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S순천방송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순천방송국은 전라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KBS)의 지역 방송국이다. 1957년 여수방송국 개국을 시작으로, 순천중계소, 신월송신소 등을 거쳐 1976년 순천방송국으로 전환되었다. 2004년 여수방송국과 통합되었으며, 현재 디지털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편성제작팀, 보도팀, 기술팀, 총무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시 (전라남도) - 선암사
    선암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되어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를 거치며 번성했으나 조선 시대 불교 탄압으로 폐사되기도 했으며, 현재는 태고종 사찰로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석탑과 승선교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조계종과의 분쟁 역사를 가진 곳이다.
  • 순천시 (전라남도) - 왜교성 전투
    왜교성 전투는 1598년 순천왜성에 주둔한 고니시 유키나가를 유정이 이끄는 명나라군과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 연합군이 공격했으나, 일본군의 저항과 사천성 전투 패배 소식으로 공략에 실패하고 감시 체제로 전환된 정유재란 막바지의 주요 전투이자 조명 연합군의 총공세가 실패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광주방송총국
    KBS광주방송총국은 1939년 라디오 출장소 설치를 시작으로 광주 지역 방송 역사를 시작하여, 현재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뉴스, 교양,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KBS순천방송국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KBS순천방송국
KBS순천방송국
운영KBS순천방송국
설립일1987년 9월 1일
소재지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412 (석현동 91-3)
공식 웹사이트KBS 순천방송국 공식 웹사이트
방송 정보
개국일1957년 10월 1일
모기업한국방송공사
방송 영역전라남도 순천시
조직
사장홍종현 (방송국장)

2. 연혁

KBS순천방송국의 연혁은 크게 여수방송국, 순천방송국, 그리고 통합 KBS순천방송국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여수방송국'''은 1957년 10월 1일 개국하였으며, 1976년 순천중계소가 순천방송국으로 전환되기 전까지 순천중계소, 신월송신소, 망운산중계소, 고흥중계소 등을 개소하였다. 1978년 11월 23일 AM 주파수 변경이 있었고, 1990년 신축청사 완공, 1994년 제1TV 로컬방송 개시, 1996년 구봉산TVR 준공 등의 변화를 거쳤다.

'''순천방송국'''은 1965년 여수방송국 순천중계소로 시작하여 1976년 순천방송국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1978년 주파수 변경, 1981년 1R에서 2R로 전환, 1982년 제1라디오 FM 방송 시작, 1987년 신사옥 및 송신소 준공, 1992년 순천 TVR 이설, 1995년 자체 TV 로컬뉴스 제작 및 송출, 2003년 제2라디오 FM 개국 등의 변화가 있었다.

2004년 11월 1일 여수방송국과 순천방송국은 통합되어 '''KBS순천방송국'''으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이후 2005년 제2라디오 로컬 방송 폐지, 2006년 DTV 개국, 2010년 DMB 개국, 2012년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2013년 DTV 채널 재배치, 2020년 신월송신소 임시 휴지 등의 변화를 겪었다.

2. 1. 여수방송국 (1957~2004)

1957년 10월 1일 여수방송국이 개국하였다.[1] 1965년 11월 20일 순천중계소가 개소하였고,[1] 1968년 4월 8일에는 신월송신소가,[1] 1971년 4월 14일에는 망운산중계소가,[1] 1975년 12월 30일에는 고흥중계소가 각각 개소하였다.[1] 1976년 7월 1일 순천중계소는 순천방송국으로 전환되었다.[1]

1978년 11월 23일,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AM 주파수 간격을 10kHz에서 9kHz로 변경함에 따라 순천중계소(580KHz → 576KHz), 고흥중계소 (1490KHz → 1485KHz)의 주파수가 변경되었다.[1] 1990년 11월 8일에는 여수방송국 신축청사가 완공되었고,[1] 1994년 8월 22일에는 여수방송국 제1TV 로컬방송이 개시되었다.[1] 1996년 12월 31일 구봉산TVR이 준공되었다.[1]

2004년 11월 1일 지역국 기능 조정에 따라 여수방송국과 순천방송국이 통합되었다.[1]

2. 2. 순천방송국 (1965~2004)


