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은 1970년 크로스비, 스틸스, 내쉬 & 영의 앨범 '데자 뷰' 성공 이후 데이비드 크로스비가 솔로로 발매한 앨범이다. 샌프란시스코의 월리 하이더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그레이엄 내쉬, 닐 영, 조니 미첼, 제리 가르시아 등 많은 음악가들이 참여했다. 이 앨범은 포크 록을 기반으로 재즈의 요소를 차용했으며, 초기 사이키델릭 포크의 예시로 평가받는다. 발매 당시에는 비평가들의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컬트적인 지위를 얻으며 재평가되었다. 앨범은 여러 차트에서 상위권에 올랐으며, 2010년에는 바티칸 시국 신문이 선정한 "역대 팝 앨범 10선"에서 2위에 오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데뷔 음반 - The Electric Light Orchestra
The Electric Light Orchestra는 로이 우드, 제프 린, 베브 베번을 중심으로 결성된 밴드의 데뷔 앨범으로, 1971년 영국에서 발매되었으며 바로크 록적인 실험성과 첼로를 활용한 사운드가 특징이다. - 1971년 데뷔 음반 - Weather Report (1971년 음반)
미국의 퓨전 재즈 밴드 웨더 리포트의 데뷔 음반인 Weather Report (1971년 음반)은 조 자비눌과 웨인 쇼터를 중심으로 여러 연주자가 참여하여 록, 훵크, 월드 뮤직 요소를 융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선보이며 퓨전 재즈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How the West Was Won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 음반인 How the West Was Won은 1972년 콘서트 실황을 담아 2003년 발매 후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지미 페이지의 편집과 오디오 엔지니어링을 거쳐 2018년 리마스터링 재발매되었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 |
종류 | 음반 |
가수 | 데이비드 크로스비 |
![]() | |
발매일 | 1971년 2월 22일 |
녹음 장소 | 월리 하이더 스튜디오, 샌프란시스코 A&M 스튜디오, 할리우드 |
장르 | 사이키델릭 포크 프리크 포크 포크 록 |
길이 | 37분 4초 |
레이블 | 애틀랜틱 레코드 |
프로듀서 | 데이비드 크로스비 |
차트 순위 | |
미국 | 12위 |
영국 | 12위 |
싱글 | |
싱글 1 | Music Is Love |
싱글 1 발매일 | 1971년 3월 |
싱글 2 | Orleans |
싱글 2 발매일 | 1971년 5월 |
이전 음반/다음 음반 | |
이전 음반 | 없음 |
다음 음반 | Oh Yes I Can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1989년 |
2. 배경
1970년 크로스비, 스틸스, 내쉬 & 영(CSNY)의 앨범 《데자 뷰》가 큰 성공을 거둔 후, 각 멤버들은 솔로 앨범을 발매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데이비드 크로스비는 여자친구 크리스틴 힌턴이 1969년 교통사고로 사망하면서 깊은 슬픔에 빠졌다.[2] 그는 마약에 의존하며 스튜디오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는데, 그곳에서 "안전하다고 느꼈다."[3]
이 앨범은 포크 록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재즈에서 튜닝, 박자, 보컬 구절을 차용했다.[8] 일부 평론가들은 이 앨범을 초기 사이키델릭 포크의 예시로 꼽았으며,[9][10] ''빌보드''는 이 음악을 "사이키델릭 포크 진혼곡"이라고 묘사했다.[11] ''피치포크''는 "[이 음악은] 아침에 다시 말하려고 할 때 꿈이 어떻게 들리는지, 즉 안개가 자욱하고, 단편적으로 일관성이 있으며, 실시간으로 사라지는 것처럼 느껴진다"고 평했다.[12]
녹음은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월리 하이더 스튜디오(Wally Heider Studios)에서 진행되었다. 크로스비는 많은 음악가 친구들을 초대하여 함께 작업했는데, 여기에는 그레이엄 내쉬, 닐 영, 조니 미첼, 그레이트풀 데드(특히 제리 가르시아) 멤버들,[3] 제퍼슨 에어플레인, 퀵실버 메신저 서비스, 산타나 등이 포함되었다.
