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9: 위도우메이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19: 위도우메이커는 1961년 소련 핵잠수함 K-19의 실제 사고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해리슨 포드, 리암 니슨 등이 출연하며, K-19의 신임 함장과 부함장의 갈등, 원자로 사고 발생과 수리 과정, 승무원들의 희생과 영웅적인 행동을 그린다. 영화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K-19 승조원들의 용기를 조명하며, 냉전 시대의 긴장감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서린 비글로우 감독 영화 - 제로 다크 서티
캐서린 비글로우 감독의 스릴러 영화 《제로 다크 서티》는 CIA 분석관 마야가 오사마 빈 라덴을 추적하는 과정을 그리며, 빈 라덴 사살 작전과 CIA의 정보 수집, 강화된 심문 기법 사용에 대한 논쟁을 다룬다. - 캐서린 비글로우 감독 영화 - 블루 스틸 (1990년 영화)
블루 스틸은 1990년 개봉한 캐스린 비글로우 감독의 액션 스릴러 영화로, 신참 경찰관이 연쇄 살인범과 얽히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흥행에는 실패했다. - 1961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킹메이커 (2022년 영화)
《킹메이커》는 1970년대 대통령 선거를 배경으로 이상주의 정치인 김운범과 선거 전략가 서창대의 이야기를 다룬 2022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정치 영화이다. - 1961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세이빙 MR. 뱅크스
영화 《세이빙 MR. 뱅크스》는 P. L. 트래버스의 소설 《메리 포핀스》의 영화화 과정을 배경으로, 월트 디즈니가 P. L. 트래버스를 설득하여 영화 판권을 얻는 과정과 트래버스의 어린 시절 경험이 작품에 미친 영향을 그린 2013년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며, 에마 톰프슨과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았다. - 198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샤프트 (2019년 영화)
《샤프트 (2019년 영화)》는 전직 뉴욕 경찰 형사 존 섀프트 2세와 FBI 분석관 아들 존 "J.J." 섀프트 3세가 친구의 죽음을 조사하며, 전설적인 사립탐정 존 섀프트 1세까지 합세하여 마약 밀수 조직을 쫓는 액션 영화로, 세대 설정 변경과 엇갈린 평가가 특징이다. - 198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17 어게인
촉망받던 농구 선수였던 마이크 오도넬이 20년 후 이혼 위기에 놓인 불행한 삶 속에서 17세로 돌아가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을 그린 미국 영화 《17 어게인》은 잭 에프론, 매슈 페리 등 다수의 배우가 출연하고, 틴 코미디 장르에서 인기를 얻어 한국 드라마와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K-19: 위도우메이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캐스린 비글로우 |
제작자 | 캐스린 비글로우 에드워드 S. 펠드먼 시가르욘 시그바트손 크리스틴 휘태커 마티아스 데일 |
각본 | 크리스토퍼 카일 |
원작 | 루이스 노라 |
주연 | 해리슨 포드 리암 니슨 피터 사스가드 |
음악 | 클라우스 바델트 |
촬영 | 제프 크로넨웨스 |
편집 | 월터 머치 |
제작사 | 인터미디어 필름스 내셔널 지오그래픽 필름스 팔로마 픽처스 퍼스트 라이트 |
배급사 | 파라마운트 픽처스 (미국, 캐나다, 영국) 콘스탄틴 필름 (독일) |
개봉일 | 2002년 7월 19일 (미국) 2002년 9월 5일 (독일) 2002년 10월 25일 (영국) |
상영 시간 | 138분 |
제작 국가 |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 |
언어 | 영어 러시아어 |
제작비 | 9천만 달러 |
흥행 수익 | 6,570만 달러 |
2. 제작 배경
영화 ''K-19: 위도우메이커''는 9000만달러에서 1억달러 사이의 제작비가 투입되었다.[3][4][5]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의 완전 자회사인 내셔널 지오그래픽 필름이 투자했기 때문에, 당시 제작된 독립 영화 중 가장 제작비가 많이 든 영화 중 하나였다. 영화는 할리팩스, 토론토, 김리, 모스크바에서 촬영되었다.
