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s Alle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 앨런은 2009년에 발매된 동명의 데뷔 앨범이다. 이 앨범에는 싱글 "Live Like We're Dying", "The Truth", "Alright with Me"가 수록되어 있다.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빌보드 200에서 11위로 데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데뷔 음반 - 사랑의 배터리
사랑의 배터리는 홍진영의 솔로 데뷔곡이며, 젊은 층에서 이례적인 히트를 기록하고 2009년 KIA 타이거즈 응원가로 선정되었으며, 일본에서도 리메이크된 곡이다. - 2009년 데뷔 음반 - I Dreamed a Dream (음반)
《I Dreamed a Dream》은 수잔 보일의 데뷔 음반으로, 2009년 발매되었으며, 영국과 미국에서 높은 판매고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 자이브 레코드 음반 - The Love Movement
A Tribe Called Quest의 1998년 앨범 《더 러브 무브먼트》는 미니멀한 R&B와 재즈 사운드를 기반으로 사랑을 테마로 하며, 여러 아티스트의 피처링 참여, 발매 전 그룹 해체 발표, 상업적 성공, 골드 인증, 그래미상 후보 지명, 한국 힙합 영향, 표절 논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자이브 레코드 음반 - Beats, Rhymes and Life
A Tribe Called Quest의 1996년 앨범 《비츠, 라임스 앤드 라이프》는 멤버 구성 및 음악적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주제의 가사로 호평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으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Kris Allen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크리스 앨런 |
발매일 | 2009년 11월 17일 |
녹음 년도 | 2009년 |
장르 | 팝 록 얼터너티브 록 |
길이 | 48분 05초 |
레이블 | 자이브 19 |
프로듀서 | 앤드루 프램프턴 스티브 키프너 그레그 커스틴 마이크 엘리존도 토비 가드 에그 화이트 마이크 플린 워렌 후아트 토비아스 칼손 조 킹 살람 레미 |
녹음 장소 | |
스튜디오 | 팬텀 스튜디오 (웨스트레이크빌리지, 캘리포니아) 쿠키 자 레코딩 (스튜디오시티, 캘리포니아) 선셋 사운드와 컨웨이 스튜디오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NRG 스튜디오와 라라비 사운드 스튜디오 (노스할리우드, 캘리포니아) 하모니 스튜디오, 스윙 하우스 스튜디오, 데스스타 스튜디오, 챌리스 레코딩 스튜디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글렌우드 플레이스 스튜디오 (버뱅크, 캘리포니아) 스트로베리비 스튜디오, 레거시 레코딩 스튜디오, 제르마노 스튜디오 (뉴욕, 뉴욕) 믹스 원 스튜디오 (보스턴, 매사추세츠) 믹스스타 스튜디오 (버지니아비치, 버지니아) 모던 더트 연구소와 올림픽 스튜디오 (런던, 영국) 스튜디오 엘리베이터 노바디 (예테보리, 스웨덴) |
싱글 | |
싱글 1 | Live Like We're Dying |
싱글 1 발매일 | 2009년 9월 21일 |
싱글 2 | 진실 |
싱글 2 발매일 | 2010년 5월 11일 |
싱글 3 | 괜찮아 |
싱글 3 발매일 | 2010년 10월 13일 |
기타 | |
이전 앨범 | Brand New Shoes |
이전 앨범 발매 년도 | 2007년 |
다음 앨범 | Thank You Camellia |
다음 앨범 발매 년도 | 2012년 |
2. 배경
