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yli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일리 미노그는 1968년 멜버른에서 태어난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11세부터 아역 배우로 활동하며 드라마 이웃집에 출연했고, 1987년 데뷔 싱글 "Locomotion"을 발매하여 호주 차트 1위를 기록했다. 1988년 발매된 그녀의 데뷔 앨범 ''Kylie''는 신스팝, 댄스 팝 스타일의 앨범으로, 영국에서 6주간 1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앨범은 "I Should Be So Lucky", "Got to Be Certain", "The Loco-Motion" 등의 싱글을 포함하며,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상업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어 1980년대 후반 십 대 우상으로 자리매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일리 미노그의 음반 - Kylie Minogue
    카일리 미노그의 1994년 동명 앨범 《Kylie Minogue》는 댄스팝 기반에 R&B와 어덜트 컨템포러리 요소를 결합한 다양한 스타일, 성숙해진 보컬, 이미지 변신을 통해 영국과 호주에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음악 경력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카일리 미노그의 음반 - Kylie Christmas
    카일리 미노그의 첫 크리스마스 앨범인 Kylie Christmas는 EDM, 팝, 디스코 요소가 담긴 앨범으로 커버곡과 오리지널 트랙이 수록된 스탠다드 에디션과 새로운 트랙이 추가된 Snow Queen Edition으로 발매되어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88년 데뷔 음반 - Tracy Chapman
    트레이시 채프먼의 1988년 데뷔 앨범 《Tracy Chapman》은 사회 비판적인 가사와 포크, 블루스, 록의 조화, 그리고 "Fast Car"와 "Talkin' 'bout a Revolution" 같은 대표곡들로 평단의 호평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3개 부문을 수상했다.
  • 1988년 데뷔 음반 - Traveling Wilburys Vol. 1
    1988년에 발표된 트래블링 윌버리스의 데뷔 앨범 Traveling Wilburys Vol. 1은 조지 해리슨, 제프 린, 밥 딜런, 톰 페티, 로이 오비슨 등 유명 뮤지션들이 참여하여 "Handle with Care" 등의 히트곡을 내고 상업적 성공과 함께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듀오 또는 그룹 보컬 록 퍼포먼스상을 수상하며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1988년 음반 - Rattle and Hum
    《Rattle and Hum》은 U2의 1987년 조슈아 트리 투어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 사운드트랙이자 라이브 앨범으로, 라이브 공연과 새로운 스튜디오 녹음을 통해 비틀즈, 밥 딜런, B.B. 킹 등 여러 아티스트의 곡을 재해석하며 미국 뿌리 음악에 대한 밴드의 탐구와 음악적 전환점을 보여준다.
  • 1988년 음반 -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퍼블릭 에너미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인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은 더 밤 스쿼드의 혁신적인 프로듀싱, 척 D의 사회 비판적인 가사, 플래버 플래브의 독특한 스타일이 결합되어 힙합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앨범으로,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Kylie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제목Kylie
가수카일리 미노그
종류스튜디오 음반
발매일1988년 7월 4일
녹음 기간1987년 10월 – 1988년 4월
스튜디오PWL (런던)
알란 이튼 (빅토리아)
RBX (멜버른)
장르댄스 팝
디스코 팝
버블검 팝
길이35분 22초
레이블머쉬룸
PWL
게펜
프로듀서스톡 에이트킨 워터먼
이전 음반없음
다음 음반Enjoy Yourself
일본어 제목ラッキー・ラヴ (Rakki Råvu) [러키 라부] (Lucky Love)
일본 발매일1988년 7월 4일
2012년 11월 7일 (재발매)
차트 순위
오스트레일리아2위
일본30위
싱글
싱글 1I Should Be So Lucky (라키 라부)
싱글 1 발매일1987년 12월 29일
싱글 2Got to Be Certain (고투 비 서튼)
싱글 2 발매일1988년 5월 2일
싱글 3The Loco-Motion (로코모션)
싱글 3 발매일1988년 7월 28일
싱글 4Je ne sais pas pourquoi (쥬느 세 파 푸르쿠아)
싱글 4 발매일1988년 10월 10일
싱글 5It's No Secret (잇츠 노 시크릿)
싱글 5 발매일1988년 12월 15일
싱글 6Turn It into Love (턴 잇 인투 러브)
싱글 6 발매일1988년 12월 21일
음반 커버
미노그가 미소짓고 머리카락으로 만든 모자를 쓰고 있다.
카일리 미노그 - Kylie
재발매 음반 커버
The Kylie Collection 음반 아트워크

