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OP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OPS는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합산하여 타자의 전반적인 공격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OPS는 (OBP + SLG) 공식으로 계산되며, 출루율과 장타율을 쉽게 더하여 타자의 능력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OPS는 1984년 존 손과 피트 팔머의 저서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득점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출루율과 장타율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실제 득점 생산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정 OPS(OPS+)와 같은 지표가 개발되었다. OPS는 리그, 시대, 타자의 특징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메이저 리그, KBO, NPB 등 다양한 리그에서 기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기록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기록 - 미국야구연구협회
    미국야구연구협회(SABR)는 야구 연구를 장려하고 야구 팬, 역사학자, 통계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연결하는 단체로, 야구 연구를 위한 위원회, 지부, 컨벤션, 출판물을 운영하며 야구 관련 지식 공유와 야구계 발전에 기여한다.
  • 야구에 관한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에 관한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OPS
정의
OPS (출루율 + 장타율)OPS(On-base Plus Slugging)는 야구에서 타자를 평가하는 통계 지표 중 하나로, 출루율장타율을 더하여 계산한다.
약어OPS
설명타자의 득점 생산력을 간편하게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계산OPS = 출루율 + 장타율
OPS의 가치 척도 (추정)
0.800평균 이상의 타자
0.900매우 우수한 타자
1.000뛰어난 타자
OPS (일본어)
약어OPS (オーピーエス)
설명야구에서 타자를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
"On-Base Plus Slugging"의 약자.
계산출루율 + 장타율
고안자미국의 야구 연구가 빌 제임스
특징타자의 득점력을 간단하게 평가 가능.
출루율과 장타율을 동등하게 취급.
평가0.8 이상: 좋은 타자
0.9 이상: 매우 좋은 타자
1.0 이상: 최고 수준의 타자
OPS (영어)
약어OPS
전체 이름On-base Plus Slugging
유형타격 통계
설명출루율과 장타율의 합
고안자빌 제임스
첫 사용1980년대 초
목적타자의 총체적인 타격 능력 측정
장점계산이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움
단점출루율과 장타율을 동일하게 취급하여, 득점 가치에 대한 정확한 반영이 부족할 수 있음

2. 정의 및 계산

세이버매트리션들은 야구에서 득실점이 승패에 가장 중요하며, 득점은 '얼마나 자주 루상에 나가느냐'(출루율)와 '얼마나 많은 루를 진루하느냐'(장타율)에 의해 결정된다고 분석했다. 출루율이나 장타율은 이 중 한 가지 측면만 보여주지만, OPS는 두 가지 요소를 합하여 타자의 득점 생산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OPS는 득점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격 지표 중 하나로 간주된다.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다.

OPS = OBP + SLG \,

여기서 OBP는 출루율이며, SLG는 장타율이다.

=== 출루율 (OBP) ===

출루율은 타자가 타석에서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OBP = \frac{H+BB+HBP} {AB+BB+SF+HBP}



분자 (H + BB + HBP)는 안타, 볼넷, 몸에 맞는 볼의 합으로, 타자가 최소 1루까지 진루한 횟수를 의미한다.

분모 (AB + BB + SF + HBP)는 타수, 볼넷, 희생 플라이, 몸에 맞는 볼의 합으로, 희생 번트를 제외한 총 타석 수를 나타낸다. 희생 번트는 타자 자신의 출루보다는 주자 진루를 목적으로 하므로 계산에서 제외된다.

=== 장타율 (SLG) ===

장타율은 타자가 한 타수당 평균적으로 얼마나 많은 루를 진루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SLG = \frac{TB} {AB}

  • ''TB'': 총 루타 (단타=1, 2루타=2, 3루타=3, 홈런=4)
  • ''AB'': 타수


=== OPS 통합 공식 ===

출루율과 장타율 공식을 합쳐 OPS를 하나의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OPS = \frac{AB*(H+BB+HBP)+TB*(AB+BB+SF+HBP)}{AB*(AB+BB+SF+HBP)}

=== 제안 배경 ===

OPS는 1984년 세이버메트릭스의 선구자인 빌 제임스가 딕 크레이머, 피트 파머와 함께 제안한 지표이다.[12] 당시 야구계에서는 공격력을 평가할 때 주로 타율을 사용했으나, 빌 제임스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타율이 볼넷이나 장타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야구의 목표가 득점 극대화임에도 불구하고 타율만으로는 타자의 실제 득점 기여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출루 능력과 장타력을 함께 고려하는 OPS를 고안했다.