앨범 수록곡 12곡 중 9곡에 작곡가로 참여했으며, 그중에는 ''아메리칸 아이돌'' 참가 전에 혼자 쓴 "Red Guitar"도 포함된다. "Is It Over"는 앨런이 아칸소 출신 친구이자 ''아이돌'' 동료인 케일 밀스와 함께 작곡했다.[2] 앨범의 사전 평가에 따르면,[3] 수록곡들은 Carolina Liar, Maroon 5, Augustana와 같은 VH1 하우스 밴드를 연상시키는 크고 넓은 느낌의 성인 취향 얼터너티브 팝 음반이며, 라디오 방송에 적합한 인상적인 후렴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앨런은 2009년 10월 25일 마이애미 돌핀스와 뉴올리언스 세인츠의 경기 전 마이애미 돌핀스의 테일게이트 파티에서 그의 앨범 수록곡인 "Written All Over My Face", "Can't Stay Away", "Before We Come Undone" 세 곡을 미리 선보였다.[7]
''아메리칸 아이돌''의 관례와는 다르게, 앨런의 우승 기념 곡("코로네이션 송")인 "No Boundaries"는 정규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다. 이는 테일러 힉스의 동명 앨범 이후 ''아이돌'' 우승자 앨범 중 두 번째 사례이다. 대신, 앨런이 ''아이돌'' 경연 중 불렀던 Kanye West의 곡 "Heartless"를 새로 녹음하여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했다.[4] "No Boundaries"가 이미 월마트 독점 시즌 8 컴필레이션 앨범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었다.[5] 이는 2002년 켈리 클락슨 이후 처음으로 우승 싱글이 시즌 컴필레이션 앨범에 포함된 경우였다. 하지만 "No Boundaries"는 아이튠즈를 통해 발매된 앨범 디럭스 버전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
이 앨범은 영국에서 2009년 11월 16일에 발매되어,[6] 미국보다 먼저 공식적으로 발매되었다.
3. 프로모션
AOL 뮤직은 2009년 11월 9일부터 정규 앨범 스트리밍을 시작했다.[8]
4. 싱글
5. 평가
''크리스 앨런''은 평론가들로부터 "평가 엇갈림 또는 보통"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주류 매체의 평론을 가중 평균하여 100점 만점으로 평가하는 메타크리틱에서는, 이 음반이 8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평균 52점을 받았다.[13]
개별 매체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매체 | 점수 |
---|---|
올뮤직 | 3/5[14] |
아메리칸 송라이터 | 3/5[15]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B−[16] |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 1.5/4[17] |
솔트레이크 트리뷴 | D[18] |
슬랜트 매거진 | 2/5[19] |
스푸트니크 뮤직 | 2/5[20] |
올뮤직의 평론가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의도적으로 유행에 뒤떨어진 것일 수 있지만, 적어도 크리스 앨런은 좋은 결과를 낸다: 곡조가 좋고, 마음에 들며, 자세히 들을 가치가 있을 만큼 멜로디가 좋고, 잠시라도 배경으로 흘러갈 준비가 되어 있다."라고 평가했다.[14]
6. 곡 목록
앨범에 수록된 12곡 중 9곡은 크리스 앨런 본인이 작곡에 참여했다. 그중 "Red Guitar"는 ''아메리칸 아이돌'' 참가 전에 쓴 자작곡이며, "Is It Over"는 아칸소 출신의 친구이자 ''아이돌'' 동료인 케일 밀스와 함께 작곡했다.[2] 앨범은 전반적으로 마룬 5나 오거스타나 같은 밴드를 연상시키는 성인 취향의 얼터너티브 팝 스타일이며, 라디오 방송에 적합한 후렴구를 가진 곡들로 채워져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3]
''아메리칸 아이돌'' 우승자의 데뷔 앨범에 우승 기념곡을 수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앨범에는 "No Boundaries"가 기본 트랙으로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테일러 힉스 이후 두 번째 사례이다. 대신 ''아이돌'' 경연 당시 좋은 반응을 얻었던 카니예 웨스트의 곡 "Heartless"를 커버하여 새로 녹음한 버전이 일부 국가판 및 플랫폼별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4] "No Boundaries"는 이후 아이튠즈 디럭스 에디션의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
