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피아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피아노는 1709년 이탈리아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가 쳄발로를 개조하여 발명한 건반 악기이다. 현을 해머로 쳐서 소리를 내는 구조로, 쳄발로보다 음량이 크고 다양한 연주가 가능하다.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연주 기법과 구조가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피아노는 솔로, 반주, 앙상블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며, 19세기 이후 록, 재즈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아노 - 디지털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는 전자 기술로 피아노 소리를 재현하는 건반 악기로, PCM 음원 방식으로 어쿠스틱 피아노 소리를 샘플링하여 사용하며, MIDI 연결, 볼륨 조절, 헤드폰 출력 등의 기능과 휴대성, 소음 감소, 정확한 음정 유지의 장점을 가지나, 수리 및 수명에서 단점도 존재하며, 다양한 형태와 제조사가 있다.
  • 피아노 - 피아노 조율사
    피아노 조율사는 피아노의 음높이를 조정하고 부품을 수리 및 조정하여 최상의 연주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자로, 피아노 발명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국가별로 양성 과정과 자격 제도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 리듬 섹션 - 신시사이저
    신시사이저는 전자 회로로 소리를 합성하는 전자 악기로, 1960년대 로버트 무그 등에 의해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다양한 음향 합성 방식을 사용하며 여러 장르의 음악과 영화 사운드트랙에 널리 활용된다.
  • 리듬 섹션 - 기타
    기타는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현악기로,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로 구분되며, 넥, 바디, 헤드로 구성되고 다양한 튜닝과 연주법, 액세서리를 통해 다양한 음악을 연주한다.
  • 건반악기 - 하프시코드
    하프시코드는 건반 악기로, 플렉트럼으로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음높이의 현과 레지스터를 통해 음량과 음색을 조절할 수 있으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피아노의 등장으로 쇠퇴했으나, 20세기에 부활하여 고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다.
  • 건반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피아노
악기 개요
그랜드 피아노
그랜드 피아노
업라이트 피아노
업라이트 피아노
분류건반악기
호른보스텔-작스 분류법314.122-4-8
호른보스텔-작스 분류법 설명해머로 소리내는 건반이 있는 단순 현악기
발명가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개발 시기18세기 초
음역[[File:PianoRange.tif|frameless|upright|center]]
명칭
영어piano 피노우
독일어Klavier 클라
프랑스어piano 피야노
이탈리아어pianoforte 피아노르테
중국어钢琴(간체자), 鋼琴(번체자)
일본어洋琴 (요킨), piano (ピアノ)
관련 항목
관련 항목피아니스트
피아노곡
피아노 소나타
피아노 협주곡
다른 뜻피아노 (동음이의)
그랜드 피아노 (영화)

2. 역사

오늘날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건반 악기인 피아노는 그 이전의 건반 악기였던 쳄발로와 클라비코드의 한계를 극복하며 등장했다. 쳄발로는 풍부한 음량을 가졌지만 소리의 강약을 조절하기 어려웠고, 클라비코드는 섬세한 강약 표현이 가능했지만 음량이 매우 작아 실내 연주에 국한되었다.

피아노의 발명은 1700년[6] 이탈리아의 악기 제작가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Bartolommeo Cristofori|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it, 1655-1731)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5] 그는 쳄발로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해머로 현을 쳐서 소리를 내면서도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는 힘에 따라 소리의 크기(강약)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고안했다. 이 악기는 처음에는 '피아노 에 포르테'(piano e forte|피아노 에 포르테it, 여리고 세게)라고 불렸으며, 이는 점차 '피아노포르테' 또는 '포르테피아노'를 거쳐 오늘날의 '피아노'라는 이름으로 정착되었다.[3][47][48] 크리스토포리의 발명은 악기의 표현력을 획기적으로 높여 넓은 연주 공간에서의 독주 및 합주를 가능하게 했다.

크리스토포리의 발명은 1711년 스키피오네 마페이의 글을 통해 유럽 전역에 알려지기 시작했고,[6] 이후 독일의 고트프리트 질버만, 영국의 요하네스 줌페와 브로드우드, 프랑스의 세바스티앵 에라르, 오스트리아 빈의 요한 안드레아스 슈타인, 안톤 발터 등 여러 제작자들에 의해 피아노 제작 기술이 발전하고 확산되었다. 이 시기의 초기 피아노들은 오늘날 현대 피아노와 구분하여 '포르테피아노'라고 부르기도 한다.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에 걸쳐 피아노는 산업 혁명의 영향 속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더 강력하고 풍부한 음량, 넓은 음역, 향상된 표현력을 요구하는 작곡가와 연주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기술 혁신이 거듭되었다. 고품질의 강철 피아노선과 현의 강한 장력을 견딜 수 있는 주철 프레임이 도입되었고, 해머 재질이 펠트로 바뀌었으며, 빠른 연타와 섬세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액션(더블 이스케이프먼트 액션 등)과 다양한 음향 효과를 위한 페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을 통해 피아노는 점차 현대적인 그랜드 피아노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피아노가 등장하기도 했다. 건반과 평행하게 현을 배치한 직사각형 모양의 스퀘어 피아노는 19세기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며,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현을 수직으로 배치한 업라이트 피아노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19세기 말에 이르러 피아노는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현재와 거의 유사한 형태로 완성되었다.

2. 1. 피아노의 발명

피아노는 건반을 눌러 현을 치는 방식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악기로,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피아노가 발명되기 전에는 쳄발로와 클라비코드가 가장 대표적인 건반악기였다.[62][63]

피아노의 발명은 이전 건반 악기들의 기술 발전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고대부터 사용된 파이프 오르간의 발전은 건반 메커니즘 개발에 영향을 주었고, 중세 시대 유럽에 소개된 해머달시머는 현을 때려 소리 내는 악기의 초기 형태였다.[1] 중세 시대부터 현을 치는 방식의 건반 악기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으며,[2] 17세기에는 클라비코드(탄젠트로 현을 침)와 쳄발로(깃털로 현을 뜯음)의 메커니즘이 상당히 발전했다. 특히 쳄발로 제작 기술의 발전은 피아노의 구조 설계(케이스, 사운드보드, 브리지, 액션 등)에 큰 영향을 주었다.

1726년 제작된 크리스토포리의 피아노. 라이프치히 대학교 악기 박물관 소장.


일반적으로 현재 형태의 피아노는 1709년[6] 이탈리아 파도바 출신의 악기 제작가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Bartolommeo Cristofori|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영어, 1655-1731)가 발명한 것으로 여겨진다.[5] 그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의 악기 관리인이자 뛰어난 쳄발로 제작자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피아노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다. 크리스토포리가 정확히 언제 피아노를 처음 만들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고용주였던 메디치 가문의 기록에 따르면 1700년에는 이미 피아노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아있는 크리스토포리 제작 피아노 3대는 모두 1720년대에 만들어졌다.[6]

크리스토포리는 자신이 만든 악기를 '운 침발로 디 치프레소 디 피아노 에 포르테'( un cimbalo di cipresso di piano e forte|운 침발로 디 치프레소 디 피아노 에 포르테it, "부드럽고 강한 소리를 내는 사이프러스 나무 건반악기")라고 불렀다. 이 이름은 연주자의 터치(건반을 누르는 힘)에 따라 음량(크기)을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을 나타낸다. 즉, 건반을 세게 누르면 해머가 현을 강하게 쳐서 큰 소리가 나고, 약하게 누르면 작은 소리가 나는 것이다. 이는 이전의 쳄발로나 클라비코드와 구별되는 혁신적인 기능이었다. 쳄발로는 음량 조절이 거의 불가능했고, 클라비코드는 미세한 조절은 가능했지만 소리가 너무 작아 실내 연주에만 적합했다. 크리스토포리의 발명으로 피아노는 넓은 연주회장에서 다른 악기와 합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음량과 표현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 악기의 이름은 점차 '피아노포르테'( pianoforte|피아노포르테it), '포르테피아노'( fortepiano|포르테피아노it)로 줄어들었고, 오늘날에는 '피아노'( piano|피아노영어)라는 이름으로 정착했다.[3][47][48]

크리스토포리의 가장 큰 기술적 성공은 해머가 현을 친 후 즉시 떨어져 현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액션 메커니즘을 고안한 것이다. 해머가 현에 계속 닿아 있으면 소리가 울리지 않고 먹먹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해머는 불필요하게 튀어 오르지 않고 제자리로 돌아와야 하며, 같은 음을 빠르게 반복해서 칠 수 있어야 했다. 크리스토포리가 개발한 이 액션은 이후 여러 피아노 액션 방식의 기본 모델이 되었다.

크리스토포리의 초기 피아노는 현이 가늘어 현대 피아노보다 소리가 작았지만, 당시 강약 조절이 가능했던 유일한 건반 악기인 클라비코드보다는 훨씬 크고 서스테인(소리의 지속성)이 길었다.

크리스토포리의 발명은 1711년 이탈리아의 작가 스키피오네 마페이(Scipione Maffei)가 베네치아 신문에 구조 도해와 함께 소개하는 기사를 쓰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기사는 다른 악기 제작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독일의 오르간 제작자 고트프리트 질버만은 크리스토포리의 설계를 바탕으로 피아노를 제작했다. 질버만은 모든 현의 댐퍼를 한 번에 들어 올리는 장치, 즉 현대 피아노의 댐퍼 페달의 초기 형태를 개발하기도 했다. 질버만은 1730년대에 자신의 초기 피아노를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보여주었으나, 바흐는 고음부가 약하다는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후 질버만은 악기를 개량했고, 1747년 프리드리히 대왕의 궁정에서 개선된 피아노를 접한 바흐는 이를 높이 평가하고 판매에도 협력했다고 전해진다.[65]

1805년경 제작된 안톤 발터 피아노의 복제품 (폴 맥널티 제작)


18세기 중반부터 유럽 각국에서 본격적으로 피아노 제작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 영국: 1760년대 질버만의 제자였던 요하네스 춤페(Johannes Zumpe)가 런던으로 이주하여 크리스토포리 설계를 개량한 스퀘어 피아노를 제작하며 영국식 액션의 기초를 마련했다.[66]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1766년 작품집(Op. 5)에서 처음으로 '피아노포르테'라는 명칭을 사용했다.[67]
  • 프랑스: 세바스티앵 에라르는 1777년 춤페의 악기를 기반으로 피아노를 제작했으며, 이후 영국식 액션을 바탕으로 많은 개량을 더했다.
  • 독일/오스트리아 (빈 악파): 아우크스부르크요한 안드레아스 슈타인, 그의 딸인 빈의 나네테 슈트라이허와 사위 요한 안드레아스 슈트라이허, 그리고 안톤 발터 등이 유명했다. 이들이 만든 빈식 피아노는 나무 프레임, 2현 구조, 가죽 해머 등을 특징으로 하며, 현대 피아노와 건반 색이 반대인 경우도 있었다.[68]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슈타인과 발터의 피아노를 사용하여 많은 작품을 작곡했다. 빈식 피아노는 영국식 피아노나 현대 피아노보다 가볍고 명료하며 감쇠가 빠른 소리를 냈다.