영화 K-19: 위도우메이커에는 주연 배우들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원자로 기술자, 통신 담당관, 기관장, 소나 담당관 등 잠수함 K-19의 승조원들과, 소련 국방장관 및 해군 제독 등 외부 인물들이 극의 전개에 참여한다.
제작진은 실제 ''K-19''호 승조원들과 협력하고자 했으나, 승조원들이 처음에 공개된 시나리오에 이의를 제기하여 영화 제작진과의 러시아 측 협력이 중단되기도 했다.[7] 영화에서 사용된 "위도우메이커"라는 별명은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 잠수함은 1961년 7월 3일 원자력 사고 발생 전까지는 별명이 없었으며, 사고 이후 "히로시마"라는 별명을 얻었다.[8]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역할 | 배우 | 한국어 더빙 (KBS) | 일본어 더빙 (소프트판) | 일본어 더빙 (텔레비 도쿄판) |
---|---|---|---|---|
알렉세이 보스트리코프 함장[19] | 해리슨 포드(Harrison Ford) | 양지운 | 이소베 벤(磯部勉) | 무라이 쿠니오(村井国夫) |
미하일 폴레닌 부함장[20] | 리암 니슨(Liam Neeson) | 장광 | 오츠카 아키오(大塚明夫) | 코야마 리키야(小山力也) |
바딤 라드첸코 원자로 담당관 | 피터 사스가드(Peter Sarsgaard) | 정훈석 | 카와시마 토쿠아이(川島得愛) | 오치아이 히로지(落合弘治) |
파벨 록테프 원자로 담당관 | 크리스티안 카마고(Christian Camargo) | 임진응 | 모리카와 토시유키(森川智之) | 사쿠노 슌스케(咲野俊介) |
콘스탄틴 폴리안스키 | 조지 앤톤(George Anton) | 전인배 | 타테키 후미히코(立木文彦) | 카토우 아키오(加藤亮夫) |
유리 데미체프 | 스티브 니콜슨(Steve Nicholson) | 이호인 | 나카무라 히데토시(中村秀利) | 나카노 유타카(仲野裕) |
수슬로프 | 라빌 이시야노프(Равиль Ишниязов) | 오인성 | 타하라 아루노(田原アルノ) | 우시야마 시게루(牛山茂) |
겐나디 사브란 군의관 | 도널드 샘프터(Donald Sumpter) | 박상일 | 코지마 토시히코(小島敏彦) | 오하리 만조(おはら万造) |
젤렌초프 국방장관[21] | 조스 아클랜드(Jos Akland) | 나가 카츠미(長克巳) | 사사키 쇼조(佐々木省三) | |
블라티예프 해군 제독 | 존 슈랩넬(John Shrapnel) | 탁원제 | 오오키 타미오(大木民夫) | 고오오 시로(五王四郎) |
막심 포르텐코 | 타이 러니언 | 변영희 | | | |
바실리 | 샘 레드포드 | 석원희 | | | |
아나톨리 | 제임스 프랜시스 긴티 | 유동균 | | | |
안드레이 | 제이제이 페일드 | 원호섭 | | | |
예프게니 | 마이클 글래디스 | 변현우 | | | |
드미트리 | 샘 스프루엘 | 위훈 | | | |
말라호프 | 크리스 홀든 리드 | 유호한 | | | |
카타야 | 나탈리아 빈틸로바 | 은미 | | |
3. 2. 기타 등장인물
역할 | 배우 | 한국어 더빙 | 일본어 더빙 (소프트판) | 일본어 더빙 (텔레비 도쿄판) |
---|---|---|---|---|
졸렌초프 원수 (국방장관) | 조스 애클랜드 | 박상일 | 나가 카츠미 | 사사키 쇼조 |
브라티예프 제독 | 존 슈래프넬 | 탁원제 | 오오키 타미오 | 고오오 시로 |
게나디 사브란 군의관 | 도널드 섬프터 | 코지마 토시히코 | 오하리 만조 | |
