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은 1971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으며, 1987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 2014년 MBC강원영동에 통합되어 폐국되었다. 1970년 동해방송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삼척문화방송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FM방송과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했다. 2023년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하고, 현재는 FM 방송과 디지털 TV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방송 프로그램으로는 TV, 라디오 프로그램이 있으며, 강원 영동 남부 지역과 경북 북부 일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한다. 지상파 DMB 방송도 운영하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척시 - 강원종합박물관
  • 삼척시 - 삼척교육문화관
    삼척교육문화관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위치한 도서관 및 교육 시설이며, 1974년 개관 이후 여러 명칭을 거쳐 2013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다양한 수상 경력과 자료실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춘천불교방송
    춘천불교방송은 2002년 춘천에서 개국하여 강원도 지역 방송망을 확장해 왔으며, 춘천, 속초, 양양, 강릉 등에서 방송되고 2023년 6월 11일 춘천시 중앙로 10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 [회사]에 관한 문서
방송국 정보
명칭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한자 명칭MBC江原嶺東 三陟放送局
영문 명칭MBC Gangwon Yeongdong Broadcasting Samcheok
약칭MBC강원영동 삼척
구분공영방송, 주식회사
방송 영역지상파 (TV, 라디오, DMB)
창립일1970년 7월 22일
개국일라디오 (1971년 4월 10일)
본사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새천년도로 629-59 (갈천동)
사장한정우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MBC강원영동
웹사이트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웹사이트
회사 정보
회사명MBC강원영동삼척 (MBC Gangwon Yeongdong Samcheok)
영문 회사명MBC Yeongdong Samcheok
종류주식회사
우편 번호25909
본사 위치강원도 삼척시 새천년도로 629-59 (갈천동 111)
업종방송업
대표자대표이사 사장
결산기12월 31일

