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arl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earl》은 1970년 재니스 조플린이 풀 틸트 부기 밴드와 함께 녹음한 앨범이다. 폴 A. 로스차일드가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조플린은 앨범 수록곡 대부분의 작곡과 편곡에 참여했다. 앨범에는 "Me and Bobby McGee", "Cry Baby", "Mercedes Benz" 등이 수록되었고, 조플린은 "Buried Alive in the Blues"를 제외한 모든 곡을 불렀다. 앨범은 조플린의 사망 후 발매되어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기록했고,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에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니스 조플린의 음반 - I Got Dem Ol' Kozmic Blues Again Mama!
재니스 조플린의 두 번째 솔로 앨범 《I Got Dem Ol' Kozmic Blues Again Mama!》는 코즈믹 블루스 밴드와 함께 작업한 유일한 앨범으로, 블루스와 소울 음악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며 "Try (Just a Little Bit Harder)" 등의 곡이 수록되었고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1971년 음반 - Relics
Relics는 1971년에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초기 싱글, B-사이드, 앨범 트랙, 미발표곡 등을 모아 제작되었으며, 닉 메이슨이 디자인한 커버 아트로 유명하고 영국에서 골드 등급을 인증받았다. - 1971년 음반 - Broken Barricades
《Broken Barricades》는 1971년에 발매된 프로콜 하럼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데이브 볼이 기타리스트로 합류하고 로빈 트로워가 탈퇴한 시기에 제작되었으며, 미국 빌보드 200에서 32위, 영국 음반 차트에서 42위를 기록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Pearl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재니스 조플린과 풀 틸트 부기 밴드 |
발매일 | 1971년 1월 11일 |
녹음일 | 1970년 7월 27일 ~ 1970년 10월 4일 |
녹음 장소 | 선셋 사운드,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
장르 | 블루스 록 소울 블루스 |
길이 | 34분 09초 |
레이블 | 컬럼비아 |
프로듀서 | 폴 A. 로스차일드 |
싱글 | |
싱글 1 | Me and Bobby McGee / Half Moon |
싱글 1 발매일 | 1971년 1월 12일 |
싱글 2 | Cry Baby / Mercedes Benz |
싱글 2 발매일 | 1971년 4월 23일 |
싱글 3 | Get It While You Can / Move Over |
싱글 3 발매일 | 1971년 8월 21일 |
관련 음반 | |
이전 음반 | I Got Dem Ol' Kozmic Blues Again Mama! |
이전 음반 발매일 | 1969년 |
다음 음반 | In Concert |
다음 음반 발매일 | 1972년 |
차트 성적 | |
미국 | 1위 |
네덜란드 | 1위 |
노르웨이 | 1위 |
일본 | 10위 |
영국 | 20위 |
2. 제작 배경
1970년, 재니스 조플린은 새로운 백 밴드인 풀 틸트 부기 밴드와 함께 《Pearl》 앨범 녹음을 시작했다.[2] 프로듀서는 도어스의 프로듀서로 잘 알려진 폴 A. 로스차일드가 맡았다.[2] 로스차일드는 조플린을 "프로듀서의 꿈"이라고 칭하며, 그녀와 잘 협력하여 그녀의 특별한 보컬 재능을 보여주는 앨범을 만들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녹음은 로스앤젤레스의 선셋 사운드 레코더스에서 진행되었다.[2]
《Pearl》은 폴 A. 로스차일드와 풀 틸트 부기 밴드의 전문성을 통해 이전 앨범들보다 더 세련된 사운드를 담고 있다.[2] 로스차일드는 도어스의 프로듀서로 조플린과 긴밀히 협력하여 그녀의 보컬 재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앨범을 만들었다.[2]
;Side 1
풀 틸트 부기 밴드는 1970년 여름, 페스티벌 익스프레스에서 조플린과 함께 했던 뮤지션들로 구성되었다. 앨범 수록곡 중 상당수는 조플린과 밴드가 로스앤젤레스 녹음 세션을 시작하기 두 달 전 캐나다 콘서트 무대에서 이미 선보였다. 조플린은 앨범 수록곡 대부분의 작곡과 편곡에 직접 참여하여 자신의 음악적 색깔을 뚜렷하게 드러냈다. 크리스 크리스토퍼슨과 프레드 포스터가 작곡한 "Me and Bobby McGee"는 조플린이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했으며, 1위 히트곡이 되었다.[2] 바비 워맥의 "Trust Me", 하워드 테이트의 "Get It While You Can", 조플린, 바비 뉴워스, 마이클 맥클루어가 공동 작사한 "Move Over"와 "Mercedes Benz" 등이 수록되었다.
