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0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N-09는 북한이 개발한 300mm 구경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김정은의 지시 하에 개발되었다. 2015년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2013년부터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 KN-09는 러시아 BM-30 스메르치, 중국 WS-1B, 시리아 Khaibar-1과 유사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중국 시노트럭 HOWO 트럭을 발사대에 사용한다. 사거리는 180~200km로 추정되며, 대한민국 국군 기지 및 주한 미군 기지를 위협할 수 있다. 2016년에는 8연장 발사관을 갖춘 개량형이 공개되었고, 2020년과 2022년 열병식에서는 발사관 수가 12개로 증가했다. KN-09는 자체 유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국내 기술 유출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대지 미사일 - 대포동 1호
대포동 1호는 북한이 개발한 3단 액체 연료 로켓으로, 북한은 이를 이용하여 광명성 1호 발사를 주장했으나 국제사회는 실패로 평가하며, 장거리 미사일 개발 기술 시연 성격으로 분석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대지 미사일 - 대포동 2호
대포동 2호는 북한이 개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대포동 1호 시험 발사를 통해 습득한 다단계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하고 모델에 따라 사거리와 탑재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N-09 | |
---|---|
KN-09 다연장 로켓포 | |
![]() | |
종류 | 다연장 로켓포 |
운용 | 2016년 – 현재 |
설계 년도 | 2014년 |
생산 년도 | 2014년 – 현재 |
수량 | 10–100 (추정) |
발사관 | 8 |
발사 속도 | 45분당 8발 |
최대 사거리 | 100–200 km (120 마일) |
충전재 | ~ 75 kg TNT 상당 (추정) |
충전재 무게 | ~ 75 kg TNT 상당 (추정) |
엔진 | 디젤 |
현가 장치 | 6x6륜 |
탑재 용량 | ~ 75 kg TNT 상당 (추정) |
2. 역사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2012년 신형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 개발을 직접 지시했으며, 지난 3년간 개발 단계의 대구경 방사포 시험사격을 13차례나 직접 지도했다고 보도했다.[16] 2015년 10월 10일 오후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서 신형 300mm 방사포가 최초로 공개되었다.
2. 1. 개발 배경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2012년 신형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 개발을 직접 지시했으며, 지난 3년간 개발 단계의 대구경 방사포 시험사격을 13차례나 직접 지도했다고 보도했다.[16]2015년 10월 10일 오후,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서 신형 300mm 방사포가 최초로 공개되었다.
2. 2. 공개 및 시험 발사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2012년 신형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 개발을 직접 지시했으며, 지난 3년간 개발 단계의 대구경 방사포 시험사격을 13차례나 직접 지도했다고 보도했다.[16]2015년 10월 10일 오후에 열린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서 신형 300mm 방사포를 최초로 공개했다.
연도 | 내용 |
---|---|
2008년 | 중국은 2008 주하이 에어쇼에 400 mm WS-3 다연장을 최초로 공개했다. |
2013년 5월 | KN-09 6발을 발사했다. |
2014년 2월 21일 | 이산 가족 상봉 중에 KN-09 4발을 동해로 발사했다. |
2014년 3월 4일 | 오후 4시 17분부터 5시 7분까지 강원도 원산 인근 호도반도에서 KN-09 4발을 동해로 발사했다. 비행 거리는 155 km로 알려졌다. |
2016년 3월 21일 | 북한은 실전배치를 앞둔 최종 시험 사격을 했다고 밝혔다. |
KN-09는 순항 미사일이 아니라 300mm 방사포이며, 중국이 러시아에서 도입한 뒤 개량해 제3국에 수출한 WS-1B와 비슷하다. 발사 차량 1대당 300mm 로켓 발사관 4문을 묶은 형태이다. WS-1B의 사거리는 180km, 최대 속도는 마하 5.2, 길이는 6.37m, 탄두 중량은 150kg이다.[17]
3. 제원 및 특징
대한민국은 300mm 로켓의 사거리가 180km이며, 탄두 중량은 190kg으로 추정하고 있다.[3][8] 이는 조선인민군 육군이 이전에 보유했던 최장 사거리 MRL인 240mm M1985/M1991보다 훨씬 긴 사거리이다. KN-09는 서울에서 97km 떨어져 있으며, 계룡대, 대전광역시 등 대한민국 영토 절반과 평택, 오산 공군기지 등 주요 주한 미군 군사 기지를 위협할 수 있다.[9][10][11][12] 300mm 로켓은 BM-21의 122mm 로켓보다 세 배 더 강력하며, 파편 지뢰탄과 지하 관통탄도 생산 중이고, 유도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은 2016년 말까지 KN-09가 실전 배치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9]
