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L-SA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L-SAM은 북한 탄도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이 개발한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다. 2015년 개발이 시작되어 2024년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2025년부터 양산될 예정이다. L-SAM은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의 핵심 구성 요소로, 고고도에서 탄도 미사일과 항공기를 요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L-SAM은 다기능 레이더, 교전통제소, 발사대 등으로 구성되며, 대탄도 미사일과 대항공 미사일 두 종류를 사용한다. L-SAM Ⅱ 개량형 개발도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지대공 미사일 - 천궁 (미사일)
    천궁(KM-SAM)은 대한민국 공군의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15km 고도와 40km 사거리의 표적을 요격하며, 노후화된 호크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어 2015년부터 실전 배치되었고, 아랍에미리트 등 여러 국가에 수출되었다.
  • 대한민국의 지대공 미사일 - MIM-23 호크
    MIM-23 호크는 미국에서 개발된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반능동 레이다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저고도 목표 대처 능력 향상, 전자전 대응 능력 강화,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 추가 등의 꾸준한 성능 개량을 거쳐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만 운용 중이다.
  • 탄도탄 요격 미사일 - 사드
    사드는 미국이 개발한 탄도탄 요격 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요격 미사일, 발사대, X밴드 레이더로 구성되며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한민국에 배치되었으나 외교적·경제적 논란을 야기했다.
  • 탄도탄 요격 미사일 - S-300 미사일 시스템
    S-300 미사일 시스템은 소련에서 개발된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다양한 파생형을 거치며 발전해왔고, 미사일과 레이더 성능 향상, 전자전 방어 능력 강화, 사정 거리 연장 등의 개량을 거쳤으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L-SAM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L-SAM의 탄도 미사일 요격 시험
종류장거리, 이동식 지대공 미사일/탄도탄 요격 미사일 시스템
원산지대한민국
획득 정보
사용 국가대한민국 공군
실전 배치2028년 (계획)
설계국방과학연구소 (체계)
한화 (탄도탄 요격)
LIG넥스원 (대공)
설계 시기블록 I: 2019년–2024년
블록 II: 2024년–2035년 (계획)
제조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생산 시기2025년 (계획)
제원
사거리블록 I: 150km
고도블록 I: 40km – 60km
블록 II: 120km – 180km
속도마하 9 (3,062.79 m/s, 11,026 km/h)
유도 방식불명

2. 역사

L-SAM의 미사일 요격 시험


북한의 노동 미사일 등 탄도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여, 대한민국은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015년부터 L-SAM 탐색 개발에 착수했다. 당초 2023년 실전 배치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었다.[13]

2. 1. 개발 배경

북한의 노동 미사일 등 탄도 미사일 위협이 고조되자, 대한민국은 고고도에서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독자적인 방어 시스템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따라 2015년 L-SAM 탐색 개발이 시작되었고, 2018년에 시제기가 생산되었다.[13] 하지만 초기 시험 발사 실패로 인해 체계 개발 기간이 연장되었으며, 2022년까지 개발 완료 및 대량 생산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되었다.[13]

대한민국은 북한의 핵공격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2023년까지 킬 체인과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 구축을 추진 중이며, L-SAM은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2. 2. 개발 과정



북한의 노동 미사일을 외기권에서 방어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15년 탐색 개발을 시작했다.[13] 2018년 탐색 개발이 종료되어 시제기가 생산됐지만, 1차 시험발사가 실패로 돌아가 2022년까지 체계 개발을 완료하고 대량생산을 하기로 했다.[13] 개발비용은 1조이다.[13]

2022년 2월 23일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충남 태안군 안흥종합시험장에서 L-SAM 시험발사가 진행됐다.[14] 표적 없이 미리 프로그래밍된 궤도를 따라 발사체를 쏘아올리는 비행 테스트였으며, 발사된 요격미사일이 미리 설정한 탄착점에 정확히 떨어져 시험발사가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14]

2023년 5월 30일 국방과학연구소는 'L-SAM 종합 유도 비행시험' 전체 과정을 언론에 처음 공개했다.[15] 이 시험은 북한 탄도미사일을 모사한 표적탄을 탐지, 추적하고, 목표 고도에서 실제 요격하는 실전 방식으로 진행됐다.[15]

2023년 9월 26일 국군의 날 기념식과 10년 만에 열린 시가행진(23년 10월 1일은 추석 연휴라 일정이 당겨짐)에서 L-SAM이 공개되었다.

2024년 11월 29일 국방부국방과학연구소가 L-SAM 개발을 완료하였다고 발표하였다.[16] 개발 완료에 따라 L-SAM 양산은 2025년부터 이뤄질 계획이다.

