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는 자유 소프트웨어에 널리 사용되는 라이선스이다. 리처드 스톨만이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했으며, 소프트웨어의 사용, 복제, 수정, 배포의 자유를 보장하는 카피레프트 조항을 특징으로 한다. GPL은 GPLv1(1989), GPLv2(1991), GPLv3(2007) 등의 버전으로 발전해왔으며, 각 버전마다 특허 관련 조항, 라이선스 호환성, DRM 방지 등의 변화가 있었다. GPL은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 "바이러스성" 비판, 복잡성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NU 프로젝트 -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GPL)는 GPL과 달리 비(L)GPL 프로그램에 저작물을 링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자유 및 사유 소프트웨어에 적용 가능하며 특정 조건 하에 배포를 허용하고, 라이브러리 사용 프로그램이 LGPL의 새 버전과 링크될 수 있도록 공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 제공 방법을 활용한다.
  • GNU 프로젝트 - GNU 선언문
    GNU 선언문은 리처드 스톨먼이 GNU 프로젝트를 알리고,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공유와 발전을 통해 모든 사용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목표와 철학을 담은 문서이다.
  • 자유 저작물 사용권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는 창작자가 저작물 이용을 특정 조건하에 허락하는 라이선스 체계로, 저작자표시(BY), 비영리(NC), 변경금지(ND), 동일조건변경허락(SA) 등의 조건을 조합하여 다양한 라이선스를 제공하며, 국제 공통 라이선스로 개발되고 있다.
  • 자유 저작물 사용권 -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든 카피레프트 라이선스로, 문서 저작물의 자유로운 사용, 수정, 배포를 보장하지만, 2차 저작물에도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하고 원저작자 표시 등의 조건을 요구하며, GPL과의 비호환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카피레프트 소프트웨어 사용권 -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GPL)는 GPL과 달리 비(L)GPL 프로그램에 저작물을 링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자유 및 사유 소프트웨어에 적용 가능하며 특정 조건 하에 배포를 허용하고, 라이브러리 사용 프로그램이 LGPL의 새 버전과 링크될 수 있도록 공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 제공 방법을 활용한다.
  • 카피레프트 소프트웨어 사용권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는 창작자가 저작물 이용을 특정 조건하에 허락하는 라이선스 체계로, 저작자표시(BY), 비영리(NC), 변경금지(ND), 동일조건변경허락(SA) 등의 조건을 조합하여 다양한 라이선스를 제공하며, 국제 공통 라이선스로 개발되고 있다.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일반 정보
GNU GPLv3 로고
GNU GPLv3 로고
저자리처드 스톨만
버전3
저작권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발표일2007년 6월 29일
OSI 승인
데비안 승인
FSF 승인
카피레프트
웹사이트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라이선스 세부 사항
연결GPL 호환 라이선스 하에 라이선스된 소프트웨어만 해당 (LGPL 제외)
SPDX 식별자GPL-3.0-or-later
GPL-3.0-only
GPL-2.0-or-later
GPL-2.0-only
GPL-1.0-or-later
GPL-1.0-only
기타
비고GNU AGPLv3 소프트웨어를 GNU GPLv3 소프트웨어와 링크하는 것은 가능

2. GPL의 유래

미국의 리처드 스톨만이 GNU 프로젝트로 배포된 프로그램의 라이선스로 사용하기 위하여 GPL을 작성하였다. 이는 Emacs, GNU 디버거(GDB), GNU 컴파일러 모음(GCC)에서 사용된 라이선스의 초기 판을 통합한 것이다.[9][10] 이 라이선스들은 현재 GPL과 비슷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각 프로그램에 특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서로 호환되지 않았다.[11] 스톨만은 모든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라이선스를 만들어 여러 프로젝트에서 코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저작권 형태로 1989년 1월에 GPL이 처음 발표되었다.

1990년에는 몇몇 라이브러리에서 전략적으로 규제를 완화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났고, 이에 대한 조치로 라이브러리-GPL(LGPL, Library General Public License)이 만들어졌다. 1991년 6월에 배포된 GPL의 두 번째 판에 따라 LGPL도 두 번째 판으로 같은 번호를 붙여 두 라이선스가 상호보완적임을 나타냈다. 1999년에는 ''LGPL''이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esser General Public License)로 이름을 바꾸면서 2.1판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구성원들 사이에서 GPLv2 라이선스에 문제가 있어 누군가가 라이선스의 의도에 반하는 방식으로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12] 이러한 문제점에는 티보화 (수정된 소프트웨어 버전을 실행하는 것을 거부하는 하드웨어에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포함시키는 것), AGPL (v1)과 유사한 호환성 문제, 마이크로소프트 간의 특허 거래 등이 있었다.

이러한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버전 3이 개발되었으며, 2007년 6월 29일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13]

3. GPL의 주요 내용 및 특징

GPL은 사용자에게 소프트웨어 사용, 복제, 수정, 배포의 자유를 보장한다. 핵심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카피레프트 조항: GPL 코드가 포함된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GPL로 배포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자유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확장된다.[47]
  • 소스 코드 공개 의무: GPL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는 반드시 공개되어야 하며, 이는 투명성과 사용자 참여를 촉진한다.[44]
  • 상업적 이용 허용: GPL 하의 소프트웨어는 상업적 목적을 포함하여 모든 목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GPL 라이선스된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독점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43]
  • GPLv3의 개선 사항:
  • 소프트웨어 특허 문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호환성, "소스 코드" 정의, 티보화와 같은 하드웨어 제한에 대한 대응 등이 개선되었다.[19][21]
  • 아파치 라이선스 버전 2.0과의 호환성이 향상되었다.[36]
  • WIPO 저작권 조약의 제11조에 정의된 유효한 "기술적 보호 조치"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사용자가 미국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 (DMCA)과 같은 법률에 따라 GPLv3 라이선스된 코드를 사용하여 구현된 DRM을 우회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46]


GPL은 라이선스로 설계되었으며 계약으로 설계되지 않았다.[50] 하지만 2017년 4월, 미국 연방 법원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가 강제력을 갖는 계약이라고 판결했다.[53] 2021년 10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SFC)은 Vizio TV의 소스 코드를 요청한 최종 사용자가 계약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연방 판사는 GPL이 저작권 소유자뿐만 아니라 최종 사용자에 의해서도 강제력을 갖는 계약이자 라이선스라는 중간 판결을 내렸다.[54]

3. 1.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다섯 가지 의무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는 누구에게나 다음의 다섯 가지 의무를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서 강제한다.[187][184]

번호내용
1컴퓨터 프로그램을 어떠한 목적으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법으로 제한하는 행위는 할 수 없다.
2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복사본은 언제나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와 함께 판매하거나 소스코드를 무료로 배포해야 한다.
3컴퓨터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용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4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반드시 공개 배포해야 한다.
5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반드시 똑같은 라이선스를 취해야 한다. 즉, GPL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한다.


3. 2. 라이브러리 관련 조항

FSF는 GP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독점 프로그램이 GPL을 위반하는지에 대한 논쟁에 대해, 동적 링크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실행 파일은 파생 저작물이라고 주장한다.[42] 라이브러리에 대해서는 약화된 GPL 라이선스(LGPL)가 전략적으로 유용하다는 의견에 따라 LGPL가 만들어졌다.

4. GPL 버전별 역사

리처드 스톨만은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989년에 GPL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 허가서는 GNU Emacs(1985),[9] GNU 디버거, GNU C 컴파일러에 사용된 초기 라이선스를 통합한 것이다.[10] 이 초기 라이선스들은 현대의 GPL과 유사한 조항을 포함했지만, 각 프로그램에 특화되어 서로 호환되지 않았다.[11] 스톨만은 모든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라이선스를 만들어, 여러 프로젝트가 코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91년에 GPL 버전 2(GPLv2)가 공개되었다. 1990년에 이르러 몇몇 라이브러리에서 전략적으로 규제를 약화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났고, 이에 대한 조치로 GNU 라이브러리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GPL)가 만들어졌다. LGPL은 1991년 6월에 배포된 GPLv2와 같은 버전 번호를 부여받아 두 라이선스가 상호보완적임을 나타냈다. 1999년에는 LGPL이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GPL)로 이름을 바꾸면서 2.1판으로 버전 번호가 변경되었다.

2005년 후반,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은 GPL 버전 3(GPLv3)을 개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06년 1월 16일 GPLv3의 첫 번째 초안이 발표되었고, 2007년 6월 29일에 GPLv3가 정식 발표되었다.

4. 1. GPLv1 (1989년)

리처드 스톨만은 GNU 프로젝트로 배포된 프로그램의 라이선스로 사용하기 위해 GPL의 첫 버전을 작성하였다. 이 버전은 GNU Emacs, GNU 디버거(GDB), GNU 컴파일러 모음(GCC)에서 사용된 초기 라이선스들의 통합에 기반한다.[10] 이 라이선스들은 GPL과 유사한 조항을 포함했지만, 각 프로그램에 고유한 라이선스였기 때문에 서로 호환되지 않았다.[11] 스톨만은 어떤 프로그램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라이선스를 만들어 여러 프로젝트에서 코드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1989년 1월에 GPLv1이 발표되었다.[14]

GPLv1은 자유 소프트웨어의 두 가지 중요한 자유를 보장했다. 첫째,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지 않고 바이너리 파일만 배포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를 위해 GPLv1은 프로그램을 배포할 때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소스 코드를 함께 배포해야 한다는 조건을 포함했다. 둘째, 프로그램에 추가적인 제약을 가하는 것을 방지했다. GPLv1 프로그램을 수정한 프로그램은 원본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GPLv1을 따라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되었다.

4. 2. GPLv2 (1991년)

리처드 스톨만은 GPLv2의 주요 변경 사항으로 "자유 아니면 죽음" 조항(7조)을 꼽았다.[11] 이 조항에 따르면, 다른 법적 의무가 있더라도 라이선스의 모든 의무를 충족할 수 있는 경우에만 GPL 저작물을 배포할 수 있다. 즉, 특허 등으로 인해 소스 코드 공개가 불가능하여 실행 바이너리만 배포하려는 경우, 실행 바이너리 배포도 금지된다.[11] 이는 특허 등을 통해 라이선스에 따른 사용자의 자유를 침해하려는 시도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C 라이브러리 등 기존 독점 라이브러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에 대해서는 좀 더 완화된 라이선스가 전략적으로 유용하다는 의견이 많아졌다.[16] 이에 따라 1991년 6월 GPLv2와 함께 GNU 라이브러리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GPL)가 발표되었다.[17] 두 라이선스는 상호 보완적임을 나타내기 위해 버전 2로 번호가 매겨졌다. 1999년에는 LGPL v2.1이 발표되면서 GNU 덜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GP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4. 3. GPLv3 (2007년)

2005년 후반,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은 GPL 버전 3 (GPLv3)의 제정을 발표했다.[192] 2006년 1월 16일, GPLv3의 첫 번째 '토론용 초안'이 공개되었고,[193] 공개 협의 프로세스가 시작되었다. GPLv3는 리처드 스톨만이 작성하고 에벤 모글렌 및 Software Freedom Law Center(SLFC)의 법적 자문을 받았다.[194]

공개 협의 프로세스는 FSF를 조정자, SFLC,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FSFE)[195] 및 기타 자유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의 지원하에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gplv3.fsf.org'[196]라는 웹 포털 사이트가 개설되었고, 이를 통해 많은 일반 사용자들의 코멘트가 수집되었다.[202]

공개 협의 프로세스를 거쳐 초안에 962개의 코멘트가 제출되었다.[199] 결국 총 2,636개의 코멘트가 제출되었다.[200][201][202]

2006년 7월 27일, GPLv3의 토론용 제2차 초안[204]이 LGPL 제3판 (GNU LGPLv3)의 초판 초안과 함께 공개되었다.[205] 제2고에서는 DRM에 대항하는 명확한 목표가 도입되었다.[208]

제3고는 2007년 3월 28일에 공개되었다.[209][210] 이 초안은 논란이 되었던 마이크로소프트노벨이 체결한 '특허 상호 라이선스'[211][212][213][214][215]를 배제하려는 의도를 가진 문구를 포함하고 있으며,[201][216] 반 TiVo화 조항은 '사용자 제품'·'소비자 제품'과 같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제품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정했다.[201][217]

최종 초안이 된 제4의 토론 초안[219][220]2007년 5월 31일에 공개되었다. 이 초안에서는 Apache License와의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조항이 도입되었고, 외부 '계약자'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마이크로소프트-노벨 간의 계약과 같은 명백한 문제를 피하는 예외 조항을 추가했다.

