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은 로드 스튜어트가 부른 2002년 발매 앨범으로, 미국의 대표적인 대중음악 명곡들을 담고 있다. 이 앨범은 다양한 작곡가들의 곡들을 수록하고 있으며, 리처드 페리와 필 라모네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앨범은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영국,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상위권에 올랐으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이 앨범의 성공에 힘입어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시리즈는 총 5개의 앨범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 라몬이 프로듀싱한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필 라몬이 프로듀싱한 음반 - Elton John One Night Only – The Greatest Hits
    Elton John One Night Only – The Greatest Hits는 2000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엘튼 존의 실황 공연 앨범으로, 히트곡들과 게스트 참여가 담긴 CD와 빌리 조엘 듀엣곡 등이 추가된 DVD로 구성되어 여러 국가에서 골드 및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리메이크 음반 - A Tribute To 들국화
    《A Tribute To 들국화》는 윤도현 밴드, 권인하, 박효신 등 여러 후배 가수들이 참여하여 들국화의 명곡들을 재해석한 헌정 앨범이다.
  • 리메이크 음반 - Memories & Melodies
    Memories & Melodies는 핑클이 10대와 20대에게는 새로운 음악을, 30대와 40대에게는 추억을 선사하고자 2001년에 발매한 리메이크 앨범으로, 멤버들이 직접 수록곡 선정에 참여했으며, 혜은이의 '당신은 모르실꺼야'를 타이틀곡으로 하여 영화 패러디 컨셉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고 기성 가수들의 히트곡을 핑클 스타일로 재해석하여 수록했다.
  • 2002년 음반 - Again (쥬얼리의 음반)
    쥬얼리의 2집 음반 Again은 R&B 발라드를 중심으로 댄스, 팝 등 다양한 장르를 담아 타이틀곡 "Again"으로 음원 차트 상위권을 차지하며 음악 방송 첫 1위를 기록했다.
  • 2002년 음반 - Time Honored Voice
    Time Honored Voice는 윤사라, 신재홍, 박성일 등 다양한 작사가와 작곡가가 참여하고 앤 (Ann), As One 등 여러 가수가 피쳐링한 15곡, 총 65분 40초 분량의 앨범이다.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앨범 커버
앨범 커버
앨범 종류스튜디오 앨범
아티스트로드 스튜어트
발매일2002년 10월 22일
녹음 장소헨슨 레코딩 스튜디오 (Henson Recording Studios)
더 레코드 플랜트 (The Record Plant)
콘웨이 스튜디오 (Conway Studios)
시그넷 사운드 스튜디오 (Signet Sound Studios)
웨스트레이크 오디오 (Westlake Audio)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티렐 스튜디오 (Tyrell Studios)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Tal2 스튜디오
크레센트 문 스튜디오 (Crescent Moon Studios) (마이애미, 플로리다)
라이트 트랙 레코딩 (Right Track Recording) (뉴욕, 뉴욕)
시카고 레코딩 컴퍼니 (Chicago Recording Company) (시카고, 일리노이)
장르전통 팝
레이블J 레코드
프로듀서클라이브 데이비스
리처드 페리
필 라몬
연대기
이전 앨범더 스토리 쏘 파: 더 베리 베스트 오브 로드 스튜어트 (2001년)
다음 앨범애즈 타임 고즈 바이: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볼륨 II (2003년)

2. 곡 목록

wikitable

제목작곡가프로듀서길이
"You Go to My Head"존 프레데릭 코츠, 헤븐 길레스피리처드 페리4:17
"They Can't Take That Away from Me"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리처드 페리3:25
"The Way You Look Tonight"도로시 필즈, 제롬 컨리처드 페리3:49
"It Had to Be You"이샴 존스, 거스 칸필 라모네3:24
"That Old Feeling"루 브라운, 새미 페인필 라모네2:54
"Ill Be Seeing You"새미 페인, 어빙 카할필 라모네3:51
"Ev'ry Time We Say Goodbye"콜 포터필 라모네3:27
"The Nearness of You"호기 카마이클, 네드 워싱턴리처드 페리3:00
"For All We Know"존 프레데릭 코츠, 샘 M. 루이스필 라모네3:24
"We'll Be Together Again"칼 T. 피셔, 프랭키 레인리처드 페리3:54
"Thats All"앨런 브란트, 밥 헤임스필 라모네3:03


