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7 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7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의 핵무기 경쟁 속에서 소련의 세르게이 코롤료프가 이끄는 OKB-1 설계국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다. R-7은 핵탄두를 미국에 전달하도록 설계되었으나, 거대한 발사 단지와 발사 준비의 어려움으로 인해 무기로서의 실용성은 낮았다. 그러나 초기 미국의 ICBM보다 더 큰 탑재 능력을 바탕으로 우주 발사 임무에 적합하여,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는 등 우주 경쟁에서 소련의 선두를 이끌었다. R-7을 기반으로 보스토크, 루나, 몰니야, 소유즈 등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었으며, 소유즈 로켓은 현재까지도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R-7 로켓 - R-7 세묘르카
R-7 세묘르카는 소련이 개발한 2단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사용되어 우주 개발 경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소련의 주요 우주 발사체 개발의 토대가 되어 현재까지도 소유스 로켓 형태로 사용된다. - R-7 로켓 - 소유스 로켓
소유스 로켓은 1966년 최초 발사된 러시아의 우주 발사체로, R-7 로켓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4개의 액체연료 로켓 엔진이 묶인 1단 로켓과 2단 로켓으로 구성되어 튤립 발사 방식을 사용한다. - 로켓 계열 - 뮤 로켓
뮤 로켓은 일본의 우주 개발을 위해 개발된 고체 연료 로켓 시리즈로,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어 일본의 인공위성 발사에 기여했으며 과학 연구에도 활용되었다. - 로켓 계열 - 아리안 로켓
아리안 로켓은 유럽 우주국이 개발한 로켓으로, 액체 추진 엔진을 사용한 초기 모델부터 대형 위성 동시 발사 능력을 갖춘 아리안 5를 거쳐 발사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아리안 6까지 발전해 왔다. - 러시아의 우주발사체 - 로코트
SS-19 ICBM을 재활용하여 개발된 러시아의 3단 액체 연료 로켓인 로코트는 1990년대부터 상업 발사 서비스에 활용되었으나, 우크라이나산 제어 시스템 공급 중단으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완전한 러시아산 모델인 로콧-M이 개발 중이다. - 러시아의 우주발사체 - Start-1
Start-1은 러시아의 RT-2PM 토폴 ICBM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START I 조약에 따라 폐기될 토폴 미사일을 재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우주 발사체로,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상업 및 시험 발사를 진행했으며, 대한민국 국정원의 부품 밀반입 의혹과 한국의 고체 로켓 개발에 대한 미국의 간섭 논란 등 대한민국과의 관계에서도 이야기가 있다.
R-7 로켓 | |
---|---|
개요 | |
![]() | |
종류 | 소모성 발사체 |
국가 | 소련/러시아 |
제조사 | OKB-1 (초기) TsSKB-Progress (현재) |
개발 | 1953년 ~ 1957년 |
첫 발사 | 1957년 5월 15일 |
마지막 발사 | 현역 |
상태 | 현역 |
발사 횟수 | 1,885회 이상 (2022년 6월 7일까지) |
성공 횟수 | 1,714회 이상 (2022년 6월 7일까지) |
실패 횟수 | 100회 이상 (2022년 6월 7일까지) |
부분적 실패 횟수 | 10회 이상 (2022년 6월 7일까지) |
설명 | |
총 높이 | 29.8 ~ 48.25 m (97 ft 9 in ~ 158 ft 4 in) |
직경 | 10.3 m (33 ft 10 in) |
질량 | 283 ~ 313 톤 |
단 수 | 2단 (+선택적 상단 로켓) |
추진제 | 액체 산소/케로신 |
엔진 | 4 × RD-107-8D75 (부스터) 1 × RD-108-8D76 (코어) |
추력 | 980 톤 (이륙 시) |
특정 충격량 | 310초 (3.0 km/s) (RD-107) 314초 (3.1 km/s) (RD-108) |
페이로드 무게 | 7,500 kg (16,500 lb) (저궤도) 2,400 kg (5,300 lb) (정지 궤도) |
2. 개발 배경 및 역사
R-7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의 핵무기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개발되었다.
R-7은 무기로서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소련 핵탄두의 무게 덕분에 초기 미국의 ICBM보다 훨씬 큰 탑재 능력을 보유하여 우주 발사 임무에 적합했다.
1959년 R-7 제품군은 러시아 사마라의 프로그레스 항공 공장으로 이전되었다. 칼리닌그라드의 OKB-1에서 사마라로 R-7 제품군 전체에 대한 책임이 이전되었고, 1974년 사마라의 설계 시설은 OKB-1 부속 기관에서 독립적인 중앙 특수 설계국(TsSKB)으로 발전했다. TsSKB와 프로그레스 공장은 소유즈 로켓 설계, 개발 및 생산에 협력했으며, 1996년 두 기관은 합병하여 로켓 및 우주 센터 "프로그레스" (RKTs 프로그레스)를 설립했다.[3]
R-7 로켓은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보스토치니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었으며, 2011년부터 2022년까지는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도 발사되었다.