2. 배경

카일리 미노그는 1968년 멜버른에서 3남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1] 어릴 때부터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배웠고, 여동생 다니와 함께 노래와 춤 수업을 받았다.[5]

2. 1. 초기 경력 및 '이웃집' 출연

카일리 미노그는 11살 때부터 아역 배우로 활동하며, ''설리반스''(1979)와 ''스카이웨이즈''(1980)에 카메오로 출연했다.[2] 1986년, 카일리는 드라마 ''이웃집''에서 차고 정비공이 된 여고생 찰린 미첼 역을 맡았다.[4] 제이슨 도노반이 극중 카일리의 연인 스콧 로빈슨 역을 맡아, 이 둘은 교제를 시작했다.[5] 이들의 낭만적인 관계는 1987년 한 에피소드에서 결혼으로 이어졌고, 이 에피소드는 영국에서 2천만 명의 시청자를 끌어모았다.[6]

2. 2. 데뷔 싱글 'Locomotion' 발매

카일리 미노그는 드라마 '이웃집'에 출연하던 중, 가이 피어스 등 동료 배우들과 밴드를 결성했다.[7] 1986년 피츠로이 풋볼 클럽 자선 콘서트에서 밴드와 함께 "더 로코모션"을 커버했는데, 이 공연을 본 프로듀서의 제안으로 해당 곡을 녹음하게 되었다.[8]

이 데모 트랙은 여러 음반사에 보내졌고, 머쉬룸 레코드 대표인 마이클 구딘스키에게 전달되었다.[7] 구딘스키는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이웃집''에서의 그녀의 인기를 보고 미노그와 계약하기로 결정했다.[7] 미노그는 1987년 초에 머쉬룸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11]

1987년 6월, 머쉬룸 레코드는 스톡 에이트킨 워터맨 프로듀서의 오디오 엔지니어인 마이크 더피를 초청하여 "로코모션" 데모 트랙을 리믹스했다.[12] 더피는 하이-NRG 팝에서 영감을 받아 완전히 새로운 백킹 트랙을 녹음했고, 이는 그가 처음으로 직접 레코드를 프로듀싱한 것이었다.[14]

Minogue singing on stage in a golden dress surrounded by dancers in colorful outfits
Golden Tour (2018-19)에서 "The Loco-Motion"을 부르는 미노그


1987년 7월 27일, ''이웃집'' 결혼 에피소드가 방영된 지 3주 후, 미노그의 데뷔 싱글로 "Locomotion"이 발매되었다.[15] 이 곡은 발매 일주일 만에 호주 차트 1위에 올랐고 7주 동안 정상을 차지하며 10년간 가장 많이 팔린 싱글이 되었다.[16]

3. 녹음

1987년 카일리 미노그는 〈Locomotion〉의 성공 후 프로듀서 팀 스톡, 에이트킨, 워터맨(SAW)과 작업하기 위해 런던으로 갔다. 첫 싱글 〈I Should Be So Lucky〉는 미노그가 도착하기 직전 40분 만에 작곡되었고, 급하게 녹음이 진행되었다.[23] 1988년 2월, 마이크 스톡은 미노그에게 사과하고 멜버른에서 추가 녹음을 진행했다.[24]

앨범은 런던과 멜버른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녹음되었다. 마이크 스톡은 미노그에게 노래를 가르쳤고, 그녀는 한 시간 안에 녹음했다.[29] 피트 워터맨은 "만약 그녀와 4시간을 함께 할 수 있다면, 그게 최선이었을 겁니다... 우리는 그녀에게 노래를 들려줄 수도 없었습니다!"라고 회상했다.[30] 1988년 3월에 미노그는 런던에서 앨범을 녹음하기 위해 《Neighbours》 촬영을 잠시 중단했다.[27]

프로듀서들은 런던에 있는 그들의 스튜디오에서 〈Locomotion〉을 다시 녹음했고, 이름을 〈The Loco-Motion〉으로 변경했다.[31] 1988년 부활절에 녹음 세션이 PWL Studios 1, 2 & 5(런던)에서 진행되는 동안 미노그는 워터맨의 아파트에서 어머니와 함께 머물렀다.[33]