크로스비는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 "그들은 모두 좋은 친구였고 좋은 사람들이었고, 그들은 내가 외롭다는 것을 알았고, 내가 당시 약간 정신이 나갔다는 것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와서 음악을 연주하곤 했습니다... 나는 누가 나타나든 - 대개 제리 [가르시아] - 함께 앉아 노래를 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신이 음악을 연주하기 시작하면 그는 연주하고 싶어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밤새도록 2트랙 테이프를 끊임없이 돌리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떤 일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순간, 24트랙이 돌아가기 시작할 것입니다 - 아니면 그때는 12트랙이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고 나서 저는 그 위에 하모니를 겹겹이 쌓기 시작했는데, 그건 정말 재미있었습니다."[3]
이 음악가들은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리더이자 크로스비의 오랜 동료, 그리고 SF 팬이었던 폴 칸트너에 의해 더 플래닛 어스 록 앤 롤 오케스트라(The Planet Earth Rock and Roll Orchestra)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불렸다.[4] 그러나 크로스비는 이것이 칸트너가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것일 뿐, 집단 프로젝트는 아니었다고 언급했다.[3] 이들 중 상당수는 폴 칸트너의 《블로우즈 어겐스트 더 엠파이어》, 내쉬의 《송스 포 비기너스》, 그레이트풀 데드의 《아메리칸 뷰티》에도 참여했는데, 이 앨범들은 모두 크로스비의 앨범과 함께 월리 하이더 스튜디오에서 부분적으로 녹음되었다.
3. 음악
"Cowboy Movie"는 옛 서부의 무법자 집단이 팜므 파탈로 인해 분열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실제로는 넷이서 리타 쿨리지를 만나 겪었던 일과 그녀가 적어도 그들 중 두 명의 로맨틱한 열망에 미친 영향을 얇게 위장한 형태로 재현한 것이며, 내쉬가 즉시 이를 밝혀냈다.[7] 크로스비의 곡 "Laughing"은 그가 CSNY와 함께 활동하던 시기에 쓰여졌다.[6] "Song with No Words"의 데모 버전은 ''데자뷰'' 세션 중에 시도되었으며, 1991년 CSN 회고 패키지에 수록될 것이다. 스타들이 총출동한 게스트 라인업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두 곡은 크로스비 혼자 부른다. 실제 가사가 있는 곡은 단 다섯 곡뿐이며, "오를레앙"은 다양한 프랑스 대성당 목록을 담은 15세기 라운드이다.[5]
4. 곡 목록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 곡 목록 Side one Side two 2006년 재발매 보너스 트랙
1971년 발매된 오리지널 앨범에는 총 9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2006년 재발매반에는 보너스 트랙 1곡이 추가되었다. 2021년에는 50주년 기념 에디션이 발매되었는데, 여기에는 오리지널 앨범 외에 데모와 세션 트랙이 포함된 보너스 디스크가 추가되었다.[1]
4. 1. 오리지널 앨범 (1971)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은 1971년에 발매된 데이비드 크로스비의 데뷔 솔로 음반이다. 특별히 언급된 곡들을 제외하고는 모든 곡을 데이비드 크로스비가 작사 및 작곡했다.
2006년에는 보너스 트랙 "Kids and Dogs"가 추가된 재발매반이 출시되었다.
4. 1. 1. Side one
Side one영어
# "Music Is Love" (그레이엄 내시, 닐 영, 데이비드 크로스비) – 3:16
# "Cowboy Movie" – 8:02
# "Tamalpais High (At About 3)" – 3:29
# "Laughing" – 5:20
4. 1. 2. Side two
4. 2. 2006년 재발매 보너스 트랙
2006년 재발매반에는 데이비드 크로스비가 작사한 "Kids and Dogs"가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이 곡의 길이는 7분 1초이다.[1]
4. 3. 2021년 50주년 기념 에디션 보너스 디스크
2021년 50주년 기념 에디션에는 오리지널 음반 외에 보너스 디스크가 추가되었다. 이 보너스 디스크에는 데모와 세션 트랙이 포함되어 있다. 데모 트랙은 1968년부터 1970년 사이에 녹음된 곡들이며, 세션 트랙에는 〈Cowboy Movie〉의 얼터네이트 버전 등이 수록되었다.[1]
4. 3. 1. 데모
2021년 50주년 기념 에디션에 포함된 데모는 다음과 같다.