3. 1. 디자인 및 기반 기술
KN-09는 러시아의 BM-30 스메르치, 중국의 WS-1B, 시리아의 M-302와 같은 유사한 300mm 구경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MRL)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4] KN-09에 사용된 트럭은 군용으로 개조된 중국 시노트럭 HOWO 트럭의 민간 버전인 것으로 알려졌다.[5] 이 시스템은 2014년 한미 연합 훈련 당시 처음으로 포착되었다.[6]
'KN-09'라는 명칭은 처음에는 자체 개발한 Kh-35(현지 명칭 금성 3호)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나중에는 이 MRL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
대한민국은 300mm 로켓의 사거리가 WS-1B의 사거리(180km)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추정하며, 탄두 중량은 190kg으로 추정하고 있다.[3][8] 이는 조선인민군 육군이 이전에 보유했던 최장 사거리 MRL인 240mm M1985/M1991의 사거리보다 훨씬 길다. KN-09의 사거리는 대한민국 국군의 계룡대 복합 시설과 대전광역시를 포함하여 대한민국 영토의 절반을 커버할 수 있으며, 평택과 오산 공군기지와 같은 주요 주한 미군 군사 기지를 위협할 수 있다.[9][10][11][12] 300mm 로켓은 BM-21의 122mm 로켓보다 세 배 더 강력하며, 파편 지뢰탄과 지하 관통탄도 생산 중이다. 또한 일종의 유도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9]
조선중앙통신(KCNA)은 2016년 3월 KN-09의 사진을 공개하며 시스템의 개선 사항을 공개했다. 6×6 발사대 트럭은 로켓 폭발로부터 앞 유리를 보호하기 위해 장갑 루버를 갖추고 있으며, 8개의 발사관은 4개의 로켓으로 구성된 두 개의 포드에 들어 있어 재장전 시간을 단축했다. MRL의 설계는 러시아와 중국의 대구경 로켓 포병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의심되며, 유도는 러시아의 GLONASS 또는 중국의 베이더우 항법 시스템에서 제공될 가능성이 높지만, 로켓은 헤드에 두 개의 제어 핀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미국의 M31 GMLRS 및 인도의 Pinaka Mk-II의 유도 특징이며, 9K58 스메르치에는 없는 특징이다.[13] 기밀 문서에 따르면 북한은 육해공군 합동 군사 본부가 위치한 대전을 타격할 수 있는 영상 유도 및 GPS 시스템을 갖춘 300mm 다연장 로켓 발사기의 개발 및 배치를 완료한 것으로 보인다.[14]
2020년과 2022년 열병식에서 KN-09는 발사관 수가 12개로 증가했고, 개조된 8x8 ZIL-135 섀시에 장착되었다. 이 시스템은 2018년까지 배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15]
3. 2. 유도 시스템
KN-09 신형 방사포는 자체 로켓 추진 유도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미사일급으로 평가된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신형 방사포의 명중성이 바늘귀를 꿰듯 정확한 데 대해 대만족을 표시했다"고 보도했기 때문에, 러시아제 GPS인 글로나스(GLONASS)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4]
KN-09의 설계는 러시아와 중국의 대구경 로켓 포병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의심되며, 유도는 러시아의 GLONASS 또는 중국의 베이더우 항법 시스템에서 제공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로켓은 헤드에 두 개의 제어 핀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정확성을 위해 로켓 헤드에 4개의 작은 날개가 부착된 미국의 M31 GMLRS 및 인도의 Pinaka Mk-II의 유도 특징이며, 이는 9K58 스메르치에는 없는 특징이다.[13] 기밀 문서에 따르면 북한은 육해공군 합동 군사 본부가 위치한 대전을 타격할 수 있는 영상 유도 및 GPS 시스템을 갖춘 300mm 다연장 로켓 발사기의 개발 및 배치를 완료한 것으로 보인다.[14] 로켓의 잠재적인 정밀 유도는 이 시스템이 대한민국 내 공군 기지와 같은 군사적 중요성을 가진 목표물을 타격하는 데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8]
3. 3. 사거리 및 탄두
KN-09는 순항 미사일이 아니라 300mm 방사포로, 중국이 러시아에서 도입 후 개량하여 제3국에 수출한 300mm 방사포 WS-1B와 유사하다. 발사 차량 1대당 300mm 로켓 발사관 4문을 묶은 형태이며, WS-1B의 사거리는 180km, 최대 속도는 마하 5.2, 길이는 6.37m, 탄두 중량은 150kg이다.[17]
KN-09의 사거리는 200km 정도로, 수원, 원주, 강릉, 청주, 서산, 충주공군기지 등 대부분의 공군기지가 사거리 안에 들어간다. F-15K가 배치된 대구공군기지나 사천공항과 같은 후방 기지를 제외하면, 개전 초기 모든 공군기지가 무력화될 위험이 있다.[18] 최대 사거리는 언론 보도마다 155km, 180km, 200km, 220km 등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KN-09는 300mm 위사 1호를 수입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위사 1호는 200km 사거리가 없다. 400mm 위사 2호나 위사 3호일 가능성도 있다.