이처럼 18세기와 19세기 초에 제작된 초기 피아노들은 현대 피아노와 구분하여 '포르테피아노'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후 피아노는 현이 더 굵어지고 액션과 댐퍼 등이 더욱 정교하게 개량되면서 오늘날의 '모던 피아노'로 발전하게 되었다.

2. 2. 초기 포르테피아노

피아노는 그 이전에 널리 사용되던 건반 악기인 쳄발로와 클라비코드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며 등장했다. 클라비코드는 건반 터치로 강약을 조절할 수 있었으나 음량이 매우 작았고, 쳄발로는 음량은 충분했지만 자유로운 강약 표현이 어려웠다.[64] 현을 때리는 방식의 건반 악기를 만들려는 시도는 중세 시대부터 있었으며[2], 해머달시머와 같은 악기가 그 초기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1][63]

일반적으로 현대 피아노의 발명은 이탈리아 파도바 출신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meo Cristoforiit, 1655-1731)에게 돌려진다.[5] 그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의 악기 관리인이자 뛰어난 쳄발로 제작자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피아노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다. 크리스토포리가 정확히 언제 피아노를 처음 만들었는지는 불분명하나, 메디치 가문의 1700년 재고 목록에 이미 피아노가 존재했음이 기록되어 있다. 현재 남아있는 크리스토포리 제작 피아노 3대는 모두 1720년대에 만들어졌다.[6] 크리스토포리는 자신의 악기를 un cimbalo di cipresso di piano e forteit("부드럽고 강한 소리를 내는 삼나무 건반악기")라고 불렀는데, 이는 점차 pianoforteit, fortepianoit로 줄어들었고, 마침내 '피아노'가 되었다.[47][48]

크리스토포리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해머가 현을 치고 즉시 떨어져 현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빠른 반복 연주가 가능한 메커니즘, 즉 피아노 액션의 기본 원리를 고안한 것이다. 이 액션은 이후 여러 피아노 액션의 모델이 되었다. 그의 초기 피아노는 현대 피아노보다 현이 가늘고 소리가 작았지만, 클라비코드보다는 훨씬 크고 서스테인이 길었으며, 쳄발로와 달리 연주자의 터치에 따라 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었다.

크리스토포리의 발명은 1711년 이탈리아 작가 스키피오네 마페이가 메커니즘 도해와 함께 악기를 소개하는 열정적인 기사를 쓰면서 비로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기사는 독일어로 번역되어 퍼져나갔고, 많은 악기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6] 그중 한 명이 오르간 제작자로 유명했던 고트프리트 질버만이다. 질버만은 크리스토포리의 설계를 기반으로, 모든 현의 댐퍼를 동시에 들어올려 음을 지속시키는 장치, 즉 현대 서스테인 페달의 초기 형태를 발명했다.[7]

질버만은 1730년대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초기 악기를 선보였으나, 바흐는 고음부가 약하고 다이내믹 레인지가 부족하다며 만족하지 못했다.[7] 질버만은 이 비판을 수용하여 악기를 개량했고, 1747년 프리드리히 대왕의 궁정에서 개선된 악기를 본 바흐는 이를 높이 평가하며 질버만 피아노 판매를 돕기도 했다.[65] 바흐는 1749년 질버만의 대리인으로서 악기를 판매하며 "Instrument: piano et forte genandt"(부드럽고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악기)라는 표현을 사용했다.[8]

1781년 빌뇌브레자비뇽의 루이 바스(Louis Bas)가 제작한 그랜드 피아노.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프랑스 그랜드 피아노 중 하나로, 크리스토포리의 영향을 받은 액션과 화려한 사운드보드가 특징이다.


18세기 후반, 피아노 제작은 빈 악파를 중심으로 꽃피웠다.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에서 활동한 요한 안드레아스 슈타인과 그의 딸이자 빈에서 활동한 난네테 슈트라이허, 그리고 안톤 발터 등이 대표적인 제작자였다. 이들이 만든 빈식 피아노는 나무 프레임, 각 음마다 2개의 현, 가죽으로 덮인 해머를 특징으로 했다. 일부 빈식 피아노는 현대 피아노와 건반 색상이 반대(자연 건반이 검은색, 임시 건반이 흰색)이기도 했다.[9][68]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바로 이러한 슈타인과 발터의 피아노를 사용하여 피아노 협주곡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했다. 빈식 피아노는 현대 피아노나 동시대 영국 피아노보다 가볍고 명료하며 경쾌한 음색을 가졌고, 소리의 감쇠가 빨랐다. 오늘날 이러한 초기 피아노(및 그 복원 악기)는 후대의 피아노와 구분하여 포르테피아노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영국에서도 1760년대부터 피아노 제작이 활발해졌다. 질버만의 제자였던 요하네스 줌페(Johannes Zumpe)는 런던으로 이주하여 1760년경 크리스토포리 설계를 기반으로 개량된 스퀘어 피아노를 제작하며 영국식 액션의 기초를 마련했다.[66] 1762년 영국으로 건너간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는 1766년 작품 5 소나타에서 처음으로 '피아노포르테'라는 명칭을 사용했다.[67] 프랑스의 세바스티앵 에라르 역시 1777년 줌페의 악기를 기반으로 피아노를 제작했으며, 이후 파리와 런던에서 활동하며 영국식 피아노를 바탕으로 많은 개량을 이루었다.

역사적으로 피아노는 '피아노포르테' 또는 '포르테피아노'로 불렸으며, 현대에도 악보 등에서 약칭 'pf'가 사용된다.[49][50][51] 독일어권에서는 '함머클라비어'(Hammerklavier) 또는 더 일반적으로 '클라비어'(Klavier)라고 부르며, 그랜드 피아노는 '플뤼겔'(Flügel)이라고도 한다. 러시아어로는 фортепианоru가 정식 명칭이지만, 그랜드 피아노는 рояльru, 업라이트 피아노는 пианиноru로 구분해 부르는 경우가 많다. 20세기 후반 이후 '포르테피아노', '함머클라비어' 등의 용어는 주로 현대 피아노 이전의 구조를 가진 고악기를 지칭하며, 옛 음악을 당시 스타일로 연주할 때 사용된다. 이와 구분하여 19세기 중반 이후의 피아노는 '모던 피아노'라고 부르기도 한다.

2. 3. 현대 피아노로의 발전

1790년부터 1860년경까지 피아노는 모차르트 시대의 악기에서 오늘날의 현대적인 형태로 크게 변화했다. 이러한 발전은 더 강력하고 지속적인 소리를 원하는 작곡가와 연주자들의 요구에 부응한 것이었으며, 산업 혁명 덕분에 고품질의 피아노선과 정밀한 주조 기술로 만든 철제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가능해졌다. 이 시기 피아노의 음역 또한 모차르트 시대의 5옥타브에서 현대 피아노의 7옥타브 이상으로 확장되었다.

초기 기술 발전은 주로 영국의 브로드우드 회사에서 이루어졌다. 존 브로드우드는 스코틀랜드인 로버트 스토다트, 네덜란드인 아메리쿠스 베이커스와 협력하여 쳄발로 케이스를 기반으로 한 피아노를 디자인했는데, 이것이 '그랜드 피아노'의 시초가 되었다. 1777년경 개발된 이 피아노들은 화려하고 강력한 소리로 빠르게 명성을 얻었다. 브로드우드는 점차 더 크고, 더 튼튼하며, 더 큰 소리를 내는 피아노를 제작했으며, 요제프 하이든루트비히 판 베토벤에게 피아노를 제공하기도 했다. 브로드우드는 1790년대에 5옥타브와 완전 5도, 1810년에는 6옥타브, 1820년에는 7옥타브의 음역을 가진 피아노를 최초로 제작했다. 베토벤은 그의 후기 작품에서 이 확장된 음역을 활용했다. 비엔나의 제작자들도 비슷한 경향을 따랐지만, 브로드우드가 더 튼튼한 액션을 사용한 반면 비엔나 악기는 더 민감한 액션을 사용했다는 차이가 있었다.

1820년대에는 피아노 혁신의 중심지가 파리로 옮겨갔다. 플레옐 회사는 프레데리크 쇼팽이 사용한 피아노를, 에라르 회사는 프란츠 리스트가 사용한 피아노를 제작했다. 1821년, 세바스티앙 에라르는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액션'을 발명했다. 이 액션은 건반이 완전히 원래 위치로 돌아오지 않아도 음을 빠르게 반복해서 칠 수 있게 해주어, 리스트가 즐겨 사용했던 빠른 연타 기법을 용이하게 했다. 이 발명은 앙리 에르츠에 의해 개량되어 그랜드 피아노의 표준 액션으로 자리 잡았고, 오늘날 생산되는 거의 모든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되고 있다.