2. 1. 초기 개발
R-7은 로켓 개척자인 세르게이 코롤료프가 이끄는 소련의 설계국인 칼리닌그라드의 OKB-1에서 개발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었다.[1] 처음에는 미국을 표적으로 핵탄두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1957년 8월 21일에 처음으로 성공적인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R-7의 기본 설계는 중앙 코어 단계(블록 A)와 4개의 스트랩온 부스터(블록 B, V, G, D)로 구성되며, 정제된 케로신(RG-1)과 극저온 액체 산소(LOX)를 산화제로 사용한다. 기존 로켓과 달리 단계 번호가 다르게 매겨졌다. 부스터는 1단계, 코어 단계는 2단계로 간주되지만, 발사 시에는 동시에 점화된다. 부스터는 약 2분 동안 연소 후 분리되고, 코어 단계는 약 5분 동안 연소를 계속한다.
2. 2. ICBM으로서의 한계
R-7은 무기로서 실용성이 부족했다. 거대한 발사 시설은 공격에 취약했고, 발사 준비에 10시간이나 걸려 작전 준비성이 떨어졌으며, 극저온 연료 산화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1시간 이상 경계 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다.[1][2]2. 3. 우주 발사체로의 전환
R-7은 핵탄두 탑재 능력 덕분에 우주 발사체로도 활용될 수 있었다. 소련 핵탄두의 무게 때문에 R-7은 초기 미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보다 훨씬 더 큰 탑재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1957년 R-7은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며 우주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3]이후 상단 단계를 추가하여 R-7은 특정 임무에 최적화된 수많은 파생형을 낳았다. 보스토크 변형은 최초의 인간인 유리 가가린을 궤도에 올렸으며, 루나, 보스호드, 몰니야와 같은 다른 변형은 달 탐사선, 정찰 위성, 통신 위성 발사에 사용되었다. 이후 개조는 1966년에 처음 사용된 다목적 소유즈 설계를 중심으로 표준화되었고, 현대화된 버전인 소유즈-2는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3]
3. 파생형
R-7은 다양한 임무에 맞게 개량되어 여러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초기 R-7 변종의 대부분은 퇴역했지만, 일부는 여전히 운용 중이다.
이름 | GRAU(러시아 국방부 로켓 및 포병 총국) 색인 | 기능 | 단수 | 초도 비행 | 최종 비행 | 총 발사 횟수 | 성공 횟수 | 실패 횟수 | 비고 |
---|---|---|---|---|---|---|---|---|---|
R-7 세묘르카 | 8K71 | ICBM | 2 | 1957년 5월 15일 | 1961년 2월 27일 | 27 | 18 | 9 | 세계 최초의 ICBM |
R-7A 세묘르카 | 8K74 | ICBM | 2 | 1959년 12월 23일 | 1967년 7월 25일 | 21 | 18 | 3 | 유일하게 작전 배치된 ICBM 버전. 사거리 및 유도 시스템 개선. 6개 발사 위치만 사용 가능. 11A57 및 이후 개량형 기반 |
폴리요트 | 11A59 | 운반 로켓 | 2 | 1963년 11월 1일 | 1964년 4월 12일 | 2 | 2 | 0 | |
보스토크-2 | 8A92 | 운반 로켓 | 3 | 1962년 6월 1일 | 1967년 5월 12일 | 45 | 40 | 5 | 1960년대 제니트 정찰 위성 발사에 사용 |
보스토크-2M | 8A92M | 운반 로켓 | 3 | 1964년 8월 28일 | 1991년 8월 29일 | 94 | 92 | 2 | 높은 궤도로 메테오 기상 위성 발사 |
소유즈/보스토크 | 11A510 | 운반 로켓 | 4 | 1965년 12월 27일 | 1966년 7월 20일 | 2 | 2 | 0 | 프로토타입 US-A 위성 발사 |
소유즈-B | 11K55 | 운반 로켓 | 3 | 미건조 | |||||
소유즈-V | 11K56 | 운반 로켓 | 3 | 미건조 | |||||
소유즈-R | 11A514 | 운반 로켓 | 3 | 미건조 |
스푸트니크, 루나, 보스토크, 몰니야, 보스호트, 소유즈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
3. 1. 스푸트니크