L-SAM Block 1 개발은 2024년 5월에 완료되었으며, 2025년부터 초기 양산이 시작되어 2028년부터 대한민국 공군에 배치될 예정이다.[1][2]

2. 3. 배치 및 양산

L-SAM Block 1 개발은 2024년 5월에 완료되었으며, 2025년부터 초기 양산에 들어가 2028년부터 대한민국 공군에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1][2]

3. 구성

L-SAM 1개 포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구성 요소수량비고
다기능 레이더 (S 밴드 AESA 레이더)1대탐지거리 310km
교전통제소1대
작전통제소1대
대항공기 유도탄 발사대2대
대탄도탄 유도탄 발사대2대



L-SAM 포대는 미국의 사드 포대와 비교했을 때, 절반 가격으로 운용 가능하다.[7] L-SAM은 트레일러에 장착된 S 밴드 AESA 레이더를 사용한다.[11][12]

L-SAM 지대공 미사일 축소 모형

4. 미사일

L-SAM은 탄도미사일에 대응하는 대탄도 미사일(Anti-Ballistic Missile, ABM)과 항공기, 순항미사일에 대응하는 AAM(Anti-Air Missile) 두 종류를 사용한다. 두 미사일 모두 핫런치 방식을 사용하며 이중펄스 추진기관이 적용되어 있다. L-SAM 1개 포대당 대항공기 유도탄발사대 2대, 대탄도탄 유도탄발사대 2대를 운용한다.

ABM은 사거리가 150km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직격 비행체(Kill Vehicle), DACS(Divert and Attitude Control System), 단분리 기술, TVC를 사용하며, 상세한 제어를 위해 젤 타입의 고체연료를 사용한다. 사드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탐색기를 사용하기에 성층권 이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AAM은 200km급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이며 천궁의 Ku-Band 레이다 탐색기를 개량한 것이 적용된다. 보통 대기권 내의 항공기 요격 임무를 담당하지만, ABM이 요격에 실패할 시 패트리어트와 같이 탄도탄 요격에도 사용될 수 있다.[7]

종말 단계의 탄도 미사일을 요격할 목적으로 개발된 L-SAM은 대한민국 공군의 한국형 미사일 방어 체계(KAM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다층 방어 체계의 상위 방어 체계가 될 것이며, 하위 방어 체계는 패트리어트 PAC-3 및 KM-SAM 포대로 구성된다.[3][9]

탄도 미사일 요격 미사일(ABM)은 총 3단으로 구성되며, 직격 파괴 방식을 사용하여 킬 비히클에 적외선 센서와 정밀 비행 제어 기능을 갖춰 목표물을 요격하며, 이 미사일 요격기는 고도 40~60km 사이에서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7]

5. 레이더

L-SAM은 질화갈륨(GaN) 소자를 적용한 고성능 S 밴드 능동 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AESA)를 사용하며, FFG-III 충남급 호위함 및 KDDX의 다기능 위상배열레이더와 같은 시스템을 공유한다.[11][12]

장거리 항공기/탄도탄 표적에 대한 탐지, 추적과 항공기 식별, 재머 대응 및 유도탄 교전(포착/추적/교신) 등의 복합 임무를 단일 레이다로 수행할 수 있다. 탄도미사일을 초기 상승 단계에 탐지하기 위해 낮은 각도에서 넓은 영역을 조사하여 탐지하는 펜스 탐색모드, 가장 일반적인 탄도탄 구역 탐색모드,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 등으로부터 공유된 정보를 바탕으로 예상 위치를 산출하여 집중 탐색하는 큐잉 탐색모드가 존재하며, 항공기, 순항 미사일 등의 표적에 대응하는 항공기 구역 탐색모드가 존재한다.

한화시스템이 개발 중인 L-SAM 레이더 시제기는 2022년 4월 10일에 공개되었다.[7] L-SAM 레이더는 X 밴드(8~12㎓) 주파수를 사용하는 사드와 달리 S 밴드(2~4㎓)를 사용한다. S 밴드는 탄도미사일뿐만 아니라 항공기를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그린파인 레이더의 L 밴드 레이더보다 효과적이지만, 파장이 짧고 높은 출력을 내는 X 밴드에 비해서 정밀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L-SAM 레이더는 수천개의 소자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고 이를 통합 운용하는 기술을 통해 단점을 극복했다는 게 한화 측의 설명이다.

