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emtest8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emtest86은 컴퓨터의 RAM(Random Access Memory)의 오류를 검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1994년 크리스 브래디가 개발했으며, 이후 Memtest86+라는 포크 버전이 등장했다. Memtest86+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에 따라 소스 코드가 공개되었으며, 2020년에 개발이 재개되어 현재까지 GPL 라이선스를 유지하고 있다. 2013년에는 크리스 브래디가 MemTest86을 PassMark에 매각하여 UEFI 부팅을 지원하는 독점 소프트웨어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기존 GPL 라이선스 버전도 업데이트되었다. Memtest86은 모든 메모리 주소에 테스트 패턴을 기록하고 다시 읽어들여 비교하는 방식으로 메모리 오류를 검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도우용 유틸리티 - CCleaner
    CCleaner는 윈도우, macOS, 안드로이드에서 컴퓨터 최적화 및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으로, 불필요한 파일 삭제, 레지스트리 정리, 프로그램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시스템 성능 향상에 기여하지만 데이터 수집, 번들 소프트웨어 등의 논란도 있다.
  • 윈도우용 유틸리티 - 작업 관리자 (윈도우)
    작업 관리자(Windows)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 시스템 성능, 시작 프로그램 등을 관리하는 도구이며, 프로세스 종료, 성능 모니터링, 시작 프로그램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어셈블리어 소프트웨어 - 터보 파스칼
    필립 칸이 개발하고 안데르스 헤일스베르그가 기반을 다진 터보 파스칼은 저렴한 가격, 빠른 컴파일, 사용하기 쉬운 IDE를 특징으로 1980년대 PC 프로그래밍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여러 기능 추가를 거쳐 델파이 등장 후 레거시 기술이 되었고 일부 버전은 프리웨어로 배포된다.
  • 어셈블리어 소프트웨어 - MS-DOS
    MS-DOS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개인용 컴퓨터용 디스크 운영 체제로, IBM PC의 표준 운영 체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단일 작업 환경과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 컴퓨터 메모리 -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쓰기 및 삭제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로, 마스오카 후지오 박사가 발명하여 카메라 플래시와 유사한 소거 방식으로 인해 명명되었으며, NOR형과 NAND형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분야에 적용된다.
  • 컴퓨터 메모리 - 메모리 계층 구조
    메모리 계층 구조는 CPU 데이터 접근 속도 향상을 위해 레지스터, 캐시, RAM, 보조 기억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속도, 용량, 비용이 다른 계층들을 통해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Memtest86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MemTest86 정보
수많은 통계를 표시하고 있는 파란 텍스트 모드 화면
MemTest86의 스크린샷
개발패스마크 소프트웨어
최초 출시일1994년
최신 안정 버전8.3
최신 안정 버전 출시일2019년 11월 22일
프로그래밍 언어C
어셈블리어
지원 운영체제운영체제 없이 독립적으로 부팅 가능
지원 플랫폼x86
x64
지원 언어 수11개
지원 상태개발 중
라이선스프로프라이어티
웹사이트MemTest86 공식 웹사이트
Memtest86+ 정보
수많은 통계를 표시하고 있는 파란 텍스트 모드 화면
Memtest86+의 스크린샷
개발자사무엘 드묄뫼스테르
최초 출시일2004년 초
최신 안정 버전7.20
최신 안정 버전 출시일2024년 11월 11일
최신 평가 버전6.00 Beta 1
최신 평가 버전 출시일2022년 5월 2일
프로그래밍 언어C
어셈블리어
지원 운영체제운영체제 없이 독립적으로 부팅 가능
지원 플랫폼x86
x64
라이선스GPL v2.0
웹사이트Memtest86+ 공식 웹사이트
저장소Memtest86+ 다운로드 페이지
지원 언어영어

2. 역사

MemTest86은 1994년 크리스 브래디(Chris Brady)가 개발했다.[5] C와 x86 어셈블리어로 작성되었으며, 소스 코드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로 공개되어 있다. 부트로딩 코드는 리눅스 1.2.1에서 가져왔다.[8] 프로그램은 위치 독립 코드로 컴파일되어 메모리 영역 전반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9]

MemTest86 2.3과 Memtest86+ 1.60부터는 리눅스 커널용 BadRAM 패치에서 예측되는 포맷으로 불량 RAM 영역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11][12] GRUB을 사용하면 패치되지 않은 커널에서도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BadRAM 패치가 필수는 아니다.[13]

MemTest86은 플로피 디스크, CD-ROM, USB 메모리 등을 통해 부트로더에서 실행되며, 운영 체제(OS) 없이 작동한다. 따라서 운영 체제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접근하지도 않는다. 부팅 후 즉시 자동으로 테스트가 시작되며, 사용자가 중단하지 않는 한 계속해서 반복 실행된다. 테스트 완료 시간은 메모리 용량과 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구형 시스템인 80386, 80486부터 최신 CPU까지 다양한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2. 1. 개발 초기

MemTest86은 1994년 크리스 브래디(Chris Brady)가 개발하였다.[5] 이 프로그램은 C와 x86 어셈블리어로 작성되었으며, 초기 부트로딩 코드는 리눅스 1.2.1에서 가져왔다.[8]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에 따라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다.