출루율의 최대값은 1.000, 장타율의 최대값은 4.000이므로, OPS의 최대값은 5.000이다.

3. 역사

세이버메트릭스의 창시자인 빌 제임스는 1984년 딕 크레이머, 피트 파머와 함께 OPS 지표를 공동으로 제안했다.[12] 그들은 '득점'이 많은 팀이 승리한다는 야구 규칙에 주목하며, 더 많은 득점을 기록하는 것이 공격의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공격 순위가 사사구장타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 타율 중심으로 매겨지는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12]

같은 해, 존 손과 피트 팔머는 그들의 저서 ''야구의 숨겨진 게임''에서 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값을 소개하며 이 통계를 처음 대중화했다.[2] OPS는 이전에는 때때로 "생산력"이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생산력"은 존 손의 초기 버전 ''토탈 베이스볼'' 백과사전과 ''Strat-O-Matic 컴퓨터 야구'' 게임에 포함되었다. 이 용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이후 ''뉴욕 타임스''는 주간 "숫자로 보는" 코너에서 이 통계의 선두 주자들을 싣기 시작했으며, 이 기능은 4년 동안 계속되었다. 야구 저널리스트 피터 개먼스는 이 통계를 사용하고 전파했으며, 다른 작가들과 방송인들도 이를 받아들였다. OPS의 인기는 점차 확산되었고, 2004년에는 Topps 야구 카드에 등장하기 시작했다.[3]

OPS는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이라는 구성 요소의 가용성과 팀 OPS가 팀 득점과 잘 연관되기 때문에 인기를 얻었다. 출루율의 최대값이 1.00, 장타율의 최대값이 4.00이므로, OPS의 최대값은 5.00이 된다.

4. 장점

세이버매트리션들은 오랜 연구를 통해 야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득실점이며, 특히 득점은 '''‘얼마나 자주 루상에 나가느냐’'''(출루율)와 '''‘얼마나 많은 루를 나가느냐’'''(장타율)에 달려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출루율이나 장타율은 이 중 한 가지만 보여줄 수 있지만, OPS는 두 가지 요소를 한 번에 나타내므로 득점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표로 평가받는다.

OPS의 가장 큰 장점은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수치이면서도 득점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는 점이다. 구체적인 예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일본 프로 야구(NPB)에서 경기당 평균 득점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결정 계수를 보면, 타율은 0.68에 불과했지만 OPS는 0.92에 달했다. 이는 팀 득점력의 약 90% 이상을 OPS의 높낮이로 설명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높은 득점 상관관계와 간단한 계산 방식 덕분에 OPS는 메이저 리그(MLB)에서 2000년대 이후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는 타자의 공식 기록으로 채택되어 [https://www.mlb.com/stats/ MLB 공식 웹사이트의 타자 성적표]는 기본적으로 OPS 순서로 정렬되며, 북미 방송 중계에서도 타율, 홈런, 타점의 타격 3관왕 지표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도 OPS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2006년부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감독으로 부임한 후루타 아쓰야는 전년도 팀 타율이 리그 최고였음에도 득점은 최소에 그친 타선을 개선하기 위해 출루율과 함께 OPS를 중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2009년에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마티 브라운이 OPS를 중시하는 타선을 구성하겠다고 공언하며 주목받았으며, 미국 야구를 경험한 G.G. 사토는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계약에서 OPS에 따른 성과급 조항을 포함시키기도 했다.

