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ified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ustified》는 엔싱크(NSYNC) 활동 중단 후 저스틴 팀버레이크가 2002년에 발매한 데뷔 솔로 앨범이다. 이 앨범은 컨템포러리 R&B를 기반으로 팝, 펑크, 소울 등 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았으며, 넵튠스가 프로듀싱에 참여했다. "Like I Love You", "Cry Me a River", "Rock Your Body", "Señorita" 등의 싱글을 통해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2위로 데뷔하여 미국에서 300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여러 국가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또한, 2004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팝 보컬 앨범상을 수상하며, 팝 음악 역사상 전 밴드 멤버의 가장 상징적인 데뷔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스틴 팀버레이크의 음반 - FutureSex/LoveSounds
저스틴 팀버레이크의 2006년 앨범인 FutureSex/LoveSounds는 팀발랜드 등 여러 프로듀서와의 협업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실험적인 사운드와 "SexyBack" 등의 히트 싱글, 그리고 성공적인 월드 투어를 통해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입지를 굳혔다. - 저스틴 팀버레이크의 음반 - The 20/20 Experience
저스틴 팀버레이크가 2006년 음악 활동 중단 후 복귀하여 2013년에 발매한 세 번째 정규 앨범인 The 20/20 Experience는 팀발랜드가 프로듀싱에 참여, 전 세계적인 상업적 성공과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Suit & Tie", "Mirrors" 등의 히트 싱글과 빌보드 200 차트 1위, 그래미 상 수상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2002년 데뷔 음반 - Now or Never (닉 카터의 음반)
2002년 닉 카터가 백스트리트 보이즈 활동 중 발표한 첫 솔로 앨범 《Now or Never》는 빌보드 200 차트 17위에 오르고 골드 인증을 받았으며, 월드 투어와 함께 "Help Me", "I Got You", "Do I Have to Cry for You" 등의 싱글로 인기를 얻었다. - 2002년 데뷔 음반 - Waiting for My Rocket to Come
제이슨 므라즈의 2002년 데뷔 음반 《Waiting for My Rocket to Come》은 "You and I Both", "The Remedy (I Won't Worry)", "Curbside Prophet" 등의 대표곡과 존 알라지아를 비롯한 음악가들의 참여, 미국 플래티넘 인증, 빌보드 차트 기록, 그리고 음악 평론가들의 다양한 평가를 특징으로 한다. - 팀발랜드가 프로듀싱한 음반 - FutureSex/LoveSounds
저스틴 팀버레이크의 2006년 앨범인 FutureSex/LoveSounds는 팀발랜드 등 여러 프로듀서와의 협업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실험적인 사운드와 "SexyBack" 등의 히트 싱글, 그리고 성공적인 월드 투어를 통해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입지를 굳혔다. - 팀발랜드가 프로듀싱한 음반 - The Red Light District
루다크리스가 2004년에 발매한 네 번째 정규 앨범인 The Red Light District는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고 빌보드 200 차트와 R&B/힙합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Number One Spot", "Get Back" 등의 곡들이 수록되어 2005년 빌보드 연간 차트에서도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Justified (음반) | |
---|---|
음반 정보 | |
![]() | |
아티스트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발매일 | 2002년 11월 5일 |