2. 2. Memtest86+의 등장

2002년 MemTest86 버전 3.0 이후 개발이 2년간 중단되자, Samuel Demeulemeester는 더 새로운 CPU 및 칩셋을 지원하기 위해 Memtest86+ 포크(fork)를 개발하였다.[6][7] Memtest86+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로 공개되어 있으며, 현행의 멀티 코어 CPU 및 호환 칩셋을 지원한다.[10][7] Memtest86+는 C와 x86 어셈블리어로 작성되었으며, 부트로딩 코드는 리눅스 1.2.1에서 비롯된 것이다.[8]

2. 3. PassMark로의 매각과 변화

2013년 2월, 크리스 브래디는 MemTest86을 패스마크(PassMark)에 매각했다.[5] 패스마크는 UEFI 부팅을 지원하는 새로운 버전(5.0)을 출시했으며, 이는 독점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배포되었다.[2] 기존의 GPL 라이선스 버전은 4.3.7까지 업데이트되었다.[5] 버전 5.0 (2013년 12월 3일)은 UEFI 부팅을 위해 다시 작성되어 안전 부팅 승인과 마우스 지원을 가능케 한다. 모든 UEFI 버전은 사유 프리웨어 라이선스로 공개된다. UEFI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버전 5.0 이상에서 BIOS 부팅으로 회귀하여 구 버전 4.3.7을 불러들인다.

버전 6.0.0 (2015년 12월 13일)은 DDR4 RAM 지원, 김윤구 등의 연구에 기반한 row-hammer 테스트를 추가한다.[5] 패스마크는 Memtest86이라는 명칭에 대한 상표를 취득했다.[3]

2. 4. MemTest86+ 개발 재개

Memtest86+는 개발이 오랫동안 중단되었다가 2020년에 개발이 재개되었다. memtest.org의 공식 사이트에서 CD-ROM 부팅용 ISO 파일 및 USB 메모리 부팅용 윈도우 버전을 내려받을 수 있다. Memtest86+는 현재도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 라이선스를 유지하고 있다.[2]

3. 작동 원리

MemTest86은 모든 메모리 주소에 테스트 패턴을 기록하고, 이를 다시 읽어들여 비교하는 방식으로 메모리 오류를 검출한다.[1]

4. 특징

플로피 디스크, CD-ROM, USB 메모리 중 하나를 사용하여 부트로더에서 운영 체제 없이 부팅하여 실행된다. 운영 체제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접근하지 않는다.[1]

부팅 후 즉시 테스트가 자동으로 시작되며, 사용자가 중단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반복 실행된다.

80386, 80486부터 최신 CPU까지 지원하며, 새로운 칩에 대한 지원을 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된다.

5. 알려진 문제점

Memtest86에는 원본인 Memtest86과 파생품인 Memtest86+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실행 시 화면 구성 및 표시가 매우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다.[1]

버전 3.5 이전에는 4GB 이상의 메모리를 탑재한 컴퓨터에서 실행에 실패하는 경우가 보고되었지만, 버전 4.0에서 개선되었다.[1]

메모리 자체는 고장나지 않았더라도, 메모리에 연결되어 제어를 담당하는 마더보드 측에 문제가 있는 경우 메모리 오류로 판단될 수 있다.[1] 메모리에 문제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을 경우에도 (실제로 메모리가 고장났을 가능성을 포함하여) 칩셋의 고장이나 메모리 슬롯의 접촉 불량, BIOS의 문제 등, 상황에 맞는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1]

6. 한국의 관점

Memtest86은 한국의 IT 환경에서 메모리 오류를 진단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메모리 오류는 시스템 불안정 및 데이터 손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며,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안정적인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해 이러한 진단 도구의 활용을 권장한다.

Memtest86에는 원본 Memtest86과 파생 버전인 Memtest86+ 두 가지 주요 버전이 있다. 두 버전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기능 면에서 매우 유사하여 일반 사용자가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1] 초기 버전(3.5 이전)에서는 4GB 이상의 메모리를 가진 시스템에서 실행 문제가 보고되기도 했으나, 버전 4.0에서 개선되었다.[2]

메모리 오류 진단 시, 실제 메모리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마더보드의 칩셋 고장, 메모리 슬롯 접촉 불량, BIOS 문제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3] 따라서 Memtest86 결과 해석 시에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MemTest86 now maintained by PassMark Software http://betanews.com/[...] 2014-06-13
[2] 웹사이트 PassMark MemTest86 - Memory Diagnostic Tool http://www.memtest86[...] 2014-06-13
[3] 웹사이트 MEMTEST86 Trademark Application of PassMark Software Pty Ltd - Serial Number 86138100 :: Justia Trademarks http://trademarks.ju[...] 2014-06-13
[4] 웹인용 MemTest86 Technical Information PassMark Software 2015-10-22
[5] 웹인용 MemTest86 History https://web.archive.[...] 2019-05-11
[6] 웹인용 MemTest86 Support https://www.memtest8[...]
[7] 웹인용 Memtest86+ History http://www.memtest.o[...]
[8] 웹인용 bootsect.S - chromiumos/third_party/memtest - Git at Google https://chromium.goo[...]
[9] 웹인용 README.build-process - chromiumos/third_party/memtest - Git at Google https://chromium.goo[...]
[10] 웹인용 MemTest86 Support https://www.memtest8[...]
[11] 웹사이트 https://www.memtest8[...]
[12] 웹사이트 http://www.memtest.o[...]
[13] 웹인용 GNU GRUB Manual 1.99 § Badram https://www.gnu.org/[...]
[14] 웹인용 Flipping Bits in Memory Without Accessing Them: An Experimental Study of DRAM Disturbance Errors https://web.archive.[...] 카네기 멜런 대학교 2015-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