5. 비판 및 한계

OPS는 타자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직관적인 지표이지만, 몇 가지 비판과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출루율장타율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연구에 따르면 출루율이 장타율보다 득점 생산에 더 큰 영향을 미치지만[9], OPS는 이 차이를 반영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출루율 .400 / 장타율 .450인 타자와 출루율 .300 / 장타율 .550인 타자는 OPS가 .850으로 같지만, 실제 득점 생산성은 전자가 더 높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거 기록을 바탕으로 출루율과 장타율의 득점 기여도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조정한 wOBA와 같은 지표가 개발되었다. 참고로 201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전체 평균 OPS는 .758이었다.[10]

또한, OPS는 시대를 보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단순히 높은 OPS를 기록하는 것보다, 해당 리그의 평균적인 수준에 비해 얼마나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는지가 팀 승리에 더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그 평균 OPS가 .750인 환경에서 OPS .700을 기록한 타자는 리그 평균 OPS가 .775인 환경에서 OPS .700을 기록한 타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나은 성적을 낸 것이지만, OPS 자체만으로는 이러한 시대적 차이를 반영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리그 평균과 파크 팩터 등을 고려하여 보정한 조정OPS가 사용된다.

OPS는 두 가지 다른 성격의 지표(출루율, 장타율)를 단순히 더하기 때문에, 타자의 세부적인 특징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OPS 수치만으로는 해당 타자가 '장타는 부족하지만 꾸준히 출루하는 유형'인지, '출루는 적지만 한 방을 갖춘 거포 유형'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미국 언론 등에서는 이러한 정보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타율, 출루율, 장타율 세 지표를 함께 표기하는 방식("타율/출루율/장타율")을 사용하기도 한다. 더 자세한 타격 성향 분석을 위해서는 배트 볼이나 PITCHf/x와 같은 데이터가 활용된다.

더불어 OPS는 타격 이후의 주루 플레이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 선수가 출루한 뒤 얼마나 진루에 성공했는지, 도루 능력은 어떠한지 등은 OPS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자의 종합적인 득점 생산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OPS와 함께 주루 관련 지표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OPS는 득점과의 상관관계는 높지만, 선형 가중치(Linear Weights) 분석[19]에 따르면 출루 능력을 실제 득점 기여도보다 다소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20]. 세이버매트릭스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타자의 종합적인 공격 기여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선형 가중치에 기반한 wOBA 등의 지표를 중요하게 사용한다[21].

6. 보완된 지표: 조정 OPS (OPS+)

기존의 OPS는 출루율장타율의 중요도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출루율 .400, 장타율 .450인 타자와 출루율 .300, 장타율 .550인 타자는 OPS가 .850으로 동일하지만, 실제 득점 생산성은 전자가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시대별 리그 환경 차이를 보정하지 못해 다른 시대의 선수들을 직접 비교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평균 OPS가 .750인 리그에서 OPS .700을 기록한 타자가 평균 OPS .775인 리그에서 OPS .700을 기록한 타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고 볼 수 있지만, 단순 OPS 수치만으로는 이러한 비교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OPS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지표가 조정 OPS (OPS+)이다. OPS+는 선수가 속한 리그의 평균적인 OPS와 해당 선수가 뛰었던 구장의 특성(파크 팩터)을 고려하여 조정한 값이다. 리그 평균 OPS+는 항상 100으로 설정되며, 이를 기준으로 선수의 생산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OPS+가 150 이상이면 매우 우수한 타자, 125 정도면 매우 좋은 타자, 75 이하면 부진한 타자로 평가받는다. OPS+가 100인 타자는 평균적인 득점력을 의미하며, 150인 타자는 평균보다 50% 높은 득점력을 가진다는 의미이다.[17]

OPS+의 기본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OPS+ = 100 \times \left( \frac{OBP}{*lgOBP} + \frac{SLG}{*lgSLG} - 1 \right)

여기서 OBP는 해당 선수의 출루율, SLG는 해당 선수의 장타율을 의미하며, *lgOBP는 리그의 구장 보정 평균 출루율, *lgSLG는 리그의 구장 보정 평균 장타율을 나타낸다. 파크 팩터를 분모로 사용하여 계산하는 다른 공식 표현도 있다.

:OPS+ = 100 \times \frac{\frac{OBP}{lgOBP} + \frac{SLG}{lgSLG} - 1}{\text{BPF}}

여기서 lgOBP와 lgSLG는 각각 리그 평균 출루율과 장타율이며, BPF는 해당 선수가 주로 경기를 치른 구장의 파크 팩터이다.