조플린은 "Buried Alive in the Blues"를 제외한 모든 트랙에서 노래했다. 이 곡은 연주곡으로 남게 되었는데, 작곡가 닉 그라베니티스는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와 함께 1971년 앨범 ''How Hard It Is''에 이 곡을 불렀다.[2] 9월 초에 시작된 녹음 세션은 1970년 10월 조플린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끝났다. 그녀의 마지막 세션은 10월 1일 목요일에 진행되었으며, 아카펠라 곡인 "Mercedes Benz"를 녹음했다. 이 곡은 그녀가 사망하기 전에 녹음한 마지막 곡이었다.[2]
배리 파인스타인이 촬영한 앨범 커버에는[3][4] 조플린이 술잔을 들고 빅토리아 시대의 러브시트에 기대어 앉아 있는 모습이 담겨 있다.[5]
3. 음악적 특징
풀 틸트 부기 밴드는 1970년 여름 페스티벌 익스프레스에서 조플린과 함께 했던 뮤지션들로 구성되었다. 앨범에 수록된 많은 곡들은 로스앤젤레스 녹음 세션 전에 이미 캐나다 콘서트 무대에서 녹음되었다.[2] 조플린은 9곡 모두를 직접 승인하고 편곡했으며, 크리스 크리스토퍼슨과 프레드 포스터가 작곡한 1위 히트곡 "Me and Bobby McGee", 바비 워맥의 "Trust Me", 하워드 테이트의 "Get It While You Can", 그리고 조플린, 바비 뉴워스, 마이클 맥클루어가 공동 작사한 "Move Over"와 "Mercedes Benz" 등이 수록되었다.[2]
조플린은 "Buried Alive in the Blues"를 제외한 모든 트랙에서 노래했다. 이 곡은 연주곡으로 남게 되었는데, 작곡가 닉 그라베니티스는 조플린에 대한 헌사로 이 곡을 부를 기회를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2]
새로운 백 밴드인 풀 틸트 부기 밴드는 트윈 키보드 체제로 가스펠 색채가 짙은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프로듀서는 도어즈를 담당했던 폴 A. 로스차일드였다.[2] 1970년 9월부터 레코딩이 시작되었지만, 10월 4일 조플린의 사망으로 인해 일부 곡은 미완성 상태로 수록되었다. "Buried Alive in the Blues"는 인스트루멘탈로, "Mercedes Benz"는 아카펠라 가녹음 상태로 수록되었다.[2]
4. 수록곡
# 재니스 조플린이 직접 작곡한 〈Move Over〉는 강렬한 록 사운드가 특징이다. 조플린의 대표곡 중 하나로, 슬레이드, 신데렐라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커버했다.
# Cry Baby는 제리 라고보이와 버트 번스가 작곡한 곡으로, 원래 가넷 밈즈가 불렀다. 재니스 조플린의 소울풀한 보컬이 돋보이는 버전으로, 싱글로 발매되어 미국에서 42위를 기록했다.
# 댄 펜과 스푸너 올덤이 작곡한 〈A Woman Left Lonely〉는 섬세한 감정 표현이 돋보인다.
# 존 홀과 조안나 홀 부부가 작곡한 〈Half Moon〉은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기며, 조플린의 다양한 보컬 스타일을 보여준다. 후에 카네코 마리 & 벅스 버니가 커버하기도 했다.
