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는 1822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난 천문학자이다. 그는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와 함께 해왕성을 발견하는 데 기여했으며, 6P/d'Arrest 혜성을 발견하고 소행성 76 프레이아를 연구했다. 또한 성운과 은하를 연구하여 NGC 1, NGC 26, NGC 358을 발견했다. 다레스트는 1875년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했으며, 달의 분화구, 화성 위성의 분화구, 소행성 등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에서 덴마크로 이민간 사람 - 프리드리히 쿨라우
독일 태생의 덴마크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프리드리히 쿨라우는 피아노와 플루트 작품, 특히 소나티네와 플루트 작품으로 유명하며 "플루트의 베토벤"이라는 별칭을 얻었고, 징슈필 《강도의 성》의 성공과 베토벤과의 교류를 통해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음악의 특징을 보였다. - 해왕성 - 위르뱅 르베리에
프랑스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위르뱅 르베리에는 수학적 계산으로 해왕성의 존재를 예측하고 천체역학에 기여했으며, 혜성 연구, 행성 운동표 작성, 수성의 근일점 이동 문제 연구, 기상학 분야 폭풍 예측 시스템 구축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연구를 펼쳐 그의 업적이 천체 이름에 기념되고 있다. - 해왕성 -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는 독일의 천문학자로, 르베리에의 계산을 바탕으로 1846년 해왕성을 최초로 관측하여 해왕성 발견에 기여했으며, 이후 천문대 대장과 대학교수를 역임하며 다양한 천문 연구를 수행했고 그의 업적은 천체 이름에 기념되었다. - 혜성 발견자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혜성 발견자 - 하인리히 올베르스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독일의 의사이자 천문학자로, 팔라스와 베스타 두 소행성을 발견하고 혜성 궤도 계산법을 개발했으며, 올베르스의 역설을 제시하여 우주론 연구에 기여했다.
|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하인리히 루이스 다레스트 |
| 원어 이름 | Heinrich Louis d'Arrest |
| 출생 | 1822년 8월 13일 |
| 출생지 | 베를린 |
| 사망 | 1875년 6월 14일 |
| 사망지 | 코펜하겐 |
| 국적 | 프로이센 |
| 학문 분야 | |
| 분야 | 천문학 |
| 직장 | 베를린 천문대, 라이프치히 천문대 |
| 지도 교수 |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
| 지도 학생 | 토르발트 N. 틸레 |
| 주요 업적 | 해왕성 발견, 다레스트 혜성 발견 |
| 수상 | 왕립 천문학회 골드 메달(1875년), 라랑드 상(1844년) |
2. 생애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는 1822년 베를린에서 위그노 후손의 집에서 태어났다. 1837년 베를린 대학교에 입학했다. 졸업 후 1845년에는 혜성을 발견하여 덴마크 왕으로부터 메달을 받았다.
1846년, 다레스트는 베를린 천문대의 갈레 밑에서 조수로 일했다. 9월 23일, 갈레는 위르뱅 르 베리에로부터 천왕성의 섭동 원인으로 예측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기 위해 하늘의 특정 영역을 관측해 달라는 요청 편지를 받았다. 그날 밤 갈레와 다레스트는 르 베리에가 예측한 위치를 관측하여, 성도에 없는 천체를 발견했다. 이틀 밤에 걸친 관측으로 이 천체가 새로운 행성임이 확인되었고, 후에 '''해왕성'''으로 명명되었다. 이는 궤도 이론 계산을 통해 천체가 발견된 최초의 사례로 천문학사에 남는 업적이 되었다.
베를린 대학교 학생이었던 다레스트는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와 함께 해왕성을 찾았다. 1846년 9월 23일, 그는 위르뱅 르 베리에가 예측한 위치의 하늘 지도를 최근에 그려진 하늘 지도와 비교하여 정지된 별과는 다른, 행성의 특징적인 변위를 찾는 것을 제안했다. 해왕성은 그날 밤 발견되었다.
다레스트는 나중에 라이프치히 천문대에서 연구를 진행하여, 1851년에 그의 이름을 딴 혜성(공식 명칭 6P/d'Arrest)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소행성을 연구하여 76 프레이아를 발견했고, 성운과 은하를 연구하여 1861년 NGC 1, 1865년 NGC 26과 NGC 358을 발견했다. 1848년 라이프치히 천문대로 옮겨, 1850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858년 코펜하겐 대학교의 교수로 취임, 1861년 신설된 코펜하겐 대학교 천문대의 대장이 되었다.