해머 재질의 변화도 중요한 발전이었다. 초기 피아노 해머는 여러 겹의 가죽이나 면으로 덮여 있었으나, 1826년 장-앙리 파프가 단단한 펠트를 해머 커버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펠트는 더 균일한 재질이었고, 해머 무게와 현의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더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소리의 크기 변화 폭)를 가능하게 했다. 음색의 표현력을 넓히는 소스테누토 페달은 1844년 장 루이 보이슬로가 발명했고, 1874년 스타인웨이사가 개량하여 더욱 다양한 음향 효과를 낼 수 있게 되었다.

현대 피아노의 강력한 소리를 가능하게 한 핵심 혁신 중 하나는 크고 튼튼한 주철 프레임의 도입이다. '플레이트'라고도 불리는 이 철제 프레임은 사운드보드 위에 위치하며, 현이 당기는 엄청난 장력 (현대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 총 20ton 이상)을 견뎌내는 역할을 한다. 스퀘어 피아노용 단일 주철 프레임은 1825년 보스턴의 알페우스 밥콕이 처음 특허를 받았다. 밥콕은 이후 치커링 & 맥케이사에서 일했고, 이 회사는 1843년 그랜드 피아노용 전체 철제 프레임 특허를 획득했다. 철제 프레임 덕분에 더 두껍고, 더 강한 장력을 견디며, 더 많은 수의 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834년에는 버밍엄의 웹스터 & 호스팔 회사가 주강으로 만든 피아노선을 선보였고, 1840년에는 비엔나의 마틴 밀러가 더 우수한 강철선을 개발했다. 이후 피아노선 기술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의 형태로 이어졌다.

현을 배치하는 방식에도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저음부에는 각 음마다 1개의 현, 중음부에는 2개, 고음부에는 3개의 현을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오버스트링' 또는 '크로스 스트링잉' 방식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베이스 현과 나머지 현을 서로 다른 높이의 브릿지를 사용하여 비스듬히 교차시켜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악기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베이스 현의 길이를 더 길게 만들 수 있었고, 현의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었다. 오버스트링은 1820년대 페이프가 발명했으며, 1859년 미국에서 헨리 스타인웨이 주니어가 그랜드 피아노용으로 특허를 받았다.

1883년 스타인웨이 모델 'A'의 듀플렉스 스케일.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현의 주요 진동 길이, 트레블 브릿지, 듀플렉스 현 길이, 듀플렉스 바, 히치핀, 플레이트 스트럿, 플레이트 구멍


피아노 음색을 풍부하게 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었다. 파스칼 타스킨 (1788),[11] 콜라드 앤 콜라드 (1821), 줄리어스 블뤼트너 등 일부 제작자들은 공명 현을 추가하여 배음(overtone)을 강화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특히 블뤼트너는 1893년 알리쿼트 스트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피아노 고음부의 음색을 보강했다. 이 시스템은 해머가 직접 치지 않는 추가적인 현(알리쿼트 현)을 사용하여 공명을 통해 소리를 풍부하게 만드는 방식이다. 테오도르 스타인웨이는 이와 유사한 효과를 내기 위해 1872년 '듀플렉스 스케일'을 발명했다. 이는 현의 주된 진동 부분 외에 브릿지와 히치핀 사이의 짧은 부분을 특정 배음(주로 옥타브 위)과 공명하도록 조율하여 음색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초기 피아노 중에는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 독특한 형태도 있었다. 스퀘어 피아노는 이름과 달리 직사각형 모양으로, 현이 건반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었다. 이 디자인은 독일의 크리스티안 에른스트 프리데리치와 영국의 요하네스 줌페 등에 의해 개발되었고, 기욤-레브레히트 페초르트와 미국의 알페우스 밥콕 등에 의해 개선되었다.[12] 스퀘어 피아노는 제작 비용이 저렴하여 19세기 유럽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지만, 액션 구조가 단순하고 사운드보드가 좁아 음량과 표현력에 한계가 있었다.

업라이트 피아노의 내부. 현과 액션이 건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업라이트 피아노는 현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만든 형태이다. 초기에는 기린 피아노, 피라미드 피아노, 리라 피아노처럼 독특한 외형을 가진 키 큰 업라이트 피아노들이 등장했다. 1805년경 등장한 '캐비닛 피아노'는 매우 키가 크고 바닥까지 현이 내려오는 구조였다. 이후 1815년경 로버트 워넘이 개발한 '코티지 업라이트' 또는 '피아니노'는 크기를 줄여 20세기까지 생산되었다. 이 피아노는 독특한 댐퍼 구조 때문에 '새장 피아노'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1820년대 후반 프랑스의 롤러 & 블랑셰는 현을 대각선으로 배치한 업라이트 피아노를 선보였다. 1930년대부터는 더 작은 크기의 스피넷 업라이트 피아노가 제작되기도 했다. 이 유형은 해머 위치가 낮아 건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드롭 액션'이라는 특수한 구조를 사용했다.

현대의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는 19세기 말에 이르러 현재와 거의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에도 제조 공정 개선과 세부적인 개량은 계속되었지만, 피아노 역사상 가장 극적인 혁신과 변화는 19세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3. 종류

현대의 피아노는 크게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이들은 현의 진동을 이용하는 어쿠스틱 피아노이다.


  • 그랜드 피아노: 현과 프레임이 지면과 수평으로 놓여 있으며, 피아노 본래의 형태에 가깝다. 크기가 크고 풍부한 음량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크기에 따라 베이비 그랜드, 팔러 그랜드, 콘서트 그랜드 등으로 나뉜다.
  • 업라이트 피아노: 현과 프레임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어 공간을 덜 차지한다. 가정용으로 널리 보급된 형태이다.[13] 크기에 따라 스피넷, 콘솔, 스튜디오, 풀사이즈 업라이트 등으로 구분된다.


어쿠스틱 피아노 외에도 음악 기술의 발달로 여러 종류의 피아노가 등장했다.

  • 전기 피아노: 1929년경 등장했으며, 현이나 금속 막대의 진동을 픽업으로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앰프로 증폭시켜 소리를 낸다.
  • 전자 피아노: 1970년대에 등장했으며, 오실레이터와 같은 전자 회로를 사용하여 피아노 소리를 합성한다. 물리적인 현이나 해머가 없다.
  • 디지털 피아노: 1980년대에 등장했으며, 실제 어쿠스틱 피아노 소리를 디지털 샘플로 저장해 두었다가 건반을 누르면 해당 소리를 재생하는 방식이다.


이 외에도 토이 피아노, 자동 피아노, 사일런트 피아노, 조옮김 피아노, 미니 피아노, 프리페어드 피아노, 페달 피아노, 마이크로톤 피아노 등 특수한 목적이나 구조를 가진 다양한 피아노들이 존재한다.[14][15][16][17][18][19]

3. 1. 그랜드 피아노

스타인웨이 & 선스 그랜드 피아노 (백악관)


그랜드 피아노 뵈젠도르퍼


'''그랜드 피아노'''는 프레임과 현을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하며, 현은 연주자의 정면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액션은 현 아래에 위치하며, 건반에서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그랜드 피아노는 매우 큰 악기가 되며, 충분한 음향 공명을 얻을 수 있도록 천장이 높은 넓은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랜드 피아노는 크기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나뉜다.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콘서트 그랜드: 길이가 대략 2.2m에서 3m 사이이다.
  • 팔러 그랜드 (또는 부두아 그랜드): 길이가 대략 1.7m에서 2.2m 사이이다.
  • 베이비 그랜드: 길이가 대략 1.5m 정도이며, 팔러 그랜드보다 작다. 때로는 폭보다 길이가 더 짧은 경우도 있다.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현이 긴 피아노일수록 더 크고 풍부한 소리를 내며, 현의 인하모니시티(비조화성)가 작아진다. 인하모니시티는 현악기에서 배음의 주파수가 이론적인 기본 주파수의 정수 배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나타낸다. 이는 피아노 현의 강성 때문에 발생하는데, 현을 때렸을 때 현의 양 끝부분은 진동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높은 배음일수록 이론적인 주파수보다 더 높은 소리가 나게 된다. 현의 길이가 짧고 굵은 작은 피아노(베이비 그랜드 등)는 이러한 인하모니시티가 더 크게 나타나 음색이 다소 거칠게 느껴질 수 있다. 반면, 콘서트 그랜드와 같이 긴 피아노는 현이 더 자유롭게 진동하여 배음이 이상적인 주파수에 가깝게 형성되므로 더욱 조화롭고 풍부한 음색을 낸다.

일반적으로 풀 사이즈의 콘서트 그랜드는 크기가 매우 크고 가격도 높기 때문에 주로 대형 콘서트홀이나 전문 연주회장에서 사용된다. 그보다 작은 크기의 그랜드 피아노는 학교의 강당이나 음악실, 호텔 로비, 소규모 공연장, 그리고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3. 2. 업라이트 피아노

현대적인 업라이트 피아노


업라이트 피아노는 프레임, 현, 향판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위아래로 길게 제작된 피아노이다. 그랜드 피아노보다 공간을 덜 차지하기 때문에, 그랜드 피아노를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가정, 학교 교실, 소규모 공연장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구조적으로 그랜드 피아노와 차이가 있다. 그랜드 피아노에서는 해머가 현을 친 뒤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지지만, 업라이트 피아노의 해머는 수직으로 세워진 현을 앞뒤 방향으로 치고 스프링의 힘으로 제자리로 돌아온다. 이 때문에 그랜드 피아노만큼 반응성이 좋은 피아노 액션을 만들기 어렵고, 스프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빠른 연타를 가능하게 하는 레페티션 레버(repetition lever)가 대부분의 업라이트 피아노에는 없어 연타 성능 면에서도 그랜드 피아노에 비해 떨어진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업라이트 피아노가 있었다. 키가 크고 수직으로 현을 배치한 업라이트 그랜드(upright grand영어)는 마치 그랜드 피아노를 세워 놓은 듯한 형태였다. 캐비닛 피아노(cabinet piano영어)는 1805년경 등장하여 1840년대까지 제작되었는데, 매우 키가 크고 건반 뒤쪽 바닥까지 현이 이어지는 구조였다. 1815년경 로버트 워넘이 대중화한 코티지 업라이트(cottage upright영어) 또는 피아니노(pianino영어)는 크기가 작은 형태로 20세기까지 제작되었으며, 독특한 댐퍼 구조 때문에 '새장 피아노'(birdcage piano영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182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유행한 사선형 업라이트(oblique upright영어)는 현이 대각선으로 배치되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는 작은 크기의 스피넷 업라이트(spinet upright영어)가 제작되었는데, 해머 위치가 낮아 건반 높이를 맞추기 위해 '드롭 액션'(drop action영어)이라는 특수한 구조를 사용했다. 현대의 업라이트 피아노는 19세기 말에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발전하였다.