2. 1. 앨범

wikitable

제목작곡가프로듀서길이
"You Go to My Head"존 프레데릭 코츠, 헤븐 길레스피리처드 페리4:17
"They Can't Take That Away from Me"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리처드 페리3:25
"The Way You Look Tonight"도로시 필즈, 제롬 컨리처드 페리3:49
"It Had to Be You"이샴 존스, 거스 칸필 라모네3:24
"That Old Feeling"루 브라운, 새미 페인필 라모네2:54
"Ill Be Seeing You"새미 페인, 어빙 카할필 라모네3:51
"Ev'ry Time We Say Goodbye"콜 포터필 라모네3:27
"The Nearness of You"호기 카마이클, 네드 워싱턴리처드 페리3:00
"For All We Know"존 프레데릭 코츠, 샘 M. 루이스필 라모네3:24
"We'll Be Together Again"칼 T. 피셔, 프랭키 레인리처드 페리3:54
"Thats All"앨런 브란트, 밥 헤임스필 라모네3:03


2. 1. 1. 수록곡

제목작곡가프로듀서길이
"You Go to My Head"존 프레데릭 코츠, 헤븐 길레스피리처드 페리4:17
"They Can't Take That Away from Me"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리처드 페리3:25
"The Way You Look Tonight"도로시 필즈, 제롬 컨리처드 페리3:49
"It Had to Be You"이샴 존스, 거스 칸필 라모네3:24
"That Old Feeling"루 브라운, 새미 페인필 라모네2:54
"Ill Be Seeing You"새미 페인, 어빙 카할필 라모네3:51
"Ev'ry Time We Say Goodbye"콜 포터필 라모네3:27
"The Nearness of You"호기 카마이클, 네드 워싱턴리처드 페리3:00
"For All We Know"존 프레데릭 코츠, 샘 M. 루이스필 라모네3:24
"We'll Be Together Again"칼 T. 피셔, 프랭키 레인리처드 페리3:54
"Thats All"앨런 브란트, 밥 헤임스필 라모네3:03


2. 2. 라이브 DVD


  • "Forever Young" (짐 크레간, 케빈 새비거, 밥 딜런, 로드 스튜어트)
  • "Some Guys Have All the Luck" (제프 포트강)
  • "They Can't Take That Away from Me" (G. 거슈윈, I. 거슈윈)
  • "The Way You Look Tonight" (필즈, 컨)
  • "These Foolish Things" (링크, 마벨, 스트레이치)
  • "Moonglow" (드랑주, 허드슨, 밀스)
  • "Every Time We Say Goodbye" (포터)
  • "The Very Thought of You" (노블)
  • "That Old Feeling" (브라운, 페인)
  • "You Go to My Head" (쿠츠, 길레스피)
  • "For All We Know" (쿠츠, 루이스)
  • "The Nearness of You" (카마이클, 워싱턴)
  • "That's All" (브란트, 헤임스)
  • "We'll Be Together Again" (피셔, 레인)
  • "Rhythm of My Heart" (마크 조던, 존 케이펙)
  • "Downtown Train" (톰 웨이츠)
  • "Maggie May" (스튜어트, 마틴 퀴튼턴)
  • "Young Turks" (스튜어트, 카마인 아피스, 듀안 히칭스, 새비거)
  • "Hot Legs" (스튜어트, 게리 그레인저)
  • "Having a Party" (샘 쿡)
  • "I'll Be Seeing You" (페인, 카할)
  • "It Takes Two" (윌리엄 "미키" 스티븐슨, 실비아 모이)