# 닉 그레이브니트가 작곡한 〈Buried Alive in the Blues〉는 조플린이 사망하는 바람에 보컬이 녹음되지 못하고 연주곡으로 수록되었다. 닉 그레이브니트는 이후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의 1971년 앨범 《How Hard It Is》에서 직접 이 곡을 불렀다.
;Side 2
# 제리 라고보이와 모트 슈만이 작곡한 〈My Baby〉는 가넷 밈즈의 곡을 커버한 것으로, 경쾌한 리듬이 특징이다.
# 미 앤 바비 맥기는 크리스 크리스토퍼슨과 프레드 포스터가 작곡했으며, 조플린 사후 빌보드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한 그녀의 대표곡 중 하나이다. 조플린은 이 곡에서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했다.
# 벤츠가 갖고 싶어는 조플린, 밥 뉴워스, 마이클 맥클루어가 작곡했으며, 조플린이 아카펠라로 부른 곡으로,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바비 워맥이 작곡하고 어쿠스틱 기타 연주를 맡은 〈Trust Me〉는 소울 음악의 거장이 만든 곡이다.
# 하워드 테이트의 곡을 커버한 〈Get It While You Can〉은 라고보이와 슈만이 작곡했으며, 조플린의 폭발적인 가창력이 돋보인다.
4. 1. Side One
《'''Move Over'''》는 재니스 조플린이 직접 작곡한 곡으로, 강렬한 록 사운드가 특징이다. 조플린의 대표곡 중 하나로, 슬레이드, 신데렐라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커버했다. 《'''Cry Baby'''》는 제리 라고보이와 버트 번스가 작곡한 곡으로, 원래 가넷 밈즈가 불렀다. 재니스 조플린의 소울풀한 보컬이 돋보이는 버전으로, 싱글로 발매되어 미국에서 42위를 기록했다. 《'''A Woman Left Lonely'''》는 댄 펜과 스푸너 올덤이 작곡한 발라드 곡으로, 섬세한 감정 표현이 돋보인다. 《'''Half Moon'''》은 존 홀과 조안나 홀 부부가 작곡한 곡으로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기며, 조플린의 다양한 보컬 스타일을 보여준다. 후에 카네코 마리 & 벅스 버니가 커버하기도 했다. 《'''Buried Alive in the Blues'''》는 닉 그레이브니트가 작곡한 곡으로, 조플린이 사망하는 바람에 보컬이 녹음되지 못하고 연주곡으로 수록되었다. 닉 그레이브니트는 이후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의 1971년 앨범 《How Hard It Is》에서 직접 이 곡을 불렀다.
4. 2. Side Two
제리 라고보이와 모트 슈만이 작곡한 〈My Baby〉는 가넷 밈즈의 곡을 커버한 것으로, 경쾌한 리듬이 특징이다. 〈Me and Bobby McGee〉는 크리스 크리스토퍼슨과 프레드 포스터가 작곡했으며, 조플린 사후 빌보드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한 그녀의 대표곡 중 하나이다. 조플린은 이 곡에서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했다. 〈Mercedes Benz〉는 조플린, 밥 뉴워스, 마이클 맥클루어가 작곡했으며, 조플린이 아카펠라로 부른 곡으로,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바비 워맥이 작곡하고 어쿠스틱 기타 연주를 맡은 〈Trust Me〉는 소울 음악의 거장이 만든 곡이다. 하워드 테이트의 곡을 커버한 〈Get It While You Can〉은 라고보이와 슈만이 작곡했으며, 조플린의 폭발적인 가창력이 돋보인다.