3. 1. 스톡, 에이트킨, 워터맨과의 협업

1987년 9월, 미노그는 매트 아이트켄, 마이크 스톡, 피트 워터맨과 함께 작업하기 위해 런던으로 갔다.[18] 이들 중 미노그의 런던 방문을 알고 있던 유일한 사람은 피트 워터맨이었는데, 그는 당시 자리에 없었다.[19] 미노그와 블레이미는 프로듀서에게 연락을 받지 못하고 10일 동안 호텔에서 기다렸다.[20] 결국 블레이미가 프로듀서에게 미노그의 영국 출국 날짜에 대해 거짓말을 하여, 이들이 미노그와 세션을 갖도록 만들었다.[21]

이들은 40분 만에 〈I Should Be So Lucky〉를 작곡했고, 미노그는 그날 오후 호주로 돌아가기 전에 빠르게 녹음했다.[23] 스톡은 갑작스러운 세션을 회상하며, 미노그의 귀가 매우 예민하여 멜로디를 따라 부르기 쉬웠다고 말했다. 그는 미노그에 대해 알게 된 내용을 바탕으로 가사를 썼는데, 그녀가 매력적이고 성공한 드라마 배우였지만 사랑에는 불운할 것이라고 생각했다.[24] 미노그는 노래가 어떻게 들리는지 전혀 알 수 없이 가사를 줄 단위로 받아 불렀다며 불평했고, 화가 나서 스튜디오를 떠났다.[14] 당시 프로듀서들은 시간 제약과 미노그의 드라마 촬영 일정 때문에 그녀의 경력을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다.[25]

3. 2. 멜버른 추가 녹음

1988년 2월, 마이크 스톡은 멜버른으로 가서 이전 녹음 세션에 대해 카일리 미노그에게 사과했다.[24] 스톡과 엔지니어 캐런 휴잇은 미노그와 함께 Got to Be Certain과 Turn It into Love을 녹음했는데, 이 작업은 Neighbours의 마지막 에피소드를 촬영하는 틈틈이 멜버른의 앨런 이튼 스튜디오와 RBX 스튜디오에서 밤에 단 몇 시간 동안 진행되었다.[27][28] 미노그는 일의 압박감 때문에 스튜디오에서 자주 감정적으로 무너졌다고 한다.[28]

4. 음악 스타일

《Kylie》는 10대 취향의 신스팝 앨범으로 기획되었으며, 프로듀서들은 히트 싱글 모음집과 같은 형태를 의도했다. 이 앨범은 버블검 팝, 디스코 팝, 댄스 팝으로 묘사되며, 하이-NRG 비트, 이탈로 디스코 신스, 모타운 멜로디가 혼합된 하우스 음악 트랙 모음집으로 평가받는다.[108][112] 가사는 로맨틱한 관계와 긍정적인 정신을 주로 다루지만, 상심, 좌절 등의 주제도 포함되어 있다.[40]

당시 음악 평론가들은 앨범의 프로듀싱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렸다. 레코드 미러는 "The Loco-Motion" 커버 외에도 싱글 히트 가능성이 있는 곡들이 많다고 호평한 반면,[108] 빌보드는 "기계적인 프로듀싱" 때문에 미국 시장에서 성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109] 스매시 히츠는 단순한 디스코 트랙을 칭찬했고,[110] 디 에이지는 앨범의 상업적인 성격을 비판했다.[111] 더 레코드는 프로듀서들의 드럼 머신과 에코 보컬 과다 사용을 비판했다.[112]

몇몇 평론가들은 카일리 미노그의 보컬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볼티모어 선은 미노그의 미성숙함과 발음 부족을 지적했고,[114] 넘버 원은 미노그의 목소리가 미니 마우스처럼 들린다고 평했다.[115] 레코드-저널은 그녀의 코맹맹이 소리와 작곡 및 프로듀싱 참여 부족을 비판하며 마돈나의 아류라고 언급했다.[116] 반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그녀의 섬세한 목소리가 댄스 팝 음악과 잘 어울린다고 평가했다.[117] 디 에이지는 미노그의 목소리는 괜찮지만, 조작되고 잊혀지기 쉬운 프로듀싱에 압도되었다고 언급했다.[118]