유리 데미체프 (어뢰 담당관) | 스티브 니컬슨 | 이호인 | 나카무라 히데토시 | 나카노 유타카 |
이고르 수슬로프 (정치장교) | 라빌 이시아노프 | 오인성 | 타하라 아루노 | 우시야마 시게루 |
파벨 록테프 (원자로 기술자) | 크리스찬 카마고 | 임진응 | 모리카와 토시유키 | 사쿠노 슌스케 |
콘스탄틴 폴리안스키 (미사일 담당관) | 조지 앤톤 | 전인배 | 타테키 후미히코 | 카토우 아키오 |
4. 줄거리 (1961년)
1961년, 소련은 알렉세이 보스트리코프 함장과 미하일 폴레닌 소령의 지휘 아래 최초의 탄도 미사일 탑재 핵잠수함 K-19를 진수했다. 보스트리코프는 아내의 정치적 인맥과 소련의 자존심을 우선시하는 성향, 그리고 승무원의 사기와 안전을 중시하는 폴레닌의 성향 때문에 함장으로 임명되었다는 주장이 있었다. 진수 과정은 첫 샴페인 병이 함선의 선수에서 깨지지 않고, 의무관이 트럭에 치여 사망하는 등 불운이 잇따랐다.[7]
K-19의 첫 임무는 북극에서 수면으로 부상하여 무장 해제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하고, 뉴욕과 워싱턴 D.C.의 사정권 내에 있는 대서양을 순찰하는 것이었다. 보스트리코프는 K-19가 최대 작전 깊이를 넘어 잠수한 후, 북극의 얼음을 뚫고 전속력으로 수면으로 부상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폴레닌은 위험한 기동이라며 항의하며 함교를 뛰쳐나갔지만, 시험 발사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원자로 냉각재 배관이 파열되었다. 제어봉이 원자로에 삽입되었지만, 온도는 계속 상승했고, 백업 냉각 시스템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K-19는 함대 사령부에 연락하기 위해 수면으로 부상했지만, 장거리 송신 안테나 케이블이 손상되어 통신이 두절되었다. 기술자들은 임시 냉각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방사선 노출을 무릅쓰고 교대로 작업해야 했다. 첫 번째 팀은 구토와 물집이 생긴 채로 나왔고, 두 번째와 세 번째 팀이 원자로를 냉각했지만, 모두 급성방사선증후군을 앓게 되었다.
근처에 있던 미 해군 구축함의 시콜스키 H-34 헬리콥터가 지원을 제안했지만, 보스트리코프는 이를 거절했다. K-19가 구축함 근처에서 발견되면서 소련 정부는 K-19와의 연락 두절에 우려하기 시작했다. 이후 수리된 배관이 다시 누출되어 원자로 온도가 상승하고, 어뢰 연료에 불이 붙는 등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처음에 화재 진압 시스템 작동 명령이 내려졌으나 폴레닌의 만류로 철회되었고, 폴레닌은 직접 소방대를 지원했다.
두 명의 장교가 보스트리코프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지만, 폴레닌이 이들을 제압하고 보스트리코프를 석방했다. 바딤 라드첸코는 혼자 원자로에 들어가 수리를 시도했고, 방사선으로 시력을 잃고 약해진 라드첸코는 보스트리코프에 의해 안전한 곳으로 옮겨졌다. 원자로 용융은 방지되었지만, 방사능에 오염된 증기가 잠수함 전체에 누출되었다.
마침내 소련 디젤 잠수함이 K-19에 도착하여 화물선으로 승무원들을 대피시키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보스트리코프는 이를 거부하고 대피 명령을 내렸다.