흔히 OPS+를 단순히 '선수 OPS / 리그 평균 OPS'의 비율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제 계산 방식은 다르다. OPS+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각각 리그 평균(및 구장 보정)과 비교하여 합산하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출루율과 장타율이 모두 리그 평균보다 50% 높은 선수는 OPS+ 200(리그 평균의 2배)을 기록하지만, OPS 자체는 리그 평균 OPS보다 50% 높은 수준에 그칠 수 있다. OPS+가 150인 선수가 OPS+ 100인 선수보다 주어진 타석에서 약 50% 더 많은 득점을 생산한다고 이해하는 것이 (정확하지는 않지만) 더 나은 근사치이다.

다른 시대나 다른 리그에서 활약한 선수들을 비교할 때 OPS+는 매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

=== 통산 OPS+ 순위 ===

2019 시즌 종료 시점 기준, 최소 3,000 타석 이상을 소화한 선수들의 통산 OPS+ 상위 20위는 다음과 같다.[7]

통산 OPS+ 상위 20위 (최소 3,000 타석)
순위선수OPS+
1베이브 루스206
2테드 윌리엄스190
3배리 본즈182
4루 게릭179
5마이크 트라웃176
6로저스 혼스비175
7미키 맨틀172
8댄 브라우더스171
9조 잭슨170
10타이 콥168
11피트 브라우닝163
11지미 폭스163
11마크 맥과이어163
14데이브 오어162
15스탠 뮤지얼159
16행크 그린버그158
16조니 마이즈158
18트리스 스피커157
19딕 앨런156
19윌리 메이스156
19프랭크 토마스156


  • 이 목록에 포함된 우타자는 브라우닝, 혼스비, 폭스, 오어, 트라웃, 맥과이어, 앨런, 메이스, 토마스이다. 맨틀은 유일한 스위치 히터이다.


=== 단일 시즌 OPS+ 순위 ===

역대 단일 시즌 최고 OPS+ 기록은 다음과 같다.[8]

단일 시즌 OPS+ 상위 기록
순위선수OPS+시즌
1배리 본즈2682002
2배리 본즈2632004
3배리 본즈2592001
4프레드 던랩2581884 *
5베이브 루스2561920
6베이브 루스2391921
7베이브 루스2391923
8테드 윌리엄스2351941
9테드 윌리엄스2331957
10로스 반스2311876 **
11배리 본즈2312003


  • 프레드 던랩의 1884년 시즌 기록은 일부 야구 전문가들이 진정한 메이저 리그로 간주하지 않는 유니언 협회에서 세워졌다.
  • * 로스 반스는 당시 페어 지역에 먼저 떨어진 번트 타구를 유효로 인정하는 규칙의 덕을 봤을 가능성이 있다. 이 규칙이 폐지된 후 그의 성적은 하락했지만, 부상 역시 성적 하락의 주된 원인이었을 수 있다.


만약 던랩과 반스의 기록을 제외한다면, 베이브 루스의 다른 두 시즌(1926년, 1927년) 기록이 순위에 포함되며, 이 경우 목록에 포함된 유일한 두 명의 우타자(던랩, 반스)가 제외된다.

7. wOBA

OPS는 출루율장타율을 단순히 더한 값이다. 하지만 실제 득점 기여도 분석 결과, 출루율이 장타율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OPS는 이러한 가중치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출루율 .400, 장타율 .450인 타자와 출루율 .300, 장타율 .550인 타자는 OPS가 .850으로 같지만, 실제 득점 생산성은 전자가 더 높을 수 있다.

특히 OPS는 득점과의 상관관계는 높지만, 각 플레이의 실제 득점 가치를 계산하는 선형 가중치(Linear Weights)[19] 방식과 비교했을 때 출루 능력이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20].

이러한 OPS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가 wOBA(가중 출루율, Weighted On-Base Average)이다. wOBA는 과거 기록을 바탕으로 각 타격 결과(단타, 2루타, 홈런, 볼넷 등)가 평균적인 득점 기대치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계산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선형 가중치[19] 개념에 기반한다. 이를 통해 타자의 종합적인 공격력과 득점 기여도를 OPS보다 더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어, 현대 세이버메트릭스에서 핵심적인 타격 지표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21].