녹음 연도 | 2002년 |
장르 | 컨템포러리 R&B |
길이 | 63분 15초 |
레이블 | 자이브 레코드 |
프로듀서 | 더 넵튠스 팀발랜드 스콧 스토치 디 언더독스 (프로덕션 팀) 브라이언 맥나이트 |
싱글 | |
싱글 1 | Like I Love You |
싱글 1 발매일 | 2002년 9월 16일 |
싱글 2 | Cry Me a River |
싱글 2 발매일 | 2002년 11월 25일 |
싱글 3 | Rock Your Body |
싱글 3 발매일 | 2003년 3월 17일 |
싱글 4 | Señorita |
싱글 4 발매일 | 2003년 7월 7일 |
2. 배경
2002년 4월 엔싱크(NSYNC)의 Celebrity Tour가 종료된 후, 그룹은 활동을 중단했고, 그동안 공동 리드 싱어였던 저스틴 팀버레이크(Justin Timberlake)는 데뷔 솔로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1] 그는 이 앨범을 통해 보이 밴드 팝 아티스트가 아닌, 보다 성숙한 이미지를 가진 컨템포러리 R&B 아티스트로서 자신을 보여주고자 했다.[1]
《Justified》는 6주 동안 작사 및 녹음되었다. 팀버레이크는 이 과정을 "창의적인 폭발"이라고 표현하며, "1960년대와 70년대에 음악가들이 모여서 잼 세션을 하고 영감을 얻어 작업하던 시기"를 연상시켰다고 회상했다. 또한 "무거운 계산이나 노래와 믹스를 억지로 만들지 않았습니다. 모든 것이 매우 쉽고 자연스럽게 흘러갔습니다."라고 덧붙였다.[10] 녹음은 미국 내 여러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는데, 웨스트레이크 녹음 스튜디오(로스앤젤레스), 맨해튼 센터 스튜디오 (뉴욕시), 마스터 사운드 녹음 스튜디오 및 윈드마크 녹음 스튜디오 (버지니아 비치) 등이 포함되었다.[11]
《Justified》는 R&B를 기반으로 팝, 펑크, 소울 등 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은 앨범이다. 첫 번째 트랙인 "Señorita"는 스페인 음악의 영향을 받은 곡이며,[13][14] 저스틴 팀버레이크가 갈색 눈을 가진 소녀에 대해 노래한다.[15] "Like I Love You"는 라이브 드럼, 가수의 거친 테너와 함께하는 작은 기타 스트럼으로 구성된 펑크의 영향을 받은 곡이다. 롤링 스톤의 벤 래틀리프는 "마이클 잭슨의 영향을 받은 미니멀리즘"이라고 평했다.[72] "Cry Me a River"는 비트박스,[78] 신시사이저, 아라비아풍 리프, 그레고리안 성가를 특징으로 하는 악기 편성을 가진 펑크[17]와 R&B 곡이다.[18] 가사적으로 이 곡은 과거에서 벗어나는 상처받은 남자에 대한 이야기이다.[19]
Clipse가 피처링한 "Like I Love You"는 이 앨범의 리드 싱글로, 2002년 8월 독일과 미국에서 CD 싱글로 발매되었다.[24][25] 이 곡은 저스틴 팀버레이크와 The Neptunes가 작사했으며, The Neptunes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Like I Love You"는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11위에 올랐고,[26] 영국,[27] 덴마크,[28] 네덜란드, 아일랜드에서 5위 안에 들었다.[29][30]
팀버레이크는 앨범 발매 전인 2002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Like I Love You"를 공연했다. ''Justified'' 발매 당일에는 TRL에 출연하여 타임스 스퀘어에서 "Like I Love You"와 "Cry Me a River"를 라이브로 공연했다.[44] TV 스페셜에는 바바라 월터스와의 20/20 인터뷰,[45] ''Justified'' 제작 과정을 따라가는 MTV 런칭 에피소드,[46] TV 콘서트 스페셜 ''Justin Timberlake: Down Home in Memphis''가 포함되었다.[47]
''Justified''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75][76] 메타크리틱에서는 14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평균 68점을 기록했다.[77]
팀버레이크는 《Justified》의 초기 녹음 단계에서 프로듀서 및 참여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최소한으로 공개했으며,[4] 그의 매니지먼트와 음반사 역시 정보 공유를 꺼렸다.[4][5] 하지만 MTV 뉴스는 프로듀싱 듀오 넵튠스(The Neptunes)가 여러 트랙을 작업하고 있으며, 래퍼 P. 디디(P. Diddy)와 가수 마리오 위난스(Mario Winans)가 한 트랙에 참여했다고 보도했다.[4] 《Justified》의 대부분의 트랙은 원래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을 위해 제작되었다.[6] 잭슨이 이 트랙들을 거절하면서, 팀버레이크의 앨범에 맞춰 곡들이 수정되었다.[7][8]