대한민국은 KN-09의 사거리를 180km, 탄두 중량을 190kg으로 추정한다.[3][8] 이는 조선인민군 육군이 이전에 보유했던 최장 사거리 MRL인 240mm M1985/M1991의 사거리보다 훨씬 길다. KN-09의 사거리는 대한민국 국군의 계룡대와 대전광역시, 평택과 오산 공군기지 등 주요 주한 미군 군사 기지를 위협할 수 있다. 300mm 로켓은 BM-21의 122mm 로켓보다 세 배 더 강력하며, 파편 지뢰탄과 지하 관통탄도 생산 중이다. 또한 일종의 유도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9][10][11][12]
2016년 3월, 조선중앙통신 (KCNA)은 KN-09의 사진을 공개하며 개선 사항을 밝혔다. 6×6 발사대 트럭은 로켓 폭발로부터 앞 유리를 보호하기 위해 장갑 루버를 갖추고 있으며, 8개의 발사관은 4개의 로켓으로 구성된 두 개의 포드에 들어 있어 재장전 시간을 단축했다. MRL의 설계는 러시아와 중국의 대구경 로켓 포병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보이며, 유도는 러시아의 GLONASS 또는 중국의 베이더우 항법 시스템에서 제공될 가능성이 높다. 로켓 헤드에 두 개의 제어 핀이 있는데, 이는 정확성을 위해 로켓 헤드에 4개의 작은 날개가 부착된 미국의 M31 GMLRS 및 인도의 Pinaka Mk-II의 유도 특징이며, 9K58 스메르치에는 없는 특징이다.[13] 기밀 문서에 따르면 북한은 대전을 타격할 수 있는 영상 유도 및 GPS 시스템을 갖춘 300mm 다연장 로켓 발사기의 개발 및 배치를 완료했다.[14]
3. 4. 발사대
KN-09는 러시아의 BM-30 스메르치, 중국의 WS-1B, 또는 시리아의 M-302와 같은 300mm 구경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MRL)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4] KN-09에 사용된 트럭은 군용으로 개조된 중국 시노트럭 HOWO 트럭의 민간 버전인 것으로 알려졌다.[5]
2016년 3월,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KCNA)은 KN-09의 사진을 공개하며 개선 사항을 공개했다. 6×6 발사대 트럭에는 로켓 폭발로부터 앞 유리를 보호하기 위해 장갑 루버가 설치되었고, 8개의 발사관은 4개의 로켓으로 구성된 두 개의 포드에 들어 있어 재장전 시간을 단축했다. MRL의 설계는 러시아와 중국의 대구경 로켓 포병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보이며, 유도는 러시아의 GLONASS 또는 중국의 베이더우 항법 시스템에서 제공될 가능성이 높다.[13]
2020년과 2022년 열병식에서 KN-09는 발사관 수가 12개로 증가했고, 개조된 8x8 ZIL-135 섀시에 장착된 채로 전시되었다. 이 시스템은 2018년까지 배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15]
4. 군사적 위협 및 영향
KN-09는 대한민국에 상당한 군사적 위협이 된다. KN-09의 사거리는 200km 정도로, 수원, 원주, 강릉, 청주, 서산, 충주공군기지 등 주요 공군기지가 이 사거리 안에 포함된다.[18] 따라서 F-15K가 배치된 대구공군기지나 사천공항과 같은 후방 기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군기지가 개전 초기에 무력화될 위험이 있다.[18]
언론 보도에 따라 최대 사거리는 155km, 180km, 200km, 220km 등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KN-09의 기반이 된 위사 로켓의 사거리는 다음과 같다.