  • 1965년 11월 20일 여수방송국 순천중계소 개소
  • 1968년 4월 8일 신월송신소 개소
  • 1971년 4월 14일 망운산중계소 개소
  • 1975년 12월 30일 고흥중계소 개소
  • 1976년 7월 1일 순천중계소 → 순천방송국으로 전환
  • 1978년 11월 23일: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AM 주파수 간격을 10kHz에서 9kHz로 변경함에 따라 순천중계소(580KHz → 576KHz), 고흥중계소 (1490KHz → 1485KHz) 주파수 변경
  • 1981년 3월 16일 순천방송국 1R → 2R 전환
  • 1982년 3월 4일: KBS순천 제1라디오 FM으로 수신 가능, 잡음이 전혀 없는 표준FM(스테레오가 아닌 모노)으로도 동시에 방송
  • 1987년 9월 1일 순천방송국 신사옥 및 송신소 준공
  • 1992년 8월 20일 순천 TVR 이설 (천황산→남산)
  • 1995년 2월 23일 순천 자체 TV로컬뉴스 제작, 송출
  • 2003년 11월 5일 순천방송국 제2라디오 FM 개국(2R→제3R 사랑의 소리방송 전환)
  • 2004년 11월 1일 여수·순천국 통합(지역국 기능 조정)

2. 3. KBS 순천방송국 (2004~)

2004년 11월 1일 여수방송국과 순천방송국이 통합되어 지역국 기능이 조정되었다.[1] 2005년 5월 1일 제2라디오 로컬 방송이 폐지되고, 주파수가 광주방송총국으로 흡수되었다.[1]

2006년 9월 12일 망운산에서 1, 2 교육 DTV가 개국되었고,[1] 9월 14일 방장산 M/W 중계소가 개국되었다.[1] 2010년 12월 15일 망운산송신소에서 DMB 방송이 개국되었다.[1]

2012년 10월 30일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고,[1] 2013년 6월 12일 DTV 채널 재배치가 이루어졌다.[1] 2020년 5월 23일 신월송신소가 임시 휴지(~2022년 5월 30일)에 들어갔다.[1]

3. 조직

팀명역할
편성제작팀텔레비전 제작, 편성
보도팀영상 취재, 취재
기술팀기술 관리, 텔레비전 기술, 라디오 기술, 중계 기술, 송출 기술
총무팀총무, 재원 관리


4. 방송 송출 시설망

KBS순천방송국은 전라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KBS)의 방송 송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4. 1. TV

KBS순천방송국은 전라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1TV는 가상채널 9-1번을 통해 방송되며, 호출부호는 HLCY-DTV이다.

송신소물리채널 (1TV)출력송신소 위치
구봉산 중계소CH 3290W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4
여수 중계소CH 142W전남 여수시 봉산동 427-5
문수 중계소CH 2210W전남 여수시 문수동 산54
쌍봉 중계소CH 1920W전남 여수시 소라면 봉두리 산47
남면 중계소CH 3020W전남 여수시 남면 두라리 산27-1
심장 중계소CH 195W전남 여수시 남면 심장리 산198-1
남산 중계소CH 3490W전남 순천시 덕월동 1198-1
서면 소출력CH 340.05W전남 순천시 서면 동산리
구봉화산 중계소CH 1810W전남 광양시 성황동 산228
옥룡 소출력CH 340.05W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쌍암 중계소CH 195W전남 순천시 승주읍 신성리 638
외서 중계소CH 305W전남 순천시 송광면 대흥리 산155-1
아미 중계소CH 2510W전남 곡성군 목사동면 신전리 산132-1
벌교 중계소CH 2720W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산3-1
방장산 중계소CH 2520W전남 보성군 조성면 동촌리 850-6
고흥 중계소CH 2720W전남 고흥군 고흥읍 옥하리 산1-14
풍양 중계소CH 205W전남 고흥군 풍양면 송정리 산129-1
녹동 중계소CH 2120W전남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산68
도화 중계소CH 2220W전남 고흥군 도화면 사덕리 산69
포두 중계소CH 215W전남 고흥군 포두면 옥강리 산1411-10
남성 중계소CH 195W전남 고흥군 포두면 남성리 산250
봉래 중계소CH 345W전남 고흥군 봉래면 예네리 산212-14
삼산 중계소CH 215W전남 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산133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0월 30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4. 2. 라디오

KBS순천방송국은 라디오 방송을 송출한다.