공식 GPLv3는 2007년 6월 29일 FSF에 의해 발표되었다.[13]

5. 한국 및 국제 사회에서의 GPL

GPL(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은 역사적으로 FOSS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중 하나였다.[134][110][111][113][122][129] 1997년 메타랩 조사에서는 GPL이 라이선스된 소프트웨어의 약 절반을 차지했고, 2000년 Red Hat Linux 7.1 조사에서는 소스 코드의 53%가 GPL로 라이선스된 것으로 나타났다.[110][111]

2007년 GPLv3가 출시되면서 새 버전에 대한 채택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114] 일부 프로젝트는 GPLv3를 채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2009년 구글 오픈 소스 프로그램 사무소 관리자 크리스 디보나는 Google Code에서 호스팅되는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GPLv2에서 GPLv3로 이동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 라이선스 소프트웨어의 수가 50%라고 보고했다.[122]

2011년에는 Black Duck Software 데이터를 통해 카피레프트 라이선스가 감소하고 허용적 라이선스가 증가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124] 그러나 2013년 후반 연구에서는 GPL 라이선스 제품군 하에 라이선스된 소프트웨어가 증가했으며, Black Duck Software의 데이터에서도 GPL 하에 라이선스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총 증가가 나타났다.[130]

2015년에는 Black Duck Software 데이터 기준 GPLv2가 MIT 라이선스에 1위 자리를 내주고 2위, GPLv3는 4위, Apache 라이선스는 3위를 기록했다.[134] 2018년 4월 whitesourcesoftware.com의 FOSS 생태계 분석에서는 GPLv3가 3위(18%), GPLv2가 4위(11%)를 차지했으며, MIT 라이선스(26%)와 Apache 2.0 라이선스(21%)가 그 뒤를 이었다.[140]

5. 1. 한국에서의 GPL

GNU General Public License영어 (GPL)는 한국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 중 하나이다. 한국의 많은 개발자와 기업들이 GPL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오픈 소스 생태계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아직까지 한국에서 GPL 관련 법적 분쟁 사례는 많지 않지만, GPL의 법적 효력에 대한 인식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은 GPL의 정신을 지지하며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개방성과 공유 정신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와도 맞닿아 있으며, 앞으로 GPL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5. 2. 국제 사회에서의 GPL

GPL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중 하나이다.[134][110][111][113][122][129] 1997년 메타랩 조사에 따르면 GPL이 라이선스된 소프트웨어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110] 2000년 Red Hat Linux 7.1 조사에서는 소스 코드의 53%가 GPL로 라이선스되었다.[111] 리눅스 커널,[34][168] GNU 컴파일러 컬렉션(GCC) 등 주요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들이 GPL을 채택하고 있다.

2007년 GPLv3 출시 이후, 리눅스 커널,[34][168] MySQL,[115] BusyBox,[116] AdvFS,[117] 블렌더,[118][119] VLC 미디어 플레이어,[120] 미디어위키[121] 등은 GPLv3를 채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Freecode 데이터에서 추출된 GPL 사용 통계는 다음과 같다.[126]

Freecode에서 GPL 제품군 라이선스 사용률(%)[126]
200920102011201220132014-06-18[127][128]
72%63%61%59%58%대략 54%



2015년 Black Duck Software에 따르면, GPLv2는 MIT 라이선스에 첫 번째 자리를 내주고 두 번째로 떨어졌으며, GPLv3는 네 번째, Apache 라이선스는 세 번째 자리를 유지했다.[134]

Black Duck Software에 따른 FOSS 분야에서 GPL 제품군 라이선스 사용률(%)
라이선스2008-05-08[132]2009-03-11[133]2011-11-22[169]2013-08-12[129]2015-11-19[134]2016-06-06[135]2017-01-02[136]2018-06-04[137]
GPLv258.69%52.2%42.5%33%23%21%19%14%
GPLv31.64%4.15%6.5%12%9%9%8%6%
LGPLv2.111.39%9.84%?6%5%4%4%3%
LGPLv3? (<0.64%)0.37%?3%2%2%2%1%
GPL 제품군 전체71.72% (+ <0.64%)66.56%?54%39%36%33%24%



2015년 3월 GitHub 저장소 분석 결과, GPL 라이선스 제품군에 대해 라이선스된 프로젝트 중 약 25%의 사용률이 나타났다.[138]

리누스 토르발스는 GPLv3의 반DRM 조항으로 인해 GPLv3로 라이선스된 소프트웨어가 DRM을 이용한 컴퓨터 보안 메커니즘을 누릴 수 없게 된다고 하여, 리눅스 커널의 GPLv3로의 이행에 명확히 반대하고 있다.[351]

6. GPL에 대한 비판과 논쟁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는 널리 사용되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이지만, 여러 측면에서 비판과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일부에서는 정적 연결은 파생 저작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동적 연결의 경우 파생 저작물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다는 의견이 있다. 약한 카피레프트 참고.[61] 리눅스 커널 개발자인 리누스 토르발스는 동적 연결이 파생 저작물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입장을 보였다.[61] 노벨의 변호사는 동적 연결이 파생 저작물이 아니라는 것이 "타당"하지만 "분명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독점적인 리눅스 커널 드라이버의 존재가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62]

미국 제9 순회 항소 법원은 ''갈룹 대 닌텐도(Galoob v. Nintendo)'' 판결에서 파생 저작물을 "재구성, 개조 또는 적응된 형태" 또는 "영구성"을 가진 것으로 정의하고, "침해 저작물은 어떤 형태로든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의 일부를 통합해야 한다"고 판시했다.[63] 그러나 이 문제를 명확하게 해결하는 판결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이후 여러 국가에서 GPL 위반에 대한 법적 판결이 나오면서 GPL의 법적 효력이 점차 인정받고 있다. 주요 판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내용판결의미
1989년NeXT의 GCC 확장NeXT가 GCC 컴파일러를 Objective-C를 지원하도록 확장했지만 변경 사항을 공개하지 않음.[69]공개 패치를 만듦. 소송은 제기되지 않음.[70]최초의 GPL 위반 사례
2002년MySQL AB 대 Progress NuSphereNuSphere가 MySQL의 GPL 라이선스 코드를 라이선스를 준수하지 않고 NuSphere Gemini 테이블과 연결하여 MySQL의 저작권을 위반.[71]양측 합의. 법원은 "GNU GPL을 집행 가능하고 구속력 있는 라이선스로 간주"한다고 언급.[71]GPL의 집행 가능성을 확인한 초기 판례
2003년SCO 그룹의 리눅스 커널 소송SCO 그룹이 GPL이 법적 효력이 없다고 주장하며 SCO Unix에서 복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코드 섹션에 대해 리눅스 커널에 대한 소송을 제기.[72]2021년 11월 IBM이 TSG(이전 SCO) 파산 신탁에 14.25억달러를 지불함으로써 해결.[73]GPL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지만, 결국 GPL의 효력이 인정됨.
2004년netfilter/iptables 프로젝트 대 SitecomSitecom이 GPL의 조건 위반으로 Netfilter의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배포.[74]독일 법원이 Sitecom에 대한 금지 명령 확정. "GPL의 라이선스 조건이 원고와 피고 사이에 실제로 합의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적용"된다고 판시.[74]독일 법에 따라 GPLv2의 집행 가능성에 대한 판례 확립.[75]
2005년다니엘 월리스 대 IBM 외다니엘 월리스가 GPL이 가격을 (0으로) 고정하려는 불법적인 시도라고 주장.[76]법원은 "GPL은 무료 경쟁과 컴퓨터 운영 체제의 배포를 장려하며, 그 혜택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된다"며 기각.[76]GPL이 독점 금지법에 위배되지 않음을 확인
2005년서울 중앙 지방 법원 판결GPL이 GPL 라이선스 작업에서 파생된 영업 비밀과 관련된 사건에 관련이 없다고 판결.[77]GPL이 기업 비밀 보호와 상충되지 않음을 시사
2006년gpl-violations.org 대 D-Link 독일 GmbHD-Link가 배포한 스토리지 장치에 리눅스 커널의 일부를 저작권 침해적으로 사용.[78]GPL이 유효하고 법적으로 구속력이 있으며 독일 법원에서 유효하다고 판결.[79]독일 법원에서 GPL의 유효성을 재확인
2007년BusyBox 개발자들과 소프트웨어 자유 법률 센터의 소송임베디드 시스템에서 BusyBox 배포자로부터 GPL 준수를 확보하기 위한 소송.[79]GPL 의무를 집행하기 위해 미국에서 법원을 사용한 최초의 사례
2008년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대 시스코 시스템즈시스코 시스템즈가 자사의 Linksys 사업부에서 FSF의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저작권 침해.[80]시스코는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Linksys의 자유 소프트웨어 이사 임명", FSF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FSF에 금전적 기부를 하기로 합의.[82]대기업의 GPL 위반에 대한 FSF의 대응 사례
2011년GNU Emacs의 실수GNU Emacs가 의도한 GPL의 정신과 반대로, 2년 동안 해당 소스 코드 없이 일부 바이너리를 실수로 배포하여 저작권 침해를 초래.[83]리처드 스톨만은 이 사건을 "매우 나쁜 실수"[84]라고 묘사했으며, 즉시 수정.GPL 위반에 대한 자발적 수정 사례
2017년Artifex 대 한컴Ghostscript 제작사인 Artifex가 Ghostscript를 포함한 오피스 스위트 제작사인 한컴을 고소.[85]법원은 GPL 라이선스가 집행 가능한 계약이며 한컴이 계약을 위반했다고 판결.[85][86]GPL 라이선스가 집행 가능한 계약임을 확인
2021년Stockfish 대 체스베이스오픈 소스 Stockfish 체스 엔진 개발자들이 체스 소프트웨어 제작사인 체스베이스를 GPLv3 라이선스 위반으로 고소.[87]2022년 11월 7일, 당사자들은 합의에 도달. 체스베이스는 더 이상 Stockfish 코드를 포함하는 제품을 판매하지 않고, 웹 페이지에 적절한 공지를 통해 고객에게 이 사실을 알릴 것.[89][90][91]GPLv3 위반에 대한 해결 사례