2. 2. 1. 추가 수록곡

3. 참여진

wikitext

앨범
참여진역할
로드 스튜어트리드 보컬
윌 홀리스어쿠스틱 피아노 (1, 2), 신시사이저 (2), 스트링 신시사이저 및 솔로 편곡 (2), 비브라폰 (3)
레나토 네토어쿠스틱 피아노 (1), 스트링 신시사이저 (1), 편곡 (1), 신스 플루트 (13)
랜디 커버어쿠스틱 피아노 (3, 7, 13), 신시사이저 (3, 7, 13)
앤드류 추커먼신시사이저 (3, 7, 10, 13)
롭 문시키보드 (4, 5, 8), 어쿠스틱 피아노 (4, 5), 리듬 편곡 및 지휘 (4)
필립 세이스키보드 (4, 5, 6, 8, 9, 10, 12, 14), 오케스트라 편곡 및 지휘 (5, 8, 12)
러스 카소프어쿠스틱 피아노 (8, 10, 12, 14)
리 뮤지커어쿠스틱 피아노 인트로 (9)
랜디 월드먼어쿠스틱 피아노 (11)
짐 폭스기타 (1)
지미 립기타 (1, 2)
밥 만기타 (3, 7, 13), 편곡 (3, 7, 13), 기타 솔로 (7)
제프 미로노프기타 (4, 5, 6, 8, 9, 10, 12, 14), 기타 솔로 (14)
데니스 부디미르기타 (11)
데이브 카펜터베이스 (1)
레지 맥브라이드베이스 (2)
밥 매그너슨베이스 (3, 7, 13)
데이비드 핀크베이스 (4, 5, 6, 8, 9, 10, 12, 14)
탈 버그만드럼 (1), 드럼 프로그래밍 (1, 11), 편곡 (1), 퍼커션 (7)
존 페라로드럼 (2), 퍼커션 (7)
앨런 슈워츠버그드럼 (3, 7, 13)
숀 펠튼드럼 (4, 5, 6, 8, 9, 10, 12, 14)
하비 메이슨드럼 (11)
댄 히긴스클라리넷 솔로 (1), 알토 색소폰 솔로 (2)
마이클 브레커테너 색소폰 솔로 (4)
데이브 코즈테너 색소폰 솔로 (6, 10)
아르투로 산도발트럼펫 솔로 (5), 플루겔호른 솔로 (8)
크리스 보티트럼펫 솔로 (13)
리처드 페리편곡 (1), 기본 트랙 편곡 (2)
돈 세베스키오케스트라 편곡 및 지휘 (4, 8, 12), 리듬 편곡 및 지휘 (4, 8, 12), 편곡 및 지휘 (9), 어쿠스틱 피아노 (9)
더그 카사로스리듬 편곡 (5), 편곡 및 지휘 (6, 10, 14), 어쿠스틱 피아노 (6)
제레미 루복스트링 편곡 및 지휘 (11), 목관 악기 편곡 및 지휘 (11)
프로듀서 – 리처드 페리 (1, 2, 3, 7, 11 & 13번 트랙); 필 라모네 (4, 5, 6, 8, 9, 10, 12 & 14번 트랙).
1번 트랙의 공동 프로듀서 – 탈 버그만과 레나토 네토
11번 트랙의 보컬 프로듀션 – 필 라모네
총괄 프로듀서 – 클라이브 데이비스



