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EAP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EAP(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 네트워크 및 사용자 그룹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EAP는 크로스 플랫폼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여러 운영 체제를 가진 다양한 모바일 장치에 모바일 앱을 개발, 배포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트너는 기업이 세 개 이상의 모바일 앱, 운영 체제 또는 백엔드 데이터 소스를 지원해야 할 때 MEAP 접근 방식을 고려한다고 언급했다. MEAP는 모바일 미들웨어 서버와 모바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며, 여러 모바일 장치 및 운영 체제를 지원할 수 있으며, 통합 연결, 보안 및 앱 관리를 제공한다. MEAP는 로우코드/노코드 도구를 제공하고 원격 장치 관리 및 오프라인 기능을 지원하며, 기존 비즈니스 플랫폼을 향상시키지만, 벤더 종속 및 사용자 정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바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도구 - 자마린
    자마린은 C#을 사용하여 iOS, Android, macOS, Windows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앱을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크로스 플랫폼 개발 도구로서, .NET 개발자들이 네이티브 API에 접근하고 코드 재사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며, Xamarin.Forms, Xamarin.iOS, Xamarin.Android, Xamarin.Mac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모바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도구 - 어도비 AIR
  •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 정보 아키텍처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 및 정보 기술 분야에서 공유 정보 환경의 구조적 설계를 의미하며, 웹사이트, 소프트웨어 등의 구성과 레이블링을 포함하여 검색 용이성과 사용성을 지원하고, 도서관정보학에 기원을 두고 있다.
  •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 솔루션 아키텍처
    솔루션 아키텍처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지침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등의 기술 요소를 통합하고 특정 비즈니스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솔루션을 설계하며, 솔루션 아키텍트는 기술적 비전 제시, 기술 부채 감소, 기술적 위험 완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모바일 소프트웨어 - 구글 워크스페이스
    구글 워크스페이스는 구글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생산성 및 협업 도구 모음으로, Gmail, 구글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며, 마이크로소프트 365와 경쟁하며 생성형 AI 기능을 도입했다.
  • 모바일 소프트웨어 - 웨이즈
    웨이즈는 사용자 참여형 실시간 교통 정보 기반 내비게이션 앱으로, 정확한 길 안내와 다양한 기능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정보 공유 논란, 개인 정보 문제, 보안 취약성 및 국가 안보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MEAP

2. MEAP의 목적 및 기능

MEAP는 배포 시점과 모바일 컴퓨팅 기술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다양한 장치, 네트워크 및 사용자 그룹을 관리함으로써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독립 실행형 앱과 달리 개발자와 최종 사용자 모두에게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2. 1. 크로스 플랫폼 지원

크로스 플랫폼 유틸리티는 MEAP를 사용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기업은 MEAP를 사용하여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안드로이드(운영 체제)나 iOS 등 다양한 운영 체제를 갖춘 여러 종류의 모바일 장치에 배포하며, 지속적인 테스트를 통해 유지 관리할 수 있다.[2][3] 지원되는 장치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및 일부 개조된 휴대용 게임 콘솔 등이 포함된다. MEAP는 이상적으로 기본 기계어비즈니스 로직을 변경하지 않고 동시에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플랫폼의 주요 대상 고객은 자체 인프라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이다. 이 인프라는 온-프레미스(오프라인), 클라우드 컴퓨팅(온라인) 또는 이 둘을 혼합한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2][3]

또한, 모바일 플랫폼은 개발 및 유지 관리 주기를 가속화하기 위해 고급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을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기도 한다.[4]

2. 2. 가트너의 'Rule of Three'

가트너는 기업들이 다음의 경우에 MEAP 접근 방식을 고려한다고 언급했다.

# 세 개 이상의 모바일 앱을 지원해야 할 때

# 세 개 이상의 모바일 운영 체제 (OS)를 지원해야 할 때

# 최소 세 개의 백엔드 데이터 소스와 통합해야 할 때

가트너는 이러한 상황에서 공통적인 모빌리티 플랫폼을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5]

3. MEAP의 구성 요소 및 기능

(내용 없음)

3. 1. 구조

클라우드 인프라 MEAP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미들웨어 서버와 모바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이렇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미들웨어 서버는 시스템 통합, 보안, 통신, 확장성, 여러 플랫폼 간 호환성 지원 등을 담당한다. 미들웨어 서버 자체에는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백엔드 시스템의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로 보내고 받는 과정을 관리한다.

