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T알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T알파는 KT엠하우스와 합병하여 2021년 신설된 기업으로, 영상 사업과 커머스 사업을 주력으로 한다. 1991년 한국PC통신(주)으로 시작하여 PC통신 서비스 HiTEL을 운영했으며, 이후 한국통신하이텔로 사명을 변경하고 코스닥에 상장했다. 2000년대에는 파란, 올스타 등 포털 및 게임 서비스를 런칭했고, 2010년대에는 푸딩 카메라 등 모바일 앱을 출시했으나, 2013년 B2C 서비스를 종료하고 온라인 게임 사업을 매각했다. 현재는 T커머스 채널인 KT알파 쇼핑을 운영하며, 알파DX솔루션을 분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T - HCN (방송사)
    HCN은 서울, 부산, 대구, 경북 등 여러 지역에 방송국을 운영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케이블 방송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KT - KT스카이라이프
    KT스카이라이프는 KT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위성방송 사업자로, 고화질 방송 서비스와 다양한 채널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동 수신 안테나 방식과 IP 네트워크 방식으로 수신 가능하다.
  • 2021년 설립된 기업 - DL이앤씨
    DL이앤씨는 2021년 DL그룹 지주회사 체제 전환으로 대림산업 건설사업부에서 분할 설립된 건설 회사로, 1939년 부림상회를 모태로 건축, 주택, 토목, 플랜트, 석유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외 주요 교량 건설을 포함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2021년 설립된 기업 - HCN (방송사)
    HCN은 서울, 부산, 대구, 경북 등 여러 지역에 방송국을 운영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케이블 방송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사 - CGV
    CGV는 1995년 CJ제일제당의 극장 사업팀으로 시작하여 1998년 강변에 1호점을 개관한 후 국내외로 확장하며 4DX, IMAX, ScreenX 등 특별관을 운영하고 영화관을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대한민국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사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KT알파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kt알파
종류주식회사
창립 (존속법인 ㈜케이티하이텔)1991년 12월 12일
창립 (소멸법인 KT엠하우스) (구)2004년 12월
창립 (통합법인 (현) KT알파)2021년 7월 1일
인물 (대표이사)이필재
장소서울 동작구 보라매로5길 23 (신대방동)
산업유무선 융합 인터넷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사업
자본금35,715,022,000원 (2015.12)
매출액4,304억 4,720만 원(2023년)
영업이익122억 9,711만 원(2023년)
순이익162억 7,100만 원(2023년)
자산총액235,756,959,915원(2015.12)
주주주식회사 케이티 외 특수관계인: 67.13%
모기업KT
종업원543명(2015.12)
웹사이트kt알파 공식 웹사이트

2. 설립 및 주요 주주

케이티에이치의 전신은 한국경제신문사가 제공하던 PC통신 서비스인 KETEL이다. 1991년, 한국전기통신공사(현 KT)와 한국경제신문사, 기타 민간주주들이 합작하여 한국PC통신㈜을 설립했다. 자본금은 2000억으로, 한국전기통신공사가 33.7%, 한국경제신문사가 6.3%, 기타 민간 주주 12명이 나머지 60%를 출자했다.

초대 사장은 현대정보기술 전무였던 남궁석이 맡았다. 그는 삼성SDS 사장, 정보통신부 장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97년, 한국통신이 민간주주와 한국경제신문사의 지분을 인수하여 100% 한국통신의 자회사가 되었다. 이후 우리사주, 공모 등을 통해 자본금이 3450억으로 확대되었다.

3. 주요 연혁

연도내용
1991년한국PC통신㈜ 설립, 하이텔 서비스 개시
1999년한국통신하이텔로 사명 변경, 코스닥 등록
2001년케이티에이치로 CI 변경
2004년포털 서비스 파란 런칭
2007년PC통신 하이텔 서비스 중단
2012년포털 서비스 파란 종료
2013년B2C 서비스 종료, 온라인 게임 사업 매각
2021년KT엠하우스와 합병, KT알파 신설
2022년알파DX솔루션 분할


3. 1. 1990년대: PC통신 시대

1991년 한국PC통신㈜이 설립되었고, 한국경제신문사의 KETEL을 인수하여 Kortel 서비스를 런칭하였다. 이후 서비스명을 HiTEL로 바꾸었다.

1992년 하이텔 서비스가 유료화(VAT 포함 9,900원)되었고, 한국PC통신과 한국통신 간 하이텔 공공DB사업 협정이 체결되었다.

1999년 한국통신하이텔로 사명을 변경하고, 자본금을 200억에서 275억으로 증자하여 240억 자금을 모집하였다. 또한, 2750만주에서 3450만주로 증자 및 주금납입(1960억 자금 모집)을 하였고, 코스닥에 등록되었다. 같은 해 하이텔 인터넷 리얼PPP 무료 전환, 01432 전용망 전국 서비스 개시, 인터넷방송국을 오픈하였다.

3. 2. 2000년대: 인터넷 및 뉴미디어 시대

IDC영어 오픈, 포털 서비스 파란 런칭, 게임 포털 Allstar 런칭, KT와이브로 사업 구축 협력 등을 진행했다.