주요 참여진
참여진역할
로드 스튜어트리드 보컬
윌 홀리스어쿠스틱 피아노, 신시사이저, 비브라폰
레나토 네토어쿠스틱 피아노, 스트링 신시사이저, 신스 플루트, 편곡
랜디 커버어쿠스틱 피아노, 신시사이저
앤드류 추커먼신시사이저
롭 문시키보드, 어쿠스틱 피아노, 리듬 편곡 및 지휘
필립 세이스키보드, 오케스트라 편곡 및 지휘
러스 카소프어쿠스틱 피아노
리 뮤지커어쿠스틱 피아노 인트로
랜디 월드먼어쿠스틱 피아노
짐 폭스기타
지미 립기타
밥 만기타, 편곡, 기타 솔로
제프 미로노프기타, 기타 솔로
데니스 부디미르기타
데이브 카펜터베이스
레지 맥브라이드베이스
밥 매그너슨베이스
데이비드 핀크베이스
탈 버그만드럼, 드럼 프로그래밍, 편곡, 퍼커션
존 페라로드럼, 퍼커션
앨런 슈워츠버그드럼
숀 펠튼드럼
하비 메이슨드럼
댄 히긴스클라리넷 솔로, 알토 색소폰 솔로
마이클 브레커테너 색소폰 솔로
데이브 코즈테너 색소폰 솔로
아르투로 산도발트럼펫 솔로, 플루겔호른 솔로
크리스 보티트럼펫 솔로
리처드 페리편곡, 기본 트랙 편곡
돈 세베스키오케스트라 편곡 및 지휘, 리듬 편곡 및 지휘, 편곡 및 지휘, 어쿠스틱 피아노
더그 카사로스리듬 편곡, 편곡 및 지휘, 어쿠스틱 피아노
제레미 루복스트링 편곡 및 지휘, 목관 악기 편곡 및 지휘
프로듀서 – 리처드 페리, 필 라모네
공동 프로듀서 – 탈 버그만, 레나토 네토
보컬 프로듀션 – 필 라모네
총괄 프로듀서 – 클라이브 데이비스


3. 1. 앨범


  • 로드 스튜어트 - 리드 보컬
  • 윌 홀리스 - 어쿠스틱 피아노 (1, 2), 신시사이저 (2), 스트링 신시사이저 및 솔로 편곡 (2), 비브라폰 (3)
  • 레나토 네토 - 어쿠스틱 피아노 (1), 스트링 신시사이저 (1), 편곡 (1), 신스 플루트 (13)
  • 랜디 커버 - 어쿠스틱 피아노 (3, 7, 13), 신시사이저 (3, 7, 13)
  • 앤드류 추커먼 - 신시사이저 (3, 7, 10, 13)
  • 롭 문시 - 키보드 (4, 5, 8), 어쿠스틱 피아노 (4, 5), 리듬 편곡 및 지휘 (4)
  • 필립 세이스 - 키보드 (4, 5, 6, 8, 9, 10, 12, 14), 오케스트라 편곡 및 지휘 (5, 8, 12)
  • 러스 카소프 - 어쿠스틱 피아노 (8, 10, 12, 14)
  • 리 뮤지커 - 어쿠스틱 피아노 인트로 (9)
  • 랜디 월드먼 - 어쿠스틱 피아노 (11)
  • 짐 폭스 - 기타 (1)
  • 지미 립 - 기타 (1, 2)
  • 밥 만 - 기타 (3, 7, 13), 편곡 (3, 7, 13), 기타 솔로 (7)
  • 제프 미로노프 - 기타 (4, 5, 6, 8, 9, 10, 12, 14), 기타 솔로 (14)
  • 데니스 부디미르 - 기타 (11)
  • 데이브 카펜터 - 베이스 (1)
  • 레지 맥브라이드 - 베이스 (2)
  • 밥 매그너슨 - 베이스 (3, 7, 13)
  • 데이비드 핀크 - 베이스 (4, 5, 6, 8, 9, 10, 12, 14)
  • 탈 버그만 - 드럼 (1), 드럼 프로그래밍 (1, 11), 편곡 (1), 퍼커션 (7)
  • 존 페라로 - 드럼 (2), 퍼커션 (7)
  • 앨런 슈워츠버그 - 드럼 (3, 7, 13)
  • 숀 펠튼 - 드럼 (4, 5, 6, 8, 9, 10, 12, 14)
  • 하비 메이슨 - 드럼 (11)
  • 댄 히긴스 - 클라리넷 솔로 (1), 알토 색소폰 솔로 (2)
  • 마이클 브레커 - 테너 색소폰 솔로 (4)
  • 데이브 코즈 - 테너 색소폰 솔로 (6, 10)
  • 아르투로 산도발 - 트럼펫 솔로 (5), 플루겔혼 솔로 (8)
  • 크리스 보티 - 트럼펫 솔로 (13)
  • 리처드 페리 - 편곡 (1), 기본 트랙 편곡 (2)
  • 돈 세베스키 - 오케스트라 편곡 및 지휘 (4, 8, 12), 리듬 편곡 및 지휘 (4, 8, 12), 편곡 및 지휘 (9), 어쿠스틱 피아노 (9)
  • 더그 카사로스 - 리듬 편곡 (5), 편곡 및 지휘 (6, 10, 14), 어쿠스틱 피아노 (6)
  • 제레미 루복 - 스트링 편곡 및 지휘 (11), 목관 악기 편곡 및 지휘 (11)
  • 프로듀서 – 리처드 페리 (1, 2, 3, 7, 11 & 13번 트랙); 필 라모네 (4, 5, 6, 8, 9, 10, 12 & 14번 트랙).
  • 1번 트랙의 공동 프로듀서 – 탈 버그만과 레나토 네토
  • 11번 트랙의 보컬 프로듀션 – 필 라모네
  • 총괄 프로듀서 – 클라이브 데이비스