이러한 판례들을 통해 GPL은 단순한 라이선스를 넘어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계약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GPL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GPL 조항의 복잡성과 이로 인한 상업적 이용의 어려움, 그리고 GPL의 "바이러스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155] 프리BSD 프로젝트는 "GPL은 소프트웨어 회사를 깎아내리려는 대기업에 매우 유리하며, 마케팅 무기로 사용되어 경제적 이익을 감소시키고 독점적 행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소프트웨어 상용화 및 수익 창출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155]

마이크로소프트는 GPL을 "지적 재산권에 퍼지는 암"과 같다고 비판하기도 했다.[374][375][144][145]

2000년, 개발자이자 작가인 니콜라이 베즈루코프는 GPL의 기반과 리처드 스톨만의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157][158] 2004년, 데비안 프로젝트 리더 샘 호체바르는 WTFPL 버전 2를 GPL의 패러디로 만들었다.[159] 2005년, 에릭 S. 레이몬드는 "GPL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취약하며 보호가 필요하다는 믿음에 기반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GPL 채택에 불안감을 느끼지 않았다면 오픈 소스는 더 빠르게 성공했을 것이다"라며 GPL이 FOSS 생태계에 대한 관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60]

2007년, GPL 초안 위원회에 참여했던 앨리슨 랜달은 GPLv3가 GPLv2와 호환되지 않으며 명확한 문구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162][163] 2009년, 데이비드 치스널은 GPL의 비호환성과 라이선스 텍스트의 복잡성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165] 2014년, 브라이언 칸트릴은 카피레프트 GPL을 "기업 오픈 소스 안티패턴"이자 "반협력적"이라고 비판하며, 허용적인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권장했다.[166]

2007년 GPLv3 출시 이후, 일부 언론인[168][169][170]토이박스 개발자 롭 랜드리[38][39]는 GPLv3 도입으로 오픈 소스 및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간의 분열이 심화되었다고 비판했다. GNU TLS 관리자인 니코스 마브로지아노풀로스는 LGPLv3에 대해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로 ''GNU TLS''를 LGPLv3에서 LGPLv2.1로 다시 라이선스 변경했다고 밝혔다.[172] 2013년 7월, 플라스크 개발자 아르민 로나처는 FOSS 생태계에서 GPL 호환성에 대해 "GPL이 관여하면 라이선스 복잡성은 재미없는 수수께끼가 된다"고 말했다.[174]

FSF에 따른 GPLv3와의 라이선스 호환성 퀵 가이드. 점선은 GPLv2가 "이후 버전 포함" 조항이 있는 GPLv3와만 호환됨을 나타낸다.


GPL 조항과 요구 사항에 대한 오해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GPL 소스 코드를 변경하면 반드시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GPL 저작물을 수정하여 조직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스 코드 공개 의무가 없다. 또한, GPL은 저작물의 복제 판매나 다운로드 과금을 허용하며, 소스 코드 배포 시 실비 청구는 가능하다.

6. 1. 마이크로소프트의 비판

2001년, 마이크로소프트의 CEO 스티브 발머는 GPL을 "지적 재산권에 퍼지는 암"과 같다고 비판했다.[374][375][144][145] 이는 GPL이 마이크로소프트의 "포섭, 확장, 말살" 전략에 저항하기 때문이라는 비판이 있었다.[336]

그러나 2009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는 GPL 라이선스를 위반한 하이퍼V 컴포넌트의 소스 코드 약 2만 행을 공개했다.[376][377][147] 이는 당초 독점 바이너리 부분에 정적으로 링크되어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방식이었다.[148] 이러한 변화는 마이크로소프트가 GPL에 대한 태도를 바꾸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과거 GPL 라이선스 코드를 포함하는 Microsoft Windows Services for UNIX를 출시하기도 했다.[337] GPL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공격에 대응하여, 여러 자유 소프트웨어 개발자들과 옹호자들은 라이선스를 지지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146][338][339]

6. 2. "바이러스성" 비판

GPL의 카피레프트 조항을 "바이러스성"이라고 묘사하기 시작한 것은 '일반 공개 바이러스' 또는 'GNU 공개 바이러스'(GPV)라고 불리던 GPLv1 출시 1년 후였다.[149]

2001년, 마이크로소프트 수석 부사장 크레이그 문디는 GPL을 "바이러스성"이라고 묘사하면서 이 용어가 더 넓은 대중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150] 문디는 GPL이 전체 프로그램의 전달만을 허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성" 효과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즉, GPL 라이브러리에 링크된 프로그램은 GPL 호환 라이선스 하에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결합 및 배포될 수 없다는 것이다.

같은 해, 마이크로소프트의 CEO인 스티브 발머는 Linux를 "지적 재산권의 의미에서, 닿는 모든 것에 들러붙는 "이라고 불렀다.[335] 마이크로소프트 비판자들은 마이크로소프트가 GPL을 싫어하는 이유는 "포섭, 확장, 말살"이라는 독점적 벤더의 시도에 GPL이 저항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336]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전에 GPL로 라이선스된 코드를 포함하는 제품인 Microsoft Windows Services for UNIX를 판매하기도 했다(이후 Windows의 EULA를 따르는 사람들에게는 무료 다운로드 가능).[337] 마이크로소프트의 GPL 공격에 대항하기 위해, 몇몇 저명한 자유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대변인들은 라이선스를 지지한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338][339] 그러나 이 성명 발표 후 7년 이상이 지난 2009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적으로 GPL 하에 약 20,000행 정도의 Linux 커널 드라이버 코드를 릴리스했다.[340][341]

2006년, 리처드 스톨만은 인터뷰에서 문디의 "바이러스" 비유는 GPL 하의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를 "공격"하거나 "감염"시키지 않기 때문에 틀렸다고 답했다. 스톨만은 GPL을 바이러스에 비유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GPL 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더 나은 비유는 스파이더 플랜트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스파이더 플랜트의 일부를 가져다가 다른 곳에 두면 그곳에서도 자라기 때문이다.[151]

반면에 GPL의 바이러스적 성격이라는 개념은 이후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도 받아들여졌다.[152][153] 예를 들어, 2008년 기사에서는 "GPL 라이선스는 '바이러스성'이며, 이전에 GPL 라이선스된 소프트웨어의 가장 작은 부분이라도 포함하는 파생 작업은 GPL 라이선스 하에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154]

FreeBSD 프로젝트는 "GPL 소프트웨어를 공개하지 않고 실수로 GPL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경우 등, 이러한 행위가 소프트웨어 기업의 가치를 떨어뜨리려 하는 거대 기업의 좋은 먹잇감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해, GPL은 잠재적으로 경제적 이익 전체를 감소시키고, 과점적 행위를 조장하기 때문에 마케팅 무기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고 주장하며, GPL은 "소프트웨어의 상용화와 그 이익을 창출하려는 사람들에게 현실적인 문제로서 정말 방해가 된다"고 주장한다.[357]

6. 3.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

GPL 텍스트 자체의 저작권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이 소유하고 있으며, 파생 라이선스에서 허가 없이 GPL 전문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55] 이러한 라이선스는 GPL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고, 라이선스 확산을 유발하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55]

GPL 라이선스가 부여된 프로그램과 다른 라이선스가 부여된 코드는, 전체 작업에 대한 제약 조건이 GPL이 허용하는 범위를 넘어서는 추가적인 제약 조건을 부과하지 않는 한, 충돌 없이 결합될 수 있다.[92]

서로 다른 버전의 GPL 라이선스를 가진 코드를 결합하려는 경우, 이전 GPL 버전의 코드에 "이후 버전 포함" 문구가 있어야만 허용된다.[93] 예를 들어, GPLv3 라이선스를 받은 GNU LibreDWG 라이브러리는 GPLv2 전용 종속성을 가진 LibreCAD나 FreeCAD에서 사용할 수 없다.[94]

LGPL 라이선스 코드는 해당 코드의 라이선스와 관계없이 다른 코드와 연결될 수 있지만,[95] LGPL은 결합된 작업에 대한 추가 요구 사항을 포함한다. 따라서 LGPLv3와 GPLv2 전용은 일반적으로 연결될 수 없는데, 이는 결합된 코드 작업이 GPLv2 전용 라이선스 소프트웨어에 LGPLv3의 추가 요구 사항을 덧붙이기 때문이다. "이후 버전 포함" 문구가 없는 LGPLv2.x 라이선스 코드는 전체 결합된 작업이 GPLv2 또는 GPLv3로 라이선스된 경우 소프트웨어 재라이선스될 수 있다.[96]

FSF는 GPL-호환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목록[97]을 유지하며, 여기에는 MIT 라이선스, BSD 라이선스(현재 3조항 형태), 아티스틱 라이선스 2.0 등 많은 일반적인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포함된다.[98][99]

GPLv3부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선스 자료(텍스트 및 기타 미디어)와 GPL 라이선스 자료(주로 소프트웨어)를 리믹스하는 것은 일방향으로 호환된다. 게임 엔진(GPL)과 게임 스크립트(CC BY-SA)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그 반대가 성립하지 않는다.[100][101]

데이비드 A. 휠러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GPL 호환 라이선스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그렇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이 참여하고 코드를 기여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102] 라이선스 비호환성의 예로,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ZFS는 GPL과 호환되지 않는 공통 개발 및 배포 라이선스로 배포되었기 때문에 GPL 라이선스 Linux 커널에 포함될 수 없다. 또한 ZFS는 특허로 보호되므로, 독립적으로 개발된 GPL 구현 배포에는 오라클의 허가가 필요하다.[103]

GPLv3는 GPLv2에 비해 조항이 크게 변경되었지만, 내용 자체는 큰 변화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GPLv3의 특허 관련 조항과 (DRM 방지 조항을 변경한) 반 TiVo화 조항 등은 GPLv2 제6조의 "(GPLv2에서 허용된) ''그 외의 어떠한 제한''"(GPLv3 제10조의 ''추가적인 권리 제한''과 유사)에 해당하므로, 원칙적으로 GPLv3는 GPLv2와 양립하지 않는다. 단, GPLv2 저작물이 "version 2 or later"로 배포된 경우에는 양립한다.

