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3리그 201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3리그 2017 시즌은 총 17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2016년 J3리그 우승팀 오이타 트리니타는 J2리그로 승격했고, J2리그 최하위 기라반츠 기타큐슈가 J3리그로 강등되었다. 아술 클라로 누마즈는 일본 풋볼 리그에서 승격하여 J3리그에 합류했으며, FC 도쿄 U-23, 감바 오사카 U-23, 세레소 오사카 U-23 3팀은 U-23팀으로 참가했다. 블라우블리츠 아키타가 리그에서 우승하였고, 도치기 SC가 2위로 J2리그로 승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J3리그 시즌 - J3리그 2014
J3리그 2014는 일본 프로 축구 리그인 J3리그의 첫 번째 시즌으로, 12개 팀이 참가하여 츠바이겐 가나자와가 우승했고 J리그 U-22 선발팀도 참가했다. - J3리그 시즌 - J3리그 2015
J3리그 2015는 2015년 3월부터 11월까지 13개 팀이 참가하여 39라운드, 234경기를 치렀으며, 레노파 야마구치가 우승하고 FC 마치다 젤비아가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J2리그로 승격했다. - 2017 축구 리그 - J2리그 2017
J2리그 2017은 22개 팀이 참가한 일본 프로 축구 2부 리그로, 쇼난 벨마레와 V-파렌 나가사키가 1, 2위를 차지하여 J1리그로 승격하고 나고야 그램퍼스가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승격했으며, 더스파구사쓰 군마는 최하위를 기록하며 J3리그로 강등되었다. - 2017 축구 리그 - 2017년 WK리그
2017년 WK리그는 8개 팀이 참가하여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화천 KSPO를 꺾고 5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 2017년 축구 -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러시아에서 개최되어 독일이 우승했으며, 각 대륙별 우승팀을 포함한 8개국이 참가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카잔, 소치 네 개 도시에서 경쟁을 펼친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17년 축구 -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AFC가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47개 팀이 참가하여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알힐랄 SFC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결승전에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우승하였다.
J3리그 2017 | |
---|---|
2017년 메이지 야스다 J3리그 | |
시즌 | 2017 |
우승팀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첫 번째 우승) |
승격팀 | 도치기 SC |
강등팀 | 없음 |
경기 수 | 272 |
총 득점 | 698 |
최다 득점 선수 | 후지모토 노리아키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 (24골) |
최다 관중 | 14,935명 - 기라반츠 기타큐슈 vs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2017년 3월 12일) |
최소 관중 | 273명 - 세레소 오사카 U-23 vs YSCC 요코하마 (2017년 10월 22일) |
평균 관중 | 2,595명 |
이전 시즌 | 2016 |
다음 시즌 | 2018 |
경기 결과 | |
최대 홈 승리 | 가고시마 5-0 후지에다 (1라운드, 3월 11일) 누마즈 5-0 F동23 (21라운드, 9월 2일) |
최대 원정 승리 | 돗토리 0-6 F동23 (17라운드, 7월 15일) G대23 1-7 류큐 (21라운드, 9월 4일) |
최다 득점 경기 | G대23 1-7 류큐 (21라운드, 9월 4일) |
최다 연승 | 6 - 아키타 (2라운드-8라운드) 아키타 (22라운드-28라운드) |
최다 무패 | 15 - 아키타 (1라운드-16라운드) |
최다 무승 | 15 - 돗토리 (19라운드-34라운드) |