4. 3. 보너스 트랙 (1999년 리마스터판)
1999년 리마스터판에는 1970년 7월 4일 캘거리에서 진행된 캐나디안 페스티벌 익스프레스 투어 실황 음원 4곡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14] 수록된 곡은 다음과 같다.4. 4. The Pearl Sessions (2012년)
2012년에는 《The Pearl Sessions》가 발매되었다. 여기에는 1971년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발매한 《Pearl》 바이닐 음반을 구성하는 곡들의 얼터너티브 테이크가 포함되어 있다. 조플린과 프로듀서 폴 A. 로스차일드가 이야기를 나누는 녹음은 듣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창조적인 음악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준다.[15][16]
5. 참여 음악가
'''풀 틸트 부기 밴드'''
- 재니스 조플린 – 보컬, "Me and Bobby McGee" 어쿠스틱 기타
- 리처드 벨 – 피아노
- 켄 피어슨 – 해먼드 오르간
- 존 틸 – 일렉트릭 기타
- 브래드 캠벨 – 베이스 기타
- 클라크 피어슨 – 드럼
'''추가 인원'''
'''기술'''
- 폴 A. 로스차일드 – 프로듀서
- 필 메이시 – 엔지니어
- 빅 아네시니 – 리마스터링 (1999년 재발행, 2005년 레거시 에디션 및 2012년 ''The Pearl Sessions'' 에디션)
- 배리 파인스타인, 톰 윌키스 – 카무플라주 프로덕션 사진 및 디자인
5. 1. 풀 틸트 부기 밴드
재니스 조플린은 보컬과 〈Me and Bobby McGee〉의 어쿠스틱 기타를 담당했다. 리처드 벨은 피아노, 켄 피어슨은 해먼드 오르간, 존 틸은 일렉트릭 기타, 브래드 캠벨은 베이스 기타, 클라크 피어슨은 드럼을 연주했다.이 6명을 중심으로, 추가 인원이 참가했다. 샌드라 크라우치는 탬버린, 바비 할은 콩가와 봉고, 바비 워맥은 〈Trust Me〉에서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했다. 빈스 미첼, 필 바델라, 존 쿡은 코러스 보컬을 담당했다.
5. 2. 추가 참여
바비 워맥은 〈Trust Me〉에서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했다. 바비 할은 봉고와 콩가를 연주했다. 필 바델라, 존 쿡, 빈스 미첼은 백 보컬을 담당했고, 샌드라 크라우치는 탬버린을 연주했다.6. 반응 및 평가
《'''Pearl'''》은 발매 직후 빌보드 200 차트에서 9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21] 싱글 〈Me and Bobby McGee〉는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하며 재니스 조플린의 대표곡이 되었다.[11] 앨범은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차트 1위, 네덜란드 앨범 차트 1위, 노르웨이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17][19][20]
《Pearl》은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에 선정되었다. 2003년에는 122위,[10] 2012년에는 125위,[11] 2020년에는 259위에 올랐다. 2010년에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2]
비평가들은 조플린의 뛰어난 보컬과 앨범의 완성도를 높이 평가했다. 올뮤직은 5점 만점에 5점을 부여했으며,[6] ''롤링 스톤''은 호평했다.[7] ''빌리지 보이스''의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A- 등급을 매겼다.[9]
《Pearl》은 캐나다에서 4× 플래티넘 인증을,[17] 일본에서 골드 인증을,[18] 영국에서 실버 인증을,[19] 미국에서 4×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21]
7. 유산
《Pearl》은 재니스 조플린의 음악적 유산을 대표하는 앨범으로, 그녀의 사후에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14][15][16][32][33] 이 앨범은 여성 록 뮤지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후대 여성 뮤지션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앨범 커버 사진은 팝 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는데, 배리 파인스타인이 촬영했으며 조플린이 술잔을 들고 빅토리아 시대의 러브시트에 기대어 앉아 있는 모습이다.