이 앨범은 미국 발매일보다 앞선 2009년 11월 16일에 영국에서 먼저 발매되었다.[6]
6. 1. 기본 트랙 목록
wikitext# | 제목 | 작곡가 | 프로듀서 | 길이 |
---|---|---|---|---|
1 | Live Like We're Dying | 스티브 킵너, 앤드루 프램튼, 대니 오도노휴, 마크 시핸 | 프램튼, 킵너 | 3:29 |
2 | Before We Come Undone | 크리스 앨런, 린디 로빈스, 그렉 커스틴 | 커스틴 | 3:31 |
3 | Can't Stay Away | 앨런, 로빈스, 마이크 엘리존도 | 엘리존도 | 3:19 |
4 | The Truth | 팻 모나한, 토비 개드 | 개드 | 4:40 |
5 | Written All Over My Face | 킵너, 프램튼, 오도노휴, 시핸 | 프램튼, 킵너 | 3:34 |
6 | Bring It Back | 앨런, 프랜시스 화이트 | 에그 화이트 | 3:42 |
7 | Red Guitar | 앨런 | 마이크 플린, 워런 휴아트 | 4:27 |
8 | Is It Over | 앨런, 엘리존도, 케일 밀스 | 엘리존도 | 3:34 |
9 | Let It Rain | 앨런, 토비아스 칼손 | 칼손 | 3:29 |
10 | Alright with Me | 앨런, 조 킹 | 플린, 킹 | 3:07 |
11 | Lifetime | 앨런, 엘리존도, 존 포먼 | 엘리존도 | 3:38 |
12 | I Need to Know | 앨런, 로빈스, 개드 | 개드 | 3:34 |
6. 2. 보너스 트랙 목록
다음은 다양한 플랫폼 및 지역별 앨범 보너스 트랙 목록이다.'''해외 보너스 트랙'''
'''일본 보너스 트랙'''
제목 | 작곡가 | 프로듀서 | 길이 |
---|---|---|---|
Heartless | 존스, 메스커디, 웨스트, 윌슨, 바스커, 맥일도웰 | 살람 레미 | 3:42 |
No Boundaries | 카라 디오가디, 캐시 데니스, 미치 앨런 | 에마누엘 키리아쿠 | 3:30 |
'''월마트 보너스 트랙'''
'''아이튠즈 예약 주문 보너스 트랙'''
제목 | 작곡가 | 프로듀서 | 길이 |
---|---|---|---|
From the Ashes | 앨런, 린디 로빈스, 토비 개드 | 개드 | 4:06 |
'''아이튠즈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
제목 | 작곡가 | 프로듀서 | 길이 |
---|---|---|---|
No Boundaries | 디오가디, 데니스, 앨런 | 키리아쿠 | 3:30 |
''아메리칸 아이돌'' 우승 당시 발표했던 곡인 "No Boundaries"는 정규 앨범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테일러 힉스 이후 우승자의 곡이 데뷔 앨범에 실리지 않은 두 번째 사례이다. "No Boundaries"가 월마트 독점 시즌 8 컴필레이션 앨범에 이미 포함되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었다.[5] 대신, ''아이돌'' 경연 중 커버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던 카니예 웨스트의 곡 "Heartless"를 새로 녹음하여 해외판 및 일본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했다.[4] "No Boundaries"는 이후 아이튠즈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
7. 참여진
크리스 앨런은 이 앨범에서 보컬을 맡았으며, 일부 곡에서는 직접 기타를 연주하기도 했다. 앨범 제작에는 스티브 킵너, 앤드루 프램튼, 그렉 커스틴, 마이크 엘리존도, 토비 개드 등 여러 프로듀서와 작곡가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곡을 완성했다. 또한, 풍부한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 세션 연주자들이 기타, 베이스, 드럼, 키보드, 현악기, 관악기 등 다양한 악기 연주에 참여했다.