3. 3. 전기 피아노, 전자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

음악 기술의 발달과 함께, 증폭된 전기 피아노(1929년), 전자 피아노(1970년대), 그리고 디지털 피아노(1980년대)가 개발되었다. 현대 피아노는 주로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이들은 포르테피아노와 마찬가지로 어쿠스틱 악기이다. 이 외에도 전기 피아노, 전자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가 존재한다.

=== 전기 피아노 ===

Wurlitzer 210 전기 피아노


20세기 중반부터 음향 부분을 전기 회로로 대체한 전기 피아노(일렉트릭 피아노)가 등장했다. 1920년대 후반의 최초의 전기 피아노는 금속 현과 마그네틱 픽업, 앰프, 스피커를 사용했다.

전기 피아노는 발음 원리가 어쿠스틱 피아노와 비슷하게 해머로 음원부(현 또는 금속 조각 등)를 두드려 소리를 얻지만, 음향 증폭을 몸체의 공명 대신 픽업(자기 또는 피에조)으로 소리를 잡아 앰프로 전기적으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는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의 관계와 유사하다. 물리적인 발음 구조가 있어 전원을 켜지 않아도 작은 생소리가 난다.

음원부의 소재나 공명 방식은 제조사나 기종마다 다르다. 가장 잘 알려진 펜더 로즈는 현 대신 금속 조각(톤)을 사용하고 전자기 픽업을 사용하며, 1960년대1970년대 대중음악, 록 음악, 펑크, 재즈 퓨전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야마하의 CP-70이나 CP-80처럼 어쿠스틱 피아노와 같이 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를 일렉트릭 그랜드 피아노라고도 부른다.

전기 피아노의 독특한 음색 때문에 어쿠스틱 피아노의 대체품으로 사용되기보다는 고유한 악기로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종종 같은 곡 안에서 어쿠스틱 피아노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생성된 전기 신호는 키보드 앰프로 증폭되거나 이펙터 유닛으로 전자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클래식 음악에서는 주로 저렴한 리허설이나 연습 악기로 사용된다.

어쿠스틱 피아노에 픽업을 탑재한 일렉트릭 어쿠스틱 피아노 모델도 존재하지만, 이는 생소리가 그대로 나기 때문에 소음 대책이 되지는 않는다. 전기 피아노는 물리적 음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전자 회로로 소리를 생성·합성하는 전자 피아노나 디지털 피아노와는 명확히 구별된다.

=== 전자 피아노 ===

전자 피아노는 물리적인 음원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 회로를 통해 소리를 생성 및 합성하는 악기이다. 현, 톤, 해머가 없으며, 오실레이터와 필터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기술을 이용하여 피아노 소리를 시뮬레이션하거나 모방한다. 1970년대에 등장한 초기 전자 피아노(아날로그 전자 피아노)가 여기에 해당한다.

소리를 내려면 키보드 앰프와 스피커에 연결해야 하지만, 일부 모델에는 앰프와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다. 헤드폰을 사용하여 조용히 연주할 수도 있다. 상위 모델에는 페달, 실제 피아노의 타건감을 재현한 건반, 다양한 음색, MIDI 단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콘서트 등에서 사용되는 다리 없는 본체 형태의 악기는 스테이지 피아노라고도 불린다.

전자 피아노는 내부 구조 및 발음 원리가 신시사이저와 같기 때문에, 피아노 음색 및 타건감에 중점을 둔 신시사이저로 볼 수도 있다.

=== 디지털 피아노 ===



디지털 피아노는 1980년대에 등장했으며, 전자 피아노와 마찬가지로 현이나 해머가 없는 비음향 악기이다. 디지털 오디오 샘플링 기술을 사용하여 어쿠스틱 피아노의 각 건반 소리를 녹음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리를 재현한다.

소리를 내기 위해 전력 증폭기와 스피커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디지털 피아노에는 이들이 내장되어 있다. 헤드폰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방해되지 않고 연습할 수 있다. 디지털 피아노에는 일반적으로 서스테인 페달, 무게감이 있는 가중 건반 또는 반가중 건반, 다양한 음색 옵션(예: 전기 피아노, 해먼드 오르간, 바이올린 등의 샘플링 또는 합성된 소리), MIDI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MIDI 입출력 단자를 통해 디지털 피아노를 다른 전자 악기나 음악 장치(컴퓨터, 신스 모듈 등)에 연결하여 다양한 소리를 연주하거나 음악 작업을 할 수 있다. 초기 디지털 피아노는 페달 기능이 제한적이었으나, 야마하 클라비노바 시리즈와 같은 후기 모델들은 물리적 모델링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서스테인 페달을 밟았을 때 다른 현들이 함께 울리는 공명 현상을 시뮬레이션하고, 전체 페달 세트(소프트, 소스테누토, 서스테인)의 기능을 복제할 수 있게 되었다.

처리 능력의 향상으로 멀티 기가바이트 용량의 피아노 샘플 세트를 사용하여 매우 현실적인 피아노 소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는 건반을 누르는 세기(부드럽게, 강하게, 날카롭게 등)에 따른 다양한 소리 샘플뿐만 아니라, 서스테인 페달 사용 시의 현 공명, 건반에서 손을 뗄 때의 소리(키 릴리스), 댐퍼가 현에 닿는 소리, 리페달링(페달을 빠르게 밟았다 떼는 기술)과 같은 미세한 효과까지 시뮬레이션하는 샘플들이 포함된다.

디지털 피아노는 MIDI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거나, 피아놀라와 유사하게 연주 정보를 MIDI 형식 파일로 디지털 저장 매체에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다. MIDI 파일은 소리 자체를 녹음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건반을 어떤 속도로 눌렀는지 등의 연주 정보를 기록하며, 이를 바탕으로 소리를 재현한다. Modartt의 2006년 Pianoteq와 같은 컴퓨터 기반 소프트웨어는 샘플을 사용하지 않고 연주된 음표 생성에 관련된 물리 법칙을 기반으로 소리를 합성할 수도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어쿠스틱 피아노(그랜드 또는 업라이트)와 MIDI 전자 기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피아노도 등장했다. 이 피아노들은 일반 어쿠스틱 피아노처럼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반을 MIDI 컨트롤러로 사용하여 외부 신시사이저 모듈이나 음악 샘플러를 연주할 수도 있다. 1987년에 출시된 야마하 디스클라비어와 같이 전자 기능이 탑재된 일부 피아노는 연주를 기록하기 위한 전자 센서와 자동 연주를 위한 전자 기계식 솔레노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센서는 연주 중 건반, 해머, 페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표준 MIDI 파일(SMF)로 저장하고, 재생 시 솔레노이드가 건반과 페달을 움직여 원본 연주를 재현한다. 최신 디스클라비어는 내장 음원, 스피커, 인터넷 연결,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포트 등 여러 전자 기능을 포함하며, 업라이트부터 콘서트 그랜드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20]

사일런트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에 소음 기능을 추가한 형태로, 해머가 현을 때리지 못하게 막고 대신 디지털 음원으로 소리를 내어 헤드폰 등으로 들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야간이나 공동 주택 등에서 소음 걱정 없이 연습할 수 있다.

디지털 피아노는 일반적으로 어쿠스틱 피아노나 전기 피아노의 음색 외에도 다양한 악기 소리를 내장하고 있어, 피아노 연습뿐만 아니라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어쿠스틱 피아노 특유의 복잡한 현의 공명과 울림을 완전히 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물리 모델 음원 기술 등을 이용한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3. 4. 기타

토이 피아노는 19세기에 소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현 대신 둥근 금속 막대를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작은 피아노와 같은 악기이다. 미국 의회도서관은 토이 피아노를 고유한 주제로 지정된 독특한 악기로 인정한다.[14]

1863년, 앙리 푸르노는 피아노 롤로 스스로 연주하는 자동 피아노를 발명했다. 이 방식은 연주를 기록한 천공된 종이 롤과 공압 장치를 사용하여 연주를 재생한다. 현대의 자동 피아노로는 뵈젠도르퍼 CEUS, 야마하 디스클라비어, QRS 피아노메이션[15] 등이 있으며, 이들은 공압과 롤 대신 솔레노이드MIDI를 사용한다. 미국 에올리안사에서 제조한 듀오 아트(Duo-Art) 자동 피아노도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20]

사일런트 피아노는 해머가 현을 때리는 것을 막는 바(bar)를 설치하여 소리 없이 연주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어쿠스틱 피아노이다. 주변에 방해 없이 연습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1801년 에드워드 라이리가 개발한 조옮김 피아노는 건반 아래 레버를 조작하여 건반과 현의 상대적 위치를 이동시켜 조를 바꿀 수 있는 희귀한 피아노이다. 어빙 벌린이 이 피아노를 사용했으며, 그가 소장했던 피아노 중 한 대는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미니 피아노 '피아넷' 모델과 원래의 의자: 악기 앞면 나무 덮개가 떨어져 나가 조율 핀이 드러나 있다.


미니 피아노는 1934년 이브스태프(Eavestaff Ltd.) 피아노 회사의 브래스티드 형제가 특허를 받은 악기이다.[16] 이 악기는 브레이스가 없는 뒷면과 건반 아래에 위치한 사운드 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긴 금속 막대가 레버를 당겨 해머가 현을 치게 하는 구조이다. '피아넷'(Pianette|피아넷영어)이라고 알려진 첫 번째 모델은 조율 핀이 악기 앞면에 노출되어 있어 앞에서 조율할 수 있다는 점이 독특했다.

