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Get Together Now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et's Get Together Now는 2002년 FIFA 월드컵을 기념하여 한국과 일본의 가수들이 참여한 프로젝트 그룹 Voices of KOREA/JAPAN의 곡이다. 이 곡은 한국어 버전과 일본어 버전으로 제작되었으며, 박정현, 브라운아이즈, CHEMISTRY, Sowelu 등이 참여했다. 김성수 감독은 이 곡을 모티브로 한 6분 5초 분량의 단편 영화를 제작하기도 했다. 이 그룹은 2002년 한일 국민 교류의 해 기념 행사, 뮤직 스테이션 출연, 월드컵 전야제 및 개막식, 폐막식 무대 등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FA 월드컵 노래 - 아무도 잠들지 말라
칼라프 왕자가 투란도트 공주에게 자신의 이름을 알아맞히면 결혼하지 않겠다는 제안을 하며 부르는 아리아인 '아무도 잠들지 말라'는 푸치니 오페라 《투란도트》 3막에 등장하며 파바로티가 불러 널리 알려졌다. - FIFA 월드컵 노래 - We Are One (Ole Ola)
"We Are One (Ole Ola)"는 핏불이 제니퍼 로페즈, 클라우디아 레이테와 함께 2014년 FIFA 월드컵 공식 주제가로 부른 곡으로, 발매 후 여러 국가에서 차트 상위권에 올랐지만 비판도 있었고, 뮤직 비디오는 플로리다에서 촬영되었으며 여러 행사에서 라이브 공연되었다. - 2002년 FIFA 월드컵 -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의 결승 경기로 요코하마에서 브라질과 독일이 맞붙어 브라질이 2-0으로 승리하며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한 경기이다. - 2002년 FIFA 월드컵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은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각 대륙별 예선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프랑스가 우승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고, 나머지 팀들이 본선 진출을 다투었다. - 2002년 싱글 - Remixed (싱글)
Remixed는 S.E.S.의 5집 앨범 수록곡 〈Just A Feeling〉과 〈달리기〉를 다양한 장르로 리믹스하여 2만 장 한정 발매한 앨범으로, 6개의 트랙이 수록되었고 발매 당시 전량 판매되었다. - 2002년 싱글 - 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
도모토 쯔요시가 작사, 작곡, 프로듀싱한 싱글 "거리/맹목적인 사랑의 법칙"은 TBS 드라마 주제가로 사용된 "거리"와 "맹목적인 사랑의 법칙"을 포함하며 팬들의 요청으로 발매되어 오리콘 주간 싱글 랭킹 1위를 차지했다.
| Let's Get Together Now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곡 정보 | |
| 곡명 | Let's Get Together Now |
| 아티스트 | Voices of KOREA/JAPAN |
| 음반 | 2002 FIFA 월드컵 공식 앨범 |
| 발매일 | 2002년 3월 13일 |
| 포맷 | 12cm CD |
| 장르 | J-POP, K-POP |
| 길이 | 25분 03초 |
| 레이블 | 데프스타 레코즈 |
| 작사가 | 박정현, 김형석, 사와모토 요시미쓰, 마쓰오 키요시 |
| 작곡가 | 김형석, 다이스케 가와구치 |
| 차트 성적 | |
| 오리콘 차트 주간 순위 | 3위 |
| 오리콘 차트 연간 순위 (2002년) | 76위 |
2. 멤버
이 곡은 한국과 일본 양국의 대표적인 가수들이 참여하여 만들어졌다. 한국에서는 박정현과 브라운아이즈 (나얼, 윤건)가, 일본에서는 CHEMISTRY와 Sowelu가 참여했다.
2. 1. 대한민국
박정현과 브라운아이즈 (나얼, 윤건)가 참여하였다.2. 2. 일본
CHEMISTRY와 Sowelu가 일본 대표로 참여했다.[1]3. 수록곡
이 곡은 한국어 버전과 일본어 버전, 두 가지로 제작되었다.[1] 각 버전은 양국의 언어와 문화적 특색을 반영하여 만들어졌다.
| 제목 | 작사 | 작곡 | 편곡 |
|---|---|---|---|
| Let's Get Together Now (JAPAN ver.) | 사와모토 요시미츠, 마쓰오 키요시 | 카와구치 다이스케, 김형석 | 김형석 |
| Let's Get Together Now (KOREA ver.) | 박정현, 김형석 | 카와구치 다이스케, 김형석 | 김형석 |
| Let's Get Together Now (JAPAN ver.)~LESS VOCAL | colspan="3" | | ||
| Let's Get Together Now (KOREA ver.)~LESS VOCAL | colspan="3" | |
3. 1. 버전
'''Let's Get Together Now (JAPAN ver.)''''''Let's Get Together Now (KOREA ver.)'''
'''Let's Get Together Now (JAPAN ver.)~LESS VOCAL'''
'''Let's Get Together Now (KOREA ver.)~LESS VOCAL'''
4. 커버
"Let's Get Together Now"는 여러 아티스트들이 커버하여 이 곡의 인기와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4. 1. 커버 목록
- 조니 우즈 "GROOVE ~ 영원히 / Let's Get Together Now" (2002년 4월 24일)
- * 12. Let's Get Together Now
- 옴니버스 "2002 FIFA WORLD CUP TM OFFICIAL ALBUM SONGS OF KOREA / JAPAN" (2002년 5월 29일)
- * Disk-1 02. Let's Get Together Now (KOREA / JAPAN ver.)
- 가와구치 다이스케 "Sunshine After Monsoon" (2004년 5월 19일)
- * 03. Let's Get Together Now
- CHEMISTRY "Second to None" (2003년 1월 8일)
- * 10. Let's Get Together Now (Tokyo Calling) / Interlude ~ @ Yuigahama, KAMAKURA ~
5. 활동/방송
2002년 FIFA 월드컵의 공식 로컬 주제곡으로, 광복 이후 공식적으로 일본 가수가 부르는 일본어 노래가 처음으로 국내 지상파 TV를 탄 노래이기도 하다.[3]
이 곡은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전후로 다양한 행사 및 방송에 출연하여 불려졌다. 다음은 주요 활동 내역이다.
| 날짜 | 내용 |
|---|---|
| 2002년 3월 22일 | 한ㆍ일 국민 교류의 해 기념의 밤 행사[4] |
| 2002년 3월 23일 | KBS2 연예가 중계 인터뷰 |
| 2002년 4월 5일 | TV 아사히 뮤직스테이션 출연 |
| 2002년 5월 30일 | 2002년 FIFA 월드컵 전야제 |
| 2002년 5월 31일 | 2002년 FIFA 월드컵 개막식 |
| 2002년 6월 28일 | FIFA 한ㆍ일 월드컵 공식 콘서트 |
| 2002년 6월 30일 | 2002년 FIFA 월드컵 폐막식 |
5. 1. 주요 활동 내역
| 날짜 | 내용 |
|---|---|
| 2002년 3월 22일 | 한ㆍ일 국민 교류의 해 기념의 밤 행사 (대한민국 서울 하얏트 호텔)[4] |
| 2002년 3월 23일 | KBS2 연예가 중계 (인터뷰) |
| 2002년 4월 5일 | TV 아사히 뮤직스테이션 |
| 2002년 5월 30일 | 2002년 FIFA 월드컵 전야제 (대한민국 서울 월드컵 경기장 앞 평화의 공원) - 2002 FIFA 월드컵 문화 큰잔치 경축 전야제 (KBS2, MBC, SBS 지상파 동시 방송) |
| 2002년 5월 31일 | 2002년 FIFA 월드컵 개막식 (대한민국 서울 월드컵 경기장) |
| 2002년 6월 28일 | FIFA 한ㆍ일 월드컵 공식 콘서트 (일본 도쿄 스타디움) |
| 2002년 6월 30일 | 2002년 FIFA 월드컵 폐막식 (일본 요코하마 월드컵 경기장) |
6. 쇼트 필름
김성수 감독이 이 곡을 모티브로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2] 이 영화는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 일본 측 경기장에서 상영되었다.[2]
6. 1. 상세 정보
김성수(1961년) 감독이 이 곡을 모티브로 한 6분 5초 분량의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2] 제작 기간은 6개월이었다.[2] 2분 30초로 편집된 버전은 2002년 FIFA 월드컵 일본 측 경기장에서 경기 전에 대형 비전을 통해 상영되었다.[2] 한편, 한국 측 경기장에서는 Voices of KOREA/JAPAN의 레코딩 풍경을 담은 공식 비디오가 상영되었다.[2]참조
[1]
간행물
GOLD ALBUM 他認定作品 2002年3月度
http://www.riaj.or.j[...]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2002-05-10
[2]
웹사이트
W杯の公式ソングが“短編映画”に 試合前に会場で上映
https://web.archive.[...]
SANSPO.COM
2002-05-28
[3]
뉴스
일본어 노래가 처음으로 공중파 탄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2-05-28
[4]
뉴스
한ㆍ일 월드컵 노래 3곡 방송 허용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2-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