15924에서 지정하는 문자 체계(script)나 ISO 3166에서 지정하는 국가 또는 지역(region) 등 언어(language) 이외의 부분은 모두 생략 가능하지만, "언어-문자 체계-지역-변종-확장-사적 영역"의 순서로 정해져 있다. 이러한 이용법으로, HTML이나 XML 등의 마크업 언어에서 웹 브라우저가 문서의 언어 특유의 글꼴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판단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SO 15924:2004 http://unicode.org/i[...] 2011-06-21
[2] 웹사이트 ISO 15924 Registration Authority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19-01-24
[3] 웹사이트 Unicode Directors, Officers and Staff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19-01-24
[4] 웹사이트 Joint Advisory Committee ISO 15924/RA-JAC http://unicode.org/i[...] Unicode Consortium 2019-01-24
[5] 문서
[6] 웹사이트 ISO 15924:2004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script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04-01-09
[7] 웹사이트 Unicode Locale Data Markup Language (LDML) https://unicode.org/[...] 2023-10-25
[8] 웹사이트 ISO 15924:2004 –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scripts https://www.unicode.[...] Unicode 2023
[9] 문서 http://www.rfc-edito[...]
[10] 웹사이트 ISO 15924 - Code Lists https://unicode.org/[...] 2012-01-17
[11] 문서 https://www.unico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