8. OPS 관련 기록 (한국, 미국, 일본)

OPS는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수치이면서도 득점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일본 프로 야구(NPB)에서는 경기당 평균 득점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결정 계수가 타율이 0.68인 반면, OPS는 0.92로 나타나 팀 득점 규모의 약 90% 이상을 OPS의 높낮이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득점과의 강한 상관관계와 간단한 산출 방식 덕분에 메이저 리그(MLB)에서는 2000년대 이후 OPS가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는 타자 성적의 공식 기록으로 채택되어, [https://www.mlb.com/stats/ MLB 공식 웹사이트의 타자 성적표]는 기본적으로 OPS 순서로 표시되며, 북미 방송 중계에서도 타격 3관왕(타율, 홈런, 타점)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2023년 MLB 전체 선수들의 평균 OPS는 .734였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도 OPS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2006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으로 취임한 후루타 아쓰야는 전년도 팀 타율이 리그 최고였음에도 득점은 최소에 그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루율과 함께 OPS를 중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2009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마티 브라운 역시 OPS를 중시하는 타선을 구성하겠다고 공언했으며, 세이부 라이온스는 G.G. 사토와의 계약에서 OPS에 따른 성과급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일본 프로 야구의 구체적인 통산 및 단일 시즌 OPS 기록은 아래 관련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1. 메이저 리그 (ML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통산 OPS 순위는 다음과 같다.

통산 OPS 상위 20명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3000타석 이상)[110]
순위선수명OPS
1베이브 루스1.164
2테드 윌리엄스1.116
3루 게릭1.080
4배리 본즈1.051
5지미 폭스1.038
6행크 그린버그1.017
7애런 저지●1.01031
8로저스 혼스비1.01027
9매니 라미레즈.996
10마이크 트라웃●.991
11마크 맥과이어.9823
12미키 맨틀.9773
13조 디마지오.9771
14스탠 뮤지얼.976
15프랭크 토마스.974
16래리 워커.965
17조니 마이즈.959
18짐 토미.956
19후안 소토●.95312
20토드 헬튼.95305



MLB 단일 시즌 OPS 상위 10명은 다음과 같다 (모두 좌타자):[6]

# 배리 본즈, 1.4217 (2004년)

# 배리 본즈, 1.3807 (2002년)

# 베이브 루스, 1.3791 (1920년)

# 배리 본즈, 1.3785 (2001년)

# 베이브 루스, 1.3586 (1921년)

# 베이브 루스, 1.3089 (1923년)

# 테드 윌리엄스, 1.2875 (1941년)

# 배리 본즈, 1.2778 (2003년)

# 베이브 루스, 1.2582 (1927년)

# 테드 윌리엄스, 1.2566 (1957년)

우타자 중 단일 시즌 최고 기록은 로저스 혼스비가 1925년에 기록한 1.2449로, 역대 13위에 해당한다. 1935년 이후 우타자 중 단일 시즌 최고 OPS는 마크 맥과이어가 1998년에 기록한 1.2224로, 역대 16위에 해당한다.[6]

2019 시즌 종료 시점까지 통산 OPS+ 상위 선수 (최소 3,000 타석)는 다음과 같다:[7]

# 베이브 루스, 206

# 테드 윌리엄스, 190

# 배리 본즈, 182

# 루 게릭, 179

# 마이크 트라웃, 176

# 로저스 혼스비, 175

# 미키 맨틀, 172

# 댄 브라우더스, 171

# 조 잭슨, 170

# 타이 콥, 168

# 피트 브라우닝, 163

# 지미 폭스, 163

# 마크 맥과이어, 163

# 데이브 오어, 162

# 스탠 뮤지얼, 159

# 행크 그린버그, 158

# 조니 마이즈, 158

# 트리스 스피커, 157

# 딕 앨런, 156

# 윌리 메이스, 156

# 프랭크 토마스, 156

이 목록에 오른 우타자는 브라우닝, 혼스비, 폭스, 오어, 트라웃, 맥과이어, 앨런, 메이스, 토마스이다. 맨틀은 유일한 스위치 히터이다.