순서 | 제목 | 녹음 날짜 | 비고 |
---|---|---|---|
1 | Riff 1 | 1968년 3월 | |
2 | Tamalpais High (At About 3) | 1968년 3월 28일 | 폴 A. 로스차일드 프로듀스 |
3 | Kids and Dogs | 1968년 3월 28일 | 폴 A. 로스차일드 프로듀스 |
4 | Games | 1968년 3월 28일 | 폴 A. 로스차일드 프로듀스 |
5 | Laughing | 1968년 5월 31일 | 마이클 네모 엔지니어 |
6 | Song with No Words (Tree with No Leaves) | 1969년 | |
7 | The Wall Song | 1970년 | |
8 | Where Will I Be? | 1970년 |
4. 3. 2. 세션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의 2021년 50주년 기념 에디션 보너스 디스크에 수록된 세션은 다음과 같다.- "Cowboy Movie" (얼터네이트 버전) – 10:57
- "Bach Mode (Pre-Critical Mass)" – 2:00
- "Coast Road" – 5:16
- "Dancer" – 5:03
- "Fugue" – 2:03
5. 참여진
이 앨범의 제작에는 데이비드 크로스비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참여했다.
5. 1. 뮤지션
다음은 앨범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에 참여한 뮤지션 목록이다.뮤지션 | 역할 | 참여 곡 |
---|---|---|
데이비드 크로스비 | 보컬, 기타 | 전체 |
그레이엄 내시 | 기타, 보컬 | "Music Is Love", "Tamalpais High", "Laughing", "What Are Their Names", "Traction in the Rain", "Song with No Words" |
제리 가르시아 | 일렉트릭 기타 | "Cowboy Movie", "Tamalpais High", "What Are Their Names", "Song with No Words" |
페달 스틸 기타 | "Laughing" | |
기타 | "Kids and Dogs" | |
보컬 | "What Are Their Names" | |
닐 영 | 기타, 보컬 | "Music Is Love", "What Are Their Names" |
베이스 기타, 비브라폰, 콩가 | "Music Is Love" | |
조르마 코우코넨 | 일렉트릭 기타 | "Tamalpais High", "Song with No Words" |
로라 앨런 | 오토하프, 보컬 | "Traction in the Rain" |
그레그 롤리 | 피아노 | "Song with No Words" |
필 레쉬 | 베이스 | "Cowboy Movie", "Tamalpais High", "Laughing", "What Are Their Names" |
보컬 | "What Are Their Names" | |
잭 캐서디 | 베이스 | "Song with No Words" |
빌 크로이츠만 | 드럼 키트 | "Tamalpais High", "Laughing" |
탬버린 | "Cowboy Movie" | |
마이클 쉬리브 | 드럼 | "What Are Their Names", "Song with No Words" |
미키 하트 | 드럼 | "Cowboy Movie" |
조니 미첼 | 보컬 | "Laughing", "What Are Their Names" |
데이비드 프라이버그, 폴 칸트너, 그레이스 슬릭 | 보컬 | "What Are Their Names" |
5. 2. 제작진
이 음반은 1970년 크로스비, 스틸스, 내쉬 & 영의 앨범 ''데자 뷰''의 성공 이후, 각 멤버들이 발매한 솔로 앨범 중 하나였다. 닐 영의 ''애프터 더 골드 러시''(1970), 스티븐 스틸스의 동명의 솔로 데뷔 앨범(1970), 그리고 그레이엄 내쉬의 ''송스 포 비기너스''(1971) 등이 함께 발매되었다. 당시 여자 친구를 잃은 슬픔에 잠긴 데이비드 크로스비는 월리 하이더 스튜디오(Wally Heider Studios)에서 많은 음악가 친구들과 함께 이 앨범을 녹음했다.[2]이 앨범의 녹음에는 그레이엄 내시, 닐 영, 조니 미첼, 그레이트풀 데드의 멤버들, 제퍼슨 에어플레인, 퀵실버 메신저 서비스, 산타나 등 많은 음악가들이 참여했다.[3] 이들은 더 플래닛 어스 록 앤 롤 오케스트라(The Planet Earth Rock and Roll Orchestra)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4]