회고적 리뷰에서 올뮤직디지털 스파이는 구식 프로듀싱을 비판하면서도 미노그의 쾌활한 성격과 멜로디가 단점을 보완한다고 평가했다.[119] 30주년 기념 앨범 리뷰에서는 "소박하지만 의도적인 상업적 팝의 매력적인 컬렉션"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20] 롤링 스톤은 이 노래들이 "80년대 후반처럼 치즈 같고 향기롭다"고 언급했고,[121] ''Classic Pop''은 기억에 남는 후크와 Hi-NRG 팝 곡을 칭찬했다.[122] 하지만 2018년에는 ''Kylie''가 미노그의 최악의 앨범으로 평가받기도 했는데, 가벼운 내용과 헬륨을 마신 듯한 보컬이 비판받았다.[40] 대중음악 백과사전에서는 "추천" 및 "매우 듣기 좋다"고 평가했다.[123]

4. 1. 장르 및 프로듀싱

Kylie영어는 10대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신스팝 앨범으로, 싱글 히트 가능성이 있는 트랙들로 채워졌다.[108] 이 앨범은 버블검 팝, 디스코 팝, 댄스 팝 앨범으로 묘사되며, 다른 PWL 앨범들과 음악적으로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12] 또한, 하이-NRG 비트, 이탈로 디스코 신스, 모타운 멜로디가 혼합된 하우스 음악 트랙 모음집으로도 묘사되었다.[108][112]

4. 2. 가사 주제

Kylie영어의 가사는 주로 로맨틱한 관계와 긍정적인 정신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40] 상심, 배신, 좌절과 같은 주제도 나타난다.[40]

5. 발매 및 홍보

''Kylie''는 1988년 7월에 영국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매되었다.[36] 앨범 홍보를 위해 TV 광고와 프로모션 투어가 진행되었다. 1988년 9월, 미노그는 미국, 일본, 멜버른, 영국에서 3개월간 프로모션 투어를 진행했고, 1989년 10월에는 앨범 홍보를 위한 콘서트 투어 'Disco in Dream'을 개최했다.[36]

5. 1. 앨범 커버 아트워크

Kylie영어의 앨범 커버는 어린이와 십 대를 주 대상으로 하여, 미노그가 미소 짓는 모습을 통해 소녀적이고 걱정 없는 분위기를 표현하였다.[36] 사진은 로렌스 로리가 촬영했으며, 디자인은 데이비드 하웰스가 맡았다.[36]

5. 2. 프로모션 활동

카일리 음반 홍보에는 TV 광고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었다.[36] 1988년 9월, 카일리는 미국, 일본, 멜버른, 영국에서 3개월간 프로모션 투어를 진행했다.[36] 1989년 10월에는 첫 콘서트 투어인 'Disco in Dream'을 시작하여 앨범과 다음 앨범의 여러 곡을 공연했다.[36]

5. 3. 싱글 발매

카일리 미노그의 데뷔 앨범 ''Kylie''에서 발매된 싱글은 다음과 같다:[36][162][163][71][64][164]

6. 평가

《Kylie》는 발매 당시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프로듀싱에 대한 비판과 함께, 미노그의 보컬 전달 방식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181] 그러나 회고적 평가에서는 쾌활한 성격과 잘 짜여진 멜로디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1988년과 1989년 ''Kylie'' 연말 차트 성적은 다음과 같다.

1988년 ''Kylie'' 연말 차트 성적
차트 (1988년)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81]17
유럽 앨범 (Music & Media)[182]17
프랑스 앨범 (SNEP)[183]10
독일 앨범 (Offizielle Top 100)[184]57
스위스 앨범 (Schweizer Hitparade)[185]29
뉴질랜드 앨범 (RMNZ)[186]7
영국 앨범 (OCC)[128]1



1989년 ''Kylie'' 연말 차트 성적
차트 (1989년)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36]95
유럽 앨범 (Music & Media)[187]10
영국 앨범 (OCC)[188]38


6. 1. 상업적 성과

Kylie영어는 데뷔 앨범으로 영국에서 6주간 1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영국 연간 판매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204]