6. 4. 법적 집행력 문제

GPL의 법적 집행력에 대한 논란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다. 특히 정적 연결은 파생 저작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동적 연결의 경우 파생 저작물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약한 카피레프트 참고.[61] 리눅스 커널 개발자인 리누스 토르발스는 동적 연결이 파생 저작물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입장을 보였다.[61]

노벨의 변호사는 동적 연결이 파생 저작물이 아니라는 것이 "타당"하지만 "분명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독점적인 리눅스 커널 드라이버의 존재가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62]

미국 제9 순회 항소 법원은 ''갈룹 대 닌텐도(Galoob v. Nintendo)'' 판결에서 파생 저작물을 "재구성, 개조 또는 적응된 형태" 또는 "영구성"을 가진 것으로 정의하고, "침해 저작물은 어떤 형태로든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의 일부를 통합해야 한다"고 판시했다.[63] 그러나 이 문제를 명확하게 해결하는 판결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이후 여러 국가에서 GPL 위반에 대한 법적 판결이 나오면서 GPL의 법적 효력이 점차 인정받고 있다. 주요 판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내용판결의미
1989년NeXT의 GCC 확장NeXT가 GCC 컴파일러를 Objective-C를 지원하도록 확장했지만 변경 사항을 공개하지 않음.[69]공개 패치를 만듦. 소송은 제기되지 않음.[70]최초의 GPL 위반 사례
2002년MySQL AB 대 Progress NuSphereNuSphere가 MySQL의 GPL 라이선스 코드를 라이선스를 준수하지 않고 NuSphere Gemini 테이블과 연결하여 MySQL의 저작권을 위반.[71]양측 합의. 법원은 "GNU GPL을 집행 가능하고 구속력 있는 라이선스로 간주"한다고 언급.[71]GPL의 집행 가능성을 확인한 초기 판례
2003년SCO 그룹의 리눅스 커널 소송SCO 그룹이 GPL이 법적 효력이 없다고 주장하며 SCO Unix에서 복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코드 섹션에 대해 리눅스 커널에 대한 소송을 제기.[72]2021년 11월 IBM이 TSG(이전 SCO) 파산 신탁에 14.25억달러를 지불함으로써 해결.[73]GPL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지만, 결국 GPL의 효력이 인정됨.
2004년netfilter/iptables 프로젝트 대 SitecomSitecom이 GPL의 조건 위반으로 Netfilter의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배포.[74]독일 법원이 Sitecom에 대한 금지 명령 확정. "GPL의 라이선스 조건이 원고와 피고 사이에 실제로 합의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적용"된다고 판시.[74]독일 법에 따라 GPLv2의 집행 가능성에 대한 판례 확립.[75]
2005년다니엘 월리스 대 IBM 외다니엘 월리스가 GPL이 가격을 (0으로) 고정하려는 불법적인 시도라고 주장.[76]법원은 "GPL은 무료 경쟁과 컴퓨터 운영 체제의 배포를 장려하며, 그 혜택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된다"며 기각.[76]GPL이 독점 금지법에 위배되지 않음을 확인
2005년서울 중앙 지방 법원 판결GPL이 GPL 라이선스 작업에서 파생된 영업 비밀과 관련된 사건에 관련이 없다고 판결.[77]GPL이 기업 비밀 보호와 상충되지 않음을 시사
2006년gpl-violations.org 대 D-Link 독일 GmbHD-Link가 배포한 스토리지 장치에 리눅스 커널의 일부를 저작권 침해적으로 사용.[78]GPL이 유효하고 법적으로 구속력이 있으며 독일 법원에서 유효하다고 판결.[79]독일 법원에서 GPL의 유효성을 재확인
2007년BusyBox 개발자들과 소프트웨어 자유 법률 센터의 소송임베디드 시스템에서 BusyBox 배포자로부터 GPL 준수를 확보하기 위한 소송.[79]GPL 의무를 집행하기 위해 미국에서 법원을 사용한 최초의 사례
2008년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대 시스코 시스템즈시스코 시스템즈가 자사의 Linksys 사업부에서 FSF의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저작권 침해.[80]시스코는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Linksys의 자유 소프트웨어 이사 임명", FSF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FSF에 금전적 기부를 하기로 합의.[82]대기업의 GPL 위반에 대한 FSF의 대응 사례
2011년GNU Emacs의 실수GNU Emacs가 의도한 GPL의 정신과 반대로, 2년 동안 해당 소스 코드 없이 일부 바이너리를 실수로 배포하여 저작권 침해를 초래.[83]리처드 스톨만은 이 사건을 "매우 나쁜 실수"[84]라고 묘사했으며, 즉시 수정.GPL 위반에 대한 자발적 수정 사례
2017년Artifex 대 한컴Ghostscript 제작사인 Artifex가 Ghostscript를 포함한 오피스 스위트 제작사인 한컴을 고소.[85]법원은 GPL 라이선스가 집행 가능한 계약이며 한컴이 계약을 위반했다고 판결.[85][86]GPL 라이선스가 집행 가능한 계약임을 확인
2021년Stockfish 대 체스베이스오픈 소스 Stockfish 체스 엔진 개발자들이 체스 소프트웨어 제작사인 체스베이스를 GPLv3 라이선스 위반으로 고소.[87]2022년 11월 7일, 당사자들은 합의에 도달. 체스베이스는 더 이상 Stockfish 코드를 포함하는 제품을 판매하지 않고, 웹 페이지에 적절한 공지를 통해 고객에게 이 사실을 알릴 것.[89][90][91]GPLv3 위반에 대한 해결 사례



이러한 판례들을 통해 GPL은 단순한 라이선스를 넘어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계약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GPL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6. 5. 기타 비판

GPL 조항의 복잡성과 이로 인한 상업적 이용의 어려움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155]

프리BSD 프로젝트는 "GPL은 소프트웨어 회사를 깎아내리려는 대기업에 매우 유리하며, 마케팅 무기로 사용되어 경제적 이익을 감소시키고 독점적 행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소프트웨어 상용화 및 수익 창출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155]

2000년, 개발자이자 작가인 니콜라이 베즈루코프는 GPL의 기반과 리처드 스톨만의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157][158]

2004년, 데비안 프로젝트 리더 샘 호체바르는 WTFPL 버전 2를 GPL의 패러디로 만들었다.[159]

2005년, 에릭 S. 레이몬드는 "GPL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취약하며 보호가 필요하다는 믿음에 기반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GPL 채택에 불안감을 느끼지 않았다면 오픈 소스는 더 빠르게 성공했을 것이다"라며 GPL이 FOSS 생태계에 대한 관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60]

2007년, GPL 초안 위원회에 참여했던 앨리슨 랜달은 GPLv3가 GPLv2와 호환되지 않으며 명확한 문구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162][163]

2009년, 데이비드 치스널은 GPL의 비호환성과 라이선스 텍스트의 복잡성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165]

2014년, 브라이언 칸트릴은 카피레프트 GPL을 "기업 오픈 소스 안티패턴"이자 "반협력적"이라고 비판하며, 허용적인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권장했다.[166]

2007년 GPLv3 출시 이후, 일부 언론인[168][169][170]토이박스 개발자 롭 랜드리[38][39]는 GPLv3 도입으로 오픈 소스 및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간의 분열이 심화되었다고 비판했다.

GNU TLS 관리자인 니코스 마브로지아노풀로스는 LGPLv3에 대해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로 ''GNU TLS''를 LGPLv3에서 LGPLv2.1로 다시 라이선스 변경했다고 밝혔다.[172]

2013년 7월, 플라스크 개발자 아르민 로나처는 FOSS 생태계에서 GPL 호환성에 대해 "GPL이 관여하면 라이선스 복잡성은 재미없는 수수께끼가 된다"고 말했다.[174]

GPL 조항과 요구 사항에 대한 오해는 GPL 관련 논의에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흔한 오해는 다음과 같다.

  • GPL 소스 코드를 변경하면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하는가?: GPL 저작물을 수정하여 조직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스 코드 공개 의무가 없다.
  • 과금이 허용되지 않는가?: GPL은 저작물의 복제 판매나 다운로드 과금을 허용한다.
  • 소스 코드는 무상으로 배포해야 하는가?: GPL은 소스 코드 입수 기회를 보장하는 것이며, 실비 청구는 가능하다.
  • GPL 도구로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GPL이어야 하는가?: GPL 소스 코드를 포함하거나 GPL 라이브러리를 링크할 때만 해당된다.
  • GPL 소프트웨어는 개조하여 공개하는 것이 자유로운가?: GPL은 저작권을 규정하며, 상표권 등 다른 권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7. 결론

FOSS 분야에서 GPL 라이선스 제품군은 역사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중 하나였다.[134][110][111][113][122][129] 1997년 메타랩 조사에 따르면 GPL은 라이선스된 소프트웨어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110] 2000년 Red Hat Linux 7.1 조사에서는 소스 코드의 53%가 GPL 하에 있었다.[111] 2003년 SourceForge.net에서는 프로젝트의 약 68%가 GPL 라이선스였다.[112]

2007년 GPLv3 출시 후, 리눅스 커널,[34][168] MySQL,[115] BusyBox,[116] AdvFS,[117] 블렌더,[118][119] VLC 미디어 플레이어,[120] 미디어위키[121] 등은 GPLv3를 채택하지 않았다. 반면 2009년 구글의 크리스 디보나는 GPLv2에서 GPLv3로 전환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50%라고 보고했다.[122]

2011년 Black Duck Software 데이터에 따르면 GPLv3는 6.5%, GPLv2는 42.5%였다.[169][123] 2013년 8월, GPL 라이선스 제품군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54%에서 사용되었다.[129] 그러나 2013년 후반 연구에서는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가 증가했다.[130]

2015년 Black Duck에 따르면 GPLv2는 MIT 라이선스에 이어 2위, GPLv3는 4위였다.[134] 2018년 4월 whitesourcesoftware.com 분석에 따르면 GPLv3는 3위(18%), GPLv2는 4위(11%)였다.[140]

Black Duck Software에 따른 FOSS 분야에서 GPL 제품군 라이선스 사용률(%)[137]
라이선스2008-05-08[132]2009-03-11[133]2013-08-12[129]2015-11-19[134]2018-06-04
GPLv258.69%52.2%33%23%14%
GPLv31.64%4.15%12%9%6%
LGPLv2.111.39%9.84%6%5%3%
LGPLv3? (<0.64%)0.37%3%2%1%
GPL 제품군 전체71.72% (+ <0.64%)66.56%54%39%24%



