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GC 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C 1은 신판일반목록(NGC)에 수록된 첫 번째 천체로, 1860년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지름은 약 14만 광년으로 우리은하와 크기가 비슷하며, 겉보기 등급은 13.65로 어둡지만 절대 등급은 -22.08로 우리은하보다 광도가 높다. 지구로부터 약 2억 1000만 ~ 2억 1500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SABbc형 나선 은하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1년 발견한 천체 - NGC 32
  • 정상나선은하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정상나선은하 - NGC 891
    NGC 891은 우리 은하와 유사한 모습과 크기를 가지며 막대 나선 은하 구조 가능성이 제기되고 먼지 원반의 필라멘트 패턴이 특징인 NGC 1023 그룹 은하로, 대중 문화에도 영감을 주었다.
  • 페가수스자리 - 아인슈타인 십자가
    아인슈타인 십자가는 페가수스자리에 위치한 퀘이사가 렌즈 은하의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4개의 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 페가수스자리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NGC 1
기본 정보
NGC 1
DESI 레거시 서베이에서 촬영한 NGC 1
고유 명칭NGC 1
기타 명칭UGC 00057
PGC 000564
Holm 2A
MCG+04-01-025
별자리페가수스자리
시선 속도4545 ± 5 km/s
적색 편이0.015160
거리1억 9000만 광년 (5800 Mpc)
겉보기 등급13.65
B 겉보기 등급13.6
절대 등급-22.08
크기1.6' × 1.2'
형태SABbc
위치 정보
기타 정보
참고NGC 1 - 49 새 일반 목록 객체

2. 관측 역사

1860년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는 코펜하겐 천문대에서 11인치 반사 망원경을 시험하던 중 NGC 1을 발견했다. 이 은하의 발견은 다레스트가 발견한 최초의 심원천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그는 NGC 1을 '희미하고, 작으며, 둥글고, (북쪽과 남쪽에 있는) 11 ~ 14 등급 밝기 항성들 사이에 있음'이라고 기술했다.[15] 1866년과 1868년에는 헤르만 슐트스도 웁살라에서 9.6인치 반사 망원경을 이용하여 NGC 1을 관측했다.[16]

당시 다레스트와 슐트스는 모두 훨씬 어두운 NGC 2를 발견하지 못했다. NGC 1은 NGC 2와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두 천체는 멀리 떨어져 있으며 묶여 있지 않다. 로렌스 파슨스는 NGC 2를 NGC 1의 '동반 천체'로 처음 관측했다.[15]

3. 상세

NGC 1(사진 중앙)과 NGC 2(사진 하단). 둘은 안시 이중 천체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서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NGC 1과 NGC 2 ( 광학적 이중성)


NGC 1은 지름이 약 14만 광년으로 추정되며,[15] 우리 은하(약 16만 광년)와 크기가 거의 비슷하다.[17] 겉보기 등급은 13.65로 어두워 맨눈으로 볼 수 없으나, 절대 등급은 -22.08로 우리 은하보다 2~3배 더 밝다. NGC 1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 은하는 지름 8만 광년 크기의 UGC 69이며, 둘은 약 400만 광년 떨어져 있다.

NGC 1의 겉보기 크기는 1.6' × 1.2'이다.[19] 허블 순차와 드 보클레르의 확장된 허블 순차에 따르면 SABbc형으로, '뚜렷하지 않은 은하핵 막대'와 '헐겁게 감긴 모양의 나선팔' 구조를 보여준다.[18] 중심부 은하의 지름은 약 9만 광년에 불과하지만, 거대하면서 분산되어 있는 은하팔이 중심부로부터 동쪽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이는 과거 은하 간 병합 사건으로 생긴 것 같다.

3. 1. 거리

허블의 법칙을 사용하여 태양계로부터 NGC 1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약 0.015177의 적색 편이와 그로부터 나오는 초당 4450 킬로미터의 후퇴 속도를 기반으로 계산한다.[7] 현재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면 지구로부터 이 은하까지의 거리는 약 2억 1000만 ~ 2억 1500만 광년이 나오며, 이는 적색 편이를 고려하지 않고 구한 예상 거릿값 1억 7500만 ~ 2억 4500만 광년에 잘 부합된다. NGC 1의 후퇴 속도를 초당 2215 킬로미터로 구한 측정치에 따르면 이 은하까지의 거리는 대략 1억 광년으로 줄어들지만, 대다수 천문학자들은 이 값을 신뢰하지 않는다.[3]

4. 천체 목록

신판일반목록(NGC)의 첫 번째 천체이다. 천체일반목록(GC)에 처음 등재된 후, 신판일반목록(NGC)에도 첫 번째로 등재되었다.[19] 1860년 목록 편집 당시 좌표 기준으로 NGC 1은 목록 내 모든 천체 중 경도가 가장 작아 첫 번째로 수록되었다.[20] 이후 NGC 1의 좌표가 변동되어, 현재는 NGC 천체 중 적경이 가장 작지 않다.[21] NGC 1은 웁살라 일반 목록(UGC 57)과 주요 은하 목록(PGC 564)에도 등재되어 있다.[19]

참조

[1] 웹사이트 Distance Results for NGC 0001 http://nedwww.ipac.c[...] 2010-05-03
[2] 웹사이트 Revised NGC Data for NGC 1 http://spider.seds.o[...] 2017-12-09
[3] 웹사이트 New General Catalog Objects: NGC 1 - 49 http://cseligman.com[...] 2017-11-11
[4] 웹사이트 www.astronomy-mall.com/Adventures.In.Deep.Space/NGC%201-7840%20complete.htm http://www.astronomy[...]
[5] 뉴스 Size of the Milky Way Upgraded, Solving Galaxy Puzzle https://www.space.co[...] 2017-11-12
[6] 저널 Revised Classification of 1500 Bright Galaxies 1963-04
[7]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1-04
[8] 문서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ae and Clusters of stars (1888)" Royal Astronomical Society 1962
[9] 문서 The Historically Corrected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æ and Clusters of Stars http://www.ngcic.org[...] 2008-06-13
[10]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1-04
[11] 문서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ae and Clusters of stars (1888)" Royal Astronomical Society 1962
[12] 문서 The Historically Corrected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æ and Clusters of Stars http://www.ngcic.org[...] 2008-06-13
[13] 웹인용 Distance Results for NGC 0001 http://nedwww.ipac.c[...] 2010-05-03
[14] 웹인용 Revised NGC Data for NGC 1 http://spider.seds.o[...] 2017-12-09
[15] 웹인용 New General Catalog Objects: NGC 1 - 49 http://cseligman.com[...] 2017-11-11
[16] 웹인용 www.astronomy-mall.com/Adventures.In.Deep.Space/NGC%201-7840%20complete.htm http://www.astronomy[...]
[17] 뉴스 Size of the Milky Way Upgraded, Solving Galaxy Puzzle https://www.space.co[...] 2017-11-12
[18] 논문 Revised Classification of 1500 Bright Galaxies 1963-04
[19] 웹인용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1-04
[20] 문서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ae and Clusters of stars (1888)" Royal Astronomical Society 1962
[21] 문서 The Historically Corrected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æ and Clusters of Stars http://www.ngcic.org[...] 2008-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