종류 | 직경 | 사거리 | 비고 |
---|---|---|---|
위사 1호 | 300mm | 60 - 180 km | 북한 KN-09 |
위사 2호 | 400mm | 70 - 200 km | |
위사 3호 | 400mm | 70 - 200 km |
KN-09는 300mm 위사 1호를 수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위사 1호는 200km 사거리를 가지지 않아 400mm 위사 2호 또는 위사 3호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대한민국 정부는 신형 무기에 국내 기술이 유출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정부는 국내 방산 기업 협력 업체에 탈북자가 다수 취업해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체계 업체와 협력 업체 간 설계도 공유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19]
4. 1. 대한민국에 대한 위협
KN-09의 사거리는 200km 정도로, 이 사거리 내에는 수원, 원주, 강릉, 청주, 서산, 충주공군기지 등 주요 공군기지가 포함된다.[18] 따라서 F-15K가 배치된 대구공군기지나 사천공항과 같은 후방 기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군기지가 개전 초기에 무력화될 위험이 있다.[18]언론 보도에 따라 최대 사거리는 155km, 180km, 200km, 220km 등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KN-09의 기반이 된 위사 로켓의 사거리는 다음과 같다.
종류 | 직경 | 사거리 | 비고 |
---|---|---|---|
위사 1호 | 300mm | 60 - 180 km | 북한 KN-09 |
위사 2호 | 400mm | 70 - 200 km | |
위사 3호 | 400mm | 70 - 200 km |
KN-09는 300mm 위사 1호를 수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위사 1호는 200km 사거리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400mm 위사 2호 또는 위사 3호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4. 2. 기술 유출 의혹
대한민국 정부는 신형 무기에 국내 기술이 유출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정부는 국내 방산 기업 협력 업체에 탈북자가 다수 취업해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체계 업체와 협력 업체 간 설계도 공유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19]참조
[1]
트윗
@IISS_org For reference this #NorthKorea 300mm MRL system conducted three separate multiple firings in March 2016,…
2018-05-27
[2]
웹사이트
North Korea Weapons
https://www.globalse[...]
2022-05-27
[3]
웹사이트
Kn-09 (Kn-Ss-9)
https://missilethrea[...]
[4]
논문
North Korea fired with KN-09 300mm M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into its east waters.
http://www.armyrecog[...]
2016-07-06
[5]
논문
China-made truck used by North Korea in new artillery system
http://www.japantime[...]
2016-07-06
[6]
보고서
How to view North Korea's Recent Military Provocations
http://ifes.kyungnam[...]
2016-07-06
[7]
웹사이트
The More You KN-0w About North Korean Missiles
https://www.armscont[...]
[8]
웹사이트
ASSESSING THE DPRK’S KN-09 300 MM MULTIPLE ROCKET LAUNCHER SYSTEM: DECISIVE OR INCREMENTAL?
https://nautilus.org[...]
Nautilus Institute for Security and Sustainability
2018-06-10
[9]
웹사이트
North Korea Weapons
http://www.globalsec[...]
2016-07-06
[10]
뉴스
North Korea May Roll Out Rocket System With Greater Reach, South Say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04-06
[11]
뉴스
The threat of North Korea’s new rocket artillery
http://www.nknews.or[...]
NKnews.org
2014-03-13
[12]
뉴스
Defense Minister: North Korea has new rocket launcher capable of striking deep
http://english.hani.[...]
Hani.co.kr
2016-04-07
[13]
뉴스
N.Korea reveals details of 300mm multiple rocket launcher
https://www.nknews.o[...]
NKnews.org
2016-03-04
[14]
뉴스
Joongang Daily
http://mengnews.join[...]
mengnews.joins.com
[15]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DPRK’s 25 April 2022 Military Parade
https://opennuclear.[...]
Open Nuclear Network
2022-05-03
[16]
뉴스
북한 김정은 "핵탄두 언제라도 쏴버릴 수 있게 준비하라"
경향신문
2016-03-04
[17]
뉴스
조선일보
2014-03-04
[18]
뉴스
계룡대 사정권 300mm 방사포 첫 공개… KN-08 탄두도 개량
한국일보
2015-10-11
[19]
뉴스
아시아경제
2014-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