20세기 현대 음악에서는 프리페어드 피아노(Prepared Piano, 조율 피아노)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표준적인 그랜드 피아노의 현 사이에 고무 조각, 종이, 금속 나사, 와셔 등 다양한 물체를 삽입하거나 부착하여 음색을 변형시킨 피아노이다. 프리페어드 피아노를 위한 악보에는 이러한 개조 방법에 대한 지시가 포함된다.

일부 비엔나 포르테피아노에는 레버로 작동하는 타악기 효과(예: 터키 행진곡 효과)가 내장되어 있었다. 이는 모차르트론도 알라 투르카와 같은 곡에서 활용되었다.

페달 피아노는 발로 연주하는 페달 건반이 부착된 희귀한 피아노이다. 페달은 피아노의 기존 베이스 현을 연주하거나, 드물게는 페달 자체에 독립적인 현과 해머 메커니즘이 달려 있기도 하다. 주로 파이프 오르간 연주자들이 가정에서 연습하기 위해 사용하지만, 연주 악기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와디아 사브라는 1920년 플레이엘을 통해 마이크로톤 피아노(미분음 피아노)를 제작했다.[17] 압달라 샤힌은 나중에 오스트리아의 호프만의 도움을 받아 쿼터톤(4분음)을 연주할 수 있는 "오리엔탈 피아노"를 만들었다.[18][19]

2000년대 이후 일부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에 MIDI 전자 기능을 결합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피아노는 일반 어쿠스틱 피아노로 연주할 수도 있고, 건반을 MIDI 컨트롤러로 사용하여 외부 신시사이저 모듈이나 음악 샘플러를 연동할 수도 있다. 1987년 출시된 야마하 디스클라비어와 같이 전자 기능이 탑재된 피아노는 연주를 기록하는 전자 센서와 기록된 연주를 재생하는 전자 기계식 솔레노이드를 갖추고 있다. 센서는 건반, 해머, 페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연주 데이터를 표준 MIDI 파일(SMF) 형식으로 저장한다. 재생 시에는 솔레노이드가 건반과 페달을 움직여 원본 연주를 재현한다. 최신 모델들은 MIDI 반주 트랙 재생용 내장 음원, 스피커, 컴퓨팅 장치, 외부 MIDI 기기 연결 단자, 오디오 및 SMPTE 입출력(I/O) 포트, 인터넷 연결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포함한다. 디스클라비어는 업라이트, 베이비 그랜드, 그랜드 피아노(9피트 콘서트 그랜드 포함)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과거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스퀘어 피아노가 있었으나, 19세기 중반 이후 점차 사라져 현재는 제조되지 않는다.

피아노는 건반 수(현재 표준 88개)만큼의 음높이를 가지지만, 한 음당 현의 수는 음역에 따라 다르다. 최저 음역은 1개, 저음역은 2개, 중음역 이상은 3개의 현이 사용되며(음역 경계는 모델마다 다름), 총 현의 수는 200개를 넘는다. 각 음의 현들은 하나의 해머로 동시에 타격된다. 현은 '''뮤직 와이어'''라고 불리는 특수 강선(피아노선 중 고품질)으로 만들어지며, 저음역 현은 더 무겁게 만들기 위해 구리선을 감아 놓는다. 음역별 현 구성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 저음역: "1현/음, 구리 감김" → "2현/음, 구리 감김"
  • 중고음역: "3현/음, 구리 감김 없음" (대부분 모델)
  • 일부 모델은 저음역 전체에 구리 감김 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현이 길수록 풍부한 음색을 얻을 수 있으며, 제한된 악기 크기 내에서 현 길이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현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도를 가지고 교차시키는 오버스트링(overstringing, 교차 현)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현은 튜닝 핀에 고정되며, 현 하나당 약 70~80kg중의 장력을 받고, 모든 현의 장력을 합하면 총 20톤중에 달한다. 피아노가 현재와 같이 풍부한 음량을 낼 수 있게 된 것은 이러한 강한 장력을 견딜 수 있는 강철제 뮤직 와이어와 주철 프레임 덕분이다.

현대 피아노의 오버스트링 방식은 소리를 다소 탁하게 만드는 단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독일의 데이비드 클라빈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7년 '클라빈스 피아노 모델 370'(Klavins Piano Model 370)을 발표했다.[55] 이 피아노는 현을 평행하게 배치하기 위해 높이가 3.7m(모델명의 유래)에 달하고 총중량은 20톤이 넘는 거대한 크기를 가졌다. 공명판 면적은 일반 그랜드 피아노의 두 배 이상이며, 연주자는 계단을 올라가 업라이트 피아노 형태의 건반을 연주한다. 모델 370은 현재까지 제작된 피아노 중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악기는 오르간처럼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이 불가능하며, 주로 영화 음악 녹음 등에 사용된다.

4. 구조

피아노 구조 개념도: (1) 프레임 (2) 뚜껑, 앞부분 (3) 카포 바 (4) 댐퍼 (5) 뚜껑, 뒷부분 (6) 댐퍼 메커니즘 (7) 소스테누토 레일 (8) 페달 메커니즘, 로드 (9, 10, 11) 페달: 오른쪽(서스테인/댐퍼), 가운데(소스테누토), 왼쪽(소프트/우나 코르다) (12) 브릿지 (13) 히치 핀 (14) 프레임 (15) 사운드보드 (16) 현


피아노는 매우 복잡한 악기로, 12,000개 이상의 개별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22] 현대 피아노의 기본적인 구조는 크게 건반, 액션(해머와 댐퍼 포함), 현, 향판, 브리지, 프레임, 케이스, 뚜껑, 페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부품들은 크게 6가지 기능적 특징(키보드, 해머, 댐퍼, 브릿지, 사운드보드, 현)을 지원하며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한다.[22]

건반을 누르면 액션 장치가 움직여 댐퍼가 해당 현에서 떨어지고, 동시에 해머가 현을 때려 진동시킨다. 이 현의 진동은 브리지를 통해 향판으로 전달되어 소리가 증폭된다. 건반에서 손을 떼면 댐퍼가 다시 현에 붙어 진동을 멈춘다. 페달은 이러한 소리의 지속 시간이나 음색, 음량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피아노의 많은 부품은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현의 엄청난 장력(모든 현의 장력을 합하면 수십 톤에 달함)을 견뎌야 하는 프레임은 주로 주철로 제작되며, 이 프레임을 지지하고 전체 구조를 이루는 테두리와 몸체는 경목(주로 하드 메이플이나 너도밤나무)이나 연목 등[53]의 목재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견고한 구조 때문에 피아노는 다른 악기( 파이프 오르간 제외)에 비해 매우 무겁다. 업라이트 피아노는 보통 200kg~300kg, 그랜드 피아노는 300kg 이상 나가며, 콘서트용 그랜드 피아노는 500kg을 넘는 경우도 흔하다. 예를 들어 스타인웨이의 콘서트 그랜드(모델 D)는 480kg, 파치올리의 F308 모델은 570kg에 달한다.[28][29] 이 무게 때문에 연주회에서는 대부분 연주자가 자신의 악기를 가져오지 않고 공연장에 비치된 피아노를 사용한다.

피아노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건반: 연주자가 직접 누르는 부분.
  • 액션: 건반의 움직임을 해머의 타격으로 변환하는 복잡한 기계 장치.
  • :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체.
  • 향판, 프레임, 페달: 소리를 증폭시키고 구조를 지탱하며 음색을 조절하는 부분.

4. 1. 건반

피아노 제작 초창기에는 건반 재료로 주로 설탕소나무가 사용되었으나, 2010년대 기준으로는 보통 가문비나무피나무로 만들어진다. 특히 고품질 피아노에는 가문비나무가 주로 쓰인다. 검은 건반은 전통적으로 흑단으로, 흰 건반은 상아 조각으로 덮어 만들었다. 그러나 상아를 얻을 수 있는 동물들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국제 조약으로 보호받거나 일부 국가에서 거래가 불법화되면서, 현대 피아노 제작자들은 거의 대부분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플라스틱은 상아보다 내구성도 더 좋다. 합법적인 상아는 여전히 제한적으로 유통되기도 한다. 야마하는 상아의 외형과 촉감을 모방한 '아이보라이트'라는 플라스틱을 개발했으며, 다른 제조사들도 인공 상아나 인공 흑단과 같은 신소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거의 모든 현대 피아노는 52개의 흰 건반과 36개의 검은 건반으로 이루어진 총 88개의 건반을 가지고 있다. 이는 A0부터 C8까지 7옥타브와 단3도에 해당하는 음역이다. 이러한 88건반 피아노는 19세기 후반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88건반이 표준이 된 것은 이 음역이 인간이 악기로서 인식할 수 있는 음의 한계에 가깝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54] 많은 구형 피아노는 A0부터 A7까지 7옥타브에 해당하는 85개의 건반만 가지고 있다.

일부 피아노 제조사들은 표준 88건반보다 더 넓은 음역을 가진 피아노를 제작하기도 한다. 오스트리아의 뵈젠도르퍼는 저음부를 F0 또는 C0까지 확장하여 각각 92건반, 97건반(8옥타브) 모델(모델 290 "임페리얼")을 생산한다. 이 추가된 건반들은 연주자의 시각적 혼란을 줄이기 위해 작은 경첩 덮개로 가리거나, 흰 건반의 색상을 검은색으로 반전시켜 놓기도 한다. 호주의 스튜어트 앤 선스는 C0부터 B8까지 9옥타브에 이르는 108개의 건반을 가진 피아노를 제작했으며,[31] 이는 2022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넓은 음역을 가진 피아노이다. 스튜어트 앤 선스는 97건반 (F0~F8), 102건반 (C0~F8) 모델도 제작하며, 프랑스의 스테판 포렐로 역시 102건반 모델을 만든다. 이들 제조사의 확장 건반은 일반 건반과 동일한 외형을 가진다. 확장된 건반은 주로 해당 현의 공명을 통해 다른 현들의 소리를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효과를 위해 추가되며, 실제로 이 음들을 직접 연주하도록 작곡된 곡은 매우 드물다.