일부 자유 소프트웨어는 이중 라이선스로 제공되며, GPL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MySQL 등이 그 예이다. 일반적으로 독점 소프트웨어는 GPL 소프트웨어와 조합할 수 없지만, 멀티 라이선스를 통해 조합이 가능하다. 오라클(MySQL AB사의 MySQL), Qt 프레임워크, ReiserFS, Red Hat (Cygwin), Riverbank Computing (PyQt) 등이 멀티 라이선싱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icenses by Name https://opensource.o[...] n.d.
[2] 웹사이트 License information https://www.debian.o[...] Software in the Public Interest 1997–2017
[3] 웹사이트 Various Licenses and Comments about Them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4–2017
[4] 웹사이트 Various Licenses and Comments about Them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4–2017
[5] 웹사이트 Copyleft: Pragmatic Idealism – Free Software Foundation http://www.fsf.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2009-12-10
[6] 웹사이트 GPL FAQ: If a library is released under the GPL (not the LGPL)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7] 웹사이트 GPL FAQ: Does using the GPL for a program make it GNU Software?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8] 웹사이트 Why the GPL rocketed Linux to success http://www.dwheeler.[...] 2006-09-22
[9] 웹사이트 GNU Emacs Copying Permission Notice (1985) https://github.com/l[...] 2015-11-08
[1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GPL http://www.free-soft[...] 2011-11-24
[11] 웹사이트 Presentation at the second international GPLv3 conference, held in Porto Alegre https://fsfe.org/act[...] 2006-04-21
[12] 웹사이트 Why Upgrade to GPL Version 3 --GPLv3 http://gplv3.fsf.org[...] Fsf.org 2011-03-17
[13] 웹사이트 FSF releases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3 – Free Software Foundation – working together for free software http://www.fsf.org/n[...] Fsf.org 2011-01-15
[14] 웹사이트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1 https://www.gnu.org/[...]
[15] 웹사이트 New General Public License https://groups.googl[...]
[16] 문서 For the reasoning see The GNU project. https://www.gnu.org/[...]
[17] 웹사이트 GNU Library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2.0 https://www.gnu.org/[...] 2018-11-21
[18] 웹사이트 SPDX License List – Software Package Data Exchange (SPDX) https://spdx.org/lic[...] 2021-09-14
[19] 웹사이트 Presentation in Brussels, Belgium—the first day of that year's FOSDEM conference. http://www.ifso.ie/d[...] 2006-02-25
[20] 웹사이트 GPLv3 authors comment on final draft http://www.linux-wat[...] 2008-03-04
[21] 뉴스 Interview with Richard Stallman http://www.freesoftw[...] Free Software Magazine 2008-01-23
[22] 웹사이트 GPLv3: Drafting version 3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http://fsfeurope.org[...]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
[23] 웹사이트 gplv3.fsf.org comments for discussion draft 4 http://gplv3.fsf.org[...] 2008-03-31
[24] 웹사이트 gplv3.fsf.org comments for draft 1 http://gplv3.fsf.org[...] 2008-03-31
[25] 웹사이트 gplv3.fsf.org comments for draft 2 http://gplv3.fsf.org[...] 2008-03-31
[26] 웹사이트 Guide to the third draft of GPLv3 http://gplv3.fsf.org[...]
[27] 웹사이트 Final Discussion Draft http://gplv3.fsf.org[...] 2007-06-04
[28] 웹사이트 GPL version 3 FAQ http://gplv3.fsf.org[...] 2007-06-04
[29] 웹사이트 GNU Affero GPL version 3 and the "ASP loophole" http://opensource.or[...] Open Source Initiative 2007-06-07
[30] 문서 List of free-software licences on the FSF website
[31] 웹사이트 GPL FAQ: Why did you decide to write the GNU Affero GPLv3 as a separate license?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32] 웹사이트 Kernel developers' position on GPLv3 – The Dangers and Problems with GPLv3 https://lwn.net/Arti[...] LWN.net 2006-09-15
[33] 웹사이트 A fight against evil or a fight for attention? http://www.linuxjour[...] Linux Journal 2006-09-27
[34] 웹사이트 COPYING https://git.kernel.o[...] kernel.org 2013-08-13
[35] Youtube Linus Torvalds says GPL v3 violates everything that GPLv2 stood for https://www.youtube.[...]
[36] 웹사이트 GPL 3 Overview http://www.techlawfo[...] Tech LawForum 2013-09-02
[37] 웹사이트 A Quick Guide to GPLv3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38] 웹사이트 Embedded Linux Conference 2013 – Toybox: Writing a New Command Line https://www.youtube.[...] The Linux Foundation 2016-06-24
[39] 웹사이트 Transcript of CELF 2013 Toybox talk http://landley.net/t[...] landley.net 2013-08-21
[40] 웹사이트 Linux-2.4.0-test8 http://lkml.iu.edu/h[...] lkml.iu.edu 2015-11-21
[41] 웹사이트 GNU General Public License https://www.gnu.org/[...] 2012-06-15
[42] 웹사이트 Selling Free Software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4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44]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45] 웹사이트 GPL FAQ: Port program to GNU/Linux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46] 웹사이트 A Quick Guide to GPLv3 – GNU Project – Free Software Foundation (FSF)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47] 간행물 Copyright or copyleft? 2005-12
[48] 웹사이트 Conditions for Using Bison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8-12-11
[49] 웹사이트 Reasoning behind the "preferred form" language in the GPL https://lwn.net/Arti[...] LWN.net 2011-03-07
[50] 문서 Don't Let 'Intellectual Property' Twist Your Ethos https://www.gnu.org/[...] 2006-06-09
[51] 간행물 Viral contracts or unenforceable documents? Contractual validity of copyleft licenses
[52] 웹사이트 GPLv3, Clarity and Simplicity http://radar.oreilly[...] 2007-05-14
[53] 웹사이트 A federal court has ruled that an open-source license is an enforceable contract https://qz.com/98102[...] 2017-05-11
[54] 웹사이트 SFC v. Vizio remanded back to California state courts [LWN.net] https://lwn.net/Arti[...] 2022-06-10
[55] 웹사이트 GPL FAQ: Can I modify the GPL and make a modified license? http://www.fsf.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56] 웹사이트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3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7-06-29
[57] 웹사이트 GPL FAQ: Can I modify the GPL and make a modified license?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7-06-09
[58] 웹사이트 GPL FAQ: Does the GPL require that source code of modified versions be posted to the public?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5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GPL FAQ)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15
[60] 웹사이트 Why you shouldn't use the Lesser GPL for your next library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1-15
[61] 뉴스 GPL only modules https://lkml.org/lkm[...] linux-kernel 2006-12-17
[62] 뉴스 The GPL: Understanding the License that Governs Linux http://www.novell.co[...] Novell Cool Solutions Feature 2004-01-16
[63] 법률 http://law.justia.co[...] 1992-05-21
[64] 뉴스 Derivative Works http://www.linuxjour[...] Linux Journal 2003-01-01
[65] 웹사이트 Derivative Works http://www.rosenlaw.[...] 2004-05-25
[66] 웹사이트 Why They're Wrong: WordPress Plugins Shouldn't Have to be GPL http://www.webmaster[...] Webmaster-Source 2011-01-15
[67] 웹사이트 GPL FAQ: Can I apply the GPL when writing a plug-in for a nonfree program?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1-15
[68] 문서 MereAggregation https://www.gnu.org/[...]
[69] 문서 12 Years of GPL Compliance: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ebb.org/bkuhn[...]
[70] 문서 Common Lisp, Readline and GPL http://clisp.cvs.sou[...]
[71] 웹사이트 Judge Saris defers GNU GPL Questions for Trial in MySQL vs. Progress Software https://www.gnu.org/[...] gnu.org 2011-03-24
[72] 웹사이트 JOINT STATUS REPORT, Case 2:03-cv-00294-DN, Document 1179 https://sco-vs-ibm.o[...] 2018-02-16
[73] 웹사이트 Last of original SCO v IBM Linux lawsuit settled https://www.zdnet.co[...] 2021-12-04
[74] 웹사이트 Groklaw – The German GPL Order – Translated http://www.groklaw.n[...]
[75] Webarchive A Review of German Case Law on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http://www.twobirds.[...] Bird & Bird 2007-12-17
[76] 문서 Dismissal of Wallace v. FSF http://www.groklaw.n[...]
[77] 웹사이트 판결문 – GNU 프로젝트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http://korea.gnu.org[...]
[78] 웹사이트 gpl-violations.org project prevails in court case on GPL violation by http://gpl-violation[...] 2006-09-22
[79] 웹사이트 D-Link Judgement http://www.jbb.de/fi[...]
[80] 웹사이트 Linux on Linksys Wi-Fi Routers http://www.linuxjour[...] Linux Journal 2004-08-01
[81] 간행물 Free Software Foundation Files Suit Against Cisco For GPL Violations https://www.fsf.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8-12-11
[82] 간행물 FSF Settles Suit Against Cisco https://www.fsf.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9-05-20
[83] 웹사이트 Say what? GNU Emacs violates the GPL https://www.networkw[...] Network World 2011-07-29
[84] 웹사이트 Re: Compiled files without sources???? http://lists.gnu.org[...] 2011-07-28
[85] 웹사이트 A federal court has ruled that the GPL is an enforceable contract https://lwn.net/Arti[...] LWN.net 2017-05-15
[86] 웹사이트 Update on Artifex v. Hancom GNU GPL compliance case https://www.fsf.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7-10-11
[87] 웹사이트 Our lawsuit against ChessBase – Stockfish – Open Source Chess Engine https://stockfishche[...]
[88] 웹사이트 Statement on Fat Fritz 2 – Stockfish – Open Source Chess Engine https://stockfishche[...]
[89] 웹사이트 ChessBase GmbH and the Stockfish team reach an agreement and end their legal dispute – Stockfish – Open Source Chess Engine https://stockfishche[...]
[90] 웹사이트 Settlement (German) https://stockfishche[...] 2022-11-07
[91] 웹사이트 Settlement (English) https://stockfishche[...] 2022-11-07
[92] 웹사이트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v3.0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0-03-24
[93] 웹사이트 GPL FAQ: Is GPLv3 compatible with GPLv2?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4-06-03
[94] 웹사이트 FSF Wastes Away Another "High Priority" Project https://www.phoronix[...] Phoronix 2013-01-24
[95] 웹사이트 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v2.1 – GNU Project – Free Software Foundation (FSF) https://www.gnu.org/[...] fsf.org 2011-04-26
[96] 웹사이트 GPL FAQ: How are the various GNU licenses compatible with each other?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4-13
[97] 웹사이트 Various licenses with comments – GPL-Compatible Free Software Licenses https://www.gnu.org/[...] FSF
[98] 웹사이트 GPL FAQ: What does it mean to say that two licenses are "compatible"?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99] 웹사이트 Black Duck Open Source Resource Center http://www.blackduck[...] blackducksoftware.com 2011-04-26
