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EC배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EC배는 14명의 프로 기사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가리는 일본의 바둑 기전이다. 전기 우승자, 주요 기전 타이틀 홀더, NHK배 우승자, 일본기원 상금 랭킹 상위자에게 우선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 제한 시간은 10분이며, 덤은 6.5집이다. 조치훈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바둑 기전 - 명인전 (일본)
    일본 명인전은 요미우리 신문과 아사히 신문이 주최하는 일본의 주요 바둑 기전으로, 구 명인전과 현 명인전으로 나뉘어 명기사들이 명인 자리를 놓고 경쟁하며, 특정 조건을 달성한 기사에게는 명예 명인 칭호가 수여되고 풀리그 본선과 7번기 도전기로 진행되며 높은 상금이 걸려 있다.
  • 일본의 바둑 기전 - 기성전 (일본)
    일본 기성전은 요미우리 신문 주최의 최고 권위 바둑 기전으로, 최고 상금을 자랑하며, 리그 시스템과 도전자 결정 토너먼트를 거쳐 기성 타이틀을 놓고 7번기를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기사에게는 명예 기성 자격이 주어진다.
  • 1981년 설립 - 혜전대학교
    혜전대학교는 1981년 혜전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혜전대학을 거쳐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간호, 자연과학 등 4개 계열의 19개 학과에서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충청남도 홍성읍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 1981년 설립 - 대한민국 제5공화국
    12·12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신군부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폭력적 진압과 국보위 설치를 통해 수립한 군사정권인 대한민국 제5공화국은 7년 단임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제8차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 출범했으나, 권위주의적 요소 유지와 인권 침해 문제, 정치적 억압 등으로 몰락하여 노태우 취임과 함께 종식되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NEC배 (일본)
NEC컵 바둑 토너먼트전
대회 정보
종류일반 기전
개최 시기연중
창설 연도1981년
종료 연도2012년
우승 상금1000만 엔
주최일본전기 주식회사, TV 도쿄, BS 재팬
후원니혼게이자이 신문사
협찬일본기원
결승 방식단판 승부
대국 형식14명에 의한 선발 토너먼트전
제한 시간10분
초읽기1수 30초
전기 우승자불명
최다 우승조치훈 (4회)
최장 연패조치훈, 가토 마사오 (2연패, 조치훈은 2회 달성)

2. 대회 규정

NEC배는 14명의 프로 기사가 참가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가린다.[1] 대회 규정은 다음과 같다.


  • 전기 우승자, 주요 기전 타이틀 홀더, NHK배 우승자, 일본기원 상금 랭킹 상위자에게 우선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1]
  • 제한 시간은 10분이며, 시간을 모두 사용하면 1수당 30초의 초읽기가 주어진다.[1]
  • 덤은 6.5집이다. (초기에는 5.5집)[1]

3. 역대 우승자

NEC배는 1982년부터 2012년까지 일본에서 개최된 바둑 기전이다.

기사우승 횟수연도
조치훈4회1984, 1985, 2000, 2001
오타케 히데오3회1987, 1989, 1996
가토 마사오3회1991, 1992, 1997
요다 노리모토3회1993, 1998, 2002
고바야시 고이치3회1995, 1999, 2004
장쉬3회2005, 2007, 2011


3. 1. 연도별 우승자

회수연도우승전적준우승
11982다케미야 마사키1-0오타케 히데오
21983사카타 에이오1-0사카이 다케시
31984조치훈1-0사카타 에이오
41985조치훈1-0고바야시 고이치
51986다케미야 마사키1-0고바야시 사토루
61987오타케 히데오1-0린하이펑
71988이시다 요시오1-0조치훈
81989오타케 히데오1-0이시다 요시오
91990린하이펑1-0왕리청
101991가토 마사오1-0오타케 히데오
111992가토 마사오1-0고바야시 고이치
121993요다 노리모토1-0가토 마사오
131994고마쓰 히데키1-0조치훈
141995고바야시 고이치1-0조치훈
151996오타케 히데오1-0린하이펑
161997가토 마사오1-0고바야시 사토루
171998요다 노리모토1-0조치훈
181999고바야시 고이치1-0왕리청
192000조치훈1-0가토 마사오
202001조치훈1-0가토 마사오
212002요다 노리모토1-0왕리청
222003류시훈1-0다카오 신지
232004고바야시 고이치1-0미무라 도모야스
242005장쉬1-0류시훈
252006조선진1-0고바야시 사토루
262007장쉬1-0다카오 신지
272008고노 린1-0조선진
282009하네 나오키1-0장쉬
292010고노 린1-0하네 나오키
302011장쉬1-0야마시타 케이고
312012다카오 신지1-0조치훈


3. 2. 최다 우승 기록

기사우승 횟수연도
조치훈4회1984, 1985, 2000, 2001
오타케 히데오3회1987, 1989, 1996
가토 마사오3회1991, 1992, 1997
요다 노리모토3회1993, 1998, 2002
고바야시 고이치3회1995, 1999, 2004
장쉬3회2005, 2007,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