3. 녹음
넵튠스는 MTV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듀오와 팀버레이크가 Earth, Wind & Fire 앨범을 들으면서 영감을 얻기 위해 차를 타고 다녔으며, 밴드의 음악 배경이 프로덕션 듀오가 《Justified》의 음악적 내용에 구현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12] 넵튠스는 음악 샘플링에 만족하지 않고, 마이클 잭슨의 앨범 《Off the Wall》 (1979)과 《Thriller》 (1982)를 참고하여 음악을 제작했다.[12] 그들은 잭슨의 작품과 유사하지만 "재활용"하지 않는 음악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12] 넵튠스의 채드 휴고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는 그가 호텔에 체크인한 직후 그를 데리러 갔습니다. 우리는 차를 타고 다니면서 옛 Earth, Wind & Fire 앨범을 들었고, 그는 완전히 거기에 몰입했습니다. 그 노래들의 배경은 우리가 음악에 담고 싶었던 느낌이었습니다. 그는 '아무도 그런 것을 들어본 적이 없을 거예요... 백인 소년이 이런 종류의 음악을 부르다니.'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뭐라고 말할지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12]
채드 휴고는 "새로운 R&B의 '반짝반짝, 투웨이로 연락해 줘' 스타일 없이, 시대를 초월한 클래식 곡의 그런 느낌을 재현하고 싶었을 뿐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요소가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12]
4. 음악 및 가사
여섯 번째 트랙인 "Rock Your Body"는 넵튠스의 90년대 후반 프로덕션의 작은 "클라비코드 흉내를 내도록 설정된 키보드" 신시사이저와 "키와 추진력 있는 드럼 뱀프"를 결합했다.[20] 일곱 번째 트랙 "Nothin' Else"는 Drowned in Sound의 데이비드 메리웨더에 따르면 미국 음악가 스티비 원더의 작품과 유사한 "매끄러운" 곡이다.[21] Van McCoy의 1975년 싱글 "The Hustle"의 영향을 받은 "Last Night"는 실로폰으로 연주된다.[78]
5. 싱글
''Justified''의 두 번째 싱글 "Cry Me a River"는 2002년 11월 24일 컨템포러리와 리드믹 라디오를 통해 발매되었고,[32][33] 미국에서는 12월 23일에 12인치 바이닐로 발매되었다.[34] 스콧 스토치와 팀발랜드가 작사, 팀발랜드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Cry Me a River"는 2002년 12월 21일자 ''빌보드'' 핫 100에서 44위로 데뷔해[35] 3위까지 올랐다.[26] 호주와 영국에서 2위에 올랐고,[27][36] 다른 여러 지역에서 5위 안에 들었다. 2004년 시상식에서 최우수 남성 팝 보컬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
"Rock Your Body"는 이 앨범의 세 번째 싱글로 2003년 5월 6일 미국에서 CD 싱글로 발매되었다.[40] 팀버레이크와 The Neptunes가 작사, The Neptunes가 프로듀싱했다. 호주에서 1주 동안 차트 1위를 차지했고,[36] 영국에서 2위에 올랐으며,[27] 덴마크,[28] 아일랜드,[30] 뉴질랜드, 미국에서 5위 안에 들었다.[26][41]
"Señorita"는 ''Justified''의 네 번째 싱글로, 2003년 7월 8일 리드믹 라디오를 통해 발매되었다.[43] 팀버레이크와 The Neptunes가 작사, The Neptunes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핫 100에서 27위에 올랐고,[26]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각각 6위와 4위를 기록했다.[36][41]
6. 프로모션