연도내용
2000년하이텔 가입자 200만 돌파, 인터넷 통합 서비스 하이텔 2000 출시, IDC영어 오픈, 아이맨 베타 서비스 개시, 오프라인 공간 ON&OFF 오픈, 메가패스 통합 상품 출시, 벤처와의 제휴 확대 (이스트소프트 등)
2001년아이맨/아이디스크 정식 서비스 출시, KT 포털 서비스인 한미르 위수탁 계약 체결, 케이티에이치로 CI 변경
2002년바이앤조이 인수 및 KT 커머스 설립, IDC영어 사업 KT 이관, 메가패스 컨텐츠몰 인수, 플레이보이 서비스 제공
2003년Web 기반 차세대 하이텔 출시
2004년포털 서비스 파란 런칭, 게임 포털 Allstar 런칭, 캐주얼 농구 게임 프리스타일 출시, 십이지천 오픈, 파란 포털 오픈 5개월 후 5위 달성
2005년기가메일 및 팀메일 출시, KT와 와이브로 사업 구축 협력
2006년뉴미디어 영상 컨텐츠 사업 참여, CMMI영어 Level 5 인증, 열린이웃 블로그 오픈, 아이맨 서비스 U2로 개편
2007년파란 모바일 출시, 사진 공유 서비스 푸딩 오픈, PC 통신 하이텔 중단
2008년영화 다운로드 서비스 FM(Fine Movie) 오픈
2009년스마트 모바일 전략 발표, 전 직원에게 아이폰, 아이패드 지급, 뮤직오로라 출시


3. 3. 2010년대: 모바일 및 플랫폼 사업 집중

KTH영어는 2010년에 모바일 앱인 아임인, 푸딩카메라 등을 발표하였고, 스마트 TV용 VOD 서비스인 Playy를 출시했다. 2011년에는 푸딩카메라가 미국 카메라 앱 1위를 차지하고 푸딩 시리즈 사용자가 1천만을 돌파했으며, 개방형 인증제를 도입했다. 2012년에는 푸딩카메라 일본어 버전을 출시하고 포털 서비스 파란을 종료했다.

2013년에는 기업 구조조정 및 인력 축소를 진행했고, 아임인, 올스타 등 B2C 서비스를 종료했다. 또한 세가가 풋볼매니저 온라인 사업권을 인수하면서 KTH 온라인 게임 사업 부분까지 매각했다.

3. 4. 2020년대: 커머스 및 디지털 전환

2021년 KT 엠하우스와 합병하여 KT알파를 신설하였다. 2022년에는 알파DX솔루션을 분할하였다.

4. 역대 사장

대수이름재임 기간주요 경력
1남궁석? ~ ?삼성전자 영업본부장, 중앙일보사 기획실장, 삼성SDS 사장, 정보통신부 장관, 국회의원
2김근수? ~ ?서울체신청장
3신동호? ~ ?한국전기통신공사 부사장
4김일환? ~ ?데이콤 정보사업본부장, 드림라인 사장, 한국도로공사정보통신 사장, KSNET 사장, CJ소포트 사장, DB정보통신 사장
5최문기? ~ ?한국통신 전무 (조달본부장, 마케팅본부장)
6송영한? ~ ?KT 부사장 (마케팅본부장, 기획조정실장, 인력개발실장, 홍보실장), 컴투스 상근감사,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7노태석? ~ ?KT 부사장 고객부문장, KT 홈고객부문장(부회장), ktis 대표이사(부회장), 서울로봇고등학교 교장
8서정수? ~ ?경복고, 성균관대, KT 기획부문장(부사장), KT 사장 권한 대행, 그룹CFT장 (KT-KTF 합병 총괄)
9김연학? ~ ?KTF 경전략실장, KT 가치경영실장(CFO), KT Custumer운영총괄 부사장, 서울대학교 독문과, 서울대학교 경영학 석사, 멘체스터대 경영학 박사
10오세영? ~ ?KBS 예능국 책임프로듀서, KBS창원방송총국 편성제작국장, KBS 예능제작국장, KBS 창원방송총국장, KBS 글로벌한국센터장


5. 주요 사업

KT알파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들을 진행해왔다.

구분사업 종류서비스명
과거음성 사업링고, 비즈링고, 비즈메세징
게임 사업십이지천, 올스타 (2013년 종료)
모바일 사업아임인, 푸딩카메라, 푸딩얼굴인식, 푸딩투, 114전국전화, 아임리얼맛집 (2013년 종료)
플랫폼 사업baas.io(바스아이오), 앱스플랜트, 앱스프레소 (2013년 종료 및 KT 이관)
현재영상 사업IP 판권, 배급 투자
커머스 사업T커머스 KT알파 쇼핑


5. 1. 과거 주요 사업

KT알파는 과거에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들을 진행했다.

  • 음성 사업: 링고, 비즈링고, 비즈메세징
  • 게임 사업: 십이지천, 올스타 (2013년 종료)
  • 모바일 사업: 아임인, 푸딩카메라, 푸딩얼굴인식, 푸딩투, 114전국전화, 아임리얼맛집 (2013년 종료)
  • 플랫폼 사업: baas.io(바스아이오), 앱스플랜트, 앱스프레소 (2013년 종료 및 KT 이관)

5. 2. 현재 주요 사업

KT알파의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 영상 사업: IP 판권, 배급 투자를 담당한다.
  • 커머스 사업: T커머스 KT알파 쇼핑을 운영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