최다 연패 | 8 - G대23 (20라운드-27라운드) |
2. 2017년 시즌 J3 클럽
2017년 J3리그에는 총 17개 팀이 참가했다.[10] 2016년 J3 리그 우승팀 오이타 트리니타는 J2리그로 승격했고, 2016년 J2 리그 최하위 기라반츠 기타큐슈가 J3리그로 강등되었다.[10] 오이타는 2015년 강등 이후 바로 J2리그로 복귀했으며, 기타큐슈는 처음으로 J3리그에서 경쟁하게 되었다. 아술 클라로 누마즈는 일본 풋볼 리그에서 승격하여 J3리그에 합류했다.[10]
FC 도쿄 U-23, 감바 오사카 U-23, 세레소 오사카 U-23 3팀은 전년과 마찬가지로 U-23팀으로 참가했다.[10] 기라반츠 기타큐슈는 이번 시즌부터 미쿠니 월드 스타디움 기타큐슈를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23]
구단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 인원 | 감독 | 비고 |
---|---|---|---|---|---|
기라반츠 기타큐슈 |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 미쿠니 월드 스타디움 기타큐슈 | 15,066 | 하라다 다케오일본어[22] | J2리그 2016 22위 |
도치기 SC |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 | 도치기 그린 스타디움 | 18,025 | 요코야마 유지일본어[14] | J3리그 2016 2위 |
나가노 파르세이루 | 나가노현 나가노시 | 나가노 U 스타디움 | 15,491 | 아사노 테츠야일본어[17] | J3리그 2016 3위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아키타현 아키타시 | 아키긴 스타디움 | 4,992 | 스기야마 코이치일본어[12] | J3리그 2016 4위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 가고시마 카모이케 경기장 | 19,934 | 미우라 야스토시일본어[24] | J3리그 2016 5위 |
카탈레 도야마 | 도야마현 도야마시 | 도야마 육상 경기장 | 25,251 | 우키 테츠로일본어[18] | J3리그 2016 6위 |
후지에다 MYFC | 시즈오카현 후지에다시 | 후지에다 종합운동장 | 13,000 | 오이시 아츠토일본어[19] | J3리그 2016 7위 |
FC 류큐 | 오키나와현 | 오키나와 종합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 | 25,000 | 김종성/김종성 (1964년)ko-kp[25] | J3리그 2016 8위 |
SC 사가미하라 |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 | 사가미하라 기온 스타디움 | 15,300 | 야스나가 소타로일본어[16] | J3리그 2016 11위 |
그루자 모리오카 | 이와테현 모리오카시 | 이와긴 스타디움 | 4,946 | 키쿠치 토시조일본어[11] | J3리그 2016 13위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 토호 스타디움 | 21,000 | 타사카 카즈아키일본어[13] | J3리그 2016 14위 |
가이나레 돗토리 | 돗토리현 | 돗토리 은행 버드 스타디움 | 16,033 | 모리오카 류조일본어[21] | J3리그 2016 15위 |
YSCC 요코하마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닛파쓰 미쓰자와 스타디움 | 15,454 | 히구치 야스히로일본어[15] | J3리그 2016 16위 |
아술 클라로 누마즈 | 시즈오카현 누마즈시 | 아시타카 경기장 | 10,000 | 요시다 켄일본어[20] | 일본 축구 리그 2016 3위 |
FC 도쿄 U-23 | 도쿄도 | 아지노모토 필드 니시가오카 | 7,137 | 나카무라 타다시/나카무라 타다시 (축구 선수)일본어[26] | J3리그 2016 10위 |
감바 오사카 U-23 | 오사카부 |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 21,000 | 미야모토 츠네야스일본어[27] | J3리그 2016 9위 |
세레소 오사카 U-23 | 오사카부 | 킨초 스타디움 | 19,904 | 오쿠마 유우지일본어[28] | J3리그 2016 12위 |
J2 라이선스 현황 관련, 카탈레 도야마는 J1 라이선스를 유지하였고,[29][30][31] AC 나가노 파르세이루는 J2 라이선스를 유지하였다.[29][30][31] 가이나레 돗토리는 재정 문제로 J2 라이선스 갱신을 포기하였다.[29][30][31]
2. 1. 참가 클럽