모바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플랫폼이나 미들웨어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백엔드 로직(기능 처리)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모바일 운영 체제에서도 실행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모바일 앱은 보통 사용자의 장치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인 '두꺼운 클라이언트(Thick Client)' 또는 '네이티브 앱' 형태로 배포된다. 웹 브라우저 기술인 HTML5 등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되는 '얇은 클라이언트(Thin Client)'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어떤 방식으로 앱을 만들지는 앱의 복잡성, 지원해야 할 장치의 종류, 사용자 경험(UX)에 대한 요구 수준, 그리고 인터넷 연결 없이도 앱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지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된다.[6]

3. 2. 주요 기능

MEAP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기기, 네트워크, 사용자 그룹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배포 시점부터 모바일 컴퓨팅 기술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다. 독립 실행형 앱과 달리, MEAP는 개발자와 최종 사용자 모두에게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크로스 플랫폼 지원은 MEAP를 사용하는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이다. 기업은 MEAP를 활용하여 모바일 앱을 한 번 개발한 후,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심지어 일부 개조된 휴대용 게임 콘솔과 같은 여러 종류의 모바일 장치에 배포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MEAP는 기본 기계어비즈니스 로직을 변경하지 않고도 동시에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주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온프레미스(오프라인), 클라우드 컴퓨팅(온라인), 또는 이 둘을 혼합한 방식으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2][3]

모바일 플랫폼은 개발 및 유지 관리 주기를 단축하기 위해 고급 언어를 사용한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기도 한다.[4] MEAP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별도의 코드 세트를 유지할 필요 없이 여러 종류의 모바일 장치 및 운영 체제를 지원할 수 있다.[7]
  • 일반적으로 통합된 연결, 보안 및 앱 관리 기능이 지원되는 모바일 미들웨어 서버를 포함한다.
  • 대부분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하며, 이클립스와 같은 산업 표준 통합 개발 환경(IDE)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 일부 도구는 JavaScript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 SDK(도조 툴킷, YUI 라이브러리, jQuery 모바일, 센차 터치 등)와 함께 아파치 코르도바(이전 폰갭)나 앱셀러레이터 같은 하이브리드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지리적 위치, 연결 상태, 가속도계, 카메라, G 센서, 이벤트, 파일 시스템 접근 등 다양한 기기 API를 IDE 플러그인 형태로 캡슐화하여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정의 애플리케이션은 4세대 프로그래밍 언어 코딩이나 네이티브 코딩 없이도 대부분의 모바일 장치 기능을 활용하여 어디서든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다.
  • 모바일 워크플로우 및 내장된 기능 정의 원칙을 발전시켜, 4세대 프로그래밍 언어 도구를 넘어 그래픽 환경과 전용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한다.[8]
  • 백엔드 시스템의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 여러 서버 데이터 소스와 통합된다.
  • 개발자가 이미 알고 있는 개발 기술과 도구, 그리고 기존의 전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다. 실제 장치 관리는 주로 기업 내부 사용(B2E) 시나리오에 맞춰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 관리(MDM) 솔루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부 MEAP는 MDM과 통합하여 장치 기능을 활성화하기도 한다.
  • 기존 비즈니스 플랫폼의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9]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로우코드/노코드 도구를 제공하여 개발 장벽을 낮춘다.
  • 원격 장치 관리 및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작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강력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MEAP는 특정 벤더에 대한 종속성이 발생하거나 사용자 정의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는 단점도 가진다.

참조

[1] 간행물 "Magic Quadrant for 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http://www.gartner.c[...] Gartner 2008-12-18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torage.slalo[...] 2011-08-08
[3] 웹사이트 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s: A primer http://searchmobilec[...] Searchmobilecomputing.techtarget.com 2013-05-08
[4] 웹사이트 Mobile & Web Development Company - Surf https://surf.dev/ 2023-12
[5] 간행물 Gartner RAS Core Research Gartner 2011-04-20
[6] 웹사이트 Going Mobile: Thick or Thin Client? https://www.mightyby[...] 2024-11-27
[7] 웹사이트 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 (MEAP) https://www.e-zest.c[...] 2024-11-27
[8] 웹사이트 MSP, Mobile Service Platform http://i-rose.si/mob[...] 2013-12-26
[9] 웹사이트 Many-device-to-many-platform Mobile App Integration is No Longer a Challenge http://www.configure[...] Configure.IT 2014-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