3. 1. 1. 주요 참여진


  • 로드 스튜어트 - 리드 보컬
  • 윌 홀리스 - 어쿠스틱 피아노, 신시사이저, 비브라폰
  • 레나토 네토 - 어쿠스틱 피아노, 스트링 신시사이저, 신스 플루트, 편곡
  • 랜디 커버 - 어쿠스틱 피아노, 신시사이저
  • 앤드류 추커먼 - 신시사이저
  • 롭 문시 - 키보드, 어쿠스틱 피아노, 리듬 편곡 및 지휘
  • 필립 세이스 - 키보드, 오케스트라 편곡 및 지휘
  • 러스 카소프 - 어쿠스틱 피아노
  • 리 뮤지커 - 어쿠스틱 피아노 인트로
  • 랜디 월드먼 - 어쿠스틱 피아노
  • 짐 폭스 - 기타
  • 지미 립 - 기타
  • 밥 만 - 기타, 편곡, 기타 솔로
  • 제프 미로노프 - 기타, 기타 솔로
  • 데니스 부디미르 - 기타
  • 데이브 카펜터 - 베이스
  • 레지 맥브라이드 - 베이스
  • 밥 매그너슨 - 베이스
  • 데이비드 핀크 - 베이스
  • 탈 버그만 - 드럼, 드럼 프로그래밍, 편곡, 퍼커션
  • 존 페라로 - 드럼, 퍼커션
  • 앨런 슈워츠버그 - 드럼
  • 숀 펠튼 - 드럼
  • 하비 메이슨 - 드럼
  • 댄 히긴스 - 클라리넷 솔로, 알토 색소폰 솔로
  • 마이클 브레커 - 테너 색소폰 솔로
  • 데이브 코즈 - 테너 색소폰 솔로
  • 아르투로 산도발 - 트럼펫 솔로, 플루겔혼 솔로
  • 크리스 보티 - 트럼펫 솔로
  • 리처드 페리 - 편곡, 기본 트랙 편곡
  • 돈 세베스키 - 오케스트라 편곡 및 지휘, 리듬 편곡 및 지휘, 편곡 및 지휘, 어쿠스틱 피아노
  • 더그 카사로스 - 리듬 편곡, 편곡 및 지휘, 어쿠스틱 피아노
  • 제레미 루복 - 스트링 편곡 및 지휘, 목관 악기 편곡 및 지휘
  • 프로듀서 – 리처드 페리, 필 라모네
  • 공동 프로듀서 - 탈 버그만, 레나토 네토
  • 보컬 프로듀션 - 필 라모네
  • 총괄 프로듀서 - 클라이브 데이비스

3. 2. 라이브 DVD

4. 제작 과정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의 제작에는 여러 명의 프로듀서와 엔지니어가 참여했다. 1, 2, 3, 7, 11, 13번 트랙은 리처드 페리가 프로듀싱을 맡았고, 4, 5, 6, 8, 9, 10, 12, 14번 트랙은 필 라모네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1번 트랙은 탈 버그만과 레나토 네토가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했고, 11번 트랙의 보컬 프로덕션은 필 라모네가 담당했다. 총괄 프로듀서는 클라이브 데이비스가 맡았으며, A&R은 키스 나프탈리가 담당했다.

