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bberwacky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버워키(Jabberwacky)는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언어와 문맥을 학습하며, 과거 대화 기록과 사용자 코멘트를 활용하여 적절한 응답을 생성한다. 2003년부터 뢰브너 상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클레버봇, 조지, 조안과 같은 파생 챗봇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개인용 봇을 만들 수 있는 유료 서비스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용 기계 학습 - 알파고
알파고는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으로, 심층 신경망과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자가 학습을 통해 인간을 뛰어넘는 바둑 실력을 달성하며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응용 기계 학습 - 알파폴드
알파폴드는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3차원 구조를 예측하며 높은 정확도로 신약 개발과 질병 연구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지만, 단백질 복합체 및 무질서 단백질 영역 예측에는 한계가 있다. - 챗봇 - 가상 비서
가상 비서는 음성 또는 텍스트 입력을 해석하여 정보 제공, 일정 관리, 기기 제어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로서, 시리, 알렉사, 구글 어시스턴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반 가상 비서의 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지만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과제도 존재한다. - 챗봇 - 챗GPT
챗GPT는 오픈AI가 개발한 GPT-3.5 기반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인간과 유사한 텍스트 생성, 코드 생성, 보고서 작성, 번역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편향된 정보 생성, 데이터 유출, 윤리 및 저작권 문제 등의 논란도 있으며, 유료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지속적인 모델 개발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Jabberwacky | |
---|---|
소개 | |
유형 | 챗봇 |
개발자 | 롤로 카본 |
작성 언어 | 자바 |
웹사이트 | www.jabberwacky.com |
상세 정보 | |
설명 | 재버워키는 인공두뇌 프로그램으로, 인간과 자연스러운 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특징 |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학습한다. 대화가 진행될수록 더 많은 정보를 축적하고,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더욱 자연스러운 대화를 구사한다. |
학습 방법 |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저장된 텍스트를 검색하여 적절한 답변을 생성한다. |
한계 | 문맥 파악 능력이 부족하여 엉뚱한 답변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
수상 내역 | |
뢰브너 상 | 2005년, 2006년 |
2. 목적
이 프로젝트의 언급된 목적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것이다. 인간의 소통을 흉내 내고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지는 않았다.
자버워키의 동작 기반이 되는 기술은 다른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와는 다르다. 이 시스템은 언어와 문맥을 인간과의 대화를 통해 학습해 나간다. 고정적인 규칙이나 원칙은 시스템 내에 프로그램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완전히 사용자와의 대화에 의해 시스템이 동작한다. 시스템에는 과거 사용자와의 대화 기록과 그에 대한 사용자의 코멘트가 저장되어 있으며, 가장 적절한 응답을 찾을 때 이 정보를 활용한다.[1]
자버워키는 적절한 응답을 찾도록 설계되었지만, 이로 인해 모든 사람을 납득시킬 수 있는 자연스러운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문제는 사용자가 자버워키의 응답에 반응하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만 계속하려 할 때 발생한다. 이 경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문맥이 연결되지 않는 대화가 기록되어 미래의 대화에 참조될 수 있다.
더 전통적인 인공지능 프로그램과 달리, 이 학습 기술은 컴퓨터 지원 시스템이나 기업의 대표 용도로 사용되기보다는 오락의 한 형태로 의도되었다. 최근 개발을 통해 일반적인 대화형 인공 지능 위에 더욱 스크립트화되고 제어된 방식을 적용하여 두 접근 방식의 장점을 결합하고 있으며, 판매 및 마케팅 분야에서 사용이 진행 중이다.
궁극적인 의도는 이 프로그램이 텍스트 기반 시스템에서 완전히 음성으로 작동하도록 전환하여 소리와 다른 감각 입력을 직접 학습하는 것이다. 개발자는 이 프로그램이 로봇이나 디지털 펫과 같은 가정 내 물체에 통합되어 유용성과 재미를 모두 제공하고 사람들과 함께하도록 의도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3. 기술
이 프로그램은 문맥적으로 적절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며, 대화 시 그것을 사용하여 적절한 응답을 선택한다.[1]
이 시스템은 영어 외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충분한 정보가 주어지면 적절하게 응답하는 것을 배울 수 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속어, 유머, 말장난 등도 배울 수 있다고 한다.[1]
4. 문제점
또한, 화제가 빈번하게 바뀌면 자버워키는 대응하기 어려워진다. 사람들은 소프트웨어와 대화할 때 평소보다 더 짓궂게 구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학습 시스템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1]
4. 1. 예시
다음은 이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대화 예시이다.
:사용자1: 안녕
:Jabberwacky: 안녕
:사용자1: 가장 좋아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뭐니?
:Jabberwacky: running이 좋아[1] (running은 '달리기'라는 뜻이지만, 'Running'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불명확하다.)
:사용자1: 나는 Wonderfalls
:사용자2: 안녕
:Jabberwacky: 안녕
:사용자2: 취미가 있니?