7. 1. 제작진
앨범 제작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주요 프로듀서로는 스티브 킵너, 앤드루 프램튼, 그렉 커스틴, 마이크 엘리존도, 토비 개드, 에그 화이트, 마이크 플린, 워런 휴아트, 토비아스 칼손, 조 킹, 살람 레미, 에마누엘 키리아쿠 등이 있다.엔지니어링 및 녹음 작업은 댄 프램튼, 테드 패덕, 그렉 커스틴, 에릭 위버, 존 헤인즈, 아담 호킨스, 토비 개드, 크리스찬 베이커, 워런 휴아트, 크레이그 프랭크, 마티아스 빌린드, 프랭클린 엠마누엘 소코로 등이 담당했으며, 팀 로버츠, 브렌트 애로우드, 필 알렌, 로빈 홀든, 그레이엄 호프, 크리스찬 플라타 등이 어시스턴트 엔지니어로 참여했다.
믹싱은 스파이크 스텐트, 서번 게네아, 아담 호킨스, 매니 마로킨이 맡았으며, 마스터링은 톰 코인이 뉴욕의 스털링 사운드에서 진행했다.
앨범에 참여한 연주자 및 악기는 다음과 같다.
악기 | 연주자 |
---|---|
보컬, 기타 | 크리스 앨런 |
키보드, 피아노, 신시사이저 | 스티브 킵너, 앤드류 프램턴, 그렉 커스틴, 마이크 엘리존도, 자크 레이, 요한 칼슨, 살람 레미 |
기타 (어쿠스틱, 일렉트릭) | 앤드류 프램턴, 그렉 커스틴, 마이크 엘리존도, 폴 인더, 마크 시헌, 조엘 시어러, 팀 피어스, 마이클 워드, 조던 라이트 (솔로), 토비아스 칼슨, 빌 레플러, 데이비드 레비타 (솔로), 존 포먼, 폴 브루첵, 대니 오도노휴 |
베이스 | 그렉 커스틴, 마이크 엘리존도, 토비아스 칼슨, 살람 레미, 대니 오도노휴, 션 헐리 |
드럼, 퍼커션 | 살람 레미, 글렌 파워, 랜디 쿠크, 아론 스털링, 로빈 디아즈, 빅터 인드리조, 빌 레플러 |
바이올린 | 래리 그린필드, 짐 시터리, 마티아스 요한손 |
첼로 | 마츠 린드버그, 빅터 로렌스 |
비올라 | 아이린 빌런드 |
색소폰, 트롬본 | 데이비드 랄리케 |
트럼펫 | 크리스 바티스타 |
백 보컬 | 대니 오도노휴 (빌리 설럭스 명의) |
편곡에는 토비 개드, 살람 레미, 마티아스 빌런드 (현악), 데이비드 랄리케 (혼) 등이 참여했다.
기타 제작 관련 담당자는 다음과 같다.