KBS순천 제1라디오는 망운산 송신소(FM 95.7MHz, 1kW)와 남산 중계소(FM 88.7MHz, 500W)를 통해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고흥군, 경남 남해군 등 전남 동부 지역과 경남 서부 일부 지역에 방송을 송출한다.[1][2]

KBS광주 제2라디오(해피FM)는 남산 중계소(FM 102.7MHz, 1kW), 구봉산 중계소(FM 100.9MHz, 500W), 고흥 중계소(FM 106.7MHz, 10W)를 통해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고흥군, 경남 남해군 일부 지역에 방송을 송출한다.[1][2][3]

KBS 제3라디오는 순천 송신소(AM 576kHz, 10kW)를 통해 순천시, 광양시, 여수시, 고흥군 일부 지역에 방송을 송출한다.

KBS광주 음악FM은 망운산 송신소(FM 94.5MHz, 3kW)를 통해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고흥군, 경남 남해군 등 전남 동부 지역과 경남 서부 일부 지역에 방송을 송출한다.

KBS순천방송국 라디오 주파수 현황
프로그램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
KBS순천 제1라디오망운산 송신소FM 95.7MHz1kWHLCY-SFM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1404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하동군 일부, 진주시 일부, 사천시 일부, 거창군, 일부, 산청군 일부
남산 중계소FM 88.7MHz500W전남 순천시 덕월동 산115-2순천시 일원, 광양시 일부, 여수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KBS광주 제2라디오남산 중계소FM 102.7MHz1kWHLAA-SFM전남 순천시 덕월동 1198-1순천시 일원, 광양시 일부, 여수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1]
구봉산 중계소FM 100.9MHz500W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2]
고흥 중계소FM 106.7MHz10W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산57고흥군 일원[3]
KBS 제3라디오순천 송신소AM 576kHz10kWHLKZ전남 순천시 해룡면 대안리 974-2순천시 일원, 광양시 일부, 여수시 일부, 고흥군 일부
KBS광주 음악FM망운산 송신소FM 94.5MHz3kWHLCY-FM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1404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하동군 일부, 진주시 일부, 사천시 일부, 거창군, 일부, 산청군 일부


4. 3. 지상파 DMB

KBS광주방송총국에서 송출하는 U-KBS를 통해 방송한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망운산K-7Bch (177.008MHz)2kW
구봉산90W
남산90W


5. 프로그램

KBS순천방송국은 라디오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하여 방송하고 있다.

5. 1. 라디오 프로그램 (KBS 순천 제1라디오)

뉴스 프로그램명방송시간편성시간진행
KBS 제1라디오 9시 뉴스평일 5분오전 9시 ~ 9시 5분최유라 리포터/윤형혁 기자
KBS 제1라디오 정오종합뉴스평일 5분낮 12시 15분~ 12시 20분황윤진
KBS 제1라디오 오후 5시 뉴스평일 5분오후 5시 ~ 5시 5분황윤진
KBS 제1라디오 오후 6시 뉴스주말, 공휴일 5분저녁 6시 ~ 6시 5분광주 수중계

6. 인물

KBS순천방송국에서 근무했거나 근무하고 있는 아나운서는 다음과 같다.

구분이름
현직황윤진
전직조승학 (전 YTN 아나운서)
손혜원 (전 KBS전주방송총국 아나운서)
임정섭 (2017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이경수 (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서상기 (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김종식 (퇴사)
위영미 (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임진숙 (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김한별 (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현 프리랜서 방송인)
김형철 (전 KBS전주방송총국, 현 KBS대전방송총국 아나운서)
채윤아 (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이윤선 (전 MBC경남 아나운서, 현 스피치 대표)
공진희 (전 대구MBC 기상캐스터 (2013년 ~ 2016년 9월), 현 퇴사)
정은아 (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변정연 (2016년 ~ 2017년 원주MBC 아나운서)
강은이 (전 KBS광주방송총국 아나운서)
이주희 (2017년 ~ 2020년 2월 퇴사)
봉주선 (2017년 7월 ~ 2019년 6월)
최명순 (1979년 ~ 2016년 (2018년 10월 ~ 2019년 9월 프리랜서))
김다은 (2019년 7월 ~ 2022년 6월)
조해린 (2022년 ~ 2023년 현 연합뉴스TV 아나운서)
송나영 (2023년 ~ 2024년 현 안동MBC 아나운서)


6. 1. 현직 아나운서

황윤진

6. 2. 전직 아나운서

참조

[1] 기타 여수, 순천, 광양, 고흥지역 방송 정보
[2] 기타 여수, 순천, 광양, 고흥지역 방송 정보
[3] 기타 여수, 순천, 광양, 고흥지역 방송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