단일 시즌 OPS+ 최고 기록은 다음과 같다:[8]

# 배리 본즈, 268 (2002년)

# 배리 본즈, 263 (2004년)

# 배리 본즈, 259 (2001년)

# 프레드 던랩, 258 (1884년) *

# 베이브 루스, 256 (1920년)

# 베이브 루스, 239 (1921년)

# 베이브 루스, 239 (1923년)

# 테드 윌리엄스, 235 (1941년)

# 테드 윌리엄스, 233 (1957년)

# 로스 반스, 231 (1876년) **

# 배리 본즈, 231 (2003년)

  • 프레드 던랩의 1884년 시즌 기록은 일부 야구 전문가들이 진정한 메이저 리그로 간주하지 않는 유니언 협회에서 나왔다.
  • * 로스 반스는 페어 지역에서 먼저 굴러가면 번트를 유효하게 만드는 당시 규칙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이 규칙이 폐지된 후 그의 성적은 하락했지만, 부상이 주된 원인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만약 던랩과 반스의 시즌 기록을 제외한다면, 베이브 루스의 다른 두 시즌(1926년과 1927년) 기록이 상위 목록에 포함될 것이며, 이 경우 목록에 있는 유일한 두 명의 우타자(던랩, 반스)는 제외된다.

8. 2. 일본 프로 야구 (NPB)

통산 기록

  • 기준: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통산 4000타수 이상
순위선수명OPS
1오 사다하루1.080
2마쓰이 히데키.996
3알렉스 카브레라.990
4오치아이 히로미쓰.987
5야나기타 유키.944
6타피 로즈.940
7장훈.9334
8나카니시 이사오.9325
9오가사와라 미치히로.929
10부머 웰즈.927
11마쓰나카 노리히코.925
12레론 리.924
13야마모토 코지.923
14나가시마 시게오.919
15카케후 마사유키.913
16기요하라 카즈히로.909
17몬타 히로미쓰.907
18레온 리.902
19야마우치 카즈히로.900
20타부치 코이치.896



통산 2000타수 이상 4000타수 미만
순위선수명OPS
1랜디 바스1.078
2로베르토 페타지니1.051
3찰리 매니엘.988
4스즈키 세이야.985
5무라카미 무네타카.9652
6타이론 우즈.9647
7요시다 마사타카.960
8이치로.943
9토마스 오말리.941
10조지 알트먼.938


단일 시즌 기록


  • 기준: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순위선수명소속 구단OPSOPS+기록 연도비고
1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1.2932511974년센트럴 리그 기록
2랜디 바스한신 타이거스1.2582351986년
3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1.2552631973년
4오치아이 히로미쓰롯데 오리온스1.2442111985년퍼시픽 리그 기록
5블라디미르 발렌틴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1.2342372013년센트럴 리그 우타자 기록
6오치아이 히로미쓰롯데 오리온스1.2322171986년
7알렉스 카브레라세이부 라이온스1.2232342002년
8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1.2112431967년
9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1.2102611966년
10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1.2042051976년


연도별 리그 평균 기록


  • 기준: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연도일본 야구 기구비고
1936년 가을[22].592다이도쿄군 역대 최소 0홈런 기록
1937년 봄[23].625
1937년 가을.649
1938년 봄[24].626
1938년 가을.612
1939년[25].603
1940년[26].559
1941년[27].547
1942년[28].529
1943년[29].533
1944년[30].595
1946년[31].677
1947년[32].611
1948년[33].629
1949년[34].727래빗볼 채택