녹음 엔지니어로는 마크 발렌타인(1번 트랙), 카터 험프리(2, 3번 트랙), 제프 "우디" 우드러프(2, 3, 7, 11, 13번 트랙), 프랭크 필리페티(4, 5, 6, 8, 9, 10, 12, 14번 트랙)가 참여했다. 추가 엔지니어링 및 Pro Tools 기술자로 J.J. 블레어, 브라이언 쿡, 스티브 도이치 등이 참여했다. 믹싱은 카터 험프리(1, 2, 3, 7, 11, 13번 트랙)와 프랭크 필리페티(4, 5, 6, 8, 9, 10, 12, 14번 트랙)가 담당했다.

마스터링은 1, 2, 3, 7, 11, 13번 트랙은 스티븐 마커슨이 마커슨 마스터링에서, 4, 5, 6, 8, 9, 10, 12, 14번 트랙은 테드 젠슨이 Sterling Sound에서 진행했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앨리 트루치, 아트 디렉션은 SMOG L.A.의 제리 헤이든, 사진은 앤드루 맥퍼슨이 담당했다. 매니지먼트는 Stiefel Entertainment의 애니 찰리스와 아놀드 스티펠이 맡았다. 라이너 노트는 로드 스튜어트와 빌 젬이 작성했다.

5. 평가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은 여러 음악 평론 매체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48] AllMusic에서는 5점 만점에 2.5점을 부여했고,[49] ''Rolling Stone''에서는 5점 만점에 2점을 주는 등[54] 비교적 낮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Billboard''는 호평했다.[51] BBC Music은 엇갈린 평가를 내렸다.[50] ''Blender''와[48] ''Q''[48], ''The Guardian''[52], Robert Christgau[53], ''Uncut''[48] 등 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았다.

5. 1. 엇갈린 평가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은 여러 음악 평론 매체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48] AllMusic에서는 5점 만점에 2.5점을 부여했고,[49] ''Rolling Stone''에서는 5점 만점에 2점을 주는 등[54] 비교적 낮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Billboard''는 호평했다.[51] BBC Music은 엇갈린 평가를 내렸다.[50] ''Blender''와[48] ''Q''[48], ''The Guardian''[52], Robert Christgau[53], ''Uncut''[48] 등 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았다.

6. 차트 성적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은 여러 국가에서 상위권에 진입했다.[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 특히 오스트레일리아 (5위),[29] 캐나다 (10위),[32] 영국 (8위),[42] 미국 (빌보드 200 4위)[43] 등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앨범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의 연말 차트 성적
차트 (2002년)순위
캐나다 앨범 (닐슨 사운드스캔)[9]49
영국 앨범 (OCC)[10]47
전 세계 앨범 (IFPI)[11]35
차트 (2003년)순위
호주 앨범 (ARIA)[12]18
네덜란드 앨범 (앨범 톱 100)[13]62
영국 앨범 (OCC)[14]135
미국 빌보드 200[15]34
차트 (2004년)순위
미국 빌보드 200[16]109


6. 1. 앨범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은 여러 국가에서 상위권에 진입했다.[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 특히 오스트레일리아 (5위),[29] 캐나다 (10위),[32] 영국 (8위),[42] 미국 (빌보드 200 4위)[43] 등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앨범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의 연말 차트 성적
차트 (2002년)순위
캐나다 앨범 (닐슨 사운드스캔)[9]49
영국 앨범 (OCC)[10]47
전 세계 앨범 (IFPI)[11]35
차트 (2003년)순위
호주 앨범 (ARIA)[12]18
네덜란드 앨범 (앨범 톱 100)[13]62
영국 앨범 (OCC)[14]135
미국 빌보드 200[15]34
차트 (2004년)순위
미국 빌보드 200[16]109


