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3166-2:NO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 3166-2:NO는 노르웨이의 행정 구역을 나타내는 ISO 3166-2 표준의 일부이다. 현재 노르웨이는 11개의 주(fylke)와 2개의 북극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역은 고유한 코드를 갖는다. 2020년에는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기존의 여러 주가 폐지되고 새로운 주가 신설되었다. 2018년과 2019년에도 행정 구역 관련 변경 사항이 있었으며, 2011년에는 코드의 알파벳순 재정렬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SO 3166 - ISO 3166-1
ISO 3166-1은 국가 식별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숫자 코드, 알파벳 두 글자(alpha-2), 세 글자(alpha-3) 코드 시스템을 제공하며, 유엔의 통계적 분류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코드가 할당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 ISO 3166 - ISO 3166-2:US
ISO 3166-2:US는 ISO 3166-2 표준의 일부로서 미국의 주, 특별구, 해외 영토에 고유한 하위 행정 구역 코드를 "US-"로 시작하는 형식으로 정의하며, 일부 해외 영토는 ISO 3166-1에서 자체 국가 코드를 갖는다.
ISO 3166-2:NO | |
---|---|
ISO 3166-2:NO | |
국가 | 노르웨이 |
ISO 3166-2 코드 | NO |
지리적 범위 | 노르웨이 |
2. 현재 코드
ISO 3166-2:NO는 노르웨이의 행정 구역 코드를 정의한다. 현재 코드는 11개의 주와 2개의 북극 지역으로 구성된다.
코드 | 행정 구역 이름 | 행정 구역 분류 |
---|---|---|
NO-42 | 아그데르 | 주 |
NO-34 | 인란데 | 주 |
NO-15 | 뫼레오그롬스달 | 주 |
NO-18 | 노를란 | 주 |
NO-03 | 오슬로 | 주 |
NO-11 | 로갈란 | 주 |
NO-54 | 트롬스오그핀마르크 / Romsa ja Finnmárkkuse / Tromssan ja Finmarkunfkv | 주 |
NO-50 | 트뢰넬라그 / Trööndelagesma | 주 |
NO-38 | 베스트폴오그텔레마르크 | 주 |
NO-46 | 베스틀란 | 주 |
NO-30 | 비켄 | 주 |
NO-22 | 얀마옌 | 북극 지역 |
NO-21 | 스발바르 제도 | 북극 지역 |
2. 1. 주 (Fylke)
ISO 3166-2:NO는 노르웨이의 행정 구역 코드를 정의하며, 이 중 주는 11개이다. 각 주는 고유한 ISO 3166-2 코드를 가진다.코드 | 행정 구역 이름 | 행정 구역 분류 |
---|---|---|
NO-42 | 아그데르 | 주 |
NO-34 | 인란데 | 주 |
NO-15 | 뫼레오그롬스달 | 주 |
NO-18 | 노를란 | 주 |
NO-03 | 오슬로 | 주 |
NO-11 | 로갈란 | 주 |
NO-54 | 트롬스오그핀마르크 / Romsa ja Finnmárkkuse / Tromssan ja Finmarkunfkv | 주 |
NO-50 | 트뢰넬라그 / Trööndelagesma | 주 |
NO-38 | 베스트폴오그텔레마르크 | 주 |
NO-46 | 베스틀란 | 주 |
NO-30 | 비켄 | 주 |
2. 1. 1. 아그데르 (Agder)
아그데르의 코드는 NO-42이다. 아그데르는 주(州) 단위 행정 구역에 속한다.[1]
2. 1. 2. 인란데트 (Innlandet)
Innlandet|인란데트nb는 노르웨이의 주(fylke)이다. ISO 3166-2 코드는 NO-34이다.[1]
2. 1. 3. 뫼레오그롬스달 (Møre og Romsdal)
Møre og Romsdalnb의 코드는 NO-15이다.[1] 뫼레오그롬스달은 주(fylke)에 해당한다.