1980년대 말 차트에서 ''Kylie영어''의 성적
차트 (1980–89)순위
영국 음반 차트(OCC)[189]1


6. 2. 수상 및 영향

카일리 미노그는 1988년과 1989년 ARIA 뮤직 어워드에서 수상했다.[136] 이는 미노그를 국제적인 십 대 우상으로 만들었고, 음반 경력을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1980년대 후반, 호주 팝 음악의 미국 시장 진출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데뷔 앨범 《Kylie》는 영국에서 6주 동안 1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204] 전 세계적으로 1,000만 장 가까이 판매되었다. 영국 연간 판매 차트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Kylie'' 앨범 인증 및 판매량
지역인증판매량/출하량
오스트레일리아[136]4× 플래티넘
핀란드[191]골드25,000
프랑스[190]플래티넘
독일[192]골드
홍콩[142]플래티넘
일본[193]102,000
뉴질랜드[138]플래티넘
스위스[194]플래티넘
영국[129]6× 플래티넘2,138,841[133]
미국[141]골드


7. 트랙리스트

카일리 미노그의 데뷔 앨범 《Kylie》에는 총 10곡의 오리지널 버전과 7곡의 보너스 트랙이 추가된 2012년 일본 재발매 버전이 있다.[64]

7. 1. 오리지널 버전

다음은 카일리 미노그의 데뷔 앨범 《Kylie》의 오리지널 버전에 수록된 곡들이다.

  • 〈I Should Be So Lucky〉[195]
  • 〈The Loco-Motion〉[196]
  • 〈Je Ne Sais Pas Pourquoi〉[197]
  • 〈It’s No Secret〉[199]
  • 〈Got To Be Certain〉[197]
  • 〈Turn It Into Love〉[197]
  • 〈I Miss You〉[197]
  • 〈I’ll Still Be Loving You〉[195]
  • 〈Look My Way〉[198]
  • 〈Love At First Sight〉[205]


'''카일리''' 발매일 및 형식
지역발매일형식배급사참고
영국1988년 7월 4일LP, 카세트, CDPWL[195]
여러 지역[196]
일본알파[197]
호주1988년 7월 18일머쉬룸[198]
미국1988년게펜[199]
호주1988년 12월 5일LP, 카세트, VHS머쉬룸[200]
일본2012년 11월 7일CD, DVD, LPPWL[64]
영국2015년 2월 9일CD, DVD, LP체리 레드, PWL[66]
일본2015년 2월 10일[201]
여러 지역2023년 11월 24일LPBMG[67]


7. 2. 재발매 버전 (2012, 일본)

カイリー일본어[64]는 2012년 11월 7일에 일본에서 발매된 카일리 미노그의 데뷔 앨범 재발매 버전이다. 이 앨범에는 오리지널 트랙 10곡과 보너스 트랙 7곡이 추가되었다. 보너스 트랙은 다음과 같다.

번호제목비고
11메이드 인 헤븐Made in Heaven
12게팅 클로저 (익스텐디드 오즈 믹스)Getting Closer (Extended Oz Mix)
13럭키 러브 (호주 건국 200주년 기념 믹스)I Should Be So Lucky (The Bicentennial Mix)
14사랑은 서두르지 않아 (익스텐디드)Got To Be Certain (Extended Mix)
15로코모션 (The Kohaku Mix)The Loco-Motion (The Kohaku Mix)
16노 시크릿 (익스텐디드)It’s No Secret (Extended Mix)
17눈물 색깔의 비 ~주 뇌 세 파 푸쿠와 (레볼루셔너리 믹스)Je Ne Sais Pas Porquoi (The Revolutionary Mix)