2017년 J3리그에는 총 17개 팀이 참가했다.[10] 2016년 J3 리그 우승팀 오이타 트리니타는 J2리그로 승격했고, 2016년 J2 리그 최하위 기라반츠 기타큐슈가 J3리그로 강등되었다.[10] 오이타는 2015년 강등 이후 바로 J2리그로 복귀했으며, 기타큐슈는 처음으로 J3리그에서 경쟁하게 되었다. 아술 클라로 누마즈는 일본 풋볼 리그에서 승격하여 J3리그에 합류했다.[10]
FC 도쿄 U-23, 감바 오사카 U-23, 세레소 오사카 U-23 3팀은 전년과 마찬가지로 U-23팀으로 참가했다.[10] 기라반츠 기타큐슈는 이번 시즌부터 미쿠니 월드 스타디움 기타큐슈를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23]
구단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 인원 | 감독 | 비고 |
---|---|---|---|---|---|
기라반츠 기타큐슈 |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 미쿠니 월드 스타디움 기타큐슈 | 15,066 | 하라다 다케오일본어[22] | J2리그 2016 22위 |
도치기 SC |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 | 도치기 그린 스타디움 | 18,025 | 요코야마 유지일본어[14] | J3리그 2016 2위 |
나가노 파르세이루 | 나가노현 나가노시 | 나가노 U 스타디움 | 15,491 | 아사노 테츠야일본어[17] | J3리그 2016 3위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아키타현 아키타시 | 아키긴 스타디움 | 4,992 | 스기야마 코이치일본어[12] | J3리그 2016 4위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 가고시마 카모이케 경기장 | 19,934 | 미우라 야스토시일본어[24] | J3리그 2016 5위 |
카탈레 도야마 | 도야마현 도야마시 | 도야마 육상 경기장 | 25,251 | 우키 테츠로일본어[18] | J3리그 2016 6위 |
후지에다 MYFC | 시즈오카현 후지에다시 | 후지에다 종합운동장 | 13,000 | 오이시 아츠토일본어[19] | J3리그 2016 7위 |
FC 류큐 | 오키나와현 | 오키나와 종합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 | 25,000 | 김종성/김종성 (1964년)ko-kp[25] | J3리그 2016 8위 |
SC 사가미하라 |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 | 사가미하라 기온 스타디움 | 15,300 | 야스나가 소타로일본어[16] | J3리그 2016 11위 |
그루자 모리오카 | 이와테현 모리오카시 | 이와긴 스타디움 | 4,946 | 키쿠치 토시조일본어[11] | J3리그 2016 13위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 토호 스타디움 | 21,000 | 타사카 카즈아키일본어[13] | J3리그 2016 14위 |
가이나레 돗토리 | 돗토리현 | 돗토리 은행 버드 스타디움 | 16,033 | 모리오카 류조일본어[21] | J3리그 2016 15위 |
YSCC 요코하마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닛파쓰 미쓰자와 스타디움 | 15,454 | 히구치 야스히로일본어[15] | J3리그 2016 16위 |
아술 클라로 누마즈 | 시즈오카현 누마즈시 | 아시타카 경기장 | 10,000 | 요시다 켄일본어[20] | 일본 축구 리그 2016 3위 |
FC 도쿄 U-23 | 도쿄도 | 아지노모토 필드 니시가오카 | 7,137 | 나카무라 타다시/나카무라 타다시 (축구 선수)일본어[26] | J3리그 2016 10위 |
감바 오사카 U-23 | 오사카부 |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 21,000 | 미야모토 츠네야스일본어[27] | J3리그 2016 9위 |
세레소 오사카 U-23 | 오사카부 | 킨초 스타디움 | 19,904 | 오쿠마 유우지일본어[28] | J3리그 2016 12위 |
J2 라이선스 현황 관련, 카탈레 도야마는 J1 라이선스를 유지하였고,[29][30][31] AC 나가노 파르세이루는 J2 라이선스를 유지하였다.[29][30][31] 가이나레 돗토리는 재정 문제로 J2 라이선스 갱신을 포기하였다.[29][30][31]
2. 2. 클럽별 인원 및 키트
BANKGROUP
99th[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