2. 1. 4. 노를란 (Nordland)
Nordlandnb (영어: Northland)는 노르웨이의 주(fylke)이다. 코드는 NO-18이다.[1]2. 1. 5. 오슬로 (Oslo)
오슬로nb의 코드는 NO-03이다.[1]
2. 1. 6. 로갈란 (Rogaland)
로갈란은 노르웨이의 주이다. [1]2. 1. 7. 트롬스오그핀마르크 (Troms og Finnmark)
Romsa ja Finnmárkkuse, Tromssan ja Finmarkunfkv와 함께 북부 사미어 및 크벤어 명칭도 제공된다.[1]코드 | 행정 구역명 | 뉘노르스크 표기 | 부크몰 표기 | 북부 사미어 표기 |
---|---|---|---|---|
NO-54 | 트롬스 오 핀마르크 | Troms og Finnmark | Troms og Finnmark | Romssa ja Finnmárkku |
2. 1. 8. 트뢰넬라그 (Trøndelag)
NO-50 코드는 sma로 Trööndelagesma[1]와 함께 트뢰넬라그에 지정되어 있다. 트뢰넬라그의 행정 구역명은 뉘노르스크와 부크몰에서 모두 Trøndelag로 표기되며, 북부 사미어 표기는 제공되지 않는다.2. 1. 9. 베스트폴오그텔레마르크 (Vestfold og Telemark)
Vestfold og Telemarknb는 노르웨이의 주이다. 코드는 NO-38이다.[1]
2. 1. 10. 베스틀란 (Vestland)
Vestland|베스틀란nb은 노르웨이의 주(fylke)이다. ISO 3166-2:NO 코드는 NO-46이다.[1]코드 | 행정 구역명 (뉘노르스크) | 행정 구역명 (부크몰) | 행정 구역 분류 |
---|---|---|---|
NO-46 | 베스틀란 | 베스틀란 | 주 |
2. 1. 11. 비켄 (Viken)
비켄nb (Viken)은 ISO 3166-2:NO에서 코드가 NO-30으로 지정된 노르웨이의 주이다.[1]
2. 2. 북극 지역
ISO 3166-2:NO 표준에서 얀마옌섬(NO-22)과 스발바르 제도(NO-21)는 북극 지역으로 분류된다.[1] 이 두 지역은 노르웨이 최북단에 위치하며, 혹독한 기후와 독특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2. 2. 1. 얀마옌 (Jan Mayen)
Jan Mayennb은 ISO 3166-2 표준에서 코드가 NO-22로 정의되어 있으며, 북극 지역으로 분류된다.[1]코드 | 행정 구역명 (nb, nn) | 행정 구역명 (en) | 행정 구역 분류 |
---|---|---|---|
NO-22 | 얀마옌 | Jan Mayen | 북극 지역 |
2. 2. 2. 스발바르 제도 (Svalbard)
Svalbard|스발바르nb는 ISO 3166-2:NO 표준에서 노르웨이의 행정 구역 코드가 NO-21로 할당된 북극 지역이다.[1]
ISO 3166/MA는 1998년 ISO 3166-2의 첫 번째 발행 이후 해당 항목에 대한 변경 사항을 발표했으며, 2013년에 뉴스레터 발행을 중단했다. 다음 표는 과거에 사용되었던 행정 구역 코드와 명칭을 보여준다.
3. 과거 코드
코드 행정 구역명 뉘노르스크어 표기 부크몰 표기 북부 사미어 표기 번호 아케르스후스 Akershus Akershus 2 아우스트아그데르 Aust-Agder Aust-Agder 9 부스케루 Buskerud Buskerud 6 핀마르크 Finnmark Finnmark Finnmárku 20 헤드마르크 Hedmark Hedmark 4 호르달란 Hordaland Hordaland 12 얀마옌 섬 Jan Mayen Jan Mayen 뫼레오로름스달 Møre og Romsdal Møre og Romsdal 15 노르란 Nordland Nordland 18 노르트뢰넬라그 Nord-Trøndelag Nord-Trøndelag 17 오플란 Oppland Oppland 5 오슬로 Oslo Oslo 3 로갈란 Rogaland Rogaland 11 소그네피오라네 Sogn og Fjordane Sogn og Fjordane 14 스발바르 Svalbard Svalbard 21 쇠르트뢰넬라그 Sør-Trøndelag Sør-Trøndelag 16 텔레마르크 Telemark Telemark 8 트롬스 Troms Troms Romsa 19 베스트아그데르 Vest-Agder Vest-Agder 10 베스트폴 Vestfold Vestfold 7 외스트폴 Østfold Østfold 1
위 표의 현 이름 옆 숫자는 지도에서 각 현의 위치를 나타낸다. 단, 얀마옌 섬은 지도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3. 1. 2020년 변경 사항
2020년 11월 24일, ISO 온라인 검색 플랫폼(OBP)에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3. 2. 2018-2019년 변경 사항
ISO 3166/MA는 1998년 ISO 3166-2의 첫 번째 발행 이후 해당 항목에 대한 변경 사항을 발표했으며, 2013년에 뉴스레터 발행을 중단했다.
발행 | 발행일 | 변경 사항 |
---|---|---|
https://www.iso.org/obp/ui/#iso:code:3166:NO 온라인 검색 플랫폼 (OBP) | 2018-11-26 | 하위 구역 삭제: 쇠르트뢰넬라그 (NO-16), 노르트뢰넬라그 (NO-17) |
https://www.iso.org/obp/ui/#iso:code:3166:NO 온라인 검색 플랫폼 (OBP) | 2019-04-09 | 코드 변경: 트뢰넬라그: NO-23 → NO-50 |
3. 3. 2011년 변경 사항
ISO 3166/MA는 2011년 12월 13일(2011년 12월 15일 수정)에 뉴스레터 II-3을 발행하여 ISO 3166-2:NO의 알파벳순 재정렬을 발표했다.[1] 이는 1998년 ISO 3166-2의 첫 번째 발행 이후 변경 사항이다.발행 | 발행일 | 변경 사항 |
---|---|---|
https://www.iso.org/files/live/sites/isoorg/files/archive/pdf/en/iso_3166-2_newsletter_ii-3_2011-12-13.pdf 뉴스레터 II-3 | 2011-12-13 (수정 2011-12-15) | 알파벳순 재정렬 |
4. 한국과의 관계
한국과 노르웨이는 1959년 수교 이후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다. 특히, 조선, 해양, 북극 연구 분야에서의 협력이 두드러진다. 문재인 정부 시절, 양국 간 협력 관계는 더욱 강화되었으며, 특히 북극 문제와 관련하여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