참조

[1] 문헌
[2] 문헌 The Sydney Morning Herald
[2] 문헌
[3] 문헌
[3] 문헌
[4] 문헌
[5] 문헌
[6] 문헌
[6] 문헌
[7] 문헌
[7] 문헌
[8] 문헌
[8] 문헌
[8] 문헌
[9] 문헌
[9] 문헌
[10] 문헌
[11] 문헌
[11] 문헌
[12] 문헌
[12] 문헌
[12] 문헌
[13] 문헌
[13] 문헌
[14] 문헌
[15] 문헌
[15] 문헌
[15] 문헌
[16] 문헌
[16] 문헌
[16] 문헌
[16] 문헌
[16] 문헌
[17] 문헌
[17] 문헌
[17] 문헌
[18] 문헌
[18] 문헌
[19] 문헌
[19] 문헌
[20] 문헌
[20] 문헌
[21] 웹사이트 A Journey Through Stock Aitken Waterman: Ep 57: Better The Devil You Know Part 1: the song on Apple Podcasts https://podcasts.app[...] 2023-08-22
[22] 문헌
[23] 문헌
[23] 문헌
[24] 문헌
[25] 문헌
[25] 문헌 Fat Gay Vegan
[26] 문헌
[26] 문헌
[27] 문헌
[28] 문헌
[28] 문헌
[28] 문헌
[29] 문헌 Fat Gay Vegan
[29] 문헌
[30] 문헌 Fat Gay Vegan
[31] 문헌
[31] 문헌
[32] 문헌
[33] 문헌
[33] 문헌 Mushroom
[34] 문헌
[35] 문헌
[36] Harvnb
[37]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39] Harvnb
[39] Harvnb
[39] Harvnb
[39]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1] Harvnb
[42] Harvnb
[42] Harvnb
[42] Harvnb
[43] Harvnb
[43] Harvnb
[44] Harvnb
[44] Harvnb
[45] Harvnb
[45] Harvnb
[45] Harvnb
[46] Harvnb
[47] Harvnb
[48] Harvnb
[48] Harvnb
[49] Harvnb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2] Harvnb
[53] Harvnb
[54] Harvnb
[54] Harvnb
[55] Harvnb
[55] Harvnb
[56] Harvnb
[56] Harvnb
[57] Harvnb
[58] Harvnb
[59] Harvnb
[60] Harvnb
[61] Harvnb
[61] Harvnb
[61] Harvnb
[62] Harvnb
[63] Harvnb
[63] Harvnb
[63] Harvnb
[63] Harvnb
[63] Harvnb
[63] Harvnb
[64] Harvnb
[65] Harvnb
[65] Harvnb
[66] Harvnb
[66] Harvnb
[66] Harvnb
[67] Harvnb
[67] Harvnb
[67] Harvnb
[68] Harvnb
[69] Harvnb
[69] Harvnb
[69] Harvnb
[70] Harvnb
[71] harvnb PWL 1988
[72] harvnb Oricon A; Okamoto 2006
[73] harvnb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A
[74] harvnb Mushroom 1993
[75] harvnb Flynn; Goodall 2012
[76] harvnb Goodall 2012
[77] harvnb Flynn 2019
[78] harvnb Popson; Goodall 2012
[79] harvnb Goodall 2012
[80] harvnb The Daily Telegraph 2017
[81] harvnb Goodall; Collinson 2015
[82] harvnb Collinson 2015
[83] harvnb Video Collection International; ALFA International 1990
[84] harvnb Goodall 2012
[85] harvnb Flynn; Elliot 2018
[86] harvnb Flynn; Goodall 2012
[87] harvnb Copsey; ARIA Charts 2018
[88] harvnb Billboard A; Hung Medien A; GfK Entertainment Charts A
[89] harvnb Wright; Flynn 2019
[90] harvnb Kylie.com A
[91] harvnb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2017
[92] harvnb Official Charts Company A; Kylie.com A
[93] harvnb Flynn 2019
[94] harvnb Kylie.com B; Goodall 2012
[95] harvnb Myers; Kylie.com B 2013
[96] harvnb Billboard A; RPM 1988
[97] harvnb Kylie.com B; Kylie.com C
[98] harvnb Adams; Hill 2015
[99] harvnb Kylie.com D; Myers 2013
[100] harvnb Official Charts Company A; Copsey; Music Week 1989
[101] harvnb Hung Medien B; Hung Medien C
[102] harvnb Myers; Kylie.com E 2013
[103] harvnb Billboard A; Kylie.com E
[104] harvnb Kylie.com F; Okamoto 2006
[105] harvnb True A
[106] 논문
[107] 뉴스 The Daily Telegraph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19]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1] 논문
[122]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간행물 Official Charts Company B
[125] 간행물 Official Charts Company A
[125] 간행물 Official Charts Company C