6. 2. DVD

이 음반은 여러 국가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

7. 인증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은 여러 국가에서 음반 판매량 인증을 받았다. 아르헨티나[17],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캐나다, 폴란드[46], 영국, 미국에서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멕시코와 스웨덴[18]에서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로드 스튜어트의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DVD는 여러 국가에서 플래티넘 또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아르헨티나,[19] 오스트레일리아,[46] 브라질,[46] 캐나다,[19] 영국,[46] 미국[46]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멕시코[19]에서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음반 판매량 인증
지역인증
아르헨티나플래티넘[46]
오스트레일리아3× 플래티넘
브라질플래티넘
캐나다3× 플래티넘
멕시코골드
폴란드플래티넘
스웨덴골드[47]
영국2× 플래티넘
미국3× 플래티넘



DVD 판매량 인증
지역인증
아르헨티나플래티넘[19]
오스트레일리아8× 플래티넘
브라질플래티넘
캐나다3× 플래티넘
멕시코골드
영국플래티넘
미국플래티넘


7. 1. 앨범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은 여러 국가에서 음반 판매량 인증을 받았다. 아르헨티나[17],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캐나다, 폴란드[46], 영국, 미국에서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멕시코와 스웨덴[18]에서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음반 판매량 인증
지역인증
아르헨티나플래티넘[46]
오스트레일리아3× 플래티넘
브라질플래티넘
캐나다3× 플래티넘
멕시코골드
폴란드플래티넘
스웨덴골드[47]
영국2× 플래티넘
미국3× 플래티넘


7. 2. DVD

로드 스튜어트의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DVD는 여러 국가에서 플래티넘 또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아르헨티나,[19] 오스트레일리아,[46] 브라질,[46] 캐나다,[19] 영국,[46] 미국[46]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멕시코[19]에서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8.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시리즈

클라이브 데이비스의 기획으로 시작된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시리즈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28] 이 앨범의 성공 이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Vol.2 (''As Time Goes By: The Great American Songbook, Volume II'')』 (2003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Vol.3 (''Stardust: The Great American Songbook, Volume III'')』 (2004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Vol.4 (''Thanks for the Memory: The Great American Songbook, Volume IV'')』 (2005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Vol.5 (''Fly Me to the Moon... The Great American Songbook Volume V'')』 (2010년) 등 총 5장의 시리즈 앨범이 제작되었다.[28] 2011년에는 시리즈의 베스트 앨범인 『베스트 오브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송북 (''The Best Of... The Great American Songbook'')』도 발매되었다.[28]