팀버레이크는 2002년 12월 9일 라스베이거스의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에서 열린 제13회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Cry Me a River"를 공연했고,[48] 2003년 6월 17일 캘리포니아주 웨스트 할리우드의 하우스 오브 블루스에서 열린 프로모션 콘서트에서도 같은 곡을 공연했다.[49] 2004년 2월 1일에는 슈퍼볼 XXXVIII 하프타임 쇼에서 자넷 잭슨과 함께 "Rock Your Body"를 공연했는데, 이 공연에서 팀버레이크가 잭슨의 의상 일부를 찢어 잭슨의 오른쪽 유방이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50] 이 사건으로 잭슨은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팀버레이크는 슈퍼볼 XXXVIII 하프타임 쇼 논란에서 거리를 두었다.[51]
그는 2003년 10월 코미디 스케치 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에서 "Señorita"를 공연했고,[53] 2004년 그래미 어워드에서도 공연했다.[54] ''롤링 스톤'',[55] ''엔터테인먼트 위클리'',[56] ''VIBE 매거진'',[57] ''The Advocate'',[58] ''Details''와 같은 잡지 표지에 등장했다.[59]
팀버레이크는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와 함께 북미에서 ''Justified''와 아길레라의 2002년 앨범 ''Stripped''를 홍보하기 위한 더 저스티파이드 & 스트립드 투어를 진행했다.[60] 이 투어는 2003년 6월 4일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시작하여 2003년 9월 2일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서 종료되었으며, 약 45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63]
2003년 9월, 맥도날드는 팀버레이크를 "I'm Lovin' It" 캠페인의 새로운 대변인으로 발표했다. 팀버레이크는 이 캠페인을 위해 "I'm Lovin' It"을 녹음했고, 이 곡은 2003년 12월 싱글로 발매되었다. 맥도날드는 팀버레이크의 저스티파이드 월드 투어를 후원했다.[64] 이 투어는 2003년 5월 7일 잉글랜드 셰필드에서 시작하여 2004년 6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서 종료되었다. 자이브 레코드는 ''Justified''를 위해 ''Justified: the Videos''[66]와 ''저스틴 팀버레이크: 런던 라이브''라는 두 개의 DVD 스페셜을 발매했다.
7. 평가
롤링 스톤의 벤 래틀리프는 넵튠스의 프로듀싱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며, "Like I Love You"와 "Cry Me a River"를 뛰어난 곡으로 언급했다. 또한 저스틴 팀버레이크가 성인으로서 성공적으로 "도약했다"고 평했다.[72] 슬랜트 매거진은 팀버레이크가 넵튠스와 잘 어울리며, 마이클 잭슨의 작품과 유사하다고 언급했다.[78] BBC 뮤직은 "Cry Me a River"와 스티비 원더의 영향을 받았다는 "Rock Your Body"의 가사가 훌륭하다고 칭찬했다.[19]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Justified''를 "응집력 있다"고 묘사하며 엔싱크의 이전 작품들보다 선호했다.[69]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팀버레이크에 대해 "그의 재능과 인격은 모두가 볼 수 있었지만, 누가 그가 이렇게 흥분하거나 비트가 좋을 줄 알았겠는가?"라고 썼다.[79] 스타일러스 매거진은 이 음반이 팀버레이크의 남성적인 페르소나를 유지하지는 않지만 "복잡한 젊은이가 성인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그린다"고 썼다.[81]
반면, NME는 팀버레이크의 가사가 "감상적인 진부한 표현"이라고 평가했다.[71] 가디언은 가사가 "암시적인 중얼거림"이라고 비판했다.[70] 일부 평론가들은 팀버레이크가 마이클 잭슨의 작품에서 지나치게 많은 영감을 얻었다고 비난했다.[82] 올뮤직은 팀버레이크가 ''Thriller'' 시대의 잭슨을 차용한다며 그의 보컬에 내용이 부족하다고 비판했지만, "기술적으로 숙련된 보컬리스트"라고 평가했다.[67]
''Justified''는 여러 매체의 "올해의 앨범" 목록에 선정되었다. ''The Face''는 "올해의 음반" 2위,[83] ''Village Voice''는 "Pazz + Jop 2003"에서 46위에 올랐다.[84] ''The A.V. Club''의 2000년대 최고의 음악 목록에서 37위에 선정되었다.[85] 또한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86]과 ''The Guardian''이 선정한 "죽기 전에 들어야 할 1000개의 앨범" 목록에 포함되었다.[87]