[100] 웹사이트 Compatible Licenses https://creativecomm[...]
[101] 웹사이트 ShareAlike compatibility: GPLv3 – Creative Commons https://wiki.creativ[...]
[102] 웹사이트 Make Your Open Source Software GPL-Compatible. Or Else. http://www.dwheeler.[...] David A. Wheeler 2011-04-26
[103] 웹사이트 Linux: ZFS, Licenses and Patents https://www.tag1cons[...]
[104] 웹사이트 GPL FAQ: Can I use the GPL for something other than software?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9-06-20
[105] 웹사이트 GPL FAQ: Why don't you use the GPL for manuals?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09-06-20
[106] 웹사이트 Draft Debian Position Statement about th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GFDL) http://people.debian[...] 2007-09-25
[107] 웹사이트 Resolution: Why th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is not suitable for Debian http://www.debian.or[...] Debian Project 2006
[108] 웹사이트 License Change http://en.flossmanua[...] 2007-06-06
[109] 웹사이트 Font Licensing http://www.fsf.org/b[...] 2005-04-25
[110] 웹사이트 Make Your Open Source Software GPL-Compatible. Or Else http://www.dwheeler.[...]
[111] 웹사이트 Estimating Linux's Size http://www.dwheeler.[...]
[112] 웹사이트 SourceForge.net: Software Map http://www.dwheeler.[...] DWwheeler.com 2008-11-17
[113] 웹사이트 Freecode's statistics page http://www.freecode.[...]
[114] 웹사이트 The Curse of Open Source License Proliferation http://socializedsof[...] socializedsoftware.com 2015-11-30
[115] 웹사이트 MySQL changes license to avoid GPLv3 http://www.businessr[...] 2007-01-04
[116] 웹사이트 Busy busy busybox https://lwn.net/Arti[...] lwn.net 2015-11-21
[117] 웹사이트 HP Press Release: HP Contributes Source Code to Open Source Community to Advance Adoption of Linux http://www.hp.com/hp[...]
[118] 웹사이트 What's up with DWG adoption in free software? http://libregraphics[...] libregraphicsworld.org 2015-12-05
[119] 웹사이트 License – blender.org https://www.blender.[...] 2016-12-17
[120] 웹사이트 VLC media player to remain under GNU GPL version 2 http://www.videolan.[...] videolan.org 2015-11-21
[121] 웹사이트 Copyright https://www.mediawik[...]
[122] 뉴스 GPLv3 hits 50 percent adoption | The Open Road – CNET News http://news.cnet.com[...] News.cnet.com 2013-09-02
[123] 웹사이트 GPL, copyleft use declining faster than ever http://www.itworld.c[...] 2017-09-04
[124] 웹사이트 GPL, copyleft use declining faster than ever – Data suggests a sharper rate of decline, which raises the question: why? http://www.itworld.c[...] IT world 2013-08-23
[125] 웹사이트 The Top Licenses on Github http://ostatic.com/b[...] 2016-03-04
[126] 웹사이트 License proliferation: a naive quantitative analysis https://lwn.net/Arti[...]
[127] 웹사이트 tags letter g http://freecode.com/[...]
[128] 웹사이트 About Freecode http://freecode.com/[...] 2011-10-31
[129] 웹사이트 Top 20 licenses http://www.blackduck[...] Black Duck Software 2013-08-23
[130] 웹사이트 GPL use in Debian on the rise: study http://www.itwire.co[...] Itwire.com 2013-09-02
[131] 웹사이트 Surveying open-source licenses https://lwn.net/Arti[...] Lwn.net 2013-09-02
[132] 웹사이트 The Curse of Open Source License Proliferation http://socializedsof[...] socializedsoftware.com 2015-11-30
[133] 웹사이트 Top 20 Most Commonly Used Open Source Licenses http://connollyshaun[...]
[134] 웹사이트 Top 20 licenses http://www.blackduck[...] Black Duck Software 2015-11-19
[135] 웹사이트 Top 20 licenses http://www.blackduck[...] Black Duck Software 2016-06-06
[136] 웹사이트 Top 20 licenses http://www.blackduck[...] Black Duck Software 2017-01-02
[137] 웹사이트 Top 20 licenses http://www.blackduck[...] Black Duck Software 2018-06-04
[138] 웹사이트 Open source license usage on GitHub.com https://github.com/b[...] github.com 2015-11-21
[139] 웹사이트 Software Licenses in Fedora Ecosystem https://anweshadas.i[...] anweshadas.in 2016-11-01
[140] 웹사이트 Open Source Licensing Trends: 2017 vs. 2016 https://resources.wh[...]
[141] 웹사이트 The GPL, the App Store and You https://www.engadget[...] engadget.com 2011
[142] 웹사이트 Copyright Policy http://www.openbsd.o[...]
[143] 웹사이트 Ubuntu One : Terms and Conditions https://one.ubuntu.c[...] One.ubuntu.com 2013-09-25
[144] 뉴스 Microsoft CEO takes launch break with the Sun-Times http://suntimes.com/[...] 2001-06-01
[145] 웹사이트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2, June 1991 http://www.dwheeler.[...] Wheeler, David A. 2008-12-06
[146] Wikisource Free Software Leaders Stand Together
[147] 뉴스 Microsoft embraces Linux cancer to sell Windows servers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09-07-20
[148] 뉴스 Microsoft opened Linux-driver code after 'violating' GPL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09-07-23
[149] 웹사이트 Re: Section 5.2 (IPR) in TAK rollover requirement draft http://psg.com/lists[...] IETF Namedroppers mailing list 2007-04-29
[149] 웹사이트 General Public Virus http://catb.org/esr/[...] 2007-04-29
[149] 간행물 Reverse-engineering the GNU Public Virus — Is copyleft too much of a good thing? http://devlinux.org/[...] 2007-04-29
[149] 웹사이트 Re: propose: 'cypherpunks license' (Re: Wanted: Twofish source code) http://cypherpunks.v[...] Cypherpunk mailing list 2007-04-29
[149] 웹사이트 Re: Using of parse tree externally https://gcc.gnu.org/[...] GNU Compiler Collection mailing list 2007-04-29
[149] 웹사이트 The GNU Public Virus http://themes.freshm[...] 2007-04-29
[150] 연설 Speech Transcript – Craig Mundie, The New York University Stern School of Business http://news.microsof[...] Microsoft 2001-05-03
[151] 웹사이트 The Basement Interviews: Freeing the Code https://archive.org/[...] 2010-02-05
[151] 서적 Decoding liberation: the promise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8-14
[151] 서적 Free as in Freedom: Richard Stallman's Crusade for Free Software https://archive.org/[...] O'Reilly Media 2002-03
[152] 웹사이트 Comparative merits of GPL, BSD and Artistic licences (Critique of Viral Nature of GPL v.2 – or In Defense of Dual Licensing Idea) http://icfcst.kiev.u[...] 2001
[153] 잡지 Some rights reserved: the alternatives to copyright https://www.wired.co[...] 2015-05-30
[153] 웹사이트 Inoculating Your Purchase – Contractual Protection from Viral Licenses in M&A Transactions http://www.friedfran[...] Friedfrank.com 2015-05-30
[153] 웹사이트 http://www.buddlefin[...]
[154] 웹사이트 Open Source Licensing Guide http://www.newmediar[...] California Western School of Law 2015-11-28
[155] 웹사이트 GP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http://www.freebsd.o[...] FreeBSD 2015-11-28
[156] 웹사이트 On Selling Exceptions to the GNU GPL http://www.fsf.org/b[...] Free Software Foundation 2010
[157] 웹사이트 Labyrinth of Software Freedom http://www.softpanor[...] softpanorama.org 2010-09-23
[158] 문서 The Scope of Open Source Licensing http://www.eecs.harv[...] Harvard University 2002
[159] 웹사이트 Should I change the name of the WTFPL? http://programmers.s[...] 2016-07-19
[160] 웹사이트 ESR: "We Don't Need the GPL Anymore" http://www.onlamp.co[...] onlamp.com 2015-02-10
[161] 웹사이트 RMS: The GNU GPL Is Here to Stay http://www.onlamp.co[...] onlamp.com 2015-02-12
[162] 웹사이트 GPLv3, Linux and GPLv2 Compatibility http://radar.oreilly[...] O'Reilly Media 2016-01-19
[163] 웹사이트 GPLv3, Clarity and Simplicity http://radar.oreilly[...] O'Reilly Media 2016-01-19
[164] 웹사이트 The Death Of A Software License http://talk.bmc.com/[...] 2016-06-24
[165] 웹사이트 The Failure of the GPL http://www.informit.[...] informit.com 2016-01-24
[166] Youtube Corporate Open Source Anti-patterns https://www.youtube.[...] 2015-12-26
[167] 웹사이트 Notes on the GPLv3 http://archive09.lin[...] linux.com 2016-01-25
[168] 뉴스 Torvalds Still Keen On GPLv2 http://www.internetn[...] internetnews.com 2015-02-12
[169] 웹사이트 7 Reasons Why Free Software Is Losing Influence: Page 2 http://www.datamatio[...] Datamation.com 2013-08-23
[170] 웹사이트 Linux Creator Calls GPLv3 Authors 'Hypocrites' As Open Source Debate Turns Nasty http://www.informati[...] informationweek.com 2015-02-12
[171] 웹사이트 The perils of LGPLv3 http://www.nmav.gnut[...] gnutls.org 2015-11-18
[172] 웹사이트 GnuTLS 3.1.10: changelog http://www.gnutls.or[...]
[172] 웹사이트 gnutls is moving https://lwn.net/Arti[...] 2012-12-11
[173] 웹사이트 Comments on GPLv3 http://www.rosenlaw.[...] Rosenlaw.com 2014-08-22
[174] 웹사이트 Licensing in a Post Copyright World http://lucumr.pocoo.[...] 2015-11-18
[174] 웹사이트 Are you sure you want to use the GPL? http://lucumr.pocoo.[...]
[175] 웹사이트 Licenses by Name http://www.opensourc[...] Open Source Initiative 2011-03-01
[176] 웹사이트 Debian – License information https://www.debian.o[...] Debian 2011-03-01
[177] 웹사이트 Licenses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1
[178] 웹사이트 Copyleft: Pragmatic Idealism http://www.gnu.org/p[...]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1
[179] 문서 但し、GNU AGPLv3ソフトウェアをGNU GPLv3ソフトウェアとリンクすることは可能。詳しくは、セクション"[[#両立性とマルチライセンス|両立性とマルチライセンス]]"を参照せよ。
[180] 웹사이트 GNU 一般公衆利用許諾書 https://osdn.net/pro[...] SourceForge.JP 2011-03-28
[181] 웹사이트 GNU一般公衆ライセンス v3.0 - GNUプロジェクト - フリーソフトウェアファウンデーション https://www.gnu.org/[...] 2022-08-19
[182] 문서 プログラムの実行は[[Random Access Memory|RAM]]に対するプログラムの複製を伴うことから、複製権との関係が問題にならないわけではないが、著作物の複製物を適法に入手した場合、日本国著作権法下では当該複製物を使用すること自体に許諾を得る必要はないので([[著作権#支分権|支分権]]に使用権がない)、入手手段に問題がない限りライセンスに著作権者が課す制約としての意味はない。
[183] 웹사이트 Why the GPL rocketed GNU/Linux to success http://www.dwheeler.[...] www.dwheeler.com 2011-03-03
[184] 웹사이트 RMS Lecture at KTH: Japanese http://www.gnu.org/p[...]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1
[185] 웹사이트 My Lisp Experiences and the Development of GNU Emacs http://www.gnu.org/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1
[18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GPL http://www.free-soft[...] www.free-soft.org 2011-03-01
[187] 웹사이트 GNU GPL登場前夜 http://sourceforge.j[...] SourceForge.JP Magazine 2011-03-01
[188] 웹사이트 Transcript of Richard Stallman at the 2nd international GPLv3 conference ; 21st April 2006 http://fsfe.org/proj[...]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 2011-03-01
[189] 웹사이트 Why Upgrade to GPL Version 3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3
[190] 웹사이트 Rationale for 1st discussion draft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5-03
[191] 웹사이트 GPLv3 Discussion Draft 1 Rationale 日本語訳 http://sourceforge.j[...] SourceForge.JP Magazine 2011-04-22
[192] 웹사이트 FSF releases guidelines for revising the GPL http://www.fsf.org/n[...]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5-04