역할 | 담당자 |
---|---|
A&R | 제프 펜스터 |
프로덕션 코디네이터 | 키아라 크라머 |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 졸리 레빈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케키 밍거스 |
아트 디렉션 | 마리아 파울라 마룰란다, 재키 머피 |
사진 | 에릭 오그던 |
매니지먼트 | 사이먼 풀러, 스털링 맥일웨인 |
7. 2. 연주자
- 크리스 앨런 – 보컬, 기타 (6, 13)
'''기타'''
- 앤드류 프램턴 – 어쿠스틱 기타 (1, 5), 일렉트릭 기타 (5)
- 그렉 커스틴 – 기타 (2)
- 마이크 엘리존도 – 일렉트릭 기타 (3), 어쿠스틱 기타 (14)
- 폴 인더 – 일렉트릭 기타 (1)
- 마크 시헌 – 일렉트릭 기타 (1, 5)
- 조엘 시어러 – 일렉트릭 기타 (3, 11, 14), 어쿠스틱 기타 (3)
- 팀 피어스 – 기타 (7, 10)
- 마이클 워드 – 일렉트릭 기타 (8), 어쿠스틱 기타 (8)
- 조던 라이트 – 기타 솔로 (8)
- 토비아스 칼슨 – 추가 기타 (9)
- 빌 레플러 – 기타 (9)
- 데이비드 레비타 – 기타 솔로 (10)
- 존 포먼 – 어쿠스틱 기타 (11)
- 폴 브루첵 – 기타 (13)
- 에그 화이트 – 기타 (6)
'''키보드'''
- 스티브 킵너 – 키보드 (1, 5)
- 앤드류 프램턴 – 키보드 (1, 5)
- 그렉 커스틴 – 키보드 (2)
- 마이크 엘리존도 – 키보드 (3, 11, 14)
- 자크 레이 – 키보드 (3, 7, 8, 10, 11, 14), 어쿠스틱 피아노 (7, 10), 신시사이저 (7, 10)
- 요한 칼슨 – 키보드 (9)
- 살람 레미 – 키보드 (13)
'''베이스'''
- 그렉 커스틴 – 베이스 (2)
- 마이크 엘리존도 – 베이스 (3, 8, 11, 14)
- 대니 오도노휴 – 베이스 (1, 5)
- 션 헐리 – 베이스 (7, 10)
- 토비아스 칼슨 – 베이스 (9)
- 살람 레미 – 베이스 (13)
'''드럼 및 퍼커션'''
- 글렌 파워 – 드럼 (1)
- 랜디 쿠크 – 드럼 (2)
- 아론 스털링 – 드럼 (3, 8, 11, 14)
- 로빈 디아즈 – 드럼 (4, 12)
- 빅터 인드리조 – 드럼 (7, 10), 퍼커션 (7, 10)
- 빌 레플러 – 드럼 (9)
- 살람 레미 – 드럼 (13)
'''현악기'''
- 래리 그린필드 – 바이올린 (4, 12)
- 짐 시터리 – 바이올린 (4, 12)
- 마티아스 요한손 – 바이올린 (9)
- 마츠 린드버그 – 첼로 (9)
- 빅터 로렌스 – 첼로 (12)
- 아이린 빌런드 – 비올라 (9)
- 마티아스 빌런드 – 현악 편곡 (9)
'''관악기'''
- 데이비드 랄리케 – 바리톤 색소폰 (10), 테너 색소폰 (10), 트롬본 (10), 혼 편곡 (10)
- 크리스 바티스타 – 트럼펫 (10)
'''프로그래밍 및 기타'''
- 앤드류 프램턴 – 프로그래밍 (5)
- 그렉 커스틴 – 프로그래밍 (2)
- 마이크 엘리존도 – 프로그래밍 (3, 11, 14)
- 토비 개드 – 프로그래밍 (4, 12), 악기 (4, 12), 편곡 (4, 12)
- 마크 시헌 – 프로그래밍 (5)
- 대니 오도노휴 – 프로그래밍 (5), 백 보컬 [빌리 설럭스(Billy Sollux)로 표기] (1, 5)
- 에그 화이트 – 악기 (6)
- 살람 레미 – 편곡 (13)
8. 차트 성적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생략)
8. 1. 주간 차트
크리스 앨런 음반은 첫 주에 80,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빌보드 200에서 11위로 데뷔했다.[22]차트 (2009) | 최고 순위 |
---|---|
빌보드 200 | 11 |
8. 2. 연말 차트
2010년 빌보드 200 연말 차트에서 115위를 기록했다.[23]9. 발매 기록
wikitext
지역 | 발매일 | 형식 | 레이블 | 에디션 | 참고 |
---|---|---|---|---|---|
영국 | 2009년 11월 16일 | CD, 음악 다운로드 | RCA,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스탠다드 | [24] |
캐나다 | 2009년 11월 17일 | 자이브, 19 | |||
미국 | 스탠다드, 월마트 보너스 트랙 | ||||
뉴질랜드 | 2009년 11월 23일 | 좀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스탠다드 |
참조
[1]
간행물
Kris Allen on the controversy over his new single, 'The Truth" and those added Pat Monahan vocals
http://music-mix.com[...]