반대로, 장난감 피아노 회사인 쇼엔후트는 44개 또는 49개의 건반을 가진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를 만들며, 거리 공연 등에 사용되는 65건반의 작은 스튜디오 업라이트 피아노(긱 피아노)도 존재한다.

특수한 건반 배열을 가진 피아노도 있다. 헝가리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엠마누엘 무어가 발명한 '엠마누엘 무어 피아노포르테'는 하나의 건반 위에 다른 건반이 있는 이중 건반 구조를 가진다. 아래쪽 건반은 표준 88건반이고, 위쪽 건반은 76건반이다. 위쪽 건반을 누르면 내부 장치가 아래쪽 건반의 해당 음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을 내는 건반을 함께 누른다. 이를 통해 한 손으로 두 옥타브를 동시에 연주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처럼 원래 이중 건반 하프시코드를 위해 작곡된 곡들을 연주하기 용이하다. 또한 아래 건반과 위 건반을 연결하는 특별한 네 번째 페달이 있어, 아래 건반을 연주할 때 한 옥타브 높은 음이 함께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 피아노는 뵈젠도르퍼, 베히슈타인, 치커링, 스타인웨이 앤 선스 등에서 약 60대 정도만 제작되었다.[32] 이 외에도 얀코 건반과 같은 대체 건반 시스템을 적용한 피아노도 제작된 바 있다.

4. 2. 액션

왼쪽: 타건 전. 잭은 아직 롤러 바로 아래에 있다.
중앙: 타건 직후. 잭은 이스케이프하고, 해머와 롤러는 낙하 중. 이 상태에서는 연타는 아직 불가능하다.
오른쪽: 건반에서 아직 손을 떼지 않은 상태. 레페티션 스프링이 위펜과 잭을 아래 방향으로 당기고, 그 동안, 레페티션 레버가 롤러보다 건반 측 위치에서 해머를 들어 올리고 있다.



반면, 해머가 현을 옆에서 때리는 업라이트 피아노는 싱글 이스케이프먼트 액션 때문에 건반이 완전히 돌아와야 다음 타건이 가능하다. 해머 복귀를 돕는 배트 스프링이 있지만, 연타 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제대로 조정된 그랜드 피아노 액션은 초당 약 14회, 업라이트 피아노는 초당 약 7회의 연타가 가능하다. 레페티션 레버 유무라는 구조적 차이는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의 터치 및 표현력 차이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랜드 피아노의 더블 이스케이프먼트 액션은 슈반더식이 주류였으나, 1970년대 이후 스타인웨이식 액션을 채용하는 제조사가 많아졌다.

액션에서 해머와 더불어 중요한 부품은 댐퍼라는 소음 장치이다. 타건하지 않을 때는 댐퍼가 현에 밀착하여 진동을 억제한다. 건반을 누르면 해머가 현을 향해 타현 거리의 1/3에서 1/2 정도 이동했을 때 댐퍼가 현에서 떨어지도록 조정되어, 현이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게 된다. 건반을 누르고 있는 동안 댐퍼는 떨어져 있지만, 건반에서 손을 떼면 댐퍼가 현으로 돌아가 진동을 멈추고 소리를 소멸시킨다. 단, 최고음부는 현의 울림 시간이 짧아 댐퍼가 설치되지 않는다.

현에 직접 닿는 해머 헤드는 과거 수지제가 사용된 적도 있으나, 현재는 거의 예외 없이 양모 펠트로 제작된다. 해머 헤드는 장시간 연주하면 변형되어 음색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음정 조율만큼 자주 하지는 않더라도 정기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조율사 등 전문 기술자는 표면에 사포를 붙인 '파일러'로 해머 펠트 표면을 깎아 성형하거나(파일링), 여러 개의 바늘이 달린 '피커'라는 공구로 해머 펠트를 반복해서 찔러 음색을 정돈하는 정음(整音, 보이싱 또는 피커링이라고도 함) 작업을 수행한다.

4. 3. 현

피아노의 소리는 해머가 현을 때려 진동시키면서 시작된다. 이 진동은 현의 한쪽 끝과 연결된 브리지를 통해 향판으로 전달되어 소리가 증폭된다.[36]

피아노 현은 '피아노선'이라고 하는 특수한 강철선으로 만들어진다. 수년간 극심한 장력과 강한 타격을 견뎌야 하므로, 탄성이 높고 내구성이 강한 고탄소강을 사용한다. 현의 굵기(직경)가 일정하지 않으면 음색이 왜곡될 수 있어, 가능한 한 균일하게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음부 현은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질량을 얻기 위해 강철선 코어 둘레에 한 겹 또는 두 겹의 구리선을 감싼다. 낮은 음일수록 현이 굵고, 높은 음일수록 가늘다.

피아노 전체에 걸쳐 모든 현이 동일한 구조(단선)라면, 굵고 무거운 저음 현의 소리가 고음 현의 소리를 압도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피아노 제작자들은 음역에 따라 현의 개수를 다르게 배치한다. 가장 낮은 저음역에는 구리선을 감은 굵은 현 하나(단현)를 사용하고, 중간 음역(테너)에는 두 개의 현(복현), 그리고 고음역(트레블)에는 세 개의 현(삼현)을 사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체 음역에 걸쳐 음량의 균형을 맞춘다.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 모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현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저음부 현과 중·고음부 현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교차 현 방식)되는 경우가 많다.

피아노 현은 양쪽 끝이 금속 프레임(플레이트)에 단단히 고정된다. 한쪽 끝은 튜닝 핀에 감겨 있어 이 핀을 돌려 현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음고를 맞춘다(조율). 튜닝 핀은 핀블록이라는 매우 단단한 적층 경목에 박혀 있어 강한 장력에도 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모든 현이 발생시키는 장력의 총합은 매우 커서, 이를 지탱하기 위해 주철이나 주강으로 만들어진 무거운 금속 프레임이 필수적이다.

진동하는 현의 음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

하나의 현이 진동할 때는 단순히 하나의 음만 내는 것이 아니라, 현 전체가 진동하는 기본 진동 외에도 현이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동시에 진동한다. 각 부분은 고유한 음높이를 생성하며, 이를 배음(부분음)이라고 한다. 현의 진동으로 발생하는 기본음과 여러 배음의 조합이 피아노 특유의 음색을 결정한다. 이론적으로 배음은 기본음 주파수의 정수배이지만, 실제 피아노 현은 재질과 장력 등의 영향으로 배음이 기본음의 완전한 정수배에서 약간 벗어나는 비화성을 가진다. 이러한 미세한 비화성은 피아노 소리에 풍부함과 독특한 색채를 더하지만, 악기 전체 음역에 걸쳐 정확한 조율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37]

같은 음높이로 조율된 두 개 또는 세 개의 현(복현, 삼현)을 동시에 해머가 때리면, 각 현에서 생성된 소리가 서로 간섭하고 보강되어 더 크고 풍부한 소리가 난다. 만약 이 현들의 진동 주파수가 미세하게 어긋나면(약간 다르게 조율되면), 소리가 서로 간섭하면서 더 부드럽고 여운이 긴 소리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건반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댐퍼가 현에서 떨어져 자유롭게 진동하지만, 건반에서 손을 떼면 댐퍼가 다시 현에 닿아 진동을 멈추게 된다. 다만, 매우 높은 고음부의 현은 진동 시간이 매우 짧아 자연스럽게 소리가 사라지므로 댐퍼가 없는 경우가 많다.

4. 4. 향판, 프레임, 페달

그랜드 피아노의 바닥 부분 사진. 향판과 향봉을 확인할 수 있다.


주철 그랜드 피아노의 플레이트


피아노 페달 (왼쪽부터): 우나 코르다, 소스테누토 및 서스테인 페달

향판향판(Soundboard)과 향봉(Ribs)은 현 아래에 위치하며, 브리지(Bridge)를 통해 전달된 현의 진동을 공기로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소리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향판은 주로 가문비나무 판을 곧은결로 잘라 서로 붙여서 만드는데, 이 나무결 방향은 일반적으로 브리지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향봉은 향판의 브리지 반대편에 붙어 있으며, 향판의 나무결 방향, 즉 브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향판을 구조적으로 지지하고 진동이 고르게 퍼지도록 돕는다. 가문비나무는 무게 대비 강도가 높아, 현의 강한 장력을 견디면서도 음향 임피던스를 최소화하여 소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22] 최고급 피아노 제작에는 결함이 없고 나뭇결이 좋은 가문비나무를 선별하여 오랜 기간 건조시킨 후 사용하며, 이는 고급 어쿠스틱 기타의 사운드보드 제작에도 사용되는 방식이다. 반면, 비교적 저렴한 피아노에는 합판으로 만든 향판이 사용되기도 한다.

오스트리아의 뵈젠도르퍼(Bösendorfer)는 독특하게 향판과 동일한 가문비나무로 내부 테두리(Rim)를 제작하는데, 이는 "공명 케이스 원리"를 통해 프레임워크 자체가 향판과 함께 공명하여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색을 만들어내기 위함이다.[26][27]
프레임피아노의 프레임(주로 주철로 만들어지며, 플레이트(Plate) 또는 해프(Harp)라고도 불린다)은 현의 엄청난 장력을 지탱하는 핵심 구조물이다. 프레임은 현의 진동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흡수되지 않고 브리지를 통해 향판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충분히 무겁고 견고하게 설계된다.[23] 주철은 주조 및 가공이 용이하고, 피아노에 필요한 유연성을 갖추었으며, 변형에 강하고 특히 압축 강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선호된다. 일부 제조사는 주강을 사용하기도 한다. 프레임 주조는 냉각 시 수축률(약 1%)을 고려해야 하는 정교한 작업이다. 거대한 금속 구조물인 프레임은 미관을 해칠 수 있으므로, 제조사들은 표면을 연마하고, 칠하고, 장식적인 문양이나 제조사 메달을 부착하여 마감한다.

