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S 메시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ATS 메시징은 NATS 서버에 텔넷으로 연결하여 얻을 수 있는 샘플 연결 문자열과, 연결 시 서버가 전송하는 INFO 메시지를 분석하여 NATS 서버의 설정 및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INFO 메시지는 서버 ID, 버전, 호스트, 포트, 최대 페이로드 크기 등의 정보를 JSON 형태로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서버 이름, Git 커밋 해시, 헤더 지원 여부, TLS 사용 가능 여부, JetStream 기능 지원 여부, 클라이언트 IP 주소, nonce, xkey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o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스케일링, 관리하는 오픈 소스 시스템으로, 구글의 Borg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되었으며 파드, 서비스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Go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테라폼 (소프트웨어)
테라폼은 해시코프에서 개발한 IaC 도구로, 선언적 구성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및 서비스를 관리하며, 라이선스 변경 후 OpenTofu 프로젝트로 포크되어 리눅스 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용 자유 소프트웨어 -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스케일링, 관리하는 오픈 소스 시스템으로, 구글의 Borg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되었으며 파드, 서비스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용 자유 소프트웨어 - 아파치 하둡
아파치 하둡은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자바 기반의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로, HDFS, 맵리듀스, YARN 등의 모듈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사용된다. -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비즈토크 서버
마이크로소프트 비즈토크 서버는 다양한 시스템 통합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를 지원하는 서버 소프트웨어로, 여러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어댑터, 가속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대한민국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나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의 등장으로 입지가 변화하고 있다. -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 ZeroMQ
ZeroMQ는 다양한 메시징 패턴을 지원하고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메시지 라이브러리이다.
NATS 메시징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NATS 정보 | |
명칭 | NATS |
개발사 | Synadia Communications, Inc. |
최신 릴리스 버전 | 2.10.24 |
최신 릴리스 날짜 | 2024년 12월 17일 |
최초 릴리스 | 2011년 |
프로그래밍 언어 | Go |
운영 체제 | 크로스 플랫폼 |
장르 | 메시지 브로커 오픈 소스 메시징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
라이선스 | 아파치 2.0 |
저장소 | GitHub 저장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NATS 문서 |
자주 묻는 질문 (FAQ) | NATS 약어 의미 |
새로운 기능 (NATS 2.2) | NATS 2.2 새로운 기능 |
NATS JetStream | NATS JetStream |
2. 예시
NAT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버와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demo.nats.io`에 텔넷으로 연결하면 샘플 연결 문자열을 확인할 수 있다.[8]
(하위 섹션 '텔넷 연결' 및 '연결 문자열 분석'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다룬다.)
2. 1. 텔넷 연결
`demo.nats.io` 서버에 텔넷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8] 다음은 텔넷 연결 시 나타나는 샘플 연결 문자열이다.[8]```
telnet demo.nats.io 4222
Trying 107.170.221.32...
Connected to demo.nats.io.
Escape character is '^]'.
INFO {"server_id":"NDP7NP2P2KADDDUUBUDG6VSSWKCW4IC5BQHAYVMLVAJEGZITE5XP7O5J","version":"2.0.0","proto":1,"go":"go1.11.10","host":"0.0.0.0",
"port":4222,"max_payload":1048576,"client_id":13249}
```
다음은 `demo.nats.io` 사이트에 대한 텔넷 연결 예시이다.
```
107.170.221.32에 연결 시도...
demo.nats.io에 연결됨.
이스케이프 문자는 '^]'입니다.
INFO {"server_id":"NBNKM5RD3ASV4Y5477OWILGIM2QBGQBUMKRN6KMVAVBZUHH3TT4UY4ME","server_name":"us-south-nats-demo","version":"2.10.21","proto":1,"git_commit":"d3a8868","go":"go1.22.7","host":"0.0.0.0","port":4222,"headers":true,"tls_available":true,"max_payload":1048576,"jetstream":true,"client_id":2459,"client_ip":"2603:8080:1e40:11f7:f803:94a6:b316:3c92","nonce":"IWPqQqkaegCpyKI","xkey":"XCT6FPQKQ7MX7YW2KIHRHAIQ6EHXBSCNKQWYIPAD2VOZZGZRQATXBAPR"}
```
한국에서는 텔넷 사용이 일반적이지 않으므로,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2. 2. 연결 문자열 분석
NATS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연결될 때 `INFO`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여기에는 서버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8] 다음은 `demo.nats.io` 서버에 텔넷으로 연결했을 때 받은 `INFO` 메시지의 예시이다.```
INFO {"server_id":"NDP7NP2P2KADDDUUBUDG6VSSWKCW4IC5BQHAYVMLVAJEGZITE5XP7O5J","version":"2.0.0","proto":1,"go":"go1.11.10","host":"0.0.0.0",
"port":4222,"max_payload":1048576,"client_id":13249}
```
다음은 다른 `INFO`메시지 예시이다.
```
INFO {"server_id":"NBNKM5RD3ASV4Y5477OWILGIM2QBGQBUMKRN6KMVAVBZUHH3TT4UY4ME","server_name":"us-south-nats-demo","version":"2.10.21","proto":1,"git_commit":"d3a8868","go":"go1.22.7","host":"0.0.0.0","port":4222,"headers":true,"tls_available":true,"max_payload":1048576,"jetstream":true,"client_id":2459,"client_ip":"2603:8080:1e40:11f7:f803:94a6:b316:3c92","nonce":"IWPqQqkaegCpyKI","xkey":"XCT6FPQKQ7MX7YW2KIHRHAIQ6EHXBSCNKQWYIPAD2VOZZGZRQATXBAPR"}
```
`INFO` 메시지는 JSON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주요 필드들은 다음과 같다.
필드 | 설명 |
---|---|
`server_id` | 서버의 고유 ID. |
`version` | 서버의 버전 (예: 2.0.0, 2.10.21). |
`go` | 서버가 작성된 Go 프로그래밍 언어 버전. |
`host` | 서버가 수신 대기 중인 호스트 주소 (0.0.0.0은 모든 주소를 의미). |
`port` | 서버가 수신 대기 중인 포트 번호 (기본값은 4222). |
`max_payload` | 서버가 허용하는 최대 메시지 크기 (바이트 단위). |
`client_id` | 서버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한 ID. |
`server_name` | 서버의 이름 |
`client_ip`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개인정보보호에 유의해야 하는 정보이다. |
참조
[1]
웹사이트
Release v0.3.12 · nats-io/Nats.rb
https://github.com/n[...]
[2]
웹사이트
NATS Documentation
https://docs.nats.io
[3]
웹사이트
NATS FAQ
https://docs.nats.io[...]
[4]
웹사이트
What's New in NATS 2.2
https://docs.nats.io[...]
[5]
웹사이트
NATS JetStream
https://docs.nats.io[...]
[6]
웹사이트
NATS Protocol
https://docs.nats.io[...]
2016-05-06
[7]
웹인용
NATS Documentation
http://nats-io.githu[...]
[8]
웹인용
NATS Protocol
https://nats-io.gith[...]
2016-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