1864년 다레스트는 화성 위성을 찾는 데 실패했으며, 위성을 찾아야 하는 화성과의 거리를 70 분각으로 제한했다.[2]
그는 1875년에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1857년, 그는 당시 그의 상사였던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의 딸 아우구스테 에밀리 뫼비우스와 결혼했다.[3] 그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는 1822년 베를린에서 위그노 후손의 집에서 태어났다. 1837년 베를린 대학교에 입학했다. 졸업 후 1845년에는 혜성을 발견하여 덴마크 왕으로부터 메달을 받았다.1846년, 다레스트는 베를린 천문대의 갈레 밑에서 조수로 일했다. 9월 23일, 갈레는 위르뱅 르 베리에로부터 천왕성의 섭동 원인으로 예측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기 위해 하늘의 특정 영역을 관측해 달라는 요청 편지를 받았다. 그날 밤 갈레와 다레스트는 르 베리에가 예측한 위치를 관측하여, 성도에 없는 천체를 발견했다. 이틀 밤에 걸친 관측으로 이 천체가 새로운 행성임이 확인되었고, 후에 '''해왕성'''으로 명명되었다. 이는 궤도 이론 계산을 통해 천체가 발견된 최초의 사례로 천문학사에 남는 업적이 되었다.
1848년 라이프치히 천문대로 옮겼으며, 1850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851년에는 6P/다레스트 혜성을 발견했다.
2. 2. 해왕성 발견
베를린 대학교 학생이었던 다레스트는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와 함께 해왕성을 찾았다. 1846년 9월 23일, 그는 위르뱅 르 베리에가 예측한 위치의 하늘 지도를 최근에 그려진 하늘 지도와 비교하여 정지된 별과는 다른, 행성의 특징적인 변위를 찾는 것을 제안했다. 갈레와 다레스트는 르 베리에가 예측한 장소를 관측하고, 성도에는 없는 천체를 발견했다. 이어진 2일 밤의 관측으로 이것이 새로운 행성임이 확인되었고, 후에 '''해왕성''' (Neptune)으로 명명되었다. 이는 궤도의 이론 계산에서 천체가 발견된 최초의 예로서 천문학사에 남는 업적이 되었다. 해왕성은 그날 밤 발견되었다.2. 3. 라이프치히 천문대 및 코펜하겐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학생이었던 다레스트는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와 함께 해왕성을 찾았다. 1846년 9월 23일, 그는 위르뱅 르 베리에가 예측한 위치의 하늘 지도를 최근에 그려진 하늘 지도와 비교하여 정지된 별과는 다른, 행성의 특징적인 변위를 찾는 것을 제안했다. 해왕성은 그날 밤 발견되었다.다레스트는 라이프치히 천문대에서 연구를 진행하여, 1851년에 그의 이름을 딴 혜성(공식 명칭 6P/d'Arrest)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소행성을 연구하여 76 프레이아를 발견했다. 1848년 라이프치히 천문대로 옮겨, 1850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858년 코펜하겐 대학교의 교수로 취임, 1861년 신설된 코펜하겐 대학교 천문대의 대장이 되었다.
1864년 다레스트는 화성 위성을 찾는 데 실패했으며, 위성을 찾아야 하는 화성과의 거리를 70 분각으로 제한했다.[2] 그는 1875년에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1857년, 그는 당시 그의 상사였던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의 딸 아우구스테 에밀리 뫼비우스와 결혼했다.[3] 그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사망했다.
2. 4. 연구 업적
다레스트는 베를린 대학교 학생 시절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와 함께 해왕성을 발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46년 9월 23일, 그는 위르뱅 르 베리에가 예측한 위치를 기준으로, 기존의 하늘 지도와 비교하여 행성의 변위를 찾는 방법을 제안했고, 그날 밤 해왕성이 발견되었다. 이는 궤도 계산을 통해 천체가 발견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된다.이후 다레스트는 라이프치히 천문대에서 연구를 진행하며, 1851년 6P/d'Arrest 혜성을 발견했다. 그는 소행성 연구도 진행하여 76 프레이아를 발견했고, 성운과 은하를 연구하여 1861년 NGC 1, 1865년 NGC 26과 NGC 358을 발견했다. 1864년에는 화성의 위성을 찾기 위한 관측을 수행했으나 실패했고, 위성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화성으로부터 70 분각 이내로 제한했다.[2]
1873년에는 가스 성운이 은하면에 가깝게 분포하는 것을 근거로, 가스 성운이 은하 내 천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1875년, 다레스트는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2. 5. 수상 및 사망
다레스트는 1875년에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1857년, 그는 당시 그의 상사였던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의 딸 아우구스테 에밀리 뫼비우스와 결혼했다. 그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사망했다.달의 분화구 ''다레스트'', 화성 위성 포보스의 분화구 ''다레스트'', 소행성 9133 다레스트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유산
달의 분화구 다레스트, 화성 위성 포보스의 분화구 다레스트, 소행성 9133 다레스트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참조
[1]
서적
Allgemeines Wörterbuch der Aussprache ausländischer Eigennamen
1903
[2]
간행물
Address
1879-02-14
[3]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www.springerr[...]
Springer Publishing
2012-08-22
[4]
웹사이트
(9133) d'Arrest = 1990 UJ3 = 1990 VN9 = 3107 P-L = PLS3107
https://minorplanetc[...]
MPC
2021-07-24
[5]
간행물
Address
1879-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