[126] 논문
[126] 논문
[126] 논문
[126] 뉴스 Music Week
[126] 논문
[127] 간행물 Official Charts Company A
[127] 논문
[128] 논문
[128] 웹사이트
[128] 논문
[128] 논문
[129] 간행물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130] 뉴스 Music Week
[130] 논문
[130] 논문
[131] 간행물 Official Charts Company E
[132]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간행물 Official Charts Company D
[134] 논문
[135] 간행물 Hung Medien D
[136] 논문
[136] 간행물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137] 간행물 Hung Medien E
[138] 간행물 Recorded Music NZ A
[139] 간행물 GfK Entertainment Charts B
[139] 간행물 Hung Medien F
[139] 간행물 Hung Medien G
[140] 뉴스 Billboard B
[141] 간행물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142] 간행물 IFPI Hong Kong
[143] 간행물 Oricon B, Okamoto (2006a)
[144] 간행물 Kylie.com G, The Daily Telegraph (2018)
[145] 간행물 ARIA Music Awards A
[146] 간행물 ARIA Music Awards B
[147] 간행물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B
[148] 간행물 Taylor (2011)
[149] 간행물 Goodall, Stanley-Clarke (2012), Harrison (2018), Popson (1988), True A, True B, Kelleher (2021)
[150] 간행물 Myers (2013)
[151] 간행물 Schembri (1989)
[152] 간행물 Carrier (1999), Music Week (1989)
[153] 간행물 The News-Messenger (1988), The Post-Crescent (1988)
[154] 간행물 USA Weekend (1988), The News-Messenger (1988)
[155] 간행물 Albert (1988)
[156] 간행물 Tuohy (1988), Adams (2017)
[157] 간행물 True B, Adams (2017)
[158] 간행물 Saner (2021), Tuohy (1988)
[159] 간행물 Tuohy (1988), Scaping (1991), Saner (2021)
[160] 간행물 Flynn (2019)
[161] 간행물 Hunt (1988)
[162] 간행물 Mushroom (1988b)
[163] 간행물 Mushroom (1988d)
[164] 간행물 PWL, Cherry Red (2015a)
[165] 간행물 Hung Medien H
[166] 간행물 RPM (1988a)
[167] 간행물 Billboard (1988)
[168] 간행물 Hung Medien I
[169] 간행물 Music & Media (1988)
[170] 간행물 InfoDisc C
[171] 서적 Muz hit.tubes Alinéa Bis 2002
[172] 간행물 Pennanen (2021)
[173] 간행물 GfK Entertainment Charts B
[174] 간행물 Hung Medien F
[175] 간행물 Salaverrie (2005)
[176] 간행물 Hung Medien J
[177] 간행물 Hung Medien G
[178] 간행물 Official Charts Company C
[179] 서적 Lazell 2002
[180] 웹사이트 ARIA Top 50 Albums Chart https://www.aria.com[...]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2023-12-04
[181] 간행물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182] 간행물 "''Music & Media''" 1989a
[183] 간행물 "''InfoDisc'' D"
[184] 간행물 GfK Entertainment Charts C
[185] 간행물 Hung Medien K
[186] 간행물 Recorded Music NZ B
[187] 간행물 "''Music & Media''" 1989b
[188] 간행물 "''Music Week''" 1990
[189] 서적 Jones 1989
[190] 간행물 "''InfoDisc'' E"
[191] 간행물 Musiikkituottajat – IFPI Finland
[192] 간행물 Bundesverband Musikindustrie
[193] 서적 Okamoto 2006a
[194] 간행물 IFPI Switzerland
[195] 간행물 PWL 1988d
[196] 간행물 PWL 1988e
[197] 간행물 PWL 1988f
[198] 간행물 Australian Music Report 1988
[199] 간행물 Geffen 1988
[200] 간행물 Pymble; Mushroom; Mushroom 1988
[201] 간행물 PWL; Cherry Red 2015b
[202] 웹사이트 カイリー・ミノーグのアルバム売上TOP12作品|ORICON NEWS https://www.oricon.c[...] "[[オリコン]]" 2023-01-18
[203] 웹사이트 Kylie Minogue カイリー・ミノーグ Kylie ラッキー・ラヴ https://www.discogs.[...] Discogs 2019-09-28
[204] 웹사이트 Kylie Minogue|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2023-01-18
[205] 문서 2001年のアルバム『[[フィーヴァー (カイリー・ミノーグのアルバム)|フィーヴァー]]』に収録されているものとは同名異曲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