연도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비고
1950년[35].727.700센트럴·퍼시픽 양 리그 래빗볼 채택. 쇼치쿠 로빈스 일본 기록 908득점 기록
1951년[36].704.648style="text-align:left"|
1952년[37].666.674style="text-align:left"|
1953년[38].673.648style="text-align:left"|
1954년[39].659.644긴테쓰 펄스 2리그제 이후 최소 27홈런 기록
1955년[40].618.642다이요 웨일스 2리그제 이후 최소 290득점 기록
1956년[41].596.607style="text-align:left"|
1957년[42].608.622style="text-align:left"|
1958년[43].623.620style="text-align:left"|
1959년[44].627.635style="text-align:left"|
1960년[45].636.655style="text-align:left"|
1961년[46].633.669style="text-align:left"|
1962년[47].619.668style="text-align:left"|
1963년[48].666.667style="text-align:left"|
1964년[49].673.675style="text-align:left"|
1965년[50].633.657style="text-align:left"|
1966년[51].644.648style="text-align:left"|
1967년[52].676.657style="text-align:left"|
1968년[53].678.678style="text-align:left"|
1969년[54].668.675style="text-align:left"|
1970년[55].645.692style="text-align:left"|
1971년[56].640.714style="text-align:left"|
1972년[57].692.720style="text-align:left"|
1973년[58].658.708style="text-align:left"|
1974년[59].705.690style="text-align:left"|
1975년[60].697.694퍼시픽 리그 지명타자 제도 도입
1976년[61].755.689style="text-align:left"|
1977년[62].780.691style="text-align:left"|
1978년[63].764.714style="text-align:left"|
1979년[64].744.766style="text-align:left"|
1980년[65].726.797퍼시픽 리그 3개 구단 200홈런 기록. 킨테츠 버팔로스 퍼시픽 리그 기록 239홈런, 역대 최고 OPS .864 기록
1981년[66].729.748style="text-align:left"|
1982년[67].700.729style="text-align:left"|
1983년[68].760.761style="text-align:left"|
1984년[69].760.762style="text-align:left"|
1985년[70].771.789오치아이 히로미쓰 퍼시픽 리그 최고 OPS 기록. 한신 타이거스 센트럴 리그 기록 OPS .841 기록
1986년[71].717.770style="text-align:left"|
1987년[72].733.722style="text-align:left"|
1988년[73].706.730style="text-align:left"|
1989년[74].719.768style="text-align:left"|
1990년[75].737.765style="text-align:left"|
1991년[76].716.738style="text-align:left"|
1992년[77].719.731style="text-align:left"|
1993년[78].708.714style="text-align:left"|
1994년[79].718.752style="text-align:left"|
1995년[80].728.690style="text-align:left"|
1996년[81].739.721style="text-align:left"|
1997년[82].728.735style="text-align:left"|
1998년[83].712.745style="text-align:left"|
1999년[84].746.731style="text-align:left"|
2000년[85].726.749style="text-align:left"|
2001년[86].728.768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스 일본 기록 587사사구 기록
2002년[87].707.723style="text-align:left"|
2003년[88].752.790style="text-align:left"|
2004년[89].772.790요미우리 자이언츠 일본 기록 259홈런 기록
2005년[90].742.742style="text-align:left"|
2006년[91].715.709style="text-align:left"|
2007년[92].728.706style="text-align:left"|
2008년[93].715.732style="text-align:left"|
2009년[94].703.740style="text-align:left"|
2010년[95].740.739style="text-align:left"|
2011년[96].642.656센트럴·퍼시픽 양 리그 통일구 채택
2012년[97].648.658style="text-align:left"|
2013년[98].699.708style="text-align:left"|
2014년[99].720.707style="text-align:left"|
2015년[100].674.702style="text-align:left"|
2016년[101].698.706style="text-align:left"|
2017년[102].696.706style="text-align:left"|
2018년[103].730.723style="text-align:left"|
2019년[104].716.717style="text-align:left"|
2020년[105].714.703style="text-align:left"|
2021년[106].698.683style="text-align:left"|
2022년[107].678.668style="text-align:left"|
2023년[108].668.664style="text-align:left"|
2024년[109].645.650style="text-align:left"|


9. OPS 평가 기준

OPS 개발자인 빌 제임스는 타자를 A부터 G까지 7단계로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했다.[18][4] 이 기준은 OPS 값을 7점 척도로 변환하여 타자의 생산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각 등급별 평가와 OPS 범위는 다음과 같다.

등급평가OPS 범위
A훌륭함.9000 이상
B매우 좋음.8334 - .8999
C좋음.7667 - .8333
D보통.7000 - .7666
E평균 이하.6334 - .6999
F나쁨.5667 - .6333
G매우 나쁨.5666 이하