4. 1. 출항 전
1961년, 소련은 최초의 탄도 미사일 탑재 핵잠수함인 K-19를 진수했다. 알렉세이 보스트리코프가 함장으로, 미하일 폴레닌이 부함장으로 임명되었다. 보스트리코프는 당직 중 술에 취한 원자로 담당관을 해임하고, 바딤 라드첸코를 새로 임명한다.K-19의 진수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샴페인 병이 함선의 선수에서 깨지지 않았고, 의무관은 트럭에 치여 사망하는 등 불운이 잇따랐다.[7] K-19는 실제로 1961년 7월 3일 원자력 사고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별명이 없었으며, 사고 이후 "히로시마"라는 별명을 얻었다.[8]
4. 2. 첫 임무
1961년, 소련은 알렉세이 보스트리코프 함장과 미하일 폴레닌 소령이 지휘하는 최초의 탄도 미사일 탑재 핵잠수함 K-19를 진수했다. 보스트리코프는 승무원의 안전보다 소련의 자존심을 우선시하는 폴레닌의 성향 때문에 함장직에서 밀려났다는 주장이 있었다. 보스트리코프는 당직 중 술에 취해 잠든 원자로 담당관을 해임하고, 사관학교를 갓 졸업한 바딤 라드첸코를 새로 임명했다.K-19의 첫 임무는 북극에서 무장 해제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하고, 뉴욕과 워싱턴 D.C.의 사정권 내에 있는 대서양을 순찰하는 것이었다. 보스트리코프는 K-19를 최대 작전 깊이 이하로 잠수시킨 후, 북극의 얼음을 뚫고 전속력으로 부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폴레닌은 위험한 기동이라며 항의하고 함교를 뛰쳐나갔지만, 시험 발사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4. 3. 원자로 사고
원자로 냉각재 배관이 파열된다. 제어봉이 원자로에 삽입되지만 온도는 상승하고, 백업 냉각 시스템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K-19는 함대 사령부에 연락하기 위해 수면으로 부상하지만 장거리 송신 안테나 케이블이 손상되어 통신이 두절된다. 기술자들은 임시 냉각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방사선 노출을 무릅쓰고 교대로 작업한다. 첫 번째 팀은 구토와 물집이 생긴 채로 나오며, 두 번째와 세 번째 팀도 원자로를 냉각하지만 모두 급성 방사선 증후군을 앓는다. 방사선 수치가 상승하자 잠수함은 수면으로 부상하고, 대부분의 승무원은 함상으로 대피한다. 첫 번째 팀의 부상을 본 라드첸코는 주저하지만, 주임하사가 세 번째 팀을 대신한다.근처에 있던 미 해군 구축함의 시콜스키 H-34 헬리콥터가 지원을 제안하지만, 보스트리코프는 이를 거절한다. K-19가 구축함 근처에서 발견되면서 소련 정부는 K-19와의 연락 두절에 우려하기 시작한다. 보스트리코프는 K-19를 견인할 디젤 잠수함이 파견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항구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내린다. 그러나 수리된 배관이 다시 누출되어 원자로 온도가 상승하고, 어뢰 연료에 불이 붙는다. 보스트리코프는 처음에 화재 진압 시스템 작동을 명령했으나, 폴레닌의 만류로 철회하고 직접 소방대를 지원한다. 이후 두 명의 장교가 보스트리코프에 대해 반란을 일으키고, 라드첸코는 혼자 원자로에 들어가 수리를 시도한다.
폴레닌은 반란자들을 속여 무기를 넘겨받고 체포한 후 보스트리코프를 석방한다. 라드첸코를 알지 못하는 보스트리코프는 폴레닌의 요청에 따라, 과열된 원자로가 탄두를 폭발시켜 핵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로 잠수하여 수리를 시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다. 승무원들은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K-19는 잠수한다. 라드첸코의 수리는 성공적이었고, 방사선으로 시력을 잃고 약해진 그는 보스트리코프에 의해 안전한 곳으로 옮겨진다. 원자로 용융은 방지되었지만, 방사능에 오염된 증기가 잠수함 전체에 누출된다.