이 앨범은 여러 차례 재발매되었는데, 특히 1999년, 2005년, 2012년 재발매반에는 보너스 트랙과 추가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1999년 8월 31일 CD로 리마스터드된 《Pearl》 재발행에는 1970년 7월 4일에 녹음된 페스티벌 익스프레스 투어의 미공개 라이브 녹음 4곡이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14] 2005년 6월 14일 레거시 에디션에는 존 레논에게 보내는 "해피 트레일스" 생일 축하 메시지와 풀 틸트 부기 밴드의 재결합 연주곡 등 6개의 보너스 트랙이 포함되었고, 두 번째 음반에는 1970년 6월 28일부터 7월 4일까지 녹음된 페스티벌 익스프레스 투어의 확장된 세트가 포함되었다. 2012년 ''The Pearl Sessions''에는 오리지널 앨범, 6개의 모노 믹스, 2개의 라이브 트랙, 대체 테이크가 포함되었으며, 조플린과 폴 로스차일드가 테이크 사이에서 나누는 대화 녹음이 포함되어 있다.[15] 2016년 모바일 피델리티 사운드 랩은 이 앨범을 SACD와 45 RPM 더블 바이닐로 발매했다.[16]
1993년 컬럼비아는 마스터사운드 시리즈의 일환으로 이 음반을 24캐럿 금 CD로 재발매했다.[13] 1999년에는 ''Box Of Pearls'' 박스 세트를 위해 다시 리마스터링되었으며, 이 버전 역시 빅 아네시니가 마스터링했으며, 1970년 7월 4일에 녹음된 페스티벌 익스프레스 투어의 미발표 라이브 녹음 4곡을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했다. 이 버전은 단독 릴리스로도 발매되었다.[14]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 중 1993년에는 122위에 올랐으며[32], 2012년 개정 음반 125위로 변경되었다.[33]
한국에서는 김윤아, 서문탁 등 여성 로커들이 재니스 조플린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참조
[1]
간행물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3-12-31
[2]
뉴스
The Story Behind Janis Joplin’s ‘Mercedes Benz’
https://www.wsj.com/[...]
WS Journal
2015-07-10
[3]
뉴스
Barry Feinstein dies at 80; rock music photographer
2011-10-21
[4]
뉴스
Los Angeles Times obituary for Barry Feinstein says he photographed Pearl album cover
http://www.latimes.c[...]
[5]
웹사이트
Janis Joplin: "Pearl"
http://thegazz.com/g[...]
thegazz.com
2005-07-07
[6]
AllMusic
2011-09-10
[7]
간행물
Janis Joplin: ''Pearl''
https://www.rollings[...]
Wenner Media
1971-02-18
[8]
간행물
Janis Joplin: Album Guide
https://www.rollings[...]
2020-08-16
[9]
뉴스
Consumer Guide (16)
http://www.robertchr[...]
2013-04-05
[10]
간행물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11-09-10
[11]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18
[12]
웹사이트
https://www.grammy.c[...]
2024-08-01
[13]
Booklet
Pearl
Columbia (CK 53441)
[14]
Booklet
Pearl
Columbia (CK 65786)
[15]
Media notes
Pearl
Mobile Fidelity Sound Lab (MFSL 2-454)
[16]
Booklet
Pearl
Mobile Fidelity Sound Lab (UDSACD 2173)
[17]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18]
웹사이트
Lista prodaje 12. tjedan 2024.
https://www.top-list[...]
HDU
2024-03-11
[19]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 Album 1971
https://dutchcharts.[...]
Hung Medien
2023-07-25
[20]
웹사이트
Top 100 Album-Jahrescharts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Charts
2022-04-02
[21]
간행물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https://www.billboar[...]
2023-07-25
[22]
웹사이트
Pearl - Janis Joplin, Janis Joplin & the Full Tilt Boogie Band : Awards : AllMusic
http://www.allmusic.[...]
[23]
웹사이트
dutchcharts.nl - Janis Joplin - Pearl
http://dutchcharts.n[...]
[24]
웹사이트
norwegiancharts.com - Janis Joplin - Pearl
http://norwegianchar[...]
[25]
서적
オリコンチャート・ブックLP編(昭和45年‐平成1年)
オリジナルコンフィデンス
[26]
웹사이트
ChartArchive - Janis Joplin
http://chartarchive.[...]
[27]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Janis Joplin, 'Pearl' | Rolling Stone
http://www.rollingst[...]
[28]
올뮤직
2011-09-10
[29]
저널
Janis Joplin: ''Pearl''
https://www.rollings[...]
Wenner Media
1971-02-18
[30]
웹사이트
https://www.rollings[...]
[31]
뉴스
Consumer Guide (16)
http://www.robertchr[...]
2013-04-05
[32]
저널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11-09-10
[33]
웹인용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