6. 제원


  • '''종류:'''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 '''유도 방식:''' 액티브 레이더 유도
  • '''유효사거리:''' 200km
  • '''레이더 탐지거리''': 탄도탄 310km
  • '''최대표적속도''': 항공기 700m/s, 탄도탄 3000m/s(마하 8.82)
  • '''동시추적수''': 항공기 100개, 탄도탄 10개
  • '''동시교전수''': 항공기 20개, 탄도탄 10개
  • '''유효고도:''' 40~100 km 이하[7]

L-SAM은 항공기 또는 순항 미사일과 같은 공중 위협을 목표로 하는 대공 미사일과 탄도 미사일 요격 미사일, 두 종류의 요격 미사일을 사용한다. 탄도 미사일 요격 미사일(ABM)은 총 3단으로 구성되며, 직격 파괴 방식을 사용하여 킬 비히클에 적외선 센서와 정밀 비행 제어 기능을 갖춰 목표물을 요격한다. 이 미사일 요격기는 고도 40~60km 사이에서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7]

7. 개량형

L-SAM은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 L-SAM 블록 1: 2019년 개발에 착수하여 2024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고도 60km에서 요격이 가능하다.
  • L-SAM 블록 2: 2024년 개발 착수 예정이며, 고도 100km 요격을 목표로 한다.


L-SAM 블록 2는 고고도 요격 유도탄을 통해 미사일 방어 범위를 확장하고, 북한의 동시다발적인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고도 요격 유도탄이 실전 배치되면 KAMD는 기존의 (PAC-3)과 M-SAM 블록-Ⅰ·Ⅱ(고도 15~40㎞)에 더해 더 높은 고도에서 요격 기회를 얻을 수 있다.[6]

7. 1. L-SAM Ⅱ

L-SAM Ⅱ는 L-SAM보다 높은 고도에서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 개발 중인 시스템이다. 요격 고도는 60~100km에 달하며, 고고도 요격 유도탄과 활공 단계 요격 유도탄(GPI)이 핵심 역할을 맡는다.[6] L-SAM 포대에 발사 차량 2대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2024년도 국회 예산안에 개발비 25억 이 책정되었다. L-SAM Ⅱ가 실전 배치되면 KAMD는 최대 3번의 요격 기회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2023년 4월 25일, 제153차 방위사업추진위원회는 L-SAM Ⅱ 개발 계획을 심의·의결했으며,[6] 2027년까지 개발 완료를 목표로 2조 7,100억 2.71조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6]

8. 조기경보 레이더

L-SAM은 자체 다기능 레이더 외에도 탄도유도탄 작전통제소와 연동하여 조기경보 레이더 정보를 활용한다. 대한민국은 이스라엘로부터 그린파인 레이더 블록-B 2기, 블록-C 2기를 도입하여 운용 중이다.[1] 그린파인 레이더 블록-C는 이스라엘 애로우 3 미사일에 사용되는 레이더와 동일하며, 탐지 거리는 900km 이상이다. L-SAM의 다기능 레이더를 확장하여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로 활용하는 계획도 존재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한국형 사드' L-SAM 개발 완료…北미사일 더 빨리 요격 https://www.newsis.c[...] Newsis 2024-05-25
[2] 웹사이트 북한 미사일 더 빠르게 요격…‘한국형 사드’ L-SAM 개발 완료 https://news.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24-05-25
[3] 웹사이트 L-SAM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024-02-20
[4] 웹사이트 Hanwha Corporation - Hanwha http://www.hanwha.co[...] 2017-10-27
[5] 웹사이트 South Korea tests indigenous long-range surface-to-air missile https://www.janes.co[...] 2022-02-24
[6] 웹사이트 제153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결과 https://www.dapa.go.[...]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2023-06-01
[7] 웹사이트 '한국형 사드' L-SAM 요격 순간 첫 공개…"복합 다층방어체계 속도" https://news.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24-02-22
[8] 웹사이트 200㎞ 밖 미사일 수분만에 요격…美·이스라엘 이어 세번째 개발 https://www.sedaily.[...] Sedaily 2024-06-04
[9] 웹사이트 Ballistic Missile Defense in South Korea: Separate Systems Against a Common Threat https://cissm.umd.ed[...] Center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Studies at Maryland 2021-07-16
[10] 웹사이트 국가안보의 보루,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 핵심전력 개발 순항 중 https://www.dapa.go.[...]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2024-01-25
[11] 웹사이트 L-SAM Long-range Surface-to-Air Missile https://www.globalse[...] 2017-10-27
[12] 웹사이트 Hanwha Techwin Shows S-Band AESA For L-SAM BMD http://aviationweek.[...] 2017-10-27
[13] 뉴스 군,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L-SAM 체계개발 착수 https://news.v.daum.[...]
[14] 뉴스 장거리요격미사일 L-SAM·'한국형 아이언돔' 시험발사 성공 https://news.v.daum.[...]
[15] 뉴스 北미사일 요격 'L-SAM' 네번째 발사도 성공…2025년 양산착수 https://www.yna.co.k[...]
[16] 웹인용 '한국형 사드' L-SAM 개발 완료...방어체계 완성 https://www.ytn.co.k[...] 2024-11-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