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Remember (존 레논의 노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emember"는 존 레논이 1970년에 발표한 곡으로, 어린 시절의 기억과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 곡은 1969년 비틀즈의 "Something" 녹음 당시 즉흥 연주에서 시작되었으며, 레논의 원시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작사되었다. 가사에는 가족, 권위, 동료와의 갈등 등 불쾌한 기억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샘 쿡의 "Bring It On Home to Me"에서 차용한 구절도 포함되어 있다. 1970년 10월 9일 레논의 30번째 생일에 녹음되었으며, 링고 스타, 클라우스 부어만이 참여했다. 노래의 마지막 부분에는 가이 포크스 데이를 언급하는 가사와 폭발음이 등장하며,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작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노래 - 아침 이슬
    1970년에 발표된 아침 이슬은 억압적인 정치 상황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젊은이들에게 인기를 얻었으나 금지곡으로 지정되었고, 민주화를 염원하는 이들에게 불리며 민중 가요의 대표곡이 되었다.
  • 1970년 노래 - Take Me Home, Country Roads
    존 덴버가 1971년에 발표한 컨트리 포크 노래 "Take Me Home, Country Roads"는 웨스트버지니아의 자연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노래로, 웨스트버지니아의 상징적인 노래이자 주가로 지정되었으며 미국 의회 도서관에 영구 보존 녹음물로 등록되었다.
  • 존 레논이 작곡한 노래 - Cold Turkey
    존 레논이 헤로인 금단 현상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고 플라스틱 오노 밴드가 발표한 싱글 Cold Turkey는 영국과 미국 차트에 진입했으며, 존 레논은 차트 성적 부진에 항의하여 MBE 훈장을 반납했고, 이후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커버하고 여러 앨범에 수록되었다.
  • 존 레논이 작곡한 노래 - Working Class Hero
    Working Class Hero는 존 레논이 사회 계층 간 불평등과 노동 계급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묘사한 곡으로,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며 발표 당시 검열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의 대표곡으로 자리매김하여 사회 운동과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존 레논의 노래 - Cold Turkey
    존 레논이 헤로인 금단 현상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고 플라스틱 오노 밴드가 발표한 싱글 Cold Turkey는 영국과 미국 차트에 진입했으며, 존 레논은 차트 성적 부진에 항의하여 MBE 훈장을 반납했고, 이후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커버하고 여러 앨범에 수록되었다.
  • 존 레논의 노래 - Working Class Hero
    Working Class Hero는 존 레논이 사회 계층 간 불평등과 노동 계급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묘사한 곡으로,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며 발표 당시 검열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의 대표곡으로 자리매김하여 사회 운동과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Remember (존 레논의 노래) - [음악]에 관한 문서
곡 정보
제목Remember (리멤버)
아티스트존 레논
음반John Lennon/Plastic Ono Band (존 레논/플라스틱 오노 밴드) / 조니 혼
발매일1970년 12월 11일
포맷해당 없음
녹음일1970년 10월 9일
녹음 장소EMI 스튜디오, 런던
장르
길이4분 36초
레이블애플
작곡가존 레논
프로듀서존 레논, 오노 요코, 필 스펙터
유튜브 링크Remember
Remember - John Lennon 1970 single
1971년 필리핀 싱글판 음반 레이블. A면은 "Love"이다.

2. 배경 및 구성

1969년 7월, 비틀즈조지 해리슨의 곡 "Something"을 녹음할 때, 존 레논은 훗날 "Remember"의 피아노 리프로 발전될 부분을 연주했다.[1] 이는 계획에 없던 즉흥 연주였으며, 비틀즈의 트랙에서는 곧 잘려나간 긴 코다로 이어졌다.[1]

1970년, 레논은 아서 야노프의 원시 치료 세션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Remember"를 작곡했다.[1] 가사는 치료 과정에서 떠오른 가족, 권위, 동료와의 갈등 등 불쾌한 기억들을 반영하고 있다. 가사에는 "영웅은 결코 매달리지 않았고, 항상 도망쳤다"고 적혀 있으며, 부모님에 대해 "영화 스타를 원하며, 항상 역할을 한다"고 묘사한다.

어느 시점에서 비트가 느려지고 레논은 미래에 일이 엉망이 되면 현재의 휴식의 순간을 기억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스스로에게 노래한다.[5]

노래 마지막 부분의 "Remember, remember the fifth of November"라는 가사는 영국 동요에서 따온 것으로, 1605년 화약 음모 사건이 일어난 가이 포크스 데이를 가리킨다.[3] 레논은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이 구절이 즉흥적으로 추가되었으며, "국회의사당을 폭파해야 한다"는 농담이 효과적인 결말을 만들었다고 밝혔다.[7]

또한 샘 쿡의 "Bring It On Home to Me" 첫 구절("If you ever change your mind about leaving it all behind")을 차용, 과거를 완전히 잊는 것은 불가능하며 항상 자신의 과거를 인식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2]

2. 1. 음악적 특징

레논은 스타카토 방식으로 피아노를 연주하여 곡의 긴장감을 높였다.[4] 보컬 멜로디는 라인이 없고 오음계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련 없는 코드 사이를 이동하는 기묘한 음조를 사용하여 청취자에게 불안정한 느낌을 준다.[4]

노래의 마지막 부분에서 레논은 "기억해, 기억해 / 11월 5일"이라는 가사를 부르고 폭발음이 뒤따른다.[2] 이 가사는 영국 동요 "Remember, Remember, the Fifth of November"에서 따온 것이며,[2] 불꽃놀이와 모닥불로 기념하는 영국의 공휴일인 가이 포크스 데이를 언급한다.[3] 가이 포크스가 1605년 11월 제임스 1세에 대항하여 가톨릭 반란을 일으키려는 음모에 실패했지만, 레논은 "국회의사당을 폭파해야 한다"는 제안이 효과적인 농담이라고 믿었다.