2. 연혁


  • 1970년 7월 22일, 체신부 허가 제12082호 무선국 허가를 취득했다.[1]
  • 1970년 12월 22일, 동해방송주식회사(약칭 DBC) 설립. 초대 대표이사 사장 이기영 취임.[1]
  • 1971년 3월 27일, 시험 전파 발사.[1]
  • 1971년 4월 10일, 주파수 1350kHz, 호출부호 HLAQ, 출력 1kW로 삼척시 남양동 17번지 사옥에서 개국.[1]
  • 1971년 10월 1일, 동해방송(주)에서 삼척문화방송(주)(약칭 MBC)으로 상호 변경.[1]
  • 1971년 12월 22일, 제2대 대표이사 사장 정태화 취임.[1]
  • 1974년 10월 6일, 삼척시 남양동 55-6번지 사옥 기공.[1]
  • 1975년 2월 23일, 삼척시 남양동 17번지에서 55-6번지로 사옥 이전.[1]
  • 1975년 4월 12일, 삼척시 남양동 55-6번지 신축 사옥 준공.[1]
  • 1977년 4월 25일, 제6기 정기주총에서 자본금 증자 결의 (31700000KRW에서 50000000KRW으로).[1]
  • 1977년 5월 20일, 신주 발행.[1]
  • 1979년 7월 28일, 사옥 증축 공사 준공.[1]
  • 1980년 2월 29일, 제3대 대표이사 사장 김형준 취임.
  • 1980년 12월 7일, 언론통폐합 조치에 따라 문화방송 계열화.[1]
  • 1981년 1월 7일, 임시주주총회 개최, 4대 사장 노서을 취임.[2]
  • 1981년 9월 30일, 삼척TV중계국 개국(CH : UHF22, 출력 5㎾).
  • 1982년 9월 27일, 동해TV중계소 (CH : UHF43, 출력 : 영상5㎾, 음성 : 1㎾, 가허가 취득).
  • 1983년 10월 17일, 동해TV중계국 개국(CH : UHF22, 출력 5㎾).
  • 1984년 2월 16일, 제5대 사장 이대섭 취임.
  • 1984년 9월 14일, 태백TV중계국 개국(CH : UHF43, 5㎾).
  • 1984년 9월 27일, 동해TV중계소 준공.
  • 1985년 1월 30일, 라디오 송신소 이전 준공식(추암송신소).
  • 1985년 3월 23일, FM방송국 신규허가 신청.
  • 1985년 7월 11일, FM방송국 가허가 취득(출력 3㎾, 주파수 102.7㎒).
  • 1985년 7월 15일, 간이TV중계소 가허가 취득(삼화, 장성, 정선, 도계, 산동, 사북, 황지).
  • 1985년 9월 24일, FM 시험 전파 발사.
  • 1986년 3월 7일, 제6대 대표이사 사장 곽노환 취임.
  • 1986년 5월 1일, 장성, 정선TV 개국.
  • 1986년 5월 26일, FM방송국 주파수 변경(102.7㎒→98.1㎒).
  • 1986년 7월 28일, FM방송국 개국(주파수 98.1㎒, 출력 3㎾).
  • 1986년 8월 28일, 삼화TVR 개국.
  • 1987년 1월 17일, 황지, 상동, 사북, 도계TVR 개국.
  • 1987년 11월 27일, TV연주소 개국.
  • 1988년 2월 10일, 표준FM방송국 개국(101.5㎒).
  • 1988년 6월 15일, 동해 음악FM 방송국 개국(99.9㎒).
  • 1988년 7월 15일, 여량, 회동TVR 개국.
  • 1988년 9월 1일, 삼척문화방송 노조 결성.
  • 1988년 12월 4일, AM출력 증강(1㎾→10㎾) 가허가.
  • 1989년 2월 23일, 제7대 대표이사 사장 박창신 취임.
  • 1989년 5월 15일, 호산TVR 개국.
  • 1990년 7월 4일, MBC 방송강령 선포식.
  • 1990년 7월 13일, AM10㎾ 시험전파 발사.
  • 1990년 9월 1일, AM 10㎾ 증강.
  • 1992년 1월 30일, 라디오송신소 이전 준공식(추암송신소).
  • 1992년 11월 11일, 삼척시 갈천동 111번지에서 신사옥 기공식.
  • 1993년 11월 18일, 보도전산 발표회.
  • 1994년 3월 4일, 제8대 대표이사 사장 이양길 취임.
  • 1994년 7월 9일, 삼척시 갈천동 111번지 신사옥 준공.
  • 1998년 1월 30일, 태백TV중계소 신축 건물 준공.
  • 1998년 2월 20일, 직제개편(3국 7팀에서 2 국 6팀).
  • 1998년 10월 12일, TV중계차 입소.
  • 1999년 3월 15일, 제 8,9 대 사장 이·취임식, 제 9 대 대표이사 사장 김동진 취임.
  • 1999년 8월 5일, 김대중 대통령과의 대담 참석(청와대) - 도내 MBC 4사 사장.