참조

[1] 웹사이트 www.baseballprospectus.com http://www.baseballp[...]
[2] 서적 The Hidden Game of Baseball
[3] 서적 The Numbers Game
[4] 간행물 The 96 Families of Hitters The Bill James Gold Mine 2009
[5]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OPS https://www.baseball[...] 2019-07-26
[6] 웹사이트 Single-Season Records for OPS https://www.baseball[...] 2019-07-26
[7]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djusted OPS+ https://www.baseball[...] 2019-07-26
[8] 웹사이트 Single-Season Leaders & Records for Adjusted OPS+ https://www.baseball[...] 2019-07-26
[9] 서적 Moneyball: The Art of Winning an Unfair Game 203
[10] 웹사이트 2019 Major League Baseball Standard Batting https://www.baseball[...]
[11] 웹사이트 1.02 Essence of Baseball https://1point02.jp/[...] 2021-07-15
[12] 서적 マネーボール
[13] 웹사이트 1.02 Essence of Baseball https://1point02.jp/[...] 2021-05-08
[14] 뉴스 “ブラウン作戦”OPS重視打線で勝負! https://web.archive.[...] スポーツニッポン 2010-03-14
[15] 뉴스 西武GGが大トリ更改、OPS出来高導入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0-03-14
[16] 웹사이트 2023 Major League Baseball Standard Batting http://www.baseball-[...]
[17] 웹사이트 Prospectus Q&A http://www.baseballp[...] Baseball Prospectus 2013-12-17
[18] 간행물 The 96 Families of Hitters The Bill James Gold Mine 2009
[19] 웹사이트 Linear Weights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07-02
[20] 웹사이트 OPS and OPS+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07-02
[21] 웹사이트 wOBA http://www.fangraphs[...] FanGraphs 2013-07-02
[22] 웹사이트 193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23] 웹사이트 193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24] 웹사이트 193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25] 웹사이트 193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26] 웹사이트 194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27] 웹사이트 194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28] 웹사이트 194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29] 웹사이트 194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0] 웹사이트 194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1] 웹사이트 194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2] 웹사이트 194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3] 웹사이트 194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4] 웹사이트 194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5] 웹사이트 195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6] 웹사이트 195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7] 웹사이트 195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8] 웹사이트 195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39] 웹사이트 195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0] 웹사이트 1955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1] 웹사이트 195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2] 웹사이트 195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3] 웹사이트 195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4] 웹사이트 195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5] 웹사이트 196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6] 웹사이트 196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7] 웹사이트 196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8] 웹사이트 196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49] 웹사이트 196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0] 웹사이트 1965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1] 웹사이트 196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2] 웹사이트 196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3] 웹사이트 196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4] 웹사이트 196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5] 웹사이트 197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6] 웹사이트 197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7] 웹사이트 197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8] 웹사이트 197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59] 웹사이트 197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0] 웹사이트 1975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1] 웹사이트 197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2] 웹사이트 197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3] 웹사이트 197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4] 웹사이트 197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5] 웹사이트 198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6] 웹사이트 198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7] 웹사이트 198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8] 웹사이트 198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69] 웹사이트 198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0] 웹사이트 1985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1] 웹사이트 198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2] 웹사이트 198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3] 웹사이트 198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4] 웹사이트 198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5] 웹사이트 199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6] 웹사이트 199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7] 웹사이트 199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8] 웹사이트 199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79] 웹사이트 199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0] 웹사이트 1995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1] 웹사이트 199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2] 웹사이트 199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3] 웹사이트 199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4] 웹사이트 199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5] 웹사이트 200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6] 웹사이트 200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7] 웹사이트 200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8] 웹사이트 200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89] 웹사이트 200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0] 웹사이트 2005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1] 웹사이트 200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2] 웹사이트 200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3] 웹사이트 200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4] 웹사이트 200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5] 웹사이트 201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6] 웹사이트 201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7] 웹사이트 201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8] 웹사이트 201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99] 웹사이트 201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0] 웹사이트 2015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1] 웹사이트 2016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2] 웹사이트 2017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3] 웹사이트 2018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4] 웹사이트 2019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5] 웹사이트 2020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6] 웹사이트 2021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7] 웹사이트 2022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09-27
[108] 웹사이트 2023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3-10-07
[109] 웹사이트 2024 Register League Encyclopedia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4-10-12
[110] 웹사이트 通算記録 (MLB) http://www.baseball-[...]
[111]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djusted OPS+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4-10-06
[112] 웹사이트 Single-Season Leaders & Records for On-Base Plus Slugging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4-10-05
[113] 웹사이트 Single-Season Leaders & Records for Adjusted OPS+ http://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4-10-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