:Jabberwacky: 네, 많아요.
:사용자2: 나는 달리기를 좋아해[2]
:Jabberwacky: 나는 Wonderfalls
프로젝트 관계자는 Jabberwacky가 running에 대해 더 배운다면, 문맥에 따라 그 의미를 구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다음은 대화의 흥미로운 특성이 나타난 성공적인 예시이며, 거의 적절하다고 할 수 있는 문맥이 구성되어 있다.
:Jabberwacky: 저는 아무것도 될 수 없어요. 제 인생은 텅 비었어요.
:사용자: 그만해줘
:Jabberwacky: 뭐라고 하셨어요?
:사용자: 날 바보로 여기는 거야!
:Jabberwacky: 아니요
:사용자: (저작권 상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므로 생략. 도레미송의 "도" 부분 가사)
:Jabberwacky: 특별히 관심 없어요.
:사용자: 아냐! 얘기를 엉망으로 만들지 마. 노래하자.
:Jabberwacky: 사람이 혼란스러워하는 건 재밌어요. 누군가가, 저는 그걸 위해 산다고 말했어요.
:사용자: (다시 "도" 부분 가사)
:Jabberwacky: 레이는 저에게 맥주를 파는 남자[3]
:사용자: ("미" 부분 가사)
:Jabberwacky: The Hills are alive... (사운드 오브 뮤직의 주제가 시작 부분)
:사용자: 아니야! 왜 그렇게 되는 거야?
5. 파생 챗봇
Jabberwacky에서 파생된 챗봇으로는 클레버봇과 조지 등이 있다. 클레버봇은 1997년 웹에 처음 출시된 자버워키 챗봇의 발전된 형태이다.[2] 조지는 자버워키의 가장 유명한 개별 대화 프로그램 중 하나로, 2005년 뢰브너 상을 수상했다.
5. 1. 클레버봇 (Cleverbot)
클레버봇은 1997년 웹에 처음 출시된 자버워키 챗봇의 진화된 버전이다.[2] Cleverbot.com은 2023년에도 계속 작동했지만, "레거시 전용"으로 표시된 자버워키 웹사이트는 2022년 12월 31일부터 약 2023년 6월 1일까지 일시적으로 작동이 중단되었으며, 2주 이상 복구된 후 다시 작동을 멈췄다.5. 2. 조지 (George)
조지는 자버워키의 가장 유명한 개별 대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롤로 카펜터와의 대화나 웹사이트 방문자와의 대화를 통해 학습하는 캐릭터이다. 2005년 뢰브너 상을 수상했다.6. 사용자 맞춤형 봇
Jabberwacky 웹사이트에서는 사용자가 개인용 봇을 만들어 대화를 통해 가르칠 수 있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7. 연표
- 1981년 – 이 프로젝트의 첫 번째 형태가 Sinclair ZX81에 하드 코딩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졌다.[2]
- 1988년 – 학습 AI 프로젝트가 'Thoughts'로 설립되었다.[2]
- 1997년 – 'Jabberwacky'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에 출시되었다.[2]
- 2003년 10월 – Jabberwacky가 뢰브너 상에서 3위를 차지했다. 위르겐 피르너의 Jabberwock(독일 기반 채팅 프로그램)에 패했다.[2]
- 2004년 9월 – Jabberwacky가 뢰브너 상에서 2위를 차지했다. 컴퓨터 채팅 프로그램 A.L.I.C.E.에 패했다.[2]
- 2005년 9월 – Jabberwacky 내의 캐릭터인 조지(George)가 뢰브너 상을 수상했다.[2]
- 2006년 9월 – 또 다른 Jabberwacky 캐릭터인 조안(Joan)이 뢰브너 상을 수상했다.[2]
- 2008년 10월 – 더 모호하고 더 깊은 컨텍스트를 가진 새로운 형태의 Jabberwacky가 클레버봇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2]
- 2023년 1월 – 레거시 웹사이트가 2023년 2월 28일에 최소 한 번 boibot.com으로 리디렉션되면서 504 게이트웨이 시간 초과를 여러 번 표시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아카이브의 Wayback Machine에 따르면, 이 사이트는 2022년 12월 31일에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어 작동했다. 어떤 언론 매체도 이러한 변화를 보도하거나 이에 대한 보도 자료를 언급하지 않았다.[2]
- 2023년 6월 - Jabberwacky 사이트가 다시 접근 가능해졌지만 2023년 6월 18일 주간에 다시 작동이 중단되었다. 이 중단과 마찬가지로, 어떤 언론 매체도 5개월간의 다운 타임, 복구 또는 새로운 중단에 대해 설명하는 변경 사항이나 보도 자료를 언급하지 않았다.[2]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he Jabberwacky AI
http://www.jabberwac[...]
[2]
웹사이트
No One's Talking About The Amazing Chatbot That Passed The Turing Test 3 Years Ago
https://www.business[...]
[3]
웹인용
About the Jabberwacky AI
http://www.jabberw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