  • 1999년 9월 15일, 직제개편(2국 6팀→2국 6부).
  • 2000년 1월 27일, 제도개선팀 운영개시.
  • 2001년 3월 8일, 제10대 대표이사 사장 고영일 취임.
  • 2001년 4월 6일, 라디오 MIROS 1차 도입 설치(제작,편집,송출 시스템 아날로그→디지털 전환).
  • 2001년 6월 1일, 직제개편(2국 6팀 → 3국 7부 1실).
  • 2001년 8월 2일, 표준FM 함백산 송신소 스테레오화 (MONO → STEREO 변경허가 취득).
  • 2001년 9월 21일, 봉황산 표준FM중계소 개국 - 주파수 : 93.1㎒ 출력 : 3㎾.
  • 2002년 1월 30일, 특별기획 3부작 "동굴" 제1부 "세계의 동굴" 제작 방송.
  • 2002년 3월 28일, 특별기획 3부작 "동굴" 제2부 "한국의 동굴" 제작 방송.
  • 2002년 5월 17일, 특별기획 동해 세계캠핑캐라바닝 대회 취재.
  • 2002년 6월 9일, 2002년 FIFA 월드컵 취재 TV중계차 및 중계요원 파견.
  • 2002년 6월 27일, 특별기획 3부작 "동굴" 제3부 "신음하는 동굴" 제작 방송, 창사31주년 라디오 특집다큐멘터리 "북한 아리랑" 2부작 제작방송.
  • 2002년 7월 10일, 2002 삼척세계동굴엑스포 주관방송사 선정.
  • 2002년 9월 4일, 리스물건 "TV중계차 및 방송장비 25종" 매입.
  • 2002년 9월 6일, 제15호 태풍 "루사" 피해지역 4개시군 수재민을 돕기 위한 구호품 전달.
  • 2002년 9월 25일, 2002년 아시안 게임 TV중계차 및 중계요원 파견.
  • 2002년 10월 17일, 태백지사 신축공사 기공식, 삼척문화방송 특집다큐멘터리 "한국의 소나무" 제작 방송.
  • 2002년 11월 15일, 직제개편(3국1실7부 → 2국1실5부1지사).
  • 2002년 11월 29일, 제17회 전국MBC TV작품경연대회 "동굴 3부작" 촬영상 수상.
  • 2003년 6월 10일, 삼척문화방송 인터넷방송 AOD, VOD 서비스 실시.
  • 2003년 11월 6일, 삼척문화방송 태백지사 준공식.
  • 2004년 2월 2일, 삼척문화방송 인터넷서비스 전용회선 증속(10Mbps).
  • 2004년 3월 8일, 제11대 사장 양영철 취임.
  • 2004년 8월 18일, 중국 광서 북해시 전시대 우호교류 협의서 조인.
  • 2004년 11월 16일, 특집 다큐멘터리 "수해의 또 다른 얼굴, 흙의 재앙"으로 제2회 방송문화진흥회 공익프로그램상 장려상 수상.
  • 2005년 3월 11일, 제12대 사장 구영회 취임.
  • 2005년 12월 27일, 삼척문화방송 초록봉송신소 준공, 디지털TV 개국 (초록봉송신소: 물리채널 42, 출력 1㎾, 함백산중계소: 물리채널 14, 출력 1㎾).
  • 2006년 7월 15일, 봉황산송신소 초록봉 이설공사 준공.
  • 2007년 12월 21일, 지상파DMB방송개시 (CH 13A, 출력 2㎾).
  • 2008년 3월 4일, 제13대 대표이사 사장 신용진 취임.
  • 2010년 3월 15일, 제14대 대표이사 사장 문장환 취임.
  • 2010년 12월 31일, HD NPS 도입 / TAPELESS 시스템 구축.
  • 2011년 3월 7일, 제15대 대표이사 사장 임무혁 취임.
  • 2012년 10월 25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3년 10월 16일,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 디지털방송 주파수 재배치.
  • 2014년 2월 19일, 강릉MBC와의 합병 승인.
  • 2014년 3월 12일, 제16대 대표이사 사장 안우정 취임.
  • 2015년 1월 1일, MBC강원영동으로 출범.
  • 2016년 12월 22일, 우지 AM 송신소 준공.[1]
  • 2017년 3월 3일, 제17대 대표이사 사장 장근수 취임.
  • 2018년 2월 26일, 제18대 대표이사 사장 최중억 취임.
  • 2020년, 삼척방송국 스튜디오 철수(뉴스와 프로그램은 강릉으로 이관).
  • 2022년 9월 8일, AM 라디오 운용 일시 휴지(1350kHz, 10kW). FM방송 전환.
  • 2023년 3월 8일, AM 라디오 송출 종료(1350kHz, 10kW).
  • 2023년 6월 11일,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새천년도로 629-59 갈천동.