프레임은 단단한 나무로 만든 테두리(Rim)와 두꺼운 나무 기둥(Post)에 의해 지지된다.[53] 테두리는 주로 하드 메이플이나 너도밤나무 같은 경목을 여러 겹으로 쌓아 접착한 후 원하는 모양으로 구부려 만든다. 이 방식은 1880년 C.F. Theodore Steinway가 개발하여 제조 시간과 비용을 절감했다.[24][25] 기둥은 주로 연목으로 만들어져 테두리 구조를 안정시킨다. 튜닝 핀을 고정하는 핀블록(Pinblock) 역시 강도가 중요하여 하드 메이플이나 너도밤나무를 여러 겹으로 쌓아 만든다. 이러한 견고한 구조 때문에 피아노는 매우 무거운데, 작은 업라이트 피아노도 136kg에 달하며, 스타인웨이 콘서트 그랜드(모델 D)는 480kg, 가장 큰 피아노 중 하나인 파치올리 F308은 570kg에 이른다.[28][29]

1940년대에는 피아노를 더 가볍게 만들기 위해 Alcoa와 Winter and Company가 협력하여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한 피아노를 제작하기도 했으나, 널리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단종되었다. 과거 힌덴부르크 비행선에는 거의 전체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특수 피아노가 실리기도 했다.[30]
페달피아노 페달은 피아노의 음색과 음량을 조절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초기 피아노(18세기) 중 일부는 페달 대신 무릎으로 조작하는 레버를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 피아노의 페달 구성은 종류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5. 연주 및 기법

피아노 주법은 19세기에 크게 발달하여 황금시대를 맞이했다. 베토벤 이후 베버, 슈베르트, 멘델스존 등을 거쳐 쇼팽, 슈만, 리스트, 브람스와 같은 작곡가들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피아노 작품들을 남겼다. 특히 쇼팽이나 리스트의 음악은 피아노 고유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하고, 양손 연주 기법과 페달 사용 효과를 극한까지 발전시켰다.

하이든, 모차르트, 슈베르트, 베토벤 등 많은 고전주의 작곡가들은 현대 피아노와는 상당히 다른 포르테피아노를 위해 작곡했다. 낭만주의 시대의 프란츠 리스트, 프레데리크 쇼팽, 클라라로베르트 슈만, 파니펠릭스 멘델스존, 요하네스 브람스 등도 오늘날의 피아노와는 차이가 있는 악기를 사용했다. 현대 연주자들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악기의 음질 차이, 변화하는 연주 관례를 고려하여 과거 작품을 해석하기도 한다.

1928년 프랑스 피아니스트 모리스 라벨을 기리는 생일 파티. 왼쪽부터: 지휘자 오스카 프리드, 가수 에바 고티에, 라벨(피아노), 작곡가 겸 지휘자 마노아 라이데-테데스코, 작곡가 조지 거슈윈.


베토벤의 후기 활동 시기부터 포르테피아노는 점차 현대 피아노와 유사한 형태로 발전했다. 현대 피아노는 19세기 후반에 널리 보급되었는데, 이전 악기보다 음역이 약 30개의 건반만큼 넓어져 깊은 저음과 높은 고음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업라이트 피아노의 공장 대량 생산은 중산층에게 피아노를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19세기 동안 피아노는 음악 홀이나 술집 등 다양한 장소에 등장하여 독주나 소규모 밴드 연주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이는 과거 하프시코드 연주자들이 무대 공연 반주나 춤 반주를 맡았던 역할을 이어받은 것이었다.

야마하 그랜드 피아노. 프레디 머큐리가 사용했던 야마하 피아노는 경매에서 높은 가격에 팔리기도 했다.


19세기 미국에서는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음악 장르가 피아노를 통해 발전했다. 스콧 조플린 등에 의해 대중화된 래그타임은 1900년대에 이르러 폭넓은 인기를 얻었으며, 이는 곧 재즈 피아노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부기우기오스티나토 베이스나 쉬어링 보이스 같은 새로운 피아노 기법과 리듬이 등장했다. 조지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는 재즈 피아노와 교향악 사운드를 결합하여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재즈 보컬 반주 기법인 컴핑은 듀크 엘링턴을 통해 정형화되었고, 혼키 통크 스타일 역시 비슷한 시기에 인기를 끌었다. 비밥 시대에는 델로니어스 몽크, 버드 파웰과 같은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들이 재즈 피아노 기법을 더욱 발전시켰다. 20세기 후반 빌 에반스는 클래식 기법과 재즈 실험을 결합한 음악을 선보였고, 1970년대 허비 행콕재즈 펑크, 재즈 록 등 새로운 도시 음악 스타일을 피아노로 표현하며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재즈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가 되었다.

피아노는 록앤롤 및 록 음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리 리 루이스, 리틀 리처드, 키스 에머슨(에머슨, 레이크 & 파머), 엘튼 존, 벤 폴즈, 빌리 조엘, 니키 홉킨스, 릭 웨이크먼, 프레디 머큐리, 토리 에이머스 등이 대표적인 연주자들이다. 2023년 런던 소더비 경매에서는 프레디 머큐리가 "보헤미안 랩소디" 등 퀸의 명곡들을 작곡하는 데 사용했던 야마하 베이비 그랜드 피아노가 170만파운드 (210만달러)에 판매되어 작곡가의 피아노 경매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42] 모더니즘 음악에서도 존 케이지, 필립 글래스와 같은 작곡가들이 현대 그랜드 피아노를 위한 작품을 남겼다.

5. 1. 주요 연주 기법

프라하의 피아니스트


다른 악기와 마찬가지로, 피아노는 악보를 보거나, 귀로 연주하거나, 즉흥 연주를 통해 연주할 수 있다. 일부 민속 음악과 블루스 피아니스트들은 독학으로 연주를 익혔지만, 클래식 음악재즈에는 피아노 교육 시스템과 기관이 잘 정립되어 있다. 여기에는 예비 대학 학위 시험, 대학교, 단과대학 및 음악원의 학위(학사석사를 비롯하여 피아노 음악 예술 박사까지)가 포함된다.

피아노 기법은 하프시코드클라비코드에서 포르테피아노 연주로 전환되면서 발전했고, 현대 피아노가 개발되면서 계속 발전했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음악 스타일과 청중의 선호도가 변화하고 거장 연주자들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발전과 뚜렷한 피아노 연주 방식 또는 학파의 성장에 기여했다. 기법은 종종 음악적 아이디어를 물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만 간주되지만, 많은 교육가와 연주자는 피아노 연주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정서적 측면의 상호 연관성을 강조한다.[38][39][40][41] 피아노 기법에 대한 잘 알려진 접근법에는 도로시 토우브먼, 에드나 골란스키, 프레드 카포프, 샤를루이 아농 및 오토 오트만의 방법이 있다.

19세기에는 거장 피아니스트들에 의해 리스트의 반음계, 세 손가락 등의 기교가 개발되었다.

'''클러스터 주법'''은 헨리 카우웰 등에 의해 제창된 것으로, 건반을 손, 팔, 팔꿈치를 사용하여 타악기처럼 연주한다. 톤 클러스터도 참조할 수 있다.

'''내부 주법'''이란 피아노를 건반이 아닌, 내부의 현을 기타의 플렉트럼 (픽) 등으로 직접 튕기거나, 현의 가장자리나 중간을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해당하는 건반을 치거나, 송진을 바른 유리 섬유 또는 현악기의 활털을 피아노 내부의 특정 현에 통과시켜 찰현함으로써, 본래 피아노에는 없는 음색을 얻기 위한 주법이다. 피아노의 작곡 악기로서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 중 하나이다. 현대 음악에서는 자주 사용되지만, 일본의 많은 콘서트 홀에서는 악기 손상을 우려하여 이 주법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유럽 등에서는 이러한 규제가 거의 없다. 다만, 악기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금속 도구 사용을 자제하고, 연주 후에는 손가락의 땀으로 인한 방지를 위해 현을 닦아주는 배려가 필요하다.

연탄하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누나 마리아 안나. 바이올린을 든 사람은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 초상화는 어머니 안나 마리아. 요한 네포무크 델라 크로체, 1780년경.


'''연탄'''은 한 대의 피아노를 2명 이상이 동시에 연주하는 방식이다. 19세기 유럽에서는 살롱의 애호가나 아마추어 자녀들의 교양으로 연탄 음악이 유행했다. 요하네스 브람스는 이러한 수요에 맞춰 '헝가리 무곡'을 작곡했고, 안토닌 드보르자크에게 '슬라브 무곡' 작곡을 권하기도 했다. 이 두 곡은 연탄 레퍼토리의 대표적인 곡이며, 오케스트라 편곡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카미유 생상스의 "교향곡 제3번 '오르간 포함'" 제4악장에서는 오케스트라 내 피아노가 연탄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2인 4수 연탄 외에, 3명이 연주하는 6수 연탄도 라흐마니노프 등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2대 피아노 연주'''는 피아노 2대를 나란히 놓고 연주하는 방식이다. 연탄보다 음량이 풍부하고, 연주자 2명 모두 음역 제한 없이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리가 섞여 잡음처럼 들리기 쉽고, 각 피아노의 고유한 인하모니시티 때문에 조율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미묘한 음정 차이로 인한 울림이 발생할 수 있다. 연주 시에는 대부분 2대의 피아노를 마주 보게 놓는데, 이때 청중 반대편으로 향하는 피아노의 덮개(반향판 역할)를 제거하기도 한다. 2대 피아노를 위한 오리지널 곡 외에도, 오케스트라 곡이나 피아노 협주곡을 시연할 때(주로 19세기 신작 발표나 현대 음악 학교 시험 등) 사용된다. 2번째 피아노를 연탄으로 하여 총 3명이 연주하는 경우도 있다. 다리우스 미요스티브 라이히의 작품 중에는 각각 6대의 피아노를 동시에 연주하는 곡도 있다. 또한 1993년부터 매년 열리는 베르비에 음악제에서는 2003년 10주년 기념 갈라 콘서트에서 예프게니 키신, 랑랑 등 8명의 피아니스트가 스타인웨이 피아노 8대를 동시 연주하기도 했다.