4. 4. 위기
미국 해군 구축함이 K-19를 발견하고 지원을 제안하지만, 보스트리코프는 이를 거절한다. 소련 정부는 K-19와의 연락 두절에 우려를 표명한다. 보스트리코프는 K-19를 견인할 디젤 잠수함이 파견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항구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내린다. 수리된 배관이 다시 누출되어 원자로 온도가 상승하고, 어뢰 연료에 불이 붙는다. 처음에 화재 진압 시스템 작동 명령이 내려졌으나 폴레닌의 만류로 철회되고, 폴레닌은 직접 소방대를 지원한다.두 명의 장교가 보스트리코프에 대해 반란을 일으키지만, 폴레닌이 이들을 제압하고 보스트리코프를 석방한다. 라드첸코는 혼자 원자로에 들어가 수리를 시도한다. 방사선으로 시력을 잃고 약해진 라드첸코는 보스트리코프에 의해 안전한 곳으로 옮겨진다.
소련 디젤 잠수함이 K-19에 도착하여 화물선으로 승무원들을 대피시키라는 명령을 내리지만, 보스트리코프는 이를 거부하고 대피 명령을 내린다.
4. 5. 귀환
소련으로 돌아온 보스트리코프는 임무를 위태롭게 하고 직접적인 명령을 어긴 혐의로 재판을 받지만, 폴레닌의 변호로 무죄 판결을 받는다. 이 사고로 총 27명이 방사선병으로 사망했다.이후 보스트리코프는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K-19 승무원들은 비밀 유지를 서약했고 보스트리코프는 다시는 지휘권을 맡지 못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노년의 보스트리코프는 구조된 지 기념일에 폴레닌과 다른 생존자들을 묘지에서 만난다. 보스트리코프는 사망한 승무원들에게 소련 영웅 훈장을 추천했지만, 그 영예는 전투 참전 용사에게만 주어진다는 말을 들었다고 밝힌다. 그는 "그런 사람들로부터 받는 영예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생존자들과 희생된 사람들에게 건배한다.
5. 평가 및 반응
《K-19: 위도우메이커》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70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61%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평균 점수는 6.09/10이다. 로튼 토마토는 "영화 제작자들이 사실을 각색했음에도 불구하고 흥미진진한 드라마"라고 평했다.[9] 메타크리틱은 35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58점을 기록하여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받았다.[10] 시네마스코어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관객들은 A+에서 F까지의 등급 척도에서 영화에 평균 "B" 등급을 매겼다.[11]
2002년 10월 《K-19: 위도우메이커》가 러시아에서 개봉했을 때, K-19 잠수함의 베테랑 52명이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사회에 참석했다. 그들은 기술적 및 역사적 타협점이 있다고 여겼음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칭찬했으며, 특히 해리슨 포드의 연기를 높이 평가했다.[12]
영화 평론가 로저 에버트는 《K-19: 위도우메이커》를 《다 보트》, 《붉은 10월》, 《침묵의 깊이》와 같은 잠수함 영화 장르의 고전들과 비교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잠수함을 다룬 영화는 체스의 논리와 같다. 게임이 길어질수록 가능한 남은 수는 줄어든다. (중략) 변수는 항상 산소, 수압, 그리고 적이다. 사람들이 숨을 쉴 수 있을까? 잠수함이 붕괴될까? 깊이 폭탄이 그것을 파괴할까?"라고 평했다.[13]
더 뉴 리퍼블릭의 스탠리 카우프만은 "왜 영화 거물들은 이것이 소련에 대한 확고한 충성심 이야기에 적합한 시점이라고 생각했을까?"라고 비판했다.[14]
할리우드 리포터와의 2023년 인터뷰에서 해리슨 포드는 알렉세이 보스트리코프 역을 자신이 가장 자랑스럽게 여기는 역할 중 하나로 꼽았고, 미지근한 평단의 반응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좋다고 생각했다.[15]
6. 한국판 성우진 (KBS, 2005년)