2. 1. 개국 초기 (1970년대)

1970년 7월 22일 체신부 허가 제12082호 무선국 허가를 취득하였다.[1] 12월 22일 동해방송주식회사(약칭 DBC)를 설립하고 초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이기영이 취임하였다.[1]

1971년 3월 27일 시험 전파를 발사하였고,[1] 4월 10일 주파수 1350kHz, 호출부호 HLAQ, 출력 1kW로 남양동 17번지 사옥에서 개국하였다.[1] 10월 1일 동해방송(주)에서 삼척문화방송(주)(약칭 MBC)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1] 12월 22일 제2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정태화가 취임하였다.[1]

1974년 10월 6일 삼척시 남양동 55-6번지 사옥 기공을 시작하였다.[1] 1975년 2월 23일 남양동 17번지에서 55-6번지로 사옥을 이전하였고,[1] 4월 12일 신축 사옥을 준공하였다.[1]

1977년 4월 25일 제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자본금 31700000KRW에서 18300000KRW 상당의 신주를 발행하여 총 자본금 50000000KRW을 한도로 발행하는 것을 결의하였다.[1] 5월 20일 신주를 발행하였다.[1] 1979년 7월 28일 사옥 증축 공사를 준공하였다.[1]

2. 2. 1980년대 ~ 1990년대

2. 3. 디지털 시대 (2000년대 ~ 현재)


  • 2000년 1월 27일, 제도개선팀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 2001년 3월 8일, 제10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고영일이 취임했다.
  • 2001년 4월 6일, 라디오 제작, 편집, 송출 시스템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하는 1차 MIROS를 도입했다.
  • 2001년 9월 21일, 봉황산 표준FM 중계소를 개국했다. (주파수: 93.1㎒, 출력: 3㎾)
  • 2002년, 특별기획 3부작 "동굴"을 제작 방송했다.
  • 1월 30일: 제1부 "세계의 동굴"
  • 3월 28일: 제2부 "한국의 동굴"
  • 6월 27일: 제3부 "신음하는 동굴"
  • 2002년 6월 9일부터 6월 26일까지, 2002년 FIFA 월드컵 취재를 위해 TV 중계차 및 중계 요원을 파견했다.
  • 2002년 7월 10일부터 8월 10일까지, 2002 삼척세계동굴엑스포 주관방송사로 선정되어 각종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전국에 방송했다.
  • 2002년 9월 6일, 제15호 태풍 "루사" 피해 지역 4개 시군 수재민을 돕기 위해 구호품을 전달했다.
  • 2002년 9월 25일부터 10월 14일까지, 2002 부산 아시안게임에 TV 중계차 및 중계 요원을 파견하여 핸드볼 경기를 중계했다.
  • 2002년 10월 17일, 태백지사 신축공사 기공식을 가졌다.
  • 2002년 11월 29일, 제17회 전국MBC TV작품경연대회에서 "동굴 3부작"이 촬영상을 수상했다.
  • 2003년 6월 10일, 삼척MBC 인터넷방송 AOD, VOD 서비스를 시작했다.
  • 2003년 11월 6일, 삼척MBC 태백지사가 준공되었다.
  • 2004년 3월 8일, 제11대 사장으로 양영철이 취임했다.
  • 2004년 8월 18일,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북해시 전시대와 우호 교류 협의서를 체결했다.
  • 2004년 11월 16일, 특집 다큐멘터리 "수해의 또 다른 얼굴, 흙의 재앙"으로 제2회 방송문화진흥회 공익프로그램상 장려상을 수상했다.
  • 2005년 3월 11일, 제12대 사장으로 구영회가 취임했다.
  • 2005년 12월 27일, 삼척MBC 초록봉송신소를 준공하고 디지털TV 방송을 개국했다. (초록봉송신소: 물리채널 42, 출력 1㎾, 함백산중계소: 물리채널 14, 출력 1㎾)
  • 2007년 12월 21일, 지상파DMB 방송을 개시했다. (CH 13A, 출력 2㎾)
  • 2008년 3월 4일, 제13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신용진이 취임했다.
  • 2010년 3월 15일, 제14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문장환이 취임했다.
  • 2011년 3월 7일, 제15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임무혁이 취임했다.
  • 2012년 10월 25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했다.
  • 2013년 10월 16일,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 디지털방송 주파수를 재배치했다.
  • 2014년 2월 19일, 강릉MBC와의 합병이 승인되었다.
  • 2014년 3월 12일, 제16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안우정이 취임했다.
  • 2015년 1월 1일, MBC강원영동으로 출범했다.
  • 2016년 12월 22일, 우지 AM 송신소를 준공했다.[1]
  • 2017년 3월 3일, 제17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장근수가 취임했다.
  • 2018년 2월 26일, 제18대 대표이사 사장으로 최중억이 취임했다.
  • 2020년, 삼척방송국 스튜디오를 철수하고 뉴스와 프로그램 제작을 강릉으로 이관했다.
  • 2022년 9월 8일, AM 라디오 운용을 일시 휴지하고(1350kHz, 10kW) FM 방송으로 전환했다.
  • 2023년 3월 8일,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했다(1350kHz, 10kW).
  • 2023년 6월 11일,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새천년도로 629-59 갈천동.