[193] 웹사이트 GPLv3, 1st discussion draft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194] 웹사이트 Transcript of a talk by Richard Stallman about GPLv3, February 25th 2006 http://www.ifso.ie/d[...] www.ifso.ie 2011-03-03
[195] 웹사이트 GPLv3: Drafting version 3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http://fsfe.org/proj[...]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 2011-03-04
[196] 웹사이트 Welcome to GPLv3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197] 문서 stetとは「[[校正]]で[[朱]]書きするイキ」の意。gplv3.fsf.orgサイトを閲覧すれば分かるが、このソフトウェアは文書に対し単語単位でコメントをつけることができ、コメント数に応じて、コメント箇所の色が目立つようになっている。
[198] 웹사이트 Discussion Committees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199] 웹사이트 gplv3.fsf.org comments for draft 1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00] 웹사이트 gplv3.fsf.org comments for draft 2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01] 웹사이트 gplv3.fsf.org comments for draft 3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02] 웹사이트 gplv3.fsf.org comments for draft 4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03] 웹사이트 At Your Request, the GPLv2-GPL3 Chart - Columns Switched - Updated http://www.groklaw.n[...]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04] 웹사이트 GPLv3, 2nd discussion draft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05] 웹사이트 Second Discussion Draft of Revised GNU General Public License Released http://www.fsf.org/n[...]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06] 웹사이트 GPLv3 Second Discussion Draft Rationale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07] 웹사이트 GPLv3 - The changes from draft 1 to draft 2 http://fsfe.org/proj[...]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 2011-03-04
[208] 웹사이트 Opinion on Digital Restrictions Management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4-28
[209] 웹사이트 Guide to the third draft of GPLv3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04
[210] 웹사이트 FSF releases third draft of GPLv3 for discussion http://www.fsf.org/n[...]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5-03
[211] 웹사이트 NOVELL, INC - COLLABORATION AGREEMENT WITH MICROSOFT http://www.sec.gov/A[...] SEC 2006-11-02
[212] 웹사이트 Microsoft and Novell Announce Broad Collaboration on Windows and Linux Interoperability and Support http://www.microsoft[...] Microsoft 2006-11-02
[213] 웹사이트 マイクロソフトとNovellがWindowsとLinux間の相互運用性を強化するための広範な提携に合意 http://www.microsoft[...] Microsoft 2006-11-06
[214] 웹사이트 Microsoft and Novell Announce Broad Collaboration on Windows and Linux Interoperability and Support http://www.novell.co[...] ノベル 2006-11-02
[215] 문서 詳しくは英語版ウィキペディアのNovell#Agreement with Microsoftを参照せよ。
[216] 문서 本文、11. Patents.(第11項. 特許)の第5段落を見よ。これは正式公開版の第11項第7段落に相当する。
[217] 문서 本文、6.Conveying Non-Source Forms. (第6項. ソースコード形式ではない伝達 (譲渡) について) の第3段落(段落数は小項a)~e) を計数しない)以降を中心に見よ。第3稿では「ユーザ製品」の定義として{{仮リンク|マグナソン・モス保証法|label=Magnuson–Moss Warranty Act|en|Magnuson–Moss Warranty Act}}, {{usc|15|2301}} et seq.)を直接参照している。しかしこの参照部分が米国法依存になりライセンスの国際化に逆行するものであるとして批判を受けたため、定義部分をより明確化した上で、当該法への参照は第4稿そして正式版で完全に削除されている。
[218] 웹사이트 GPLv3 Third Discussion Draft Rationale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19] 웹사이트 GPLv3 - Last call draft http://gplv3.fsf.org[...]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07-06-29
[220] 웹사이트 FSF Releases "Last Call" Draft of GPLv3 http://www.fsf.org/n[...]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21] 문서 Section 11. 八田真行による条文非公式日本語訳ではGPLv3のSectionに相当する語を項と訳している。GPLv2では節と訳されていた(Articleとの混同が避けられる場合は条と訳されることもある)。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LGPLv3非公式日本語訳もGPLv3の条文を内部的に参照しているが、同じく「項」と訳してある。以下これに従う。
[222] 웹사이트 GPLv3 Discussion Draft FAQ http://gplv3.fsf.org[...]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007-06-26
[223] 웹사이트 GPLv3 Final Discussion Draft Rationale http://gplv3.fsf.org[...]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24] 웹사이트 Latest Draft of GPL 3 Comes Under Fire http://www.eweek.com[...] www.eweek.com 2007-03-28
[225] 문서 |-
[226] 웹사이트 GPLv3: A grandfather clause, but not for Novell http://www.fsf.org/b[...]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27] 웹사이트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1 http://www.gnu.org/l[...]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28] 문서 라이선스의 제3a절, 제3b절을 보라
[229] 문서 라이선스의 제2b절, 제4절을 보라
[230] 웹사이트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2 https://www.gnu.org/[...]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31] 웹사이트 Transcript of Richard Stallman at the 2nd international GPLv3 conference ; 21st April 2006 http://fsfe.org/proj[...]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 2009-04-14
[232] 문서 이 이유는 The GNU Project라는 문서에서 언급되고 있다.
[233] 웹사이트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3 https://www.gnu.org/[...]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3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Richard M. Stallman http://www.freesoftw[...] www.freesoftwaremagazine.com 2008-01-23
[235] 문서 正式公開されたGPLv3の 7. Additional Terms.(第7項「追加的条項」)には、許可・非許可事項に分けて記載している。またGPLv3を参照しつつ、追加的許可事項を認めたライセンスの一例に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LGPLv3があり、これによりLGPLv3はGPLv3の補完的なライセンスとなっている。
[236] 웹사이트 Sneak preview of GPL v. 3: More business friendly http://www.linux.com[...] Linux.com 2000-11-02
[237] 웹사이트 Neutralizing Laws That Prohibit Free Software — But Not Forbidding DRM http://www.gnu.org/l[...]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38] 문서 재분배자도 이 안에 포함된다. 라이센시는 후술할 설명에서 소프트웨어를 수령하여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인물, 즉 수령자의 한 예이다.
[239] 웹사이트 Selling Free Software http://www.gnu.org/p[...]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010-07-27
[240] 웹사이트 Do I have “fair use” rights in using the source code of a GPL-covered program? http://www.gnu.org/l[...]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011-02-11
[241] 문서 GPL은 어떤 의미에서 "저작권 해킹"이라고도 할 수 있다.
[242] 웹사이트 Can I use GPL-covered editors such as GNU Emacs to develop non-free programs? Can I use GPL-covered tools such as GCC to compile them? http://www.gnu.org/l[...]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011-02-11
[243] 웹사이트 Bison http://www.gnu.org/s[...]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44] 웹사이트 Violations of the GNU Licenses http://www.gnu.org/l[...]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45] 웹사이트 Why the FSF gets copyright assignments from contributors http://www.gnu.org/l[...] 프리소프트웨어재단 2009-04-20
[246] 웹사이트 GPL FAQ: Does the GPL require that source code of modified versions be posted to the public?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5
[247] 웹사이트 GPL FAQ: GPLは、改変されたバージョンのソースコードを公に発表することを要求しますか?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6
[248] 웹사이트 Is making and using multiple copies within one organization or company “distribution”?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5-07
[24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5
[250] 문서 このような分離形態にあるプログラムを''集積物'' (''aggregate'') と、GPLv3では明確に定義している。[[#非GPLプログラムとの結合や組み合わせ|非GPLプログラムとの結合や組み合わせ]]も参照せよ。
[251] 웹사이트 Why you shouldn't use the Lesser GPL for your next library http://www.gnu.org/p[...]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6
[252] 웹사이트 Can I apply the GPL when writing a plug-in for a non-free program?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6
[253] 간행물 Re: GPL only modules http://lkml.org/lkml[...] 2011-03-25
[254] 웹사이트 The GPL: Understanding the License that Governs Linux http://www.novell.co[...] ノベル (企業)|Novell 2011-03-26
[255] 법률 http://law.justia.co[...] 1992-05-21
[256] 웹사이트 Derivative Works http://www.linuxjour[...] www.linuxjournal.com 2011-03-26
[257] 웹사이트 Derivative Works http://www.rosenlaw.[...] Rosenlaw & Einschlag Technology Law Offices 2011-03-26
[258] 문서 とりわけ"a work based on the Program"はGPLv2とは全く同じ用語であるが、その意味するところは異なる。
[259] 웹사이트 Why They’re Wrong: WordPress Plugins Shouldn’t Have to be GPL http://www.webmaster[...] Webmaster-source.com 2011-03-27
[260] 웹사이트 Licensing FAQ (7: If I write a module or theme, do I have to license it under the GPL?) http://drupal.org/li[...] Drupal 2011-03-27
[261] 웹사이트 衝突は不可避? WordPress、Thesisの創始者を訴える http://jp.blogherald[...] jp.blogherald.com 2011-03-28
[262] 웹사이트 危機を回避: Thesis、WordPressのGPLを受け入れる http://jp.blogherald[...] jp.blogherald.com 2011-03-28
[263] 웹사이트 WordPress.org、テーマについてもGPLを要求へ http://sourceforge.j[...] SourceForge.JP Magazine 2011-04-24
[264] 웹사이트 COPYING of Linux kernel http://git.kernel.or[...] git.kernel.org 2011-05-05
[265] 문서 これはGPLの例外条項(GPLv3でいうところの「追加的許可条項」)ではなく、本来は司法の場で決定されるべき派生物に対しての一解釈を述べているだけに過ぎない。ライセンステキストに書かれてしまっているので、よくこのことは混同されがちである。
[266] 문서 "[[八田真行]]訳: ''単に『保護された作品』を集積物に含めるだけでは、その集積物の他の部分にまで本ライセンスが適用されるということにはならない。''"
[267] 문서 "[[#改変版ソースの伝達|GPLv3の規定]]に従えば「集積物の他の部分」には任意のライセンスが適用できるが、そのパッチを作る基となったGPLv3ソフトウェアと両立しないライセンスでリリースすることは、基となったGPLv3ソフトウェアにはパッチを適用できないのでナンセンスである。"
[268] 웹사이트 Mysql5Patches https://code.google.[...] code.google.com 2011-03-11
[269] 웹사이트 漢(オトコ)のコンピュータ道: GPLが適用されているソフトウェア=MySQLのパッチをBSDライセンスでリリースする。 https://nippondanji.[...] nippondanji.blogspot.com 2011-03-11
[270] 웹사이트 漢(オトコ)のコンピュータ道: GPLソフトウェアのパッチをBSDライセンスで提供することの意義 https://nippondanji.[...] nippondanji.blogspot.com 2011-03-11
[271]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n “aggregate” and other kinds of “modified versions”?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7
[272] 웹사이트 「単なる集積」と「二つのモジュールを一つのプログラムに結合すること」の違いは何ですか?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7
[273] 웹사이트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3 http://www.gnu.org/c[...]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09-07-21
[274] 웹사이트 Can I modify the GPL and make a modified license?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01
[275] 웹사이트 Unofficial Translations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4-21
[276] 문서 "''compatible''。''両立する''、''互換性がある''と訳される。その逆は、''incompatible''。''両立しない''、''非互換である''と訳される。"
[277] 웹사이트 GNU GENERAL PUBLIC LICENSE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0-03-28
[278] 문서 すなわち、組み合わせた著作物を二次的著作物とし同一のライセンス下におくものに再ライセンスされる可能性がある。ただし、その他の条項、例えば特許の取り扱いの相違や原著作者の表示条件(宣伝条項)などが存在する場合必ずしも再ライセンス可能というわけではない。
[27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 Is GPLv3 compatible with GPLv2?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8
[280] 웹사이트 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2.1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8