R-7 로켓의 초기형 모델 중 하나인 8K71PS는 스푸트니크-PS라고도 불리며, 1957년 10월 4일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4] 이 로켓은 2단 로켓으로, 같은 해 11월 3일 스푸트니크 2호 발사에도 사용되었다.[4] 두 번의 발사 모두 성공했다.[4]스푸트니크 8A91 로켓은 스푸트니크 3호를 발사하는 데 사용된 2단 로켓이다.[4] 1958년 4월 27일 첫 발사는 실패했지만, 같은 해 5월 15일 두 번째 발사는 성공했다.[4]
3. 2. 루나
루나는 3단 로켓으로 1958년 9월 23일에 처음 발사되어 1960년 4월 16일까지 총 9번 발사되었다. 이 중 2번은 성공했고, 7번은 실패했다.[4] 루나는 최초로 달 탐사선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3. 3. 보스토크
유리 가가린을 비롯한 인류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은 보스토크 계획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때 사용된 로켓은 보스토크-K (8K72K)이다.[4] 보스토크-K는 1960년 12월 22일 처음 발사되어 1964년 7월 10일까지 총 13번 발사되었으며, 이 중 11번 성공하고 2번 실패하였다.[4]이름 | 초도 비행 | 최종 비행 | 총 발사 횟수 | 성공 횟수 | 실패 횟수 | 비고 |
---|---|---|---|---|---|---|
보스토크-K (8K72K) | 1960년 12월 22일 | 1964년 7월 10일 | 13 | 11 | 2 | 유인 보스토크 계획 임무에 사용됨 최초로 인간을 우주로 보낸 로켓 |
3. 4. 몰니야
몰니야 로켓(8K78)은 LEO 밖으로 탑재체를 보내도록 설계된 4단 로켓이다.[4] 1960년 1월 20일에 최초로 발사되어 1965년 12월 3일까지 총 26번 발사되었으며, 12번은 성공하고 14번은 실패했다. 몰니야-M 로켓은 몰니야 로켓의 개량형으로, 1964년 2월 19일에 최초 발사되어 2010년 9월 30일까지 운용되었다.[4] 총 297번 발사되어 276번 성공하고 21번 실패했다.3. 5. 보스호트
보스호트 로켓(11A57)은 3단 로켓으로, 1963년 11월 16일부터 1976년 6월 29일까지 총 300회 발사되었다. 이 중 277회 성공, 23회 실패했다. 보스호트 1호와 보스호트 2호 임무 발사에 사용되었다.[4]3. 6. 소유즈
소유즈 로켓은 R-7 계열의 대표적인 파생형으로, 현재까지도 다양한 유/무인 우주 임무에 사용되고 있다. 1966년 11월 28일 소유즈(11A511)가 처음 발사된 이후, 소유즈-U, 소유즈-FG, 소유즈-2 등 다양한 개량형이 개발되었다.[4][5]이름 | 초도 비행 | 최종 비행 | 비고 |
---|---|---|---|
소유즈 (11A511) | 1966년 11월 28일 | 1975년 5월 24일 | 유인 소유즈 발사에 사용됨. |
소유즈-L | 1970년 11월 24일 | 1971년 8월 12일 | LEO에서 LK 달 착륙선을 시험하기 위해 제작됨. |
소유즈-M | 1971년 12월 27일 | 1976년 3월 31일 | 유인 소유즈 7K-VI 우주선을 발사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결국 정찰 위성 발사에 사용됨. |
소유즈-U | 1973년 5월 18일 | 2017년 2월 22일 | 역대 최다 발사 운반 로켓 유인 소유즈 발사에 사용됨. |
소유즈-U2 | 1982년 12월 23일 | 1995년 9월 3일 | 유인 소유즈 발사에 사용됨. |
소유즈-FG | 2001년 5월 20일 | 2019년 9월 25일 | 유인 소유즈 발사에 사용됨. |
소유즈-2.1a / 소유즈-ST-A | 2004년 11월 8일 | 운용 중 | 2020년 4월 9일 소유즈 MS-16부터 유인 소유즈 발사에 사용됨. |
소유즈-2.1b / 소유즈-ST-B | 2006년 12월 27일 | 운용 중 | |
소유즈-2.1v | 2013년 12월 28일 | 운용 중 | 1단계는 달 N-1 발사기의 잉여 NK-33 엔진을 활용하고 부스터가 없는 완전히 새로운 설계를 사용. |
4. 기술적 특징
R-7은 기본적으로 중앙 코어 단계와 4개의 스트랩온 부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진제로는 정제된 케로신(RG-1)과 극저온 액체 산소(LOX)를 사용한다.[1] 부스터는 약 2분 동안 연소 후 분리되며, 코어 단계는 약 5분 동안 연소를 계속한다.[1] R-7 로켓의 연기 기둥에서 보이는 시각적 현상인 '코롤레프 십자가'는 4개의 액체 연료 부스터 로켓이 분리될 때 발생한다.[6]
4. 1. 구조
R-7은 기본적으로 중앙 코어 단계(블록 A)와 4개의 스트랩온 부스터(블록 B, V, G, D)로 구성되어 있다. 추진제로는 정제된 케로신(RG-1)과 극저온 액체 산소(LOX) 산화제를 사용한다.[1] 기존 로켓과 달리 부스터를 1단계, 코어 단계를 2단계로 간주하지만, 발사 시에는 동시에 점화된다. 부스터는 약 2분 동안 연소 후 분리되며, 코어 단계는 약 5분 동안 연소를 계속한다.[1]4. 2. 추진 시스템