2010-05-02
[2]
웹사이트
Is It Over by Kris Allen Songfacts
http://www.songfacts[...]
[3]
웹사이트
Preview Alert: Reality Rocks Kris Allen Listening Session
http://new.music.yah[...]
music.yahoo.com
[4]
웹사이트
Kris Allen: We exclusively reveal the track listing for his self-titled debut!
http://music-mix.ew.[...]
entertainmentweekly.com
[5]
웹사이트
American Idol: Season 8, Various Artists: Pop
http://www.walmart.c[...]
Walmart.com
2012-02-27
[6]
웹사이트
Kris Allen: Kris Allen: Amazon.co.uk: MP3 Downloads
https://www.amazon.c[...]
Amazon.co.uk
2012-02-27
[7]
웹사이트
Kris Allen - Miami Tailgate Party - VIDEO
http://mjsbigblog.co[...]
mjsbigblog.com
2009-10-25
[8]
웹사이트
Kris Allen's Self-Titled Album Now Streaming on AOL
http://mjsbigblog.co[...]
mjsbigblog
2009-11-09
[9]
웹사이트
"Live Like We're Dying" Out Now
https://web.archive.[...]
krisallenofficial.com
2009-10-23
[10]
웹사이트
Kris Allen 'Live Like We're Dying' Video Premiere
http://www.popeater.[...]
PopEater
[11]
웹사이트
Twitter / Kris Allen: The next single will be "A
https://twitter.com/[...]
Twitter.com
2012-02-27
[12]
웹사이트
Kris Allen - "Alright With Me" (For The Fans) [VIDEO] | The Official Kris Allen Site
https://web.archive.[...]
Krisallenofficial.com
2012-02-27
[13]
웹사이트
Metacritic Review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1-04-11
[14]
웹사이트
Review: ''Kris Allen''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1-04-11
[15]
웹사이트
American Songwriter Review
https://americansong[...]
2021-04-11
[16]
간행물
Entertainment Weekly Review
https://ew.com/artic[...]
2021-04-11
[17]
웹사이트
LA Times Review
https://latimesblogs[...]
2021-04-11
[18]
웹사이트
Salt Lake Tribune review
https://web.archive.[...]
2009-11-29
[19]
웹사이트
Slant Magazine Review
https://www.slantmag[...]
2021-04-11
[20]
웹사이트
Review: Kris Allen - Kris Allen - Sputnikmusic
http://www.sputnikmu[...]
2021-04-11
[21]
AllMusic
2017-05-31
[22]
뉴스
Album sales: Kris Allen fails to make Top 10
http://content.usato[...]
USA Today
2009-11-25
[23]
간행물
Best of 2010 - Billboard Top 200
http://www.billboard[...]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0-12-31
[24]
웹사이트
Kris Allen CD
https://www.amazon.c[...]
2015-12-09
[25]
웹인용
Metacritic Review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1-04-11
[26]
웹인용
Review: ''Kris Allen''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1-04-11
[27]
웹인용
American Songwriter Review
https://americansong[...]
2021-04-11
[28]
웹인용
Entertainment Weekly Review
https://ew.com/artic[...]
2021-04-11
[29]
웹인용
LA Times Review
https://latimesblogs[...]
2021-04-11
[30]
웹인용
Salt Lake Tribune review
https://web.archive.[...]
2009-11-29
[31]
웹인용
Slant Magazine Review
https://www.slantmag[...]
2021-04-11
[32]
웹인용
Review: Kris Allen - Kris Allen - Sputnikmusic
http://www.sputnikmu[...]
2021-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