참여 음악가 | 역할 |
---|---|
데이비드 크로스비 | 보컬, 기타 |
그레이엄 내시 | 기타, 보컬 |
제리 가르시아 | 일렉트릭 기타, 페달 스틸 기타, 기타, 보컬 |
닐 영 | 기타, 보컬, 베이스 기타, 비브라폰, 콩가 |
조르마 코우코넨 | 일렉트릭 기타 |
로라 앨런 | 오토하프, 보컬 |
그레그 롤리 | 피아노 |
필 레쉬 | 베이스, 보컬 |
잭 캐서디 | 베이스 |
빌 크로이츠만 | 드럼 키트, 탬버린 |
마이클 쉬리브 | 드럼 |
미키 하트 | 드럼 |
조니 미첼 | 보컬 |
데이비드 프라이버그, 폴 칸트너, 그레이스 슬릭 | 보컬 |
제작진 | 역할 |
데이비드 크로스비 | 프로듀서 |
스티븐 반카드 | 엔지니어 |
헨리 레위 | "Music Is Love" 추가 엔지니어 |
게리 버든 | 아트 디렉션, 디자인 |
로버트 해머, 게리 버든, 헨리 딜츠, 허브 그린, 샐리 사셰, 조엘 번스타인, 그레이엄 내시, 로널드 스톤 | 사진 |
엘리엇 로버츠, 로널드 스톤 | 매니지먼트 |
데이비드 게펜 | 디렉션 |
5. 2. 1. 2006년 재발매
2006년 재발매반의 CD 마스터링은 빌 둘리가 담당하였고, DVD 오디오 엔지니어링은 스티브 홀이 담당하였다. 매튜 그린월드는 라이너 노트를 작성하였다.[25]5. 2. 2. 2021년 재발매
2021년 재발매반의 프로듀서는 패트릭 밀리건, 조엘 번스타인, 스티븐 반카드이다.[25] 데이브 콜린스가 마스터링을 맡았고, 제이미 하워스와 존 체스터가 테이프 복원 및 속도 보정을 담당했다.[25] 라이너 노트는 스티브 실버먼이 작성했다.[25]6. 평가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영어은 발매 당시에는 많은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으나,[19] 시간이 지나면서 컬트적인 지위를 얻으며 재평가되었다.[19] 2000년에는 콜린 라킨의 저서 《올 타임 톱 1000 앨범》 제3판에서 156위에 선정되기도 했다.[20]
각 매체별 음반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6. 1. 초기 평가
발매 당시, 많은 음악 평론가들은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을 혹평했다.[19] 롤링 스톤의 레스터 뱅스는 "연주는 엉망진창이다… 크로스비의 노래는 그의 솔로 앨범에서 스틸스의 노래보다 훨씬 밋밋하고 단조롭다"라고 주장하며, 이 음반이 "역사에 남을 것 같지는 않지만, 나쁜 앨범은 아니다"라고 결론 내렸다. 그는 이 음반을 "저녁 식사에 손님을 초대했을 때 소화에 완벽한 청각 보조제이며, 물론 그들이 이를 이해할 만큼 형제자매 같은 관계일 경우에만 해당한다"라고 평했다.[19] 빌리지 보이스의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앨범에 D− 등급을 매기고 "수치스러운 퍼포먼스"라고 일축했다.[17] 크로스비는 당시의 리뷰에 대해 "그들은 크고 화려한 리드 기타와 블루스 리프, 고함치는 가사로 가득 찬 다른 음반을 찾고 있었다… 《If I Could Only Remember My Name》은 다른 모든 것들이 나아가는 방향이 아니었기에, 그들은 그것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했다."라고 회상했다.[19]6. 2. 현대적 평가
이 앨범은 시간이 지나면서 컬트적인 지위를 얻게 되었고, 엄격한 분위기, 다채로운 즉흥 연주, 초현실적인 하모니 보컬에 대한 찬사를 받으며 재평가되었다.[19] 2000년에는 콜린 라킨의 저서 《올 타임 톱 1000 앨범》 제3판에서 156위로 선정되었다.[20] 그는 "이 기적적인 음반에 익숙하지 않다면, 꼭 들어보세요."라고 말했다.2006년 재발매에 대한 ''Head Heritage''의 리뷰는 이 앨범을 닉 드레이크와 《Meddle》 시대 핑크 플로이드의 어쿠스틱 음악과 비교했다.[21] 이 앨범은 프릭 포크 장르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한다.[22][23]
2010년, 데이비드 크로스비의 이 앨범은 비틀즈의 《리볼버》에 이어 바티칸 시국 신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 게재된 "역대 팝 앨범 10선"에서 2위에 올랐다.
7. 차트 성적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