3. 방송 프로그램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은 TV 방송과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 TV 방송



; 라디오 방송

3. 1. TV 방송

일 10분20:20 ~ 20:45
20:10 ~ 20:20성스리



;교양·예능

3. 2. 라디오 방송

(춘천 수중계)오후의 발견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매일2시간성스리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아나운서)


3. 2. 1. MBC강원영동 삼척 라디오 (강릉에서 진행)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라디오 동서남북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평일55분민기원
MBC 정오종합뉴스5분민기원
MBC 15시 뉴스5분성스리


3. 2. 2. MBC강원영동 삼척 FM4U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초록봉FM 99.9MHz1kWHLAQ-FM
호산FM 99.9MHz불명없음
함백산FM 98.1MHz3kW없음


4. 방송 송출 시설망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은 디지털 TV 방송과 라디오 방송 송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 TV 방송은 2005년 12월 27일 개국했으며, 강원 영동 남부 지역과 경북 북부 일부를 가시청권역으로 한다. 송출 시설은 초록봉 송신소를 비롯해 봉황산, 호산, 함백산, 도계, 황지, 장성, 통리, 사북, 증산, 정선, 회동, 여량, 화암, 임계, 예미 중계소 등이 있다.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0월 25일 종료되었으며, 초록봉, 봉황산, 함백산, 호산, 도계, 황지, 장성, 상동, 사북, 정선, 회동, 여량 등지에 송신소 및 중계소가 있었다.

라디오 방송은 AM 라디오 1채널과 FM 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며, 강원영동 남부와 경상북도 북부 일부 지역을 가청권으로 한다. 송출 시설로는 초록봉, 호산, 태백산 등에 송신소와 중계소가 있다.

4. 1. TV 방송

1983년 10월 17일 초록봉TV송신소 설치 후, 1987년 11월 27일 삼척방송국 TV연주소를 갖추면서 개국하였다. 2005년 12월 27일 디지털 TV방송을 개국, 강원 영동 남부 및 경북 북부 일부를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한다.