7. 1. 수상 내역
''저스티파이드''(Justified)는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에서 가장 좋아하는 팝/록 앨범, 가장 좋아하는 팝/록 남성 아티스트, 팬 초이스 어워드를 포함하여 3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93] 이 중 저스틴 팀버레이크는 가장 좋아하는 팝/록 앨범상을 수상했다.[93] 제45회 그래미상에서 팀버레이크는 "Like I Love You"로 최고의 랩/송 콜라보레이션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다.[94] 다음 해, ''저스티파이드''(Justified)는 올해의 앨범과 최우수 팝 보컬 앨범 부문에, "Cry Me a River"는 최우수 남성 팝 보컬 퍼포먼스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95] 팀버레이크는 이 중 최우수 팝 보컬 앨범과 최우수 남성 팝 보컬 퍼포먼스 상을 받았다.[96]
''저스티파이드''(Justified)로 팀버레이크는 2003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최우수 남성, 최우수 팝, 최우수 앨범 상을 받았다.[97] 2004 브릿 어워드에서는 인터내셔널 앨범 상을 수상했다.[98]
2003년 BET 어워드에서 그는 최우수 R&B 남성 아티스트와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99] 이 외에도 MOBO 어워드 최우수 앨범,[100] NRJ 뮤직 어워드 올해의 인터내셔널 앨범,[101] 덴마크 뮤직 어워드 올해의 외국 앨범으로 선정되었다.[102]
8. 유산
Justified영어는 팀버레이크가 보이 밴드 멤버에서 솔로 아티스트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앨범으로 평가받는다.[103] 팝 음악 역사상 전 밴드 멤버의 가장 상징적인 데뷔 앨범 중 하나로 여겨지며, 팀버레이크의 슈퍼스타덤을 예고하는 진정한 성공작으로 평가받는다.[103] 빌보드의 댄 바이스(Dan Weiss)는 Justified영어를 팀버레이크의 "클래식 앨범"이라고 칭했다.[104]
Consequence of Sound영어의 작가들은 다른 데뷔 솔로 앨범들과 비교하여 이 앨범을 "10대 팝 스타 출신들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려는 시도의 기준"이라고 평가했으며,[105] Herald Sun영어은 이를 "보이 밴드에서 남자로 가는 청사진"이라고 여겼다.[106]
영국 싱어송라이터 에드 시런은 자신의 2014년 싱글 "Sing"의 영감으로 이 앨범을 언급했으며,[107] 션 멘데스는 2018년 노래 "Lost in Japan"의 영감으로 언급했다.[108] 원 디렉션의 리암 페인은 자신의 데뷔 솔로 앨범에 대해 이야기하며, Justified영어와 같은 음반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109]
9. 트랙 목록
# | 제목 | 프로듀서 | 길이 |
---|---|---|---|
1 | 세뇨리타 (Señorita) | 더 넵튠스(The Neptunes) | |
2 | 라이크 아이 러브 유(Like I Love You) (feat. 클립스(Clipse)) | 더 넵튠스 | |
3 | (Oh No) What You Got | 팀발랜드(Timothy Mosley), 스콧 스토치 | |
4 | Take It from Here | 더 넵튠스 | |
5 | 크라이 미 리버 (Cry Me a River) | 팀발랜드, 스토치 | |
6 | 록 유어 바디(Rock Your Body) | 더 넵튠스 | |
7 | Nothin' Else | 더 넵튠스 | |
8 | Last Night | 더 넵튠스 | |
9 | Still on My Brain | 디 언더독스(The Underdogs) | |
10 | (And She Said) Take Me Now (feat. 자넷 잭슨) | 팀발랜드, 스토치 | |
11 | Right for Me (feat. 버바 스파럭스(Bubba Sparxxx)) | 팀발랜드, 스토치 | |
12 | Let's Take a Ride | 더 넵튠스 | |
13 | Never Again | 브라이언 맥나이트 |
'''참고'''
10. 참여진
AllMusic과 음반의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한 ''Justified''의 참여진 목록이다.[131][132]
11. 차트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