R-7은 중앙 코어 단계(블록 A)와 4개의 스트랩온 부스터(블록 B, V, G, D)로 구성되며, 정제된 케로신(RG-1)과 극저온 액체 산소(LOX)를 산화제로 사용한다.[1] 기존 로켓과 달리 단계 번호가 다른데, 부스터는 1단계, 코어 단계는 2단계로 간주되지만 발사 시 동시에 점화된다. 부스터는 약 2분 동안 연소 후 분리되고, 코어 단계는 약 5분 동안 연소를 계속한다.[2]4. 3. 코롤레프 십자가
'''코롤레프 십자가'''는 R-7 계열 로켓의 연기 기둥에서 보이는 시각적 현상이다. R-7 로켓의 핵심 단에 부착된 4개의 액체 연료 부스터 로켓이 분리될 때 발생한다.[6] 부스터가 로켓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공기역학적 힘에 의해 대칭적으로 기울어져 로켓 뒤에 십자가 모양을 형성한다. 이 효과는 R-7 로켓의 설계자인 세르게이 코롤레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맑은 하늘에서 로켓을 발사할 때 발사 현장의 지상에서도 이 효과를 볼 수 있다.
5. 영향 및 의의
R-7은 세르게이 코롤료프가 이끄는 소련 설계국 칼리닌그라드의 OKB-1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었다.[1] 그러나 R-7은 무기로서 실용성이 떨어졌는데, 거대한 발사 단지가 공격에 취약했고 발사 준비에 10시간이 걸려 작전 준비성을 저해했으며, 극저온 연료 산화제에 의존했기 때문에 1시간 이상 경계 상태로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2]
하지만 소련 핵탄두의 무게 때문에 R-7은 초기 미국의 ICBM보다 훨씬 더 큰 탑재 능력을 가지게 되었고, 이 장점 덕분에 R-7은 우주 발사 임무에 적합하게 되어 소련은 우주 경쟁에서 상당한 선두를 차지했다. 개조되지 않은 R-7은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고, 상단 단계를 추가하여 R-7은 특정 임무에 최적화된 수많은 변형을 낳았다. 보스토크 변형은 최초의 인간인 유리 가가린을 궤도에 올렸으며, 루나, 보스호드, 몰니야와 같은 다른 변형은 달 탐사선, 정찰 위성, 통신 위성에 사용되었다. 이후 개조는 1966년에 처음 사용된 다목적 소유즈 설계를 중심으로 표준화되었고, 현대화된 버전인 소유즈-2는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3]
R-7 제품군은 1959년에 러시아 사마라의 프로그레스 항공 공장으로 이전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 R-7 제품군에 대한 책임은 칼리닌그라드의 주요 OKB-1 사무소에서 사마라로 이전되었다. 사마라의 설계 시설은 1974년에 OKB-1 부속 기관에서 독립적인 중앙 특수 설계국(TsSKB)으로 발전했다. TsSKB와 프로그레스 공장은 소유즈 로켓의 설계, 개발 및 생산에 협력했으며, 1996년에 합병하여 로켓 및 우주 센터 "프로그레스" (RKTs 프로그레스)를 설립했다.[3]
R-7 로켓은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보스토치니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며, 2011년에서 2022년 사이에는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도 발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7 History
https://www.worldspa[...]
2023-12-26
[2]
서적
Challenge to Apollo: the Soviet Union and the space race, 1945–1974
https://history.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History Div.
2000
[3]
웹사이트
Soyuz User's Manual
http://www.starsem.c[...]
Starsem
2001-04
[4]
웹사이트
Russia sends military satellite into space
http://news.xinhuane[...]
Xinhua
2010-10-01
[5]
문서
Soyuz T-10a caught fire on the launch pad before the end of the countdown, so it is not counted in the list of launches; this is why adding successes and failures yields 787 launches instead of 786.
[6]
기타
NASA TV coverage of Soyuz TMA-12 laun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