- 양지운 - 알렉세이 보스트리코프 함장 역 (해리슨 포드 분)[19]
- 장광 - 미하일 폴레닌 부함장 역 (리암 니슨 분)[20]
- 정훈석 - 바딤 래드친코 원자로 담당관 역 (피터 사스가드 분)
- 박상일 - 마샬 젤렌초프 역 (조스 애클랜드 분)[21]
- 탁원제 - 브라티예프 역 (존 슈랍넬 분)
- 이호인 - 데미체프 역 (스티브 니컬슨 분)
- 오인성 - 수슬로프 역 (라빌 이시아노프 분)
- 전인배 - 폴리언스키 역 (게릿 보랜 분)
- 변영희 - 맥심 역 (타이 러니언 분)
- 임진응 - 파벨 역 (크리스천 카마고 분)
- 석원희 - 바실리 역 (샘 레드포드 분)
- 유동균 - 아나톨리 역 (제임스 프랜시스 긴티 분)
- 원호섭 - 안드레이 역 (제이제이 페일드 분)
- 변현우 - 예프게니 역 (마이클 글래디스 분)
- 위훈 - 드미트리 역 (샘 스프루엘 분)
- 유호한 - 말라호프 역 (크리스 홀든 리드 분)
- 은미 - 카타야 역 (나탈리아 빈틸로바 분)
7. 후일담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노년의 보스트리코프는 구조된 지 기념일에 폴레닌과 다른 생존자들을 묘지에서 만난다. 보스트리코프는 사망한 승무원들에게 소련 영웅 훈장을 추천했지만, 그 영예는 전투 참전 용사에게만 주어진다는 말을 들었다고 밝힌다. "그런 사람들로부터 받는 영예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보스트리코프는 생존자들과 희생된 사람들에게 건배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K-19: Showdown in der Tiefe
https://www.filmport[...]
2021-08-27
[2]
웹사이트
K-19 - The Widowmaker
https://www.bbfc.co.[...]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2020-07-09
[3]
웹사이트
K-19: The Widowmaker
https://the-numbers.[...]
2023-09-22
[4]
웹사이트
K-19: The Widowmaker (2002)
http://www.dvdmg.com[...]
2009-03-14
[5]
웹사이트
HOT? or NOT? - Hollywood's Biggest Names: Are They Still Worth Their Price?
https://web.archive.[...]
2023-09-22
[6]
웹사이트
K-19 The Widowmaker (2002)
http://www.boxoffice[...]
2016-07-03
[7]
뉴스
Hollywood infuriates Russian veteran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1-02-23
[8]
서적
Huchthausen 2002
[9]
웹사이트
K-19: The Widowmaker (2002)
https://www.rottento[...]
2009-09-28
[10]
웹사이트
K-19: The Widowmaker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22-02-28
[11]
웹사이트
Home
https://www.cinemasc[...]
2022-02-28
[12]
뉴스
K-19 premiere divides Russians
http://news.bbc.co.u[...]
2024-07-04
[13]
웹사이트
K-19: The Widowmaker Movie Review (2002)
http://www.rogereber[...]
2003-07-19
[14]
웹사이트
Stanley Kauffmann at rottentomatoes.com
https://www.rottento[...]
[15]
뉴스
Harrison Ford: "I Know Who the F*** I Am"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23-02-09
[16]
웹사이트
K-19: The Widowmaker (2002)
https://www.boxoffic[...]
2009-12-27
[17]
간행물
映連興行収入
2003
[18]
문서
영화와 실제 차이점
[19]
문서
실제 함장
[20]
문서
실제 부함장
[21]
문서
실제 소련 국방장관
[22]
트윗
필드워크스의 트윗 (2022년 11월 22일)
https://twitter.com/[...]
2022-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