6. 역할

피아노는 19세기 상류층 가정의 사교 생활의 중심이었다(모리츠 폰 슈빈트, 1868). 피아노를 치는 사람은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1797–1828)이다.


피아노는 많은 서양 음악 장르에서 중요한 악기이다. 솔로 연주나 멜로디를 담당하기도 하고, 다른 악기나 목소리를 뒷받침하는 반주 악기로도 사용된다. 피아노는 혼자 연주되거나, 목소리 또는 다른 악기와 함께 연주될 수 있으며, 소규모 그룹(밴드 및 실내악 앙상블) 또는 대규모 앙상블(빅 밴드 또는 오케스트라)에서도 연주될 수 있다.

많은 작곡가작사가는 능숙한 피아니스트이기도 한데, 피아노 건반은 복잡한 멜로디와 화음을 실험하고 동시에 여러 개의 독립적인 멜로디 라인을 만들어보는 데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피아노는 영화 음악 및 텔레비전 음악 작곡가들이 사용하기도 하는데, 넓은 음역 덕분에 다른 악기를 위해 오케스트레이션을 하더라도 멜로디와 베이스 라인을 시험해 볼 수 있다.

밴드리더와 합창 지휘자들은 종종 피아노를 배우는데, 이는 새로운 곡과 노래를 배우고 공연을 이끌기에 훌륭한 악기이기 때문이다. 많은 지휘자 역시 피아노를 훈련받는데, 이를 통해 지휘하는 교향곡의 일부를 직접 연주해볼 수 있다(피아노 편곡 악보를 사용하거나 전체 악보(Full Score)에서 직접 편곡하여 연주). 이는 곡 해석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피아노는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 및 칼리지에서 음악 교육의 필수 도구이다. 대부분의 음악 교실과 많은 연습실에는 피아노가 있다. 피아노는 음악 이론, 음악사 및 음악 감상 수업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며, 피아니스트가 아닌 음악 교수나 강사조차도 사무실에 피아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참조

[1] 논문 Acoustics of the hammered dulcimer, its history, and recent developments
[2] 서적 Pollens
[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10th e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 논문 Recent Approaches in Understanding Cristofori's Fortepiano 2006-00-00
[5] 논문 Bartolomeo Cristofori in Florence 2013-00-00
[6] 웹사이트 The Piano: The Pianofortes of Bartolomeo Cristofori (1655–1731) | Thematic Essay |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www.metmuseum[...]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4-01-27
[7] 논문 Did J. S. Bach Compose "Pianoforte Concertos"? 2000-00-00
[8] 서적 The Piano: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9] 웹사이트 The Viennese Piano http://www.ptg.org/r[...] 2007-10-09
[10] 논문 Craftsmen-Turned-Scientists? The Circulation of Explicit and Working Knowledge in Musical-Instrument Making, 1880–1960 2013-00-00
[11] 웹사이트 Piano à queue http://mediatheque.c[...] Médiathèque de la Cité de la musique 2014-04-05
[12] 논문 Alpheus Babcock's Cast-Iron Piano Frames 1974-00-00
[13] 서적 Encyclopedia of keyboard instruments, Volume 2 Routledge
[14] 서적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https://books.google[...] Library of Congress 2003-00-00
[15] 웹사이트 PNOmation II https://www.qrsmusic[...] QRS Music Technologies 2014-07-06
[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Eavestaff Pianette Minipiano http://www.piano-tun[...] Piano-tuners.org 2014-01-27
[17] 서적 Les Cahiers de l'Oronte
[18] 웹사이트 Stéphane Tsapis, le piano oriental https://www.francemu[...] 2019-10-13
[19] 서적 Local Music Scenes and Globalization: Transnational Platforms in Beiru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 웹사이트 Disklavier Pianos - Yamaha - United States https://usa.yamaha.c[...]
[21] 웹사이트 161 Facts About Steinway & Sons and the Pianos They Build http://www.steinwayp[...] Steinway & Sons 2018-09-30
[22] 웹사이트 The Piano http://hyperphysics.[...] HyperPhysics 2014-11-19
[23] 웹사이트 The Piano Case http://www.speech.kt[...] Royal Swedish Academy of Music 2010-08-30
[24] 서적 Thermo-Hydro-Mechanical Wood Process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5] 문서
[26] 서적 2007–2008 Annual Supplement to The Piano Book https://archive.org/[...] Brookside Press
[27] 웹사이트 Bösendorfer resonance case principle http://www.boesendor[...]
[28] 백과사전 Fazioli, Paolo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0-00
[29] 웹사이트 Model F308 http://www.fazioli.c[...] Official Fazioli Website 2015-03-06
[30] 웹사이트 The Hindenburg's Aluminum Piano https://www.airships[...] AIRSHIPS.NET 2010-06-05
[31] 뉴스 World's first 108-key concert grand piano built by Australia's only piano maker http://www.abc.net.a[...] 2018-09-14
[32] 뉴스 Let's Play Two: Singular Piano https://www.nytimes.[...] 2007-07-15
[33] 웹사이트 Fourth pedal http://www.fazioli.c[...] Fazioli 2008-04-21
[34] 웹사이트 Piano with instrumental attachments http://musicaviva.co[...] Musica Viva 2010-08-27
[35] 웹사이트 Wing & Son http://www.antiquepi[...] Antique Piano Shop 2010-08-27
[36] 서적 The New How Things Work. From Levers to Lasers, Windmills to Web Sites, A Visual guide to the World of Machines Houghton Mifflin Company
[37] 웹사이트 Physics of the Piano : Piano Tuners Guild, June 5, 2000 http://www.physics.o[...] 2003-03-09
[38] 서적 The Visible and Invisible in Pianoforte Technique : Being a Digest of the Author's Technical Teachings Up to D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Piano Technique I. Pitman
[40] 서적 The Science of Pianoforte Technique Macmillan
[41] 학술지 Sayings of Great Teachers
[42] 뉴스 Freddie Mercury: Queen star's piano and other items fetch high prices at auction https://www.bbc.com/[...] 2023-09-06
[43] 서적 Duden Das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ag
[44] 사전 クラウン仏和辞典 三省堂
[45] 웹사이트 ピアノ
[46] 간행물 国語シリーズ 27: 外来語の表記 資料集 https://www.bunka.go[...] 文部省
[47] 웹사이트 ピアノの成り立ち: ピアノ誕生ストーリー https://www.yamaha.c[...] ヤマハ
[48] 학술지 欧米のピアノメーカーの歴史 : ピアノの技術革新を中心に 京都産業大学マネジメント研究会 2010
[49] 웹사이트 General Abbreviations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Abbreviations for Instruments https://imslp.org/wi[...] International Music Score Library Project 2022-11-21
[51] 웹사이트 ABBREVIATIONS FOR INSTRUMENTS IN MARKING MUSIC LIBRARY SCORES (rev12/2011lah) https://unitproj.lib[...] UCLA Library Cataloging & Metadata Center
[52] 웹사이트 初等科國語 七 https://web.archive.[...]
[53] 문서 일부에는 아크릴제의 것도 있다.
[54] 웹사이트 ピアノのマメ知識: ピアノの鍵盤数が88鍵から増えないわけは? https://www.yamaha.c[...] ヤマハ
[55] 웹사이트 Neue Dimension im Klavierbau - Das Klavins-Piano Modell 370 - http://www.klavins-p[...] Klavins Pianos
[56] 웹사이트 Welcome to Harmonic Piano Pedal! http://www.harmonicp[...]
[57] 웹사이트 PÉDALE HARMONIQUE https://www.feurich.[...]
[58] 웹사이트 世界で最もグランドピアノに近いアップライトピアノ http://apollopiano.j[...] Apolloピアノ
[59] 웹사이트 Gounod: The complete works for pedal piano & orchestra https://www.hyperion[...]
[60] 웹사이트 Pinchi Pedalpiano System https://web.archive.[...]
[61] 웹사이트 DOPPIO BORGATO CONCERT GRAND PIANO WITH PEDALBOARD https://web.archive.[...]
[62] 서적
[63] 학술지 Acoustics of the hammered dulcimer, its history, and recent developments
[64] 문서 18세기 후반의 쳄발로에는, 협판상에 설치된 갑문을 개폐하는 것에 의해, 연속적인 강약변화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있다.
[65] 문서 와타나베 준세이편 「포르테피아노에 관한 증언」에서 관련자료의 일본어역을 읽을 수 있다.なお, 이때의 즉흥연주는 나중에 『음악의 봉납물』로서 정리되었다.
[66] 서적 피아노의 탄생 講談社
[67] 서적 Grove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68] 웹사이트 The Viennese Piano http://www.ptg.org/r[...]
[69] 서적 피아노의 근대사 中央公論新社
[70] 서적 피아노의 근대시
[71] 웹사이트 木材塗装ライブラリー: 「ピアノ塗装」と呼ぶべからず https://tosou.nishiz[...] ニシザキ工芸 2020-10-16
[72] 웹사이트 The Opening of Steinway & Sons New Piano-Forte Manufactory https://www.mozartpi[...] 2020-10-14
[73] 웹사이트 ピアノはなぜ黒いのか? https://www.noahmusi[...]
[74] 웹사이트 なぜピアノが黒いのか? https://www.grandg.c[...]
[75] 논문 塗料の歴史 色材協会 1983-00-00
[76] 웹사이트 世界一黒いもの 黒の物語その3 http://www.kantoko.c[...] 関東塗料工業組合 2020-10-16
[77] 웹사이트 楽器の事典ピアノ 第7章 ピアノの種類およびその構造と機能 4 ケース: ピアノの形状・サイズとそれらの性能の差異 https://www.chopin.c[...] ハンナ 2020-10-16
[78] 웹사이트 Definition of "pianoforte" http://www.thefreedi[...] 2017-01-26
[79] 서적 Pollens 1995-00-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