이 노래의 한 구절인 "If you ever change your mind about leaving it all behind"는 샘 쿡의 "Bring It On Home to Me"의 첫 번째 구절에서 차용되었다.[2] 그러나 쿡은 연인에게 집으로 돌아오라고 권유했지만, 레논은 이 구절을 사용하여 "모든 것을 뒤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자신의 과거를 항상 인식해야 한다고 암시한다. 레논은 계속해서 과거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거나 걱정하지 말아야 한다고 노래한다.[2]

3. 녹음

"Remember"는 1970년 10월 9일, 존 레논의 30번째 생일에 런던의 EMI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1] 이날 레논은 아버지 알프 레논과 재회했지만, 원시 치료의 영향으로 아버지에게 폭언을 퍼부었고, 만남은 실패로 끝났다. 알프 레논은 "그의 모습은 끔찍했다"고 회상했다.

이러한 상황과 대조적으로, 녹음 세션 자체는 유쾌한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초기 테이크에는 레논이 "Happy Birthday to me"라고 노래하는 음성과 조지 해리슨의 방문을 기뻐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링고 스타클라우스 부어만이 백킹 트랙을 연주했다. 팝 역사학자 로버트 로드리게스는 레논, 해리슨, 스타 간의 따뜻한 대화를 비틀즈가 해체된 후 몇 달 동안 만연했던 "'폴 매카트니에 대항한 우리' 정신"의 신호로 강조한다.

레논은 스타카토 방식으로 트랙에서 피아노를 연주한다. 로드리게스는 레논이 노래를 시작할 때 스타는 "존의 불규칙한 리듬 감각"을 보완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이는 레논의 기이함에 익숙한 음악가와 함께 일하는 것의 이점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Remember"의 오리지널 버전은 8분 이상이었으며, 오르간 오버더빙, 더블 트랙 보컬, 구강 하모니카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최종 버전에서는 삭제되고 폭발음이 추가되었다.[1] "Remember"의 리허설 테이크는 1998년 박스 세트 ''존 레논 앤솔로지''에 등장하며, 연주자들이 노래의 템포를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 해석

"Remember"는 존 레논이 유년 시절의 트라우마와 이상,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오는 실망감을 극복하고, 과거의 상처를 직면하며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그린 곡으로 해석된다. 가사는 가족, 권위, 동료와의 갈등과 같은 불쾌한 기억들을 묘사한다.[1] 특히 "영웅은 결코 매달리지 않았고, 항상 도망쳤다"는 가사는 어린 시절의 환상이 깨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노래 마지막 부분에서 레논은 "기억해, 기억해 / 11월 5일"이라는 영국 동요 가사를 부르고, 폭발음이 뒤따른다.[2] 이는 가이 포크스 데이를 언급하는 것으로,[2] 레논은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이 부분이 긴 애드리브의 일부였으며, 노래의 절정이 되어야 한다고 결정했다고 밝혔다.[3] 가이 포크스가 실패한 음모와는 달리, 레논은 "국회의사당을 폭파해야 한다"는 제안이 효과적인 농담이라고 생각했다.[3]

음악 평론가 윌프리드 멜러스는 이 노래가 가이 포크스 데이 폭발로 과거를 "글자 그대로" 날려버리는 듯한 인상을 준다고 해석했다.[4] 작가 켄 빌렌과 벤 유르시는 폭발음을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기억나는 동요 형태로 어른에게 반향을 일으키는, 놀랍도록 감동적인 노래의 냉혹한 결말"이라고 평가했다.[4]

이 곡은 억압적인 권위에 맞서 싸웠던 한국의 민주화 운동 경험과 연결 지어 해석할 수도 있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하는 모든 형태의 권위에 대한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곡으로 볼 수 있다.

5. 참여 인원

참조

[1] 뉴스 Remember https://www.beatlesb[...] The Beatles Bible 2010-08-02
[2] 시 The Fifth of November http://www.potw.org/[...] Poem of the Week, PotW.org
[3] 웹사이트 John Lennon: The Rolling Stone Interview : Rolling Stone https://web.archive.[...]
[4] 서적 Twilight of the Gods. The Music of the Beatles https://archive.org/[...] Schirmer Books
[5]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 of John Lennon Omnius Press
[6] 웹사이트 Top 10 John Lennon Solo Political Songs https://ultimateclas[...] Ultimate Classic Rock 2013-10-09
[7] 문서 回想するジョン・レノン―ジョン・レノンの告白 片岡義男 訳
[8] 서적 John Lennon: Listen To This Book Biddles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