[281] 웹사이트 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28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 How are the various GNU licenses compatible with each other?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28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 What does it mean to say that two licenses are "compatible"?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284]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 What does it mean to say a license is "compatible with the GPL?"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285] 웹사이트 Various Licenses and Comments about Them – GPL-Compatible Free Software Licenses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286] 웹사이트 Open Source License Data http://www.blackduck[...] www.blackducksoftware.com 2011-03-28
[287] 문서 コードの再利用
[288] 웹사이트 Linux: ZFS, Licenses and Patents http://kerneltrap.or[...] kerneltrap.org 2011-03-28
[289] 문서 ロシュは
[290] 문서 セクション
[291] 웹사이트 Digia to acquire Qt commercial licensing business from Nokia http://www.digia.com[...] www.digia.com 2011-04-21
[292] 웹사이트 Qt Development Frameworks について http://qt.nokia.com/[...] Nokia 2011-04-21
[293] 웹사이트 Make Your Open Source Software GPL-Compatible. Or Else. http://www.dwheeler.[...] 2011-03-01
[294] 웹사이트 Estimating GNU/Linux's Size http://www.dwheeler.[...] 2011-03-01
[295] 웹사이트 SourceForge.net: Software Map http://www.dwheeler.[...] Dwheeler.com 2008-11-17
[296] 웹사이트 Open Source License Resource Center http://www.blackduck[...] www.blackducksoftware.com 2008-11-17
[297]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Can I use the GPL for something other than software?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298]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GNU Licenses: Why don't you use the GPL for manuals?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299] 웹사이트 General Resolution: Why th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is not suitable for Debian main - Amendment Text A https://www.debian.o[...] Debian 2011-03-28
[300] 웹사이트 License Change http://en.flossmanua[...] FLOSS Manuals foundation 2011-03-28
[301] 웹사이트 アウトラインフォントの雑学(2)─フォント千夜一夜物語(30) http://www.jagat.or.[...] 澤田善彦 2011-03-28
[302] 문서 例えば、GPL FAQの解釈を杓子定規に適用すれば、Portable Document Format
[303] 웹사이트 Font Licensing http://www.fsf.org/b[...]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304] 웹사이트 How does the GPL apply to fonts? http://www.gnu.org/l[...]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8
[305] 웹사이트 Don't Let ‘Intellectual Property’ Twist Your Ethos http://www.gnu.org/p[...] 2011-03-23
[306] 웹사이트 Q7: How are you thinking about changing something in the title of the section, I think it's 9, "not a contract",... http://fsfe.org/proj[...]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 2011-03-23
[307] 논문 Viral contracts or unenforceable documents? Contractual validity of copyleft licenses http://papers.ssrn.c[...]
[308] 웹사이트 GPLv3, Clarity and Simplicity http://radar.oreilly[...] radar.oreilly.com 2011-03-25
[309] 웹사이트 GNU GPLv3 逐条解説書 http://ossipedia.ipa[...] 情報処理推進機構 2011-04-21
[310] 웹사이트 Enforcing the GNU GPL http://www.gnu.org/p[...]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5-01
[311] 문서 http://www.nusphere.com/
[312] 웹사이트 PR: NuSphere to Contribute Row-Level Locking to MySQL Database http://www.serverwat[...] www.serverwatch.com 2011-03-27
[313] 웹사이트 What is NuSphere’s Gemini? http://www.nusphere.[...] www.nusphere.com 2011-03-27
[314] 웹사이트 FSF Lawyer and Board Member Serves as Expert Witness in Lawsuit Related to GNU GPL http://www.gnu.org/p[...]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7
[315] 웹사이트 Affidavit of Eben Moglen on Progress Software vs. MySQL AB Preliminary Injunction Hearing http://www.gnu.org/p[...] 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 2011-03-27
[316] 웹사이트 GPL enforcement goes to court for first time in MySQL case http://www.linux.com[...] Linux.com 2011-03-27
[317] 문서 "Progress Software Corporation v. MySQL AB"
[318] 웹사이트 Judge Saris defers GNU GPL Questions for Trial in MySQL vs. Progress Software http://www.gnu.org/p[...]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7
[319] 웹사이트 MySQL, NuSphere Settle GPL Contract Dispute http://www.theregist[...] www.theregister.co.uk 2011-03-27
[320] 문서 netfilter
[321] 웹사이트 The German GPL Order - Translated http://www.groklaw.n[...] Groklaw 2011-03-27
[322] 문서 해당 기사 http://www.groklaw.n[...]
[323] 문서 trade secret
[324] 웹사이트 소ウル中央地方法院の判決(韓国語) https://web.archive.[...] korea.gnu.org 2011-03-27
[325]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of the sentence of Korean legal case involving GPL, ElimNet vs. HaionNet, 2005GODAN2806(韓国におけるGPLに関する訴訟である、ElimNet対HaionNet事件, 2005GODAN2806の判決主文英語抄訳) http://sparcs.kaist.[...] sparcs.kaist.ac.kr 2011-03-27
[326] 문서 頒布
[327] 웹사이트 gpl-violations.org project prevails in court case on GPL violation by D-Link http://gpl-violation[...] gpl-violations.org 2011-03-28
[328] 웹사이트 判決文 http://www.jbb.de/fi[...] www.jbb.de 2011-03-28
[329] 웹사이트 判決文(英訳) http://www.jbb.de/ju[...] www.jbb.de 2011-03-28
[330] 웹사이트 申立全文 http://www.fsf.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8
[331] 간행물 Free Software Foundation Files Suit Against Cisco For GPL Violations https://www.fsf.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8-22
[332] 웹사이트 More background about the Cisco case http://www.fsf.org/b[...]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8
[333] 웹사이트 GPL Code Center http://homesupport.c[...] homesupport.cisco.com 2011-03-28
[334] 간행물 FSF Settles Suit Against Cisco https://www.fsf.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1-03-28
[335] 뉴스 Microsoft CEO takes launch break with the Sun-Times http://suntimes.com/[...] 시카고・サンタイムズ 2001-06-01
[336] 뉴스 Deadly embrace (死の抱擁) http://www.economist[...] エコノミスト 2006-03-31
[337] 웹사이트 License agreement of SFU http://www.dwheeler.[...] www.dwheeler.com 2011-03-29
[338] 문서 Free Software Leaders Stand Together
[339] 웹사이트 フリーソフトウェアのリーダーは団結する https://www.yamdas.o[...] yamdas.org 2011-03-29
[340] 뉴스 Microsoft embraces Linux cancer to sell Windows servers http://www.theregist[...] www.theregister.co.uk 2011-03-29
[341] 웹사이트 米Microsoft、「Hyper-V」LinuxドライバをカーネルコミュニティにGPLv2で提供 http://sourceforge.j[...] SourceForge.JP Magazine 2011-04-25
[342] 뉴스 Microsoft opened Linux-driver code after 'violating' GPL http://www.theregist[...] www.theregister.co.uk 2011-03-29
[343] 뉴스 マイクロソフトが公開したLinuxコードはGPL違反――エンジニアが指摘 http://www.computerw[...] www.computerworld.jp 2011-03-29
[344] 웹사이트 米MicrosoftのLinuxドライバ公開の真相――当初GPL違反だった? http://sourceforge.j[...] SourceForge.JP Magazine 2011-04-25
[345] 뉴스 「USB版Windows 7」作成ツールにGPLコード Microsoftが謝罪 https://www.itmedia.[...] ITmedia 2011-03-29
[346] 웹사이트 Speech Transcript - Craig Mundie, The New York University Stern School of Business (スピーチ全文 - クレイグ・マンディ、ニューヨーク大学 スターン・スクール・オブ・ビジネスにて) http://www.microsoft[...] www.microsoft.com 2011-03-29
[347] 웹사이트 The Basement Interviews: Freeing the Code https://archive.org/[...] 2010-02-05
[348] 서적 Decoding liberation: the promise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8-14
[349] 서적 Free as in Freedom: Richard Stallman's Crusade for Free Software http://oreilly.com/o[...] O'Reilly Media 2002-03
[350] 웹사이트 Kernel developers' position on GPLv3 http://lwn.net/Artic[...] lwn.net 2011-03-04
[351] 웹사이트 "「セキュリティの弱体化を招く」--L・トーバルズ、GPL第3版の反DRM条項を批判" http://japan.zdnet.c[...] ZDNet 2006-02-06
[352] 웹사이트 Transcript of Richard Stallman at the 3nd international GPLv3 conference; 22nd June 2006 http://fsfe.org/proj[...] Free Software Foundation Europe
[353] 웹사이트 L・トーバルズ氏:「かなり満足している」--「GPLv3」ドラフト第3版 http://japan.zdnet.c[...] ZDNet 2007-03-29
[354] 웹사이트 "(About GPLv3) Can the Linux Kernel Relicense?" http://blogs.fsfe.or[...] FSFE 2006-10-16
[355] 웹사이트 Torvalds on GPLv3 final draft http://www.linux.com[...] Linux.com 2007-06-11
[356] 웹사이트 GPLv3最終草案を巡るTorvaldsの見解 http://sourceforge.j[...] SourceForge.JP Magazine 2007-06-13
[357] 웹사이트 Why you should use a BSD style license for your Open Source Project - 9 GP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http://www.freebsd.o[...] The FreeBSD Project 2008-10-11
[358] 웹사이트 Poul-Henning Kamp - Beerware, am I really serious? http://people.freebs[...] people.freebsd.org
[359] 문서 FreeBSD 10.0-RELEASE Announcement https://www.freebsd.[...] FreeBSD 2014-01-20
[360] 웹사이트 Open Public License http://wyatterp.com/[...] wyatterp.com
[361] 웹사이트 Does the GPL allow me to sell copies of the program for money? http://www.gnu.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362] 웹사이트 GPLは金銭目的でプログラムの複製を販売することを許可していますか? http://www.gnu.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363] 웹사이트 Does the GPL allow me to charge a fee for downloading the program from my site? http://www.gnu.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364] 웹사이트 GPLは、私のサイトからプログラムをダウンロードする人に料金を課すことを許可していますか? http://www.gnu.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365] 웹사이트 GCC Runtime Library Exception http://www.gnu.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366] 웹인용 Licenses by Name https://opensource.o[...] n.d.
[367] 웹인용 License information https://www.debian.o[...] Software in the Public Interest 1997-2017
[368] 문서 Rejected Licenses http://copyfree.org/[...] Copyfree
[369] 웹인용 Various Licenses and Comments about Them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4-2017
[370] 웹인용 Various Licenses and Comments about Them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2014-2017
[371] 웹인용 Copyleft: Pragmatic Idealism – Free Software Foundation http://www.fsf.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372] 웹인용 If a library is released under the GPL (not the LGPL) https://www.gnu.org/[...] Free Software Foundation
[373] 웹인용 Top 20 licenses http://www.blackduck[...] Black Duck Software 2015-11-19
[374] 뉴스 Microsoft CEO takes launch break with the Sun-Times http://suntimes.com/[...] 2001-06-01
[375] 웹인용 text of GPL v1 with reference to source code download site at microsoft.com http://www.dwheeler.[...] 2012-07-20
[376] 뉴스 Microsoft embraces Linux cancer to sell Windows servers http://www.theregist[...] The Register 2009-07-20
[377] 뉴스 Microsoft opened Linux-driver code after 'violating' GPL http://www.theregist[...] The Register 2009-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