참조

[1] 간행물 Stewart Readying Second and Final Collection of American Pop Standards https://books.google[...] 2013-01-31
[2] 웹사이트 Critic reviews at Metacritic http://www.metacriti[...]
[3] AllMusic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4] BBC Music BBC Music review https://www.bbc.co.u[...]
[5] 간행물 Billboard review http://www.billboard[...] 2012-11-24
[6] 웹사이트 CD: Rod Stewart, It Had to Be You - The Great American Songbook https://www.theguard[...] 2002-11-15
[7] 웹사이트 Robert Christgau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8] 간행물 Rolling Stone review http://rollingstone.[...] 2012-11-24
[9] 웹사이트 Top 200 Albums of 2002 (based on sales) http://www.jamshowbi[...] 2022-03-24
[10]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 Chart Top 100 – 2002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1-01-31
[11] 웹사이트 Top 50 Global Best Selling Albums for 2002 http://www.ifpi.org/[...] IFPI 2023-02-03
[12] 웹사이트 ARIA Top 100 Albums for 2003 https://www.aria.com[...]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2021-01-31
[13]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 Album 2003 https://dutchcharts.[...] 2021-01-31
[14] 웹사이트 The Official UK Albums Chart 2003 http://www.ukchartsp[...] 2021-01-31
[15] 간행물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2003 https://www.billboar[...] 2021-01-31
[16] 간행물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2004 https://www.billboar[...] 2021-08-29
[17] 웹사이트 Gold & Platinum Certifications http://www.capif.org[...]
[18] 웹사이트 Gold & Platinum Certifications: 2003 http://www.ifpi.se/w[...]
[19] 웹사이트 Discos de Oro y Platino http://www.capif.org[...] Argentine Chamber of Phonograms and Videograms Producers 2017-11-18
[20] 학술지 Stewart Readying Second and Final Collection of American Pop Standards https://books.google[...] 2013-01-31
[21] 웹사이트 Critic reviews at Metacritic http://www.metacriti[...]
[22] Allmusic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23] BBC Music BBC Music review http://www.bbc.co.uk[...]
[24] 웹사이트 Billboard review http://www.billboard[...] 2002-10-19
[25] 웹사이트 The Guardian review http://www.guardian.[...]
[26] 웹사이트 Robert Christgau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27] 웹사이트 Rolling Stone review http://rollingstone.[...] 2002-10-26
[28] 웹사이트 ロッド・スチュワート、シリーズ完結盤となるベスト・アルバムをリリース https://rockinon.com[...] ロッキング・オン・ホールディングス 2015-01-20
[29] 웹사이트 australian-charts.com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ALBUM) http://www.australia[...] Hung Medien 2013-01-02
[30] 웹사이트 http://austriancharts.at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ALBUM) http://austrianchart[...] Hung Medien 2013-01-02
[31] 웹사이트 Ultratop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http://www.australia[...] ULTRATOP & Hung Medien 2013-01-02
[32] 웹사이트 Rod Stewart http://www.billboard[...] Billboard 2013-01-02
[33] 웹사이트 Ultratop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http://www.australia[...] ULTRATOP & Hung Medien 2013-01-02
[34] 웹사이트 officialcharts.de Rod Stewart,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http://www.officialc[...] GfK Entertainment 2013-01-02
[35] 웹사이트 TOP 75 ARTIST ALBUM, WEEK ENDING 28 November 2002 http://www.chart-tra[...] IRMA/GfK 2013-01-02
[36] 간행물 charts.org.nz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ALBUM) http://www.charts.or[...] Hung Medien 2013-01-02
[37] 간행물 norwegiancharts.com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ALBUM) http://www.norwegian[...] Hung Medien 2013-01-02
[38] 간행물 03 March 2003 olis sales for the period 17.02.2003 - 23.02.2003 http://olis.onyx.pl/[...] IZPAV/TNS 2013-01-02
[39] 간행물 portuguesecharts.com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ALBUM) http://www.portugues[...] Hung Medien 2013-01-02
[40] 간행물 swedishcharts.com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ALBUM) http://www.swedishch[...] Hung Medien 2013-01-02
[41] 간행물 hitparade.ch ROD STEWART - IT HAD TO BE YOU... THE GREAT AMERICAN SONGBOOK (ALBUM) http://www.swisschar[...] Hung Medien 2013-01-02
[42] 간행물 2002 Top 40 Official Albums Chart UK Archive 30th November 2002 http://www.officialc[...] The Official UK Charts Company 2013-01-02
[43] 간행물 Rod Stewart http://www.billboard[...] Billboard 2013-01-02
[44] citation Gold & Platinum Certifications http://www.capif.org[...]
[45] citation Gold & Platinum Certifications: 2003 http://www.ifpi.se/w[...]
[46] 웹인용 Gold & Platinum Certifications http://www.capif.org[...]
[47] 웹인용 Gold & Platinum Certifications: 2003 http://www.ifpi.se/w[...]
[48] 웹사이트 Critic reviews at Metacritic http://www.metacriti[...]
[49] 웹사이트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50] 웹사이트 BBC Music review https://www.bbc.co.u[...]
[51] 웹인용 Billboard review http://www.billboard[...] 2012-11-24
[52] 웹사이트 The Guardian review https://www.theguard[...]
[53] 웹사이트 Robert Christgau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54] 웹인용 Rolling Stone review http://rollingstone.[...] 2012-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