송신소물리채널출력송신소 위치비고
초록봉 송신소CH 421kW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봉황산 중계소CH 2790W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
호산 중계소CH 265W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함백산 중계소CH 141kW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9
도계 중계소CH 2920W강원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 산2-1
황지 중계소CH 4520W강원 태백시 소도동 산55
장성 중계소CH 2620W강원 태백시 장성동 산1
통리 소출력CH 140.05W강원 태백시 통동 69-8[2]
사북 중계소CH 4850W강원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산155-5 지장산
증산 소출력CH 140.05W강원 정선군 남면 무릉리[2]
정선 중계소CH 4620W강원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산5-1 비봉산
회동 중계소CH 2620W강원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염소산
여량 중계소CH 2620W강원 정선군 북평면 장열리 산33
화암 중계소CH 2620W강원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 산383
임계 중계소CH 425W강원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616 (말루동)
예미 중계소CH 3220W강원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 산4-8



;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송신소채널출력
초록봉(草綠峰)K-22ch5kW
봉황산(鳳凰山)K-5ch10W
함백산(咸白山)K-43ch5kW
호산(湖山)K-41ch10W
도계(道渓)K-6ch10W
황지(黄池)K-5ch10W
장성(長省)K-41ch100W
상동(上東)K-6ch10W
사북(舍北)K-6ch10W
정선(旌善)K-6ch10W
회동(檜洞)K-47ch100W
여량(余糧)K-33ch100W


4. 2. 라디오 방송

1971년 4월 10일 동해방송으로 AM라디오 방송을 개국하였다. 이후 1986년 7월 28일 FM라디오방송 등을 차례로 개국하였다.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강원영동 남부와 경상북도 북부 일부지역을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MBC강원영동 삼척 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초록봉 송신소FM 93.1㎒3㎾HLAQ-SFM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호산 중계소FM 93.1㎒1㎾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태백산 중계소FM 101.5㎒1㎾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9
MBC강원영동 삼척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초록봉 송신소FM 99.9㎒1㎾HLAQ-FM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호산 중계소FM 99.9㎒1㎾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태백산 중계소FM 98.1㎒3㎾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9


4. 2. 1. MBC강원영동 삼척 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초록봉 송신소FM 93.1㎒3㎾HLAQ-SFM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호산 중계소FM 93.1㎒1㎾HLAQ-SFM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태백산 중계소FM 101.5㎒1㎾HLAQ-SFM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9


4. 2. 2. MBC강원영동 삼척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비고
초록봉 송신소FM 99.9㎒1㎾HLAQ-FM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호산 중계소FM 99.9㎒1㎾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태백산 중계소FM 98.1㎒3㎾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9


4. 3. 지상파 DMB

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강릉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지상파 DMB를 운영하고 있다. 호출 부호는 HLAN-TDMB이다.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대룡산K-13Ach ()2kW
대암산500W
백운산2kW
태기산2kW
양양90W
갑방산2kW
초록봉90W
호산20W
함백산2kW


5. 역대 사장

대수이름재임 기간
1이기영1970년 12월 ~ 1971년 12월
2정태화1971년 12월 ~ 1980년 2월
3김형준1980년 2월 ~ 1981년 1월
4노서을1981년 1월 ~ 1984년 2월
5이대섭1984년 2월 ~ 1986년 3월
6곽노환1986년 3월 ~ 1989년 2월
7박창신1989년 2월 ~ 1994년 3월
8이양길1994년 3월 ~ 1999년 3월
9김동진1999년 3월 ~ 2001년 3월
10고영일2001년 3월 ~ 2004년 3월
11양영철2004년 3월 ~ 2005년 3월
12구영회2005년 3월 ~ 2008년 3월
13신용진2008년 3월 ~ 2010년 3월
14문장환2010년 3월 ~ 2011년 2월
15임무혁2011년 3월 ~ 2014년 3월
16안우정2014년 3월 ~ 2017년 3월
17장근수2017년 3월 ~ 2018년 1월
18최중억2018년 2월 ~ 2021년 3월
19한정우2021년 3월 ~ 현재


6. 본사·지사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새천년도로 629-59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BC강원영동 연혁 페이지 https://www.mbceg.co[...]
[2] 웹인용 디지털TV 방송 수신